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욕망의 형상화

        구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symbolic meaning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animals in Minhwa (Korean folk painting), and based on this, reinterprets the love and desire for life told by animal figures to shape human contemporary desires. The long-term ideology, values, and attachment to life in the symbolism of animals dealt with in Minhwa with strong overtones of folk beliefs are not only of the past, but also of contemporary humans. so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m by summoning their stories to my paintings. ‘Minhwa’, which were widely spread to the public based on the style of royal decorative paintings, are candidly captured by reflecting the attitudes of life of the time in free handwriting without being bound by form. Minhwa drawn by painters in the court and Minhwa of unknown painters enjoyed by ordinary people have different technological aspects, but they have the same attachment and love for the life that animals in the painting want to convey. This was expressed along with various visual characteristics as the energy of the desire. First, in terms of color, there is a clear contrast of color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oriental painting method. Through the use of five colors, which are traditional colors, they gave lucky meanings to colors to further strengthen symbolism, decorate living spaces, and satisfy the purpose of honoring blessings. These color features led to more intense and excessive colors in the reinterpretation process, and modern commercial pigment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such as fluorescent pigments and glitter, were used in my work. Through this, I expressed my own humorous point of view on desire in pleasant colors, and tried to convert the story of desire shown by animals in past Minhwa into our own story that is not too heavy. In the latter part of the work, excessive colors were followed, leading to the emergence of kitsch expressions such as rainbows, firecrackers, and rhombus light shapes. This is also in the same context, and not only the color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Minhwa such as complexity and repetition are incorporated into one's wo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atio of composition and screen during the reinterpretation process, the styles of ‘Chuk(Vertical Long Screen Ratio)’ and ‘Gwon(Horizontal Long Screen Ratio)’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were borrowed. The flow of time and space flowing vertically of ‘Chuk’ and the flow of time and space flowing horizontally of ‘Gwon’ are intersected, and the flow of gaze looking at the work is intended to be concentrated and dispersed. And through a horizontally long screen, the segmentation, continuity, and coexisting fantasy space were created. On the other hand, I wanted to solve 'desire' step by step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negative, and balance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work. Desire acts as a driving force that makes human life more active and hopeful, but when it is excessive, life is dominated by desire. In the flow of desire fueled, consumed, and flooded by media exposure in the modern materialistic society,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balance of desire rather than interpreting it negatively. This is because desire simply exists and changes its appearance depending on how it is handled. As my work progressed, the foundation of animals in the work was developed by converting from Minhwa to historical texts and imaginary animals in tales.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the symbolic meaning of animals that could not intuitively read the symbolism contained more complex desires than animals that could intuitively read the symbolism. In this way, it was intended to lead the work through borrowing and reinterpretation in the formative language such as color, screen production and composition, and the conversion of the featured animals.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how to visually shape and interpret the energy of desire implied by Minhwa(Korean folk painting). Chapter I of the paper talks abou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culture, and animals historically formed based on desire, and mentions the ‘Minhwa' of the Joseon Dynasty, which shows thi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fter that, in Chapter II,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Minhwa were explored, and the symbolic meaning of animals in Minhwa was summarized. Chapter III tried to contain one's understanding of desire by dealing with the step-by-step process of chang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desire in one's work. And the color and compositional reinterpretation that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is work is explained in Chapter IV. Through my work, which has developed in a way of borrowing and reinforcing past paintings, I would like to convey the power of vivid desire that makes us rise again from deficiency, depression, and frustration that we are forced to feel because we are humans. 본 연구는 전통 민화 속 동물들의 상징 의미와 시각적 특성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물들이 담고 있는 삶에 대한 애정과 욕망의 모습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동시대적 욕망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과정이다. 민속신앙의 색채가 강한 민화에서 다뤄진 동물들의 상징성에 묻어있는 오랜 시대적 이념과 가치, 그리고 삶에 대한 애착은 과거의 것만이 아닌 동시대적 인간의 속성으로 그들을 다시 회화에 소환하여 다룸으로써 나와 우리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궁중 장식화의 양식을 기반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전파된 민화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필체로 당대의 삶의 태도를 반영하여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궁중에서 화원들에 의해 그려졌던 민화와 서민들이 즐긴 무명화가들의 민화는 기술적 측면에서 그 미감은 달리하지만 회화 속 동물들이 전하고자 하는 삶에 대한 애착과 사랑은 같다. 이는 ‘욕망’에 대한 염원의 에너지로써 여러 시각적 특징과 함께 발현되었다. 먼저 색감적 측면에서 이전 동양화 화단의 것과 구분되는 진채의 대비가 있다. 오방색의 사용을 통해 색감에도 길상적 의미를 부여하여 상징성을 더 강화하고 생활공간을 장식하고 복을 기리는 목적성을 충족시켰다. 이러한 색감의 특징점은 재해석 과정에서 더욱 강렬하고 과잉된 색감으로 이어져 형광안료와 반짝이와 같은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현대의 상업적 안료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욕망에 대한 본인의 해학적인 관점을 유쾌한 색감으로 표출하였으며 과거 민화 속 동물들이 보여주는 욕망의 이야기를 너무 무겁지만은 않은, 우리들의 이야기로 전환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후반 작업에서 과잉된 색감과 이어져 키치적(kitsch) 표현인 무지개, 폭죽, 마름모 빛 형상 등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 또한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색감적 특성 뿐 아니라 복합성, 반복성이라는 민화의 특성도 본인의 작업에 녹아있다. 그리고 재해석 과정에서 구도와 화면의 비율적인 측면의 경우 전통 동양회화의 ‘축(軸)’과 ‘권(卷)’의 양식을 차용하였는데 축(軸)의 종단(縱斷)의 시선의 흐름과 권(卷)의 횡단(橫斷)의 시선의 흐름이 교차되며 집중되고 분산되는 효과를 의도하였다. 그리고 가로로 길고 거대한 화면을 통해 시공간의 분절과 연속, 그리고 공존하는 환상공간을 연출하였다. 한편, 본인의 작품 속 소재와 내용 면에서 ‘욕망’을 긍정, 부정, 균형의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욕망이라는 것은 인간의 삶을 더욱 능동적이고 희망차게 만드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지만 그것이 과잉되면 양날의 칼과 같이 삶을 지배당하게 된다. 현대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미디어의 노출로 인해 부추겨지고 소비되며 범람하는 욕망의 흐름에서 단지 욕망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욕망의 균형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욕망은 그저 존재할 어떻게 다루는지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작품 속 소재의 원료 또한 민화에서 역사적 텍스트, 설화 속 상상의 동물로 전환되며 전개되었다. 직관적으로 상징성을 읽어낼 수 있는 동물에서 그렇지 않은 동물로의 소재 변화는 더 복합적인 욕망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색감, 화면 연출과 구성 등 조형 언어에서의 차용과 재해석, 그리고 소재의 변환을 통해 작업을 이끌어나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민화가 내포하는 욕망의 에너지를 재해석하여 회화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고 해석할 것인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논문의 Ⅰ장에서는 역사적으로 욕망을 기반으로 형성된 예술과 문화, 그리고 동물간의 긴밀한 관계성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조선시대의 ‘민화’에 대해 언급한다. 이후 Ⅱ장에서 민화의 시각적 특성에 대해 탐구하고 민화 속 동물들의 상징의미에 대해 정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본인의 작업에서 욕망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단계적 변화 과정을 다루면서 욕망에 대한 본인의 이해에 대해 담고자 하였다. 그리고 작업의 방향성에 맞추어 변화한 색감적, 구도적 재해석을 Ⅳ장에서 풀어낸다. 이처럼 과거의 것에서 차용하고 더 강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게 된 작업을 통해 인간이기에 느낄 수밖에 없는 결핍, 우울, 좌절에서 다시 일어서게 만드는 생생한 욕망의 힘을 다시 전하고자 한다.

      • 박용래의 시적 표상 공간과 장소 정체성

        구민지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d the placeness of actual experience and poetic experience by applying the method of place analysis as 'represent space' newly created by the poetic imagination of Park Yong-Rae and sought to reveal the consciousness of the space. Park Yong-Rae's 'represent space' is the personal record rooted in the body by being sensually experienced on a physical basis, which works as a 'mental prototype' and faces the fundamental scene. 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space in which the poet's subjective emotions and imaginations are projected revolves into a unique poetic representation space and forms a place identity. The experience of the poetry of Park Yong-Rae is a clear characteristic. The places of poetic material were expressed in his text such as Baekje Historical Site, Buyeo, Gongju, Seohae, Odaesan, Hallasan, Honamsun, Baekgang, Nonsan, Gunsanhang, Chawunsan, Busosan, Gyeryongsan, Gyeongju, etc. However, the overal images represented in 『SSaraknun』,『Gangajipul』,『Bakbal-eui KKotdae, Goong』,『Mun Bada』 converged into the image of hometown aiming for comfort and serenity, which the actual place experience and the object of consciousness which the poet intended were shown different. The relationship of ‘represent space’ and ‘placeness’ in Park Yong-Rae's poetry can be explained by the representation space of Henry Leppev's, which is newly processed by poet's imagination. According to Basslur, this 'represent space' is transformed by the imagination of the poet and newly created. It has more meaning than the actual place, and ultimately it is the ‘place of memory’ that enables sympathizing sense of prototype. That is, the image processed by the imagination implies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that the poet has about the object, and the image is refracted and deformed to create a new meaning. The poetic imagination is not a representation of a mere external simulation or memory, but a mental activity that is newly transformed and created. Therefore, Park Yong-Rae's 'space' is not an abstract but an inner world created aesthetically by reflecting the poet's subjective mind. First, it is the analysis of the local space. The color imagination of the poet showed projecting subjective mind harmonizing the lyric world to the color through the sense, and revealed the consciousness of the sensory experience. In addition, there was a community life of family and village people depicted with Pungmul, Chambit, Eullebit, Dorikke, Gomusin, Kkotsin, Namaksin, Sangduggun Yoryung, Hamjibak, Hwaetdae, Jing etc.'Pungryu food' was internalized by the experience of the place, and Park Yong-Rae gave it placeness to determine the temperament and the condition of certain local people. Second, the declining space was analyzed that was devastated by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ark Yong-Rae described the phenomenon of vegetation dying, as well as feral grasses (「Gangajipul」).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aspect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as represented, in which the fish that were eyelashes of life (「Hwangsan catfish」) and the river which was the stem of life became polluted.. Especially, the 'alienated space' was identified as a poet who voluntarily opted for alienation without adapting to the urban environment and social system. Then, the image that appeared in Baekje 's space appeared as a space to recognize the origin of self-existence and to reflect self-identity. Third, the inner space representation of the poet 's self-consciousness is a representation of the inner space of self loss and the recovery of self-loss with one body and two faces. In addition, Park Yong-Rae suffered psychological trauma caused by the impact of Hongrae sister's death, and pursued the place by sublimating loneliness into solitude space to overcome it. The vital plants and flowers embodied as sisters are beautiful and pure images, faithfully preserving the memories of happy dreams and appearing as a beautiful garden and haven to lead to tranquility. Also, Park Yong-Rae’s‘represent space’faces hometown loss and Hongrae sister’s death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His past place experience is recorded in his body, so wherever he goes, it calls his hometown which is a fundamental scene. Therefore, Park Yong-Rae's 'represent space' was an inevitable act to escape the life of an unstable reality, and it was an inner place as a place of new life. Key words : place experience, represent space, inner place, placeness, self-loss, Pyungru food, Pungmul

      •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구민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measuring text difficulty to select eligible reading texts for each student’s Korean level. Basically, text difficulty can be the most concerned factor in a procedure of selecting texts, but there is a few studies related to readabilit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tudy of the objective tools for matching readers to texts, and this study tries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 evaluate the texts for Korean reading education. Emphasizing the features of text itself which is contrary to traditional readability formula theories, this study regards only surface features as the factor for predicting text difficulty. After taking word difficulty and sentence length as the common surface features that affect readability follo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two more features selected; grammatical unit and ‘adorning expression’. This ‘adorning expression’ is a newly proposed notion in this study, which contains idiomatic expression including proverb, the collocation whose meaning has something more than literal meaning, the rhetorical expression such as figures of speech, personification and irony, the indirect expression and the cultural expression that strongly implies cultural background. Regarding word and grammar difficulty, the formula is established with the criteria of the inventory in Kim, J. S., et. al. (2011) and the sentence length is calculated by the average number of words in text. For the adorning expression, the formula is established with the number of adorning expressions per the number of sentence in text. With these formulas, the standard texts were analyzed and each formula’s validity was proved. The texts developed by the expert groups, which are widely admitted, and whose level had been already established were selected as standard; 135 samples from the reading tests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72 samples from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Culture Education Center of Korea University. Applying this measurement of text difficulty, 21 texts from the KAP books and 16 texts from the real world materials we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its utilizability in Korean reading education was investigated. It has to be basically performed to measure linguistic feature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d quantitatively for continuing and developing studies about readability or text difficul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could be a significant and full-scale study of text difficulty in Korean reading education.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읽기 텍스트의 선정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읽기 교육에 필요한 교육 요건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난이도는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텍스트의 난이도를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객관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기존 이독성 연구를 참조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용 텍스트의 난이도를 판단할 수 있는 측정법을 구안하고자 했다. 일반적인 이독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와 구분지어 텍스트 자체 요인을 규명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자체 요인 중 텍스트의 표면에 드러나는 언어적 요인만을 텍스트 난이도 측정 요인으로 삼고자 함을 밝혔다.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이독성 공식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요인인 어휘와 문장 길이를 이독성 요인으로 우선 선정한 후 모국어 읽기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에서 차별되는 요인으로서 문법 항목과 ‘꾸밈표현’이라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새로이 제시하는 꾸밈표현은 속담 및 사자성어를 포함한 관용 표현, 연어 중에서 구성의 합의 의미가 불투명한 표현, 비유법, 의인법, 반어법 등의 각종 수사적 표현, 직접적이지 않고 에둘러 표현하는 간접 표현, 문화적 함축을 강하게 담고 있는 표현 등을 포함하는 특별한 개념이다. 어휘와 문법에 대해서는 김중섭(2011)의 목록을 기준으로 한 공식을 설정했고 문장 길이는 텍스트의 평균 어절수를 계산하는 공식을 설정했으며 꾸밈표현은 텍스트의 전체 문장 수 대비 꾸밈표현 개수에 가중치를 두는 공식을 설정했다. 이 공식으로 이미 등급이 설정되어 있고 널리 인정받는 기관의 전문가 집단이 개발한 텍스트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영역 지문 135개와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통합교재의 텍스트 72개의 난이도를 측정한 후 분석결과와 기존 등급의 일치도를 확인함으로써 공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설정한 요인별 난이도 측정법을 적용하여 학문목적 교재 7종의 텍스트 21편과 실제 자료로서의 텍스트 16편의 난이도를 측정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난이도 측정이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텍스트의 난이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이해를 어렵게 하는 언어적 요소를 양적으로 계량하는 작업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서의 본격적인 양적 난이도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보적인 단계이기는 하지만 꾸밈표현이라는 항목을 통해 텍스트의 질적 평가를 시도함으로써 양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것이 본 연구가 다른 연구들과 구별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신중년의 경제상태가 주관적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구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New middle-aged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With the unprecedented rapid ag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The health gap widens as old age approaches, and unequal aging is the result of the long-term accumula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auses throughout life. Therefore, to resolve the health inequality of the elderly, a preemptive approach to the population group who will become the elderly in the future is needed. The new middle-aged is a group defined through the government's plan to build a foundation for three life crops in 2017 and refers to the period just before entering old age between the ages of 50 and 69. In the life cycle, the New middle-aged experiences retirement and reemployment in the main job, and consider health and economic ability the most important for a happy retirement.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it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conomic state of the New middle-aged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rough subgroup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were subdivid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aging research panel data (KLoSA) were us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qualized household income, household debt ratio, and economic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household equalized income and economic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 individuals evaluated their health status. However, when the household debt ratio was higher than 100% and less than 200%, th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evaluated negatively than when the household debt ratio was less than 100%. Depression decreases as household equalized income and economic satisfaction increase, but depression increases when the household debt ratio is more than 400%. It was confirmed that excessive household debt is likely to worsen mental health rather than individual self-rated health.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with an individual's economic condition had a major impact on health. As a result of the subgroup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differed by age group and gender. In common, economic satisfaction was a factor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Excluding this, in the case of those in their 50s, equalized household income, total household assets, and household debt ratio (more than 100% and less than 200%) affected self-rated health, and in their 60s, equalized household incom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addition,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ere economic satisfaction in their 50s, equalized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debt ratio (more than 100% and less than 200%) in their 60s, and economic satisfaction. As a result of gender subgroup analysis, economic satisfaction was a common factor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In addition, women's household debt ratio (more than 100% and less than 200%) and men's equalized household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ated health. In addition, the household debt ratio affected depression for both men and women, and equalized household income was an additional significant variable for 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conomic status excluding public transfer income and total household asse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of the New middle-aged,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the overall economic status was considered. Since economic status differs in factors that affect health by age and gend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ge and gender characteristics by subdividing the subjects when establishing policies. 본 연구는 신중년의 경제상태가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례 없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의 건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강 격차는 노년기가 도달할수록 심화되는데, 불평등한 고령화(Ageing Unequally)는 생애 전 과정에 걸친 사회 환경적 원인이 장기간 누적되어 발현된 결과이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미래에 노인이 될 인구집단에 대한 선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신중년은 2017년 정부의 인생 3모작 기반 구축 계획을 통해 정의된 집단으로 만 50세에서 69세 사이의 노년기에 진입하기 직전의 시기를 의미한다. 신중년은 생애주기적 특성상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 및 재취업을 경험하며 부모와 자녀에 대한 이중부양 부담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신중년의 경제상태가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위군 분석을 통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자료(KLoSA)의 7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는 가구균등화소득, 가구부채비, 경제적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균등화소득과 경제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이 스스로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가구부채비가 100%이상 200%미만으로 높은 경우 가구부채비가 100%미만인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우울은 가구균등화소득과 경제적만족도가 높을수록 낮아지지만 가구부채비가 400%이상인 경우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도한 가구부채비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 보다 정신건강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개인의 경제 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건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위군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에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대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공통적으로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적 만족도였다. 이를 제외하고 50대의 경우 가구균등화소득과 가구총자산, 가구부채비(100%이상 200%미만)가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쳤으며, 60대는 가구균등화소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50대는 경제적 만족도, 60대는 가구균등화소득과 가계부채비(100%이상 200%미만), 경제적만족도로 나타났다. 성별 하위군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적 만족도였다. 그 외 여성은 가구부채비(100%이상 200%미만), 남성은 가구균등화소득이 주관적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우울에는 남녀 모두 가구부채비가 영향을 미쳤으며 남성은 가구균등화소득이 추가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적이전소득과 가구총자산을 제외한 경제 상태가 신중년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경제 상태에 대한 개인의 인식인 경제적 만족도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 상태는 연령별, 성별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있으므로, 정책 수립 시 대상자를 세분화하여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책의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신중년의 건강에 대해 경제상태 전반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불평등한 고령화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 수립 기반을 제공하였다.

      • 유전체 데이터 정밀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

        구민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NGS 데이터의 대량 생산은 여러 다양한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의 생성 및 분석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는 참조 유전체에 생성된 NGS 리드 데이터를 매핑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품질은 이후 분석 결과의 품질과 직결되어 있다. 현존하는 매핑 프로그램은 MAPQ라는 점수의 형태로 매핑 데이터의 품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전 연구에서 MAPQ와 실제 리드 생성 위치 간 정확도 간의 상관 관계가 낮음이 밝혀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머신 러닝 기법인 XGBoost를 사용하여 실제 매핑 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활용해 MAPQ 점수를 수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수정된 MAPQ 점수는 실제 리드 생성 위치 정확도와 0.89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한 유전체 리드 매핑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은 이후 분석 단계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전체 어셈블리는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매핑 이후 단계 분석 중 하나이다. 조립된 유전체 염기 서열을 이용해 여러가지 분석이 가능한데 종 간 진화적 관계를 파악하는 진화 분석도 그 중 하나이다. 진화 분석은 유전체 염기 서열 정렬을 통해 신터니라고 불리는 종 간 상동성을 가진 유전체 지역을 찾고 추가 분석을 진행한다. 그러나 추가 데이터 없이 신터니 지역 만으로는 종 간 보존 지역 내 보존 정도를 파악하고 특이 지역을 정의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신터니 지역 내 염기 간의 보존 정도를 계산하는 파이프라인을 개발하여 이를 해결하려 하였다. 파이프라인을 통해 신터니 내 대응 위치에 존재하는 염기 간의 엔트로피 및 갭 존재 비율을 제시한다. 인간, 생쥐, 침팬지의 신터니에 대해 엔트로피 및 갭 비율을 계산한 결과 다른 신터니에 비해 특이한 보존 정도를 가진 신터니를 찾을 수 있었으며 추가적으로 해당 신터니 내의 엔트로피 분포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신터니 내에서도 보존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보존 정도 파악은 추가 데이터 없이도 유전체 내 특이 지역 파악을 용이하게 하며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표 지역을 정의하고 추가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The massive production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data has enabled the generation and analysis of diverse genomic data. Mapping the reads to a genome assembly is an essential preprocessing procedure for genomic and multi-omics data analysis. The quality of the mapping data is directly linked to the quality of the further analysis. MAPQ (Mapping Quality)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quality of read alignment that contains the quality of read and the alignment score of the mapping data. However, previous study has shown that MAPQ and position of read origin had a low correlation, which reflects current MAPQ cannot deliver the read origin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machine-learning model developed using XGBoost to predict the actual mapping position and adjust the MAPQ score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read mapping data. The model achieved 0.9638 for R^2, and 0.0083 for MSE. The newly adjusted MAPQ scores exhibited a high correlation approximately 0.89 with the read origin. Furthermore, genome assembly plays a crucial role in various analyses, including evolutionary analysis, which aims to determine evolutionary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arget species. In evolutionary analysis, whole genome alignment data is utilized to identify homologous regions called synteny.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synteny alone can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conservation within specific regions. To address this limitation, we developed a pipeline that calculates the conservation level between nucleotides within synteny. Entropy and gap proportion was chosen as measures to represent the conservation at corresponding positions within the synteny. Using the pipeline, entropy and gap proportion values for the synteny of human, mouse, and chimpanzee genomes were obtained. Notably, synteny 455 exhibited the lowest entropy with a value of 0.022 indicating a highly conserved region. Additionally, most nucleotides within the synteny showed a distribution with an entropy value of zero. These findings suggest the presence of the most conserved regions in the genome,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identifying target regions in evolution analysis.

      • 근린생활권 내 보행환경에 관한 연구 : 유모차 이용자의 보행활동을 중심으로

        구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와 경제가 세분화됨에 따라 도시공간을 이루는 인구 집단의 성격과 문화도 점점 다차원적으로 바뀌고 있으며 이에 따른 도시공간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공간은 그 자체로 ‘공공’의 의미를 가지며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겨지지만 도시 공간의 이용에 있어 불평등이 발생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논의는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도시공간의 논의에서 배제되어 왔던 집단의 입장에서 도시환경을 이용함에 있어 경험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문제점들의 유형을 정리해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 양육자로 선정하였으며 이 시기의 자녀를 둔 가정의 경우,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유모차 보행환경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시계획분야에서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환경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장애인과 노인들의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유모차를 동반한 보행자에 대한 논의는 오성훈 외(2015)의 연구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실외에서도 육아활동과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이 증가하고 있다. 외출 활동에 있어 ‘보행’은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직 한국에서는 유모차 보행환경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물리적 환경은 적절히 뒷받침해주지 못하고 있어 많은 양육자들이 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실제로 많은 영유아 양육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외출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아냈으며 평균 주 3회 이상, 그리고 근린생활권 내에서의 활동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외출은 ‘외출’의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외출을 통해 신체활동과 가사 스트레스를 해소 하였고 실내에서 지내는 고립감에서 벗어나 정서적으로 위안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모차를 이용했을 시 열악한 보행환경으로 인해 실외활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출을 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사이에서 또 다른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유모차 동반 외출 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는 평탄치 않은 보도의 질, 둔 턱, 불편한 대중교통 이용, 일반인들의 이해와 배려심 부족 등이며 유모차 보행의 불편함으로 인해 외출에 거부감을 느끼게 되고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며 나아가 유모차 동반 외출 시의 열악한 상황이 육아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키기도 하였다. 2009년 소비원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과거에는 유모차 자체의 품질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많았으나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활동이 증가하면서 실외에서의 낙상사고, 충돌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양육자 스스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지이자 실외 활동이 영유아와 양육자 모두에게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열악한 유모차 보행환경으로 인해 실외활동을 적극적으로 즐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유모차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한국 성인에서 혈중 납 농도와 사망률의 관련성

        구민지 한양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납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유독물질 중 하나이다. 그러나 저농도 수준의 납 노출에 의한 건강 영향에 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나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혈중 납 농도(특히 저농도)와 사망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납 노출로 인한 질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에 있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사망원인통계 연계자료(2008-2013)를 사용하였고 2016년 12월 31일까지 조사 참여 대상자를 추적 관찰하였다. 조사 당시 혈중 중금속 검사를 받은 대상자 중 사망 원인이 확인된 20세 이상 성인 11,274 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당시 연구 대상자의 혈중 납 농도 기하평균은 2.11 ㎍/dL였으며 추적 관찰 기간 동안 248 명이 사망하였고 이 중에서 82 명이 신생물(암)로 사망(31.9 %)하였다. 혈중 납 농도와 사망률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혈중 납 농도가 1 ㎍/dL씩 증가할 때 전체 사망 위험비는 1.01(95% CI 0.70-1.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암 사망 위험비는 1.69(95% CI 1.02-2.79)로 증가하였다. 65세를 기준으로 연령을 층화하여 분석한 결과, 65세 미만인 집단에서 암 사망 위험비가 1.91(95% CI 0.92-3.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혈중 납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 사망 위험비가 상승하는 경향(p for trend<0.05)을 보였다. 환경 유해인자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혈중 납 농도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저농도의 혈중 납 수준도 암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납은 비록 낮은 수준의 노출도 간과할 수 없는 위험요인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

        구민지 경성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A total 403 university students (220 male, 183 female) in the metropolitan area of Busan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Revised Short (TCI-R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QE-K) and Distress Tolerance. The data analyses includ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on effects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3.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arm avoidanc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epression. Distress tolera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harm avoidanc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epression. Second, the relationship of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was successively mediated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Third,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 subfactor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but another subfctor, relationship-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ulnerable temperament and psychosocial factors together have influence on depression. That is, the mot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may have an effect on the expression of depression and the distress tolerance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rapeutic intervention of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recommended. 위험회피 기질과 우울과의 정적 관련성은 선행 연구를 통해 수 차례 검증되었다. 그런데 유전적 특성인 위험회피 특성을 변화시켜 우울한 정서를 경감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지 않은 방법이다. 따라서 심리사회적 특성인 정서조절과 관련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이 우울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우울에 대한 잠재적 개입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지역 대학생 403명(남 220명, 여 183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TCI),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고통 감내력 척도(DTS),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였고,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고통 감내력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고통 감내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은 위험회피 기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에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질적 취약성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서표현의 갈등의 동기에 따라 우울 발현이 달라질 수 있고, 고통 감내 방식을 통해 치료적 개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