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피로, 회복탄력성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곽민정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피로, 회복탄력성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은 C도의 G시, C시, H군에 위치한 지방의료원 3곳에서 COVID-19 환자를 직접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 135명이었으며, 일반적 특성, 피로,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 간호서비스 질에 관한 도구로 구성된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Brown-Forsythe, Tamhan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피로는 5점 만점에 3.58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30점,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에 3.53점, 간호서비스 질은 5점 만점에 3.73점이었다. 2)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는 연령(F=4.82, p=.010), 결혼(t=2.54, p=.012), 종교(t=2.04, p=.044), 학력(t=4.47, p=.017), 임상경력(t=6.90, p<.001), 직위(t=-3.88, p<.001), 감염병 교육 횟수(t=-0.96, p=.33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피로,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과 간호서비스 질의 상관관계는 간호서비스 질과 회복탄력성(r=.53, p<.001), 셀프리더십(r=.60, p<.001)이 서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셀프리더십 정도가 높을수록 간호서비스 질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 즉 연령, 결혼, 종교, 학력, 임상 경력, 직위, 감염병 교육 횟수를 더미처리하여 포함하였고 피로,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의 독립변수를 포함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 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셀프리더십(β=.58, p<.001), 직위(책임간호사)(β=.27, p<.001), 피로(β=-.13, p=.043)였다.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총 46.0%였다. 결론적으로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은 셀프리더십, 직위와 피로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COVID-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감염병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을 높이고, 실무에서 지속해서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하며 피로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낮출 수 있는 정책과 제도 및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COVID-19 상황에서 환자에게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대상자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 ICT 기반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요구 분석

        곽민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practical needs for ICT-based community care services and provide a basis for their development. A total of 237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participants’ health and social service areas, the ranking of the service areas currently used (resources first, exercise second, leisure and culture third) and the desired service areas (medical first, exercise second, nutrition third) were different. 2. Among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females, people aged in their 30s, individuals with college education or higher, and discomfort in daily life were found to have a high demand for ICT-based community care services. 3. Comparing the participants' needs for ICT-based community care services, the demand of the participants aged in their 30s was high in the overall area. However, 'local government service', 'care service information', and 'health community information' were mostly needed by the participants in their 50s, and 'my health check', 'social welfare service information' had the highest demand of the participants in their 40s for service in the area a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4.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at were found to have a major impact on the participants’ needs of ICT-based community care services, there were female gender, college education or higher, and discomfort in daily lif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needs of ICT-based community care services differ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For an efficient delivery of community care, ICT-based services that integrate healthcare and social services are essential. Providing servi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resources that can be actively utilized by the elderly and the vulnerable will have to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Key Words : ICT-based, community care, needs analysis

      • 슈베르트의 가곡과 실내악곡 비교 분석 연구 : 피아노5중주 A장조 Op.114, D.667 <송어> 4악장, 현악4중주 a단조 No.13, D.804 <로자문데> 3악장, 현악4중주 d단조 No.14, D.810 <죽음과 소녀> 2악장을 중심으로

        곽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 초기에 활동하며 600곡 이상의 예술 가곡을 남겼다. 그러나 가곡 작곡가로서의 그의 명성에 비해 그의 교향곡과 실내악곡은 생전에도 큰 관심을 받지 못했고 현재에도 그의 가곡 작품에 연구 자료가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슈베르트의 가곡이 실내악곡과 어떤 연관성을 지녔는지 실내악 편성의 고유성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기 위해, 가곡에서 비롯된 세 작품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에서는 먼저 슈베르트의 작품 창작 배경이 된 19세기 유럽의 시대적 배경과 낭만주의, 생애, 슈베르티아데에 대해 살펴보고, 대표작과 작품 경향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어 피아노5중주 A장조 Op.114, D.667 <송어> 4악장, 현악4중주 a단조 No.13, D.804 <로자문데> 3악장, 현악4중주 d단조 No.14, D.810 <죽음과 소녀> 2악장을 중심으로 각 악장에 해당하는 가곡과 실내악곡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슈베르트의 가곡에 나타난 음악적 요소와 특징들이 실내악곡에서 재사용되는 과정에서 실내악 편성의 고유한 특성에 맞추어 확대되고 발전된 것을 찾아볼 수 있었다. Franz Peter Schubert(1797-1828) was active in the early 19th century (Romantic era) and left more than 600 art songs(Lieder). However, compared with his fame as a composer of songs, much of his chamber music has been ignored during his lifetime and until today. In this thesis, to know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chubert songs and chamber music, I have studied on three examples of Schubert's chamber music which include materials from his songs. In the main part of this thesis, I briefly review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chubert's time including Romanticism and Schubertiade, and summarized Schubert’s compositional style found in his major works. And then I analyzed Schubert’s songs and chamber music, that is, the 4th movement of piano quintet in A Major Op.114, D.667 <Trout>, the 3rd movement of string quartet A minor No.13, D.804 <Rosamunde>, and the 2nd movement of string quartet d minor No.14, D.810 <Death and the maiden>. As a result, I found that much of the musical and literary contents in Schubert's songs were retained in his chamber music and moreover expanded a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hamber music media in the process of being reused.

      • (±)-Afredensinol C B ring의 입체선택적 합성 연구

        곽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lfredensinol C는 2017년에 Godwin 그룹에 의하여 남아프리카의 고유종 홍조류인 Laurencia alfredensis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이 천연물은 9개의 입체 발생 중심과 4개의 oxacycle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triterpene은 유방암 세포주 (IC50 = 8.8 µM)에서 항증식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fredensinol C를 전합성 하기 위하여 주요 중간체인 THP 7을 합성하고자 하였다. 사치환된 주요 중간체 THP 7을 구매 가능한 homoallylic alcohol 9로부터 주요 반응으로 intramolecular amide enolate alkylation (IAEA)을 이용하여 총 10 step, 35% 수율로 입체 선택적으로 합성하였다. Alfredensinol C was isolated from Laurencia alfredensis, a South African endemic red algal species by Godwin and co-workers in 2017. The triterpene possesses nine stereocenters and four oxacycles. Alfredensinol C has shown moderate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a breast cancer cell line (MDA-MB-231, IC50 = 8.8 µM). We report herein a synthetic approach to the B ring in alfredensinol C. The key intermediate tetrahydropyran (THP) 7 was prepar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homoallylic alcohol 9 by using intramolecular amide enolate alkylation (IAEA) as a key step in total 10 steps in overall 35%.

      • 지역문화축제 홍보에 대한 주최측과 지역주민간의 인식 차이 연구 : 안동국제탈춤축제의 홍보를 중심으로

        곽민정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안동탈춤이 지역문화축제로서 행해지는 본질적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현대적 관점에서 지역문화축제의 의미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 주민의 더 많은 봉사와 참여를 통해 축제를 보다 지역주민 중심의 축제가 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과 축제 추진 관련 종사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 모집단을 선정하였으며, 표본추출 방법은 편의 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09년 11월 21일~2009년 11월 30일까지 약 10일간 총 지역주민 140명 주최자 60명 등 총 200명을 하였고, 불성실응답자 등을 제외한 후 지역주민 122명, 주최자 54명 총 176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국제탈춤축제의 기본 목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먼저 지역축제의 개최 목적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있어서는 주최측과 지역주민 모두 지역축제는 ‘지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축제’라는 인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주최측 경우에는 ‘지역민과 주최자간의 주민 화합을 위한 축제라는 인식’이, 지역주민의 경우 ‘지역관광 수입 증대를 위한 축제’라는 인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지역축제의 중점 프로그램 구성 형식 중 가장 부합하는 것에 있어서는 주최측과 지역주민 모두 ‘외부 관광객과 지역민을 위한 종합축제’가 가장 부합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외에 주최측의 경우 ‘전통문화 보존을 위한 축제’, 지역주민의 경우 ‘문화예술 전파를 위한 축제’가 가장 부합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둘째, 안동국제탈춤축제의 실행과정에 대한 인식에 대한 주최측과 지역주민과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인 실행과정과 하위문항별 ‘목적에 부합한 진행’(p<.01), ‘목적에 맞는 관광객’(p<.01), ‘홍보매체 선정방법’(p<.01), ‘홍보시기’(p<.01), ‘지역민의 참여도’(p<.01), ‘지역민의 화합’(p<.01), ‘언론매체별 차별화된 홍보 전략’(p<.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최측이 지역주민에 비해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안동국제탈춤축제의 실행 후 평가에 대한 인식에 대한 주최측과 지역주민과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인 실행과정과 하위문항별 ‘국내적으로 전통 탈춤문화축제의 중심도시’(p<.01), ‘세계적으로 전통 탈춤 문화의 예술도시로 도약’(p<.01), ‘안동 축제로 지역경제의 활성화 도모’(p<.01), ‘관광객 확대 유치에 기여’(p<.01), ‘관광 수익을 증대하는 생산적 축제로 정착’(p<.01), ‘매년 거듭할수록 새롭게 발전’(p<.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최측이 지역주민에 비해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안동국제탈춤의 기본인식에 있어 지역 주민과 주최자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실행과정에 있어서도 지역민의 참여가 전제된 지역민의 화합과 소득 증대에 축제의 중점을 두고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 만큼 주최자와 지역주민으로서의 참관자적 입장에 따른 역할 균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주최측과 지역주민 모두의 참여 확대와 균형된 역할 분담을 통한 외부 관광객의 참여 유치 증대 및 지역 주민의 화합과 지역 생산증대 및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균형된 의사결정과 역할 분담을 통해 책임 할당과 주민의 홍보활동 참여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ch the meaning and problems of local cultural festival from the modern point of view, and seek strategies for being a more local residents-centered festival through more service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Andong maskdance as a local cultural festival. In this study, the population, which makes local residents and festival promotion-related workers the subject of study, was se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00 persons(140 local residents, 60 organizers) for about 10 days from November 21 to November 30, 2009. Total 176 persons(122 local residents, 54 organizers) except for insincere respondents were used for a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s basic objectives showed that in the greatest weight among the opening objectives of local festival, for both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the perception of ‘a festival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industry’ is the highest. Besides, for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the perception of ‘a festival for resident reconcili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organizers’ and ‘a festival for the increase of local tourist revenues’ were high, respectively,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5). For the greatest correspondence among priority program forms of local festival, both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thought a ‘comprehensive festival for outside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Besides,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thought a ‘festival for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 ‘festival for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arts’, respectively,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1).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s executive process between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general executive process and sub-questions of ‘progress corresponded to the purpose’(p<.01), ‘tourists fitted for the purpose’(p<.01), ‘selecting method of publicity medium’(p<.01), ‘publicity period’(p<.01),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p<.01), ‘reconciliation of local residents’(p<.01) and ‘publicity strategy differentiated by media’(p<.01), and organizers have a tendence to more highly evaluate than local resident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valuation after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s execution between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general executive process and sub-questions of ‘center city of domestic traditional maskdance culture festival’(p<.01), ‘jump into a global art city of traditional maskdance culture’(p<.01), ‘revitalization planning of local economy by an Andong festival’(p<.01), ‘contribution to expansion attraction of tourists’(p<.01), ‘fixation as a productive festival for the increase of tourism profits’(p<.01) and ‘newly development as years go by’(p<.01), and organizers have a tendence to more highly evaluate than local residents. Consequen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asic perception of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between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an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s executive process, which puts stress of festival on reconciliation and income increase of local residents on the premise of their participation, between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This is caused by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role equality in a position of visitor. To complement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eans of responsibility assignment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publicity activities through the balanced decision-making and role sharing of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as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has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the attraction and expansion of outside tourists' participation, reconciliation of local residents, and local production increase and development through the participation expansion and balanced role sharing of both organizers and local residents.

      • 입원한 암환자의 통증, 불안 및 수면 질의 관계 연구

        곽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은 과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치료가 개발되지 않은 질병으로 발생률과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암은 치료나 질환 자체로 인한 통증을 수반하며, 이런 통증은 불안을 야기한다. 이러한 통증과 불안은 암환자의 수면의 질에도 영향을 미쳐 이런 것들을 잘 조절하지 못하면 암환자가 건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암환자의 통증, 불안, 수면의 질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요구된다. 또 암환자의 통증, 불안, 수면은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입원 특성과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통증, 불안, 수면과 관련 있는 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암환자의 간호사정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중재시에 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입원한 암환자의 통증, 불안, 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관련이 있는 제 특성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4월 3일부터 20일까지 서울시내에 소재한 S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입원 중이고 자신의 질환에 대한 병식이 있는 암환자 112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면시에 느끼는 통증 정도를 Zimmerman(1996)이 사용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측정하였다. 불안측정은 Spielberger(1975)의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로 김정택(1978)이 한국인에 맞게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Cronbach's α=0.95). 수면의 질 측정은 Verran & Synder -Halpern(1987)이 개발한 8문항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Cronbach's α= 0.90). 수집된 자료는 SPSS-PC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과 평균 및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통증 정도는 평균 3.25점으로 경증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불안의 정도는 평균 47.42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총 수면점수는 42.21점으로 보통 수준 정도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가 높을수록 불안의 정도가 높았고, 통증과 불안의 정도가 높으면 수면의 질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통증과 불안정도와 관련이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교육 정도, 직업이었으며, 연령은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4. 통증과 관련이 있는 입원관련 특성은 병실구조가 있었고, 불안의 정도는 암 발생부위 및 치료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입원경력과 암발생부위는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입원한 암환자들은 통증과 불안을 느끼고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경험했고, 통증과 불안 및 수면은 서로 연관이 있었다. 또한 연령은 통증, 불안,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었으며, 교육정도와 직업은 통증과 불안과 관련이 있었다. 치료방법은 불안과 관련이 있으며, 입원경력과 암발생 부위는 수면의 질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사는 암환자를 접할 때 그들의 통증, 불안, 수면의 질을 사정하고 이들이 상호 연관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간호 중재를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통증, 불안, 수면의 질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과 입원관련 특성에 대한 사정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ast several decades have brought major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ncer, a medical care for cancer has not evolved. The sources of stress associated with a cancer diagnosis include fear of death, progression of disease, and changes in social relationship. Cancer patients experience pain and a range of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anxiety; both of these symptoms occur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canc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se symptoms are caused by sleep disturbance in the cance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pain, anxiety and the quality of sleep in the cancer patient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2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a S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April 3 to April 20, 2001. The present study used the Visual Analgue Scales of Pai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the VSH sleep scale. This study calculated frequencies, arithmetical means,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apply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analysis of data, and examined them by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intensity of pain was 3.25 (SD=±3.05). This score reflected a mild level of pain. 2. The mean anxiety level was 47. 42 (SD =±12.88). This score reflect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anxiety. 3. The mean of sleep quality was 42.21 (SD =±16.36). This score reflected a moderate level of sleep quality. 4. As patient's intensity of pain was higher, the anxiety level were higher (r=0.346, p=0.000). Patients with higher anxiety reported lower sleep qualities(r=-0.467, p=0.000). In addition, patients who experienced more pain, reported more sleep disturbances(r=-0.520. p=0.000). 5.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pain were age (F= 3.527, p=0.010), the education level(F=2.900, p=0.038), and the occupational status(t=-2.654, p=0.006).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xiety level were the education level(F=2.900, p=0.034), and the occupational status(t=-0.321, p=0.003).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was age(F=7.878, p=0.000). 6. The hospitalization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pain was room structure(F=3.737, p=0.027). The origin of caner and treatment metho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xiety level(F=2.811, p=0.043 ; F=5.348, p=0.001).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origin of canc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t=2.344, p=0.021 ; F=2.975, p=0.035). In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when nurses treat cancer patients, i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ain, anxiety, and quality of sleep, an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for intervention. The suggestion based on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The data of present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cancer patient hospitalized in only one hospital,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It is desirable for the future studies to carry out a repeating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stage of cancer and cause of pain

      • 美容人의 個人力量이 業務成果에미치는 影響 : 自己效能感의 媒介效果

        곽민정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서비스산업 종사자의 개인역량의 기술·지식·태도 개념, 자기효능감 및 업무성과에 대한 개념 등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미용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개인역량의 기술·지식·태도가 자기효능감과 그에 따른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모형과 연구 제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국외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인 역량의 이론들을 고찰하였고, 그 이론들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 및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인 역량의 기술·지식·태도의 요소들이 각각 자기효능감 및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모집단은 전국에 미용서비스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22년 3월 7일~31일까지 표본으로 선정된 미용서비스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210부를 배포하여 206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수를 산출하였고 본연구의 주요 요인 간 요인분석으로 직교 회전 방법인 배리맥스(Varimax) 회전을 통하여 요인 회전을 하였으며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증도 동시에 하였다. 변동의 정도와 방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인 역량의 기술·지식·태도, 업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검정하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3단 회귀분석 매개 검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역량의 기술·지식·태도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역량의 기술·지식·태도는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 역량의 기술·지식·태도와 업무성과에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용관광서비스 산업에 있어 개인 역량의 특성이 자기효능감과 업무성과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미용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 강화를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미용서비스산업에 있어서 개인 역량의 특성을 고려한 인적자원 관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미용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특수성 중 기술에 대한인지가 상당히 높은 편이며 기술뿐만이 아니라 개인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지식’, ‘개인 능력개발’ 등 미용서비스 산업에 맞는 개인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고급인력을 창출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는 산업과 기업에 있어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 될 것이다. 미용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개인 역량 강화는 자기효능감, 업무성과 상호 관련성을 보다 폭 넓게 연구되어야 하며, 역량에 관한 다양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업무의 생산성 및 나아가 국가정책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대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한국의 색채 이미지 분석과 현대적 관점에서의 정체성 확인 연구

        곽민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nalyzes color realization type which is formed life and history of Korean and confirms cultural identity. Furthermore, the efficient utilization plan are intended to derive. To this end,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color" and the facts of "color image" and also examined what could be main sense when it was applied to the country. Furthermore what characteristics korean color image have and how it reached on today through changing process. Also, chosen each continental representative countries to grasp what difference is with occasion of the other country. Compared and investigated about peculiar color image which each country have. Meanwhile, in terms of improving utilization, recognized that it need to develop characteristic of tradition color image of the Korea and peculiar cultural tendency. Studied if will establish identity of color image by some method for this. And checked importance of national color image in the internationalization age and illuminated what could be the core foundation of identity, and studied establishment plan of color image which is utilized Korean tradition. Along with this, performed the following research was looking for core competence and management plan for identity establishment. As real example about country's color image for identity establishment, evaluated identity design of large size international event that the Korea holds and arranged desirable design plan. Also, investigated Red Devil phenomenon and color change which a member of national soccer team used as uniform, and application in industrial design. I checked problem that establish identity of country's color image. After checking implications which associated, established direction to apply to management of color image in future. Finally, discussed concentrically, the key purpose of this research, how to use it in environment that media is diversified and the plan which is developed in future. As can know in study finding of above, the foundation of identity of Korean's color image could be prescribed ohbangsaek(오방색;五方色) based on the Yin-Yang school, could know that should approach ohbangsaek, composition of white, composition of comparison dimension to establish color image which utilized Korean tradition. In addition, should approach closely in communication management, public trust management, comprehension group management, investigation management to establish identity of country's color image. In terms of usability, it can be said that success and failure of improving country's image according as color image identity of host country may have to be expressed well in identity design of international events and how well do you use the traditional colors. Therefore, we do continuous and concentrative research to develop country's color brand image, and need careful standardization work. Lay and propel systematically color strategy by each field such as industry, environment, culture and then make country's color brand and should try so that can improve people color's sensitivity. Analyzed results for implications of phenomenon 'Red Devil' are summarized as follows. That can be summarized, first, importance as country's color image of red color, second, importance of communication management about country's color image, third, formation of color image which depends on not government leading but expressed feelings of people is desirable. Meantime, when consider actuality of media's diversification phenomenon, people engaged in country's image related field who can must be grasping well property of media, and face that medias of new concept are appearing often and always adapt to new situations. In product design which requires marketing of international scale, So Korea's image identity was implemented to establish appropriate that it can give love and familiarity for our product to Native people and emboss Korea's image to foreigners, then it can be further improved product values of Korea in Global market. 본 연구는 한국인의 생활과 역사 속에 형성되어 있는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며 나아가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색채의 사전적 정의와 색채 이미지가 가지는 인자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한 국가에 적용되었을 때 어떤 의의가 있는지에 대해 조명하였으며 한국의 색채 이미지는 어떤 특징이 있고 시대별로 어떤 변천 과정을 통해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면밀히 조사하였다. 또한, 이것이 다른 나라의 경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각 대륙별로 대표적인 국가들을 선정하여 각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색채 이미지에 대해서도 조사, 비교하였다. 한편, 활용성 제고의 측면에서 한국의 전통 색채 이미지의 특징과 독특한 문화적 경향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를 위해 어떤 방법으로 색채 이미지의 정체성을 확립할 것인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울러 국제화 시대의 국가별 색채 이미지의 중요성을 되짚어 보고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를 조명하였으며 한국 전통을 살린 색채 이미지 수립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핵심 역량과 관리 방안을 찾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 색채 이미지 정체성 확립에 대한 실질적인 예로서, 한국이 유치한 바 있는 대형 국제 행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바람직한 디자인 방안을 정리하였다. 또한, 붉은악마 현상과 축구 국가대표의 유니폼 색채 변화, 그리고 산업 디자인에 있어서의 응용을 고찰하여 국가 색채 이미지 정체성 확립 문제와 관련된 시사점들을 점검하여 향후 색채 이미지 관리에 있어 응용해야 할 방향을 확립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미디어 다변화 환경을 어떻게 이용할 것이며 향후 전개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한국 색채 이미지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것은 음양오행설에 입각한 오방색(五方色)임을 규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 전통을 살린 색채 이미지를 수립하기 위해 오방색 중심 측면, 백색 중심 구성 측면, 면적 대비 구성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가 색채 이미지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관리 측면, 공신력 관리 측면, 이해집단 관리 측면, 조사 관리 측면에서 면밀히 접근해야 한다. 활용성 측면에서, 국제 행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는 개최국의 색채 이미지 정체성이 무엇보다도 잘 드러나야 할 것이며 전통 색채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국가 이미지 제고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색채 브랜드 이미지 개발 차원에서 지속적이면서도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면밀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산업, 환경, 문화 등 각 분야별로 색채 전략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추진하여 국가 색채 브랜드를 구축하고 이와 아울러 국민 색채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붉은 악마'현상이 주는 시사점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적색에 대한 국가 색채 이미지로서의 중요성, 둘째, 국가 색채 이미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리의 중요성, 셋째, 관 주도가 아닌 국민의 감성 표출에 의한 색채 이미지 형성이 바람직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다변화 현상의 중심에 있는 현 시대적 상황을 감안할 때, 국가 이미지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디어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수시로 새로운 개념의 미디어들이 출현하고 있음을 직시하고 항상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국제적 규모의 마케팅이 필요한 상품 디자인에 있어서도 한국의 이미지 정체성이 적절하게 확립 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자국인에게는 우리 상품에 대한 친근함과 애정을 부여 할 수 있을 것이며 외국인에게는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 시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상품 가치를 한층 더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