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RBA를 이용한 분산환경에서의 miniPACS 설계 및 구현

        권오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산업과 컴퓨터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의학영상의 관리와 처리를 담당하는 PACS에 대하여도 많은 연구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PACS는 영상장치와 컴퓨터통신망, 데이터베이스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학영상에 쓰이는 영상을 대상으로 처리, 판독, 저장 및 검색체계를 통하여 영상들을 관리, 설계 및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PACS의 연구와 개발로 병원에서의 진단, 원격진단, 병원 업무처리 등에 큰 효과와 장점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PACS를 도입하고 있는 병원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금 현존하는 PACS시스템은 대부분이 외국제품이고, 국내 진료환경에 적응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분산객체의 표준인 COREA을 사용하여 개방형 분산 시스템 구조에 기반하는 miniPACS을 설계하고자 한다. CORBA는 분산 객체들간의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성립시켜주는 미들웨어이다. CORBA를 사용하므로서, 클라이언트 객체는 같은 기계 또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서버 객체의 메소드를 투명성있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CORBA를 기반으로 분산 객체지향구조를 갖는 의료영상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국내의료환경에 적합하고, 모든 병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miniPACS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mage Processing을 추가하였다. As the technology of computer has developed rapidly,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s in these days.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consists of many system components such as data base, image processing, networking and display and is regraded a promising system. PACS provides a lot of effects and advantages on the diagnosis of the patients. Recently big-sized hospitals start to install PACS, however, most systems are manufactured by foreign companies and are difficult to be use widely due to the high costs and other technological problems. In this thesis, we propos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ini-PACS based on the open distributed system using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is the middleware that establishes the Client/Server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on objects. Using CORBA, a client object can transparently invoke a method on a server object, which can be on the same machine or across a network. Based on CORBA, we develope mini-PACS that is a medical image system on a distribution object-oriented structure. Therefore, this system is suitable for the medical environments in domestic and can be applied on whole hospital. In addition, we add the image processing features on it to improve mini-PACS.

      • 치성각화낭에서 발생한 법랑모세포종

        권오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치성낭(odontogenic cyst)과 치성종양(odontogenic tumor)은 발생근원(source)을 공유하지만, 조직병리학적 성질이 달라 서로 구분해서 분류한다. 치성낭과 치성종양이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이전에 다른 분류로 묶인 둘 혹은 그 이상의 낭/종양의 조직병리학적 특징이 한 병소에서 관찰되는 경우, 이를 혼성(hybrid) 병소라고 부른다. 본 증례도 혼성 병소이다. 61세 남성의 우측 하악각에서 다방성의 방사선투과상이 관찰되어, 절제 후 생검한 결과 법랑모세포종(ameloblastoma)으로 진단하였다. 이 법랑모세포종은 치성각화낭(odontogenic keratocyst)과 함께 발견되었으며, 치성각화낭의 이장상피(lining epithleium)에서 신생물전환(neoplastic transformation)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치성낭과 치성종양의 혼성 병소의 증례를 보고한 논문들을 검토한 결과, 함치성낭(dentigerous cyst)과 선양치성종양(adenomatoid odontogenic tumor)이 혼성병소를 가장 많이 형성했다. 혼성 병소는 오진을 내리기 쉬우며 치료결과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 상하악에서 발생한 치성낭이나 치성종양의 진단 및 치료에 임할 때, 이 둘의 긴밀한 연관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 개발권 보상을 위한 용적이양제 적용방안 : 서울 성북구를 중심으로

        권오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용도지역지구제 등 공법상 제한은 국민의 재산권에 대한 내용과 한계를 정하고 있다. 특히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국립공원, 문화재보호구역, 농업진흥구역 등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 내에서 개발행위나 토지이용을 엄격하게 제한하여 재산권의 행사에 제한이 수반된다. 재산권 행사에 있어 이러한 제한에 대하여 보상수단으로서 개발권양도제가 검토되어 왔다. 개발권을 분리?매각하는 종래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공법상 제한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에 개발 가능한 미실현 용적의 크기와 가치를 산정하여 유통?이전하는 방식으로 용적이양제를 제시한다. 이로 인하여 송출지역이 선정되면, 해당지역에서 미실현된 개발 가능 용적과 지가감소분에 의한 가치 산정으로 소유자 등에 대한 보상이 실현된다. 또한 보상으로 매입된 미실현 용적은 수용지역에 개발가능 용적을 매각하는 방법으로 이전된다. 수용지역에서 기준용적률에 추가되어 개발되는 용적은 개발이익의 사회적 분배나 환수의 관점에서 특혜가 되지 않도록 추가개발에 따른 개발이익과 개발권 매수에 따른 비용지출이 같아지는 수준에서 결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반적인 운영은 송출지역과 수용지역 마다 여건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도 운영을 담당하는 주체는 시?군?구 등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될 것이다. 관리운영주체는 송출지역을 선정하고 미실현 용적에 대한 보상신청을 받아서 해당 용적과 가치감소분에 대한 보상으로 개발제한구역 등의 지정으로 실현된 공익과 토지소유자 등의 사익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용지역을 선정하고 추가개발 용적을 허가함으로써 송출지역에 대한 보상재원 마련과 아울러 수용지역에서 요구되는 추가개발 수요에 부응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송출지역과 수용지역간 개발이익을 공유하고 균형 있는 개발이 유도될 수 있다.

      • 公務員의 職務 滿足度에 關한 硏究 : 榮州市·安東市·奉化郡·醴泉郡 農業 技術 센터를 中心으로

        권오인 安東大學校 行政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Our country's agricultural conditions and situations are getting worse. Agricultural district's hardship is more and more getting worse due to WTO new round and Free Trade Agreement, and feeling uneasiness all over rural community with these increasing like an agricultural imported products pouring into our country, and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problems appearing seriously, the problem of distribution order, the problem of administration system, and so on with those problems make progressing slower our country's agricult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improvement is very important agenda because agriculture is consist of the basis other industry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o I think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dex system agricultural public service who work for and play a role of changing agricultural technology and farmer's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front spot of agriculture is the shortest way to progress agricultural guidance program effectively, and further it is very important for agricultural advance and development. In this view of my research, I survey the job satisfaction index who in charge of agricultural district guidance program and their main purpose is to improve welfare uplift and increasing income of the resident rural community. And I intend to propose the improving plan about the primary factor dissatisfaction index, and I research and survey the factor job satisfaction index which divide into two part motive factor and sanitary factor by questionnaire based on F. Herzberg's 2 factor theory which population 143 guidance public service who work for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is located in Yeongju city, Andong city, Bonghwagun, Yecheongun of northern area Kyungbuk province, and due to results of this analysis and then so produced these result - as follows, The job satisfaction index who work for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s, especially satisfaction index about motive factor, high comparatively exception of feeling social approval, promotion, the ability of development, on the contrary, the satisfaction of sanitary factor is comparatively low, and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guidance public service, first of all, it should focus on in the side of taking the measure thoughtful policy consideration about the sanitary factor. Then so I proposed an improving plans of job satisfaction agricultural guidance public service work for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are - as follows. And first, increasing the promotion opportunity 2 ranking system which divided into Jidosa(guidance low-ranking public service) and Jidogwan(guidance senior public service) convert into multi-ranking system, and must strengthen elevate balance and objectivity with enforcing and mending promotion system with adopting promotion system centering on working evaluation and promotion exams at the same time. And taking the measure careful national policy consideration should focus on in order to work with pride and accomplishment as a guidance public service, and elevating social approval about guidance public service and agricultural district guidance program. And should keeping up the stability, durability of guidance program through legalizing policy object and driving method in the side of national policy which drifting the course and method in lots every local government, and have to reinforce guidance function to mend law and system which is able to carry out agricultural guidance program independently with limiting general administration task assistance from high ranking authority. Also it needs intensifying and readjusting not to have disadvantage comparing with other general clerical worker at least with changing from 2 ranking single pay system to multi-stage pay system. With this economic assistance to pay guidance allowance and the modernization guidance equipment to advance guidance program effectively, and must concentrating on working conditions. Through followings, such as - consultation about troubles, Tea-time, dialogue effort and sports event, unity event, hobby and association of like-minded persons, should maintain friendly human relations senior official, colleague, in the office. Finally,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index of guidance public service work for Agricultural Guidance Center, to elevate social approval and accomplishment about guidance public service and a rural community guidance program and reinforce internal competitiveness with intensifying legal promotion and pay system and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 and should have an opportunity readjustment of the course and method about rural community guidance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radical change of agricultural situations, and also when guidance public service do carry out a professional rural community program with an incessant creative effort, and a right value and certain public service consciousness and loyalty in the final, and so the job satisfaction index will be higher, agriculture and a rural community is able to improve and develop all the more, better and better.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음주문제와 자녀 정신병리의 관계

        권오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모의 음주문제로 인해 자녀는 행동장애, 과잉행동, 우울, 불안, 알코올문제, 학업성취 저하 등을 겪게 된다. 부모의 음주문제 외에 청소년의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에는 부모의 일관된 훈육, 다정한 보살핌 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음주문제 및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정신병리와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원주시 소재 중, 고등학교 학생 1,141명이 연구대상이었는데 알코올중독자 자녀 선별검사(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 CAST)로 부모의 음주문제를 조사한 결과, 부모에게 음주문제가 있는 집단이 398명, 없는 집단이 743명이었다. 청소년 자녀의 정신병리는 자기보고식 강점 난점 설문지(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elf Report : SDQ-SR)로, 부모-자녀관계는 부모-자녀 친밀도와 자녀 행태파악도 검사로 측정하여 두 집단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주문제가 있는 부모의 자녀에서는 과잉행동, 정서문제, 품행문제, 또래문제를 보였고, 특히 남학생은 품행문제, 여학생은 정서문제가 두드러졌다. 또한 부모에게 음주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부모-자녀 친밀정도가 낮았는데 이것으로 청소년 자녀의 정신병리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에게 음주문제가 있는 가족에게는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는 치료적 개입이 청소년 자녀의 정신병리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ldren of alcoholics are noted to have behavioral, emotional, and substance abuse problems, and decrease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parental drinking problems, other factors such as inconsistent parental discipline and inadequate care are related to adolescents' psychopatholog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rinking problems perceived by adolescent and their psychopathologies. Eleven thousand and forty one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in Wonju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ree hundred and ninety eight students were found to have parents with drinking problems having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CAST) score over 6. They were compared with the remaining 743 students as a control. On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elf Report (SDQ-SR), adolescents of parents with drinking problem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dicating the hyperactivity, emotional symptoms, conduct problems, and peer problems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duct problems were more prevalent in boys, as were emotional problems in girls. And I found that adolescents of parents with drinking problems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s of positive attitude toward parents, which predicted the severity of adolescents' psychopathologies. Therefore, therapeutic intervention improv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ill decrease the manifestation of adolescents' psychopathologies.

      • Global Container Carrier의 물류산업진출에 관한 연구

        권오인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인 Covid-19 팬데믹 사태와 물류대란이 야기되면서 운송서비스시장의 물류산업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1998년 미국에서 세계 정기선항로 질서유지 역할자였던 해운동맹의 붕괴 이후(EU는 2008년) 대형 컨테이너 선사들은 늘어난 고객의 운송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 확대와 전략적 제휴체재(Mega Alliance)로 재편되어 왔다. 해운동맹이 해체되어 가는 과정은 컨테이너 정기선사에게는 위기 상황이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글로벌 컨테이너 정기선 시장은 1990년 중반부터 2016년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돌입 때까지 긴 생존 투쟁 기간을 보내야 했다. EU 컨테이너 선사들은 생존을 위하여 운영 시너지 확대를 위한 인수합병, 단위 슬롯 코스트를 낮추기 위한 선박대형화, 서비스 확대 및 서비스 빈도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제휴 등을 추진하여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면서 세계정기선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다. 중공의 COSCO는 자국화물운송 강점을 살린 자국화 자국선 우선 정책 추진, 그리고 일본 3사는 컨테이너 부문 합병을 통한 경쟁력 유지 전략으로 생존해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 해운선사의 경우 최대선사이며 원양 정기선사인 한진해운의 파산, HMM도 경영난을 겪고 있던 상황(팬데믹 이후 극적으로 상황반전)이다. 본 연구는 국내 해운선사의 생존전략 모색 관점에서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의 사업다각화 및 기업전략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물류산업 진출이 갖는 의의와 시장 당사자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주제의 기존 선행연구를 발굴하는 문헌조사방법과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 2개 기업을 선정하여 해운선사의 고유 사업영역인 해운서비스분야와 물류사업을 통합하는 경영활동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한다. 연구결과 글로벌 정상급 선사들은 국제무역 트랜드 변화에 따라 글로벌 물류에 비중을 둔 체제구축을 수행해 온 것으로 나타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점에서 기존 해운선사는 오프라인에서 해운 및 물류서비스를 유지한 반면 머스크 라인은 해운과 물류를 통합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최초 컨테이너 선사가 되었다. 머스크 라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망라하는 해운, 물류, 금융 그리고 디지털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온라인 단일 물류시장 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환경에서 국내 해운선사들이 글로벌 종합물류서비스의 일부분만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은 경영정상화와 생존전략 구축방안(Covid-19 이전 상황)에 시사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키워드: 컨테이너 정기선사, 물류산업, 생존전략 The logistics industry is accelerating in the transportation service market as global pandemic and logistics disruptions have occurred. After the collapse of the Liner Conference which played a role in maintaining order in the world container liner routes in the United States in 1998 (EU in 2008), large shipping companies expanded their global service networks and reorganized into a strategic alliance (Mega-Alliance) to meet the increased transportation demand of customers. The process of dissolution of the Liner Conference was a crisis for container liners, and to overcome this, the global container liner market had to spend a long period of struggle for survival from the mid-1990s until Hanjin Shipping entered court management in 2016. In order to survive, EU container liners secured more than 50% market share in the global container liner market by pursuing mergers and acquisitions to increase operational synergy, enlargement of ship size to lower unit slot cost, and strategic alliance to expand services and secure service frequency. They secured price competitiveness. PRC's COSCO has been surviving with a strategy to maintain competitiveness by promoting a policy of priority for PRC cargo by PRC carriers. And the three Japanese companies have survived by maintaining the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service alliance formation. 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Hanjin Shipping, the largest shipping company went bankruptcy and HMM is also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the situation reversed dramatical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global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business diversification and entry into the logistics industry as a corporate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seeking survival strategies for Korean shipping companies and implications for stakeholder. To this end, a case study on the literature search method to discover existing prior research on a subject similar to this study and the management process of integrating the traditional shipping service sector and logistics business, by selecting two global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s that global top-tier shipping companies have been implementing systems that focus on global logistics in response to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trends. From an on-line and off-line perspective, while existing shipping companies maintained shipping and logistics services off-line, Maersk Line became the first container carrier to provide both on-line and off-line services that integrated shipping and logistics. Maersk Line appears to be transitioning to a single global on-line logistics market system that provides shipping, logistics, finance and digital solution services covering both on-line and off-line. The fact that Korean container carriers are only performing a part of global comprehensive logistics services in such an environment is interpreted as having great implications for business normalization and seeking ways(before Covid-19) to establish survival strategies. Key words: Container liner, Logistics industry, Survival strategy

      • 책임운영기관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권오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39

        책임운영기관이란 정부가 수행하는 사무 중 공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쟁원리에 따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 사무에 대하여, 기관의 행정 및 재정상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그 운영성과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는 행정기관형태를 말한다. 책임운영제도는 정부개혁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조직개혁으로서, 첫째, 공공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국민에게 전달되어야 할 핵심서비스업무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둘째, 행정 내부의 획일성을 깨뜨려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 셋째, 행정서비스의 목표와 성과를 대외에 공표하여 보다 향상된 방향으로 조직운영 형태를 변화시키려는 취지에서 도입·운영되고 있다. 책임운영기관은 효율성(efficiency), 생산성(productivity), 효과성(effectiveness) 등을 높인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운영측면에서는 민간기업에 가까우나, 정부조직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기업보다는 행정기관에 더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책임운영기관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3년의 기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볼 때, 책임운영기관의 운영에서 다소 효율성이 증가하였지만, 운영제도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3년 동안의 책임운영기관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책임운영기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책임운영기관의 운영제도측면 뿐만 아니라 현행 책임운영기관의 평가제도적인 측면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정부투자기관의 관리에서 자율성 부여와 경영의 평가(책임성)가 동시에 이루어진 것처럼, 자율성과 책임성은 동전의 앞뒤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운영제도의 개선과 평가제도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책임운영기관제도의 발전이 가능하지, 어느 하나만의 개선으로는 책임운영기관제도의 발전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책임운영기관의 운영측면에서는 자율성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한국의 책임운영제도는 영·미 국가의 경우와 달리 모든 예산을 국고에 의존하는 관계로 예산운용제도는 일반회계제도에 따르고 결산은 기업회계방식을 요구하는 등 책임운영기관 예산제도의 본질과는 달리 이중계리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인사, 조직운영에서도 일반행정기관과 마찬가지로 중앙행정기관에 예속된 행정체제 내에서 운영되고 있어 운영의 자율성이 보장되어 있지 못하다. 책임운영기관의 평가제도에서는 이 제도가 도입될 당시 충분한 연구와 공론의 과정이 없었던 관계로 평가방법과 평가절차 역시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지적이 있어 왔는데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평가지표에서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가항목과 기관임무의 불일치, 평가목적의 불명확, 사업내용과 지표구성 내용의 연계성 미흡, 비계량지표로 인한 주관적인 평가 우려 등의 문제가 현행 책임운영기관의 평가제도에서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직, 인사관련 규정의 개정보완을 통하여 책임운영기관의 장에게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둘째, 예산회계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재원은 국가에서 지원하되 독립기금으로 관리하고 계리방식은 기업회계방식으로 계리한다. 셋째, 책임운영기관의설치·운영에관한법률 및 동 시행령을 보완 개정하여 조직·인사 및 재정운영의 자율성에 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넷째, 기관운영에 있어서는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되 기관장의 정치성과 기관운영의 전횡을 견제할 수 있는 기관 내 독립된 감사제도를 도입한다. 다섯째, 성과평가에 있어서는 평가의 목적, 방법, 절차 등을 책임운영기관법률에 명시하고, 평가척도는 계량화하되 효율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지표체계를 재구성한다. 결국 이상과 같은 발전방안은 기관운영의 자율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여 주고 그에 따른 책임도 부담하게 하여 지금까지의 "낮은 단계의 책임운영기관"을 효율화된 "높은 단계의 책임운영기관"으로 발전시켜, 책임운영기관이 지향할 가치인 공공성 즉, "고객중심의 행정"과 책임성(responsibility)에 근거한 "결과중심의 관리 방식"이 정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An Executive Agency is a government entity which focuses primarily on the delivery of services with a results-oriented approach.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authority are delegated to the Chief Executive Officer who is held accountable for achieving stated performance results economically and effectively. The Executive Agency concept was introduced in Great Britain in the 1980s under the Thatcher regime. Similar models have been established in New Zealand and Canada. Across the nations, the Executive Agency has been selected for the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which results in the consideration of civil service users, delivery of key services to the nations, efficient operation to provide qualified public services, and enforcement of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The Executive Agency has its merit in promoting effectivenes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s a government organization, the operation style is similar to that of a private sector business, but its character is closer to that of administrative one rather than a public corporate one. The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to Korea three years ago. Given the management result, overall efficiency has improved slightly, but many public officials have pointed out that there still exists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regards, this paper attempts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management and accountability of the Executive Agency in Korea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origin of the Executive agency from the United Kingdoms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finds government officials in two countries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 form of private sector corporate governance in administration. Since the administrative function at that time focused on the simple characters of implementation, they thought that the operation of the government had to import its management style from private sector business to achieve the efficiency. In the second par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s well as the management of the Executive Agency in Korea. This study places greater emphasis o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that are the basic rules in operating and reviewing the system. Though flexibility is the key element of management, the Executive Agencies in Korea are relied on their parent departments in their operations because their budgets are entirely tied to the departments. In this regards, the flexible management in Korea is not secured in reality, which is not akin to that in the USA or the UK. For evaluating agency's performance, Korea adopted an outdated standard of measurement. In addition it brought about obscurity of the valuing objects and provisions, lack of consistency with agency's projects and lack of the standard of measurement. That is to say, the result of the review was not equitable or objective. In the third part this study makes several proposals to improve the system; 1) securing freedom of a chief executive agency by reforming rules about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2) managing the budget separately from the governmental department while the resources are offered by government and keep accounts as private sectors to guarantee flexible operation of accounts, 3) revising rule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related to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the agency and prescribe clear details concerning flexibility, 4) establishing a supervisory board in the agency to offset the political influence of a chief executive while securing flexibility in operational matters, 5) and prescribing the object and process of review on related laws and standardize the measurement to enable efficient evaluation. By making Executive Agencies responsible for their performances while guaranteeing them greater freedom on its operational matters, it is possible for us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low-level agency' into a 'high-level agency'. Further, it is also possible for us to have a 'customer responsive administration' based on public interests and a 'result oriented management' based on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