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正四角斷面 덕트內에서 亂流 脈動流의 亂流特性에 關한 實驗的 硏究

        고영하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urbulent characteristics for turbulent pulsating flow was studied experimentally in a square duct by hot-wire anemometer and oscillograph recording system. Velocity profiles, waveforms, turbulent intensity and Reynolds shear stress of turbulent pulsating flow were investigated in a tested square duct with aspect ratio of 1. Distribution of |u'_(rms),os,1|/|Um, os,1|and ∠u'_(rms) ,os,1 were approximately with theoretical solutions and not affected by the ratio of velocity amplitude of A_(1), the dimensionless angular frequency of ω', and the time-averaged Reynolds number of Re,ta.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turbulent pulsating flow were approximately agreed with 1/7th root power law of turbulent steady flow. The eddy viscosity distribution of ε/ε_(q) was more than 1 in decelerating flow, and less than 1 in accelerating flow.

      • 레일체결장치 텐션클램프의 변위 기반 피로강도 평가

        고영하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레일체결장치 텐션클램프의 변위 기반 피로강도 평가 레일을 고정하여 궤간을 유지하는 레일체결장치의 핵심적인 구성품인 텐션클램프는 초기체결에 의한 인장응력 및 열차주행에 의한 반복응력의 발생으로 기본적으로 피로에 취약할 수 있는 구조로 최근 텐션클램프의 피로파괴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특정 구간에서 다수의 텐션클램프의 파괴가 발생할 경우 열차 주행 안전성에 위험을 미칠 수 있어 텐션클램프에 대한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 노선에 부설된 텐션클램프의 교체는 오로지 외관에 대한 육안조사에만 의존하고 있어 유지보수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Vossloh System 300 레일체결장치의 텐션클램프(SKL15)의 구조적 거동을 분석하고 레일 수직변위를 기반으로 텐션클램프의 피로강도를 평가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텐션클램프의 응력상태를 분석하였고, 새로 개발한 피로실험장비를 통해 피로실험을 수행하여 레일 수직변위범위 수준별 파단 시 반복횟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여 파괴확률을 고려한 변위기반 피로강도선도를 정립하여 피로강도를 평가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서 초기체결 및 열차주행 시 텐션클램프의 응력 거동을 분석한 결과, 절곡부 내측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공칭응력 기반의 S-N선도가 아닌 레일 수직변위 기반의 Δ-N선도로 피로강도를 평가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피로실험 결과를 통해 정립한 파괴확률에 따른 레일 수직변위 기반 피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로한계는 레일 변위범위 3.0 mm ~ 3.8 mm 사이에 위치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레일 수직변위 기반 P-Δ-N선도는 피로설계 또는 유지보수관리 등 활용목적에 따라 다른 파괴확률을 적용하여 텐션클램프의 피로강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레일체결장치, 텐션클램프, 피로, P-Δ-N선도, 레일 수직변위 The tension clamp, a essential component in rail fastening system that clamp rails to maintain track gauge, are inherently vulnerable to fatigue due to initial tensile stress during installation and repetitive stress from train operations. Recently, cases of fatigue failure of tension clamp have been occuring successively. If multiple tension clamps are failed in a specific section, it can pose a risk to train operation safety, so maintenance of tension clamps is very important. Howeve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ension clamps installed on domestic railroad track rely solely on visual inspections for external appearances, so clear standards fo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re needed.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behavior of tension clamp(SKL15) in Vossloh System 300 rail fastening system and evaluates fatigue strength based on rail vertical displacement. The stress state of the tension clamp was analyz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fatigue test was performed using a newly developed fatigue test equipment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number of cycles for different level of rail vertical displacement range. Based on the test result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displacement-based fatigue diagram consider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to evaluating fatigue streng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ess behavior of the tension clamp during initial fastening and train operation in finite elem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ress was concentrated inside the bending par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fatigue strength using a fatigue curve based on rail vertical displacement rather than the existing S-N diagram based on nominal str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tigue diagram based on rail vertical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of failure established through fatigue test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fatigue limit would be located between 3.0 mm and 3.8 mm in the rail displacement range. The rail vertical displacement-based P-Δ-N diagra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evaluate the fatigue strength of tension clamps by applying different failure probabilit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pplication, such as fatigue design or maintenance management.

      • 프레젠테이션의 시각요소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연구

        고영하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sentation is a way of communications leading to judgements and decision makings based on demonstrated results via effective conveyance of necessary information in a limited time frame. The structure should have a logical process and clarity that simplifies the complications as it needs to deliver much information in a given time and persuade the audience as fully as possibl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function is now being activated by the enhanced awareness and trials from the companies to make best use of presentation under the new marketing environment. The diagram, a means of visual expression about complex information, has a large portion as part of information transferring system in preparation of presentation. This paper would have the meaning in findings of usage and real cases in demonstration with diagram as visual ingredient. This study looks into what kind of presentation is the most effective on conveyance and persuasion of information by analyzing a diagram used for presentation and having a grasp of audience attitude according to the analyzed pattern. So, the background on this work finds the meanings in diagram and its type with a view to examining the information deliverance method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through reviews on literatures available regarding the conveyance of visual contents. Also,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Gyorgy Kepes and Otto Neurath was dealt with, which is one of the typical 'visual language theories' for the designing components that constitute the visual materials, and the meaning and feature of diagram were reviewed. The structure of content that composes a message is changable to people and purpose, but the increase in the understanding level of message through the visual materials is achievable as it has a good reason to make it common. As such, the constituent of diagram is an important factor as a visual material of presentation which can be an effectively measurable component.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study model and matters in question were set based on the examined theory to explain the differences found in audience attitude responding to the different visual factors in presentation. Graphs and tables, which are part of diagram composite, were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audience attitude was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 so that they are fit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entative plans were made to measure the degree of attraction by the type and then the most similar alternatives were selected from each group of type through pilot test for the final testing model. The analysis on results was performed through experiment research by reliable testing research with a help of case demonstration so that the preferences and various needs could be checked out and the work went on to the validity proces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n the work. First, the relation between presentation attitude and brand attitude showed the positive (+) correlation for the case of these two diagrams. Attitude of audience was increased. As to the detailed subcategories examined, the increase was also found in those presentation groups at the same time: preference, understanding, persuasion and reliability of presentation; understanding, preference, purchasing intention and reliability towards brand. Second, reliability among the presentation attitude factors was rated highest whereas preference out of the brand attitude factors was ranked highest. Third, in the audience attitude, the graph pattern turned out to have more higher value than the table pattern. Looking into further by the subgroup in regard to the immersion and reliability, the table pattern had a higher value than the graph pattern. However, for preference and understanding level from the audience attitude, the graph type was more convincing than the table type. From the outcome in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visual-oriented expression method in presentation by the production of graph would be effective in transferring the message efficiently and bringing forth the enthusiastic attitude from audience as a way to get the contents through easily in the information delivery skill. This study is meant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in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presentation as a newly introduced vehicle in times from the view point of communications for marketing activities and to appreciate its value and necessity from the point of working level.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diagram as the main role of visual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by theory of communication effect as well. Especially, the application on the practical level would be required in terms of message transferring function instead of confinement of the diagram study only to formative role. 프레젠테이션이란 한정된 시간 내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그 결과에 의해 판단과 의사결정을 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다. 정해져 있는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청중을 최대한 설득해야 하므로 구조가 논리 정연하고 복잡한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여 청중의 호감을 이끌어내야 한다. 기업들이 새로운 마케팅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프레젠테이션을 이용하여 홍보하는 인식과 시도는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 정보전달 체계로서 복잡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은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하는데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시각 요소로서, 단순한 정보개념에서 벗어나 목적과 이해에 부합한 다이어그램의 활용 및 실제 사례를 모색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을 분석하고 분석된 유형에 따른 수용자의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정보의 전달과 설득에 가장 효율적인 프레젠테이션 유형이 어떠한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배경에서는 시각정보 전달에 대한 문헌적인 고찰을 통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 전달 방법의 연구로서 다이어그램의 의미와 유형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시각자료를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에 대한 시각언어론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프레젠테이션에 있어서 다이어그램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메시지를 구성하는 내용의 구성은 대상과 목적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시각적인 자료를 통해 메시지의 이해도를 증진하는 것은 보편화 할 수 있는 이유가 충분하다. 그러한 이유로 다이어그램의 구성 요소는 효과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시각자료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검토된 이론을 바탕으로 프레젠테이션 시각 요소에 따른 수용자 태도 차이에 대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본 실험을 위해 연구의 목적에 맞게 다이어그램의 유형인 그래프와 도표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수용자의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시안의 매력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유형별로 시안을 만들어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가장 매력도가 유사한 것을 각각 하나씩 선택해서 최종 시안으로 삼았다. 실증 연구를 실시하여 사례시연을 통해 선호도 및 다양한 니즈를 알 수 있도록 실험조사를 통하여 결과분석을 하고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프와 도표 유형 모두 프레젠테이션 태도와 브랜드 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프레젠테이션 이해도, 호감도, 설득력, 신뢰도와 브랜드의 이해도, 호감도, 구매의도, 신뢰도는 정적인 관계로 수용자의 태도가 동시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레젠테이션 태도 요인 중 프레젠테이션 신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 태도 요인 중 브랜드 호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용자 태도는 그래프 유형이 도표 유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으로 몰입도와 신뢰도는 도표 유형이 그래프 유형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수용자 태도 중 호감도와 이해도는 그래프 유형이 도표 유형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 따르면 콘텐츠를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하는 방법의 하나로 그래프 유형으로 제작하였을 때 프레젠테이션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간략한 정보 전달기술이 메시지 전달과 수용자의 태도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활동의 모든 영역이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관점하에 프레젠테이션이 시대의 변화 속에서 생성된 새로운 매체로서 다양화되고 차별적이며 실무적 차원에서 새로운 영역으로서 존재가치와 필요성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또한 프레젠테이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메시지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를 조형적으로 제한할 것이 아니라 실무적 차원에서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過剩禁止原則

        고영하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Das koreanische Verfassungsrecht erlaubt Eingriffe in Grundrecht, falls sie für notwendig erachtet werden. Dagegen muss der Staat Grundrecht als das unantastbare Recht nach dem Paragraphen 10 in Verfassungsrecht garantieren und verpflichtet zur Wahrung von Grundrecht. Das Übermaßverbot dient vorwiegend als Maßstab für die Gewährleistung der Grundrecht. Daher ist es sinnvoll, das Übermaßverbot zu untersuchen, weil das Übermaßverbot als ein Versuch der Harmonie zwischen Eingriffen in Grundrecht und deren Bewahrung angesehen werden kann. Die vorliegende Arbeit befasst sich mit dem Übermaßverbot als Kontrollund Prüfungsmaßstab für die Verfassungsgerichtsbarkeit. Die Untersuchung versucht einige Ansätze über das Übermaßverbot darzustellen und kritisch zu analysieren. Das Verfassungsgericht stellt das Übermaßverbot folgendermaßen dar: Der Zweck der Eingriffe in Grundrecht muss die Notwendigkeit haben. Um diesen beabsichtigen Zweck zu erreichen, muss das Gerichtsverfahren mit den Eingriffen verfassungsgemäß sein. Wenn deren Gerichtsverfahren auch verfassungsgemäß ist, muss der Grad der Eingriffe minimiert werden. Damit kann man feststellen, dass das Prinzip des Übermaßverbotes aus dem Prinzip der Notwendigkeit, der Verfassungsgemäßigkeit und des Vergleichs. Wie gerade dargestellt, ist das Übermaßverbot ein Grundsatz des Verfassungsgerichts. Aber es ist ursprünglich ein Polizeigesetz in Deutschland und entwickelt sich zum Verfassungsgericht. Daher taucht die Frage zwangsläufig auf, was der Grund des Übermaßverbot ist. Es gibt kaum einen allgemeinen Konsens in der Frage des Übermaßverbots und sie ist immer noch umstritten. Während die Frage des Übermaßverbots in Deutschland unter verschiednenem Standpunkt viel untersucht worden ist, sind sie in Korea bis jetzt vernachlässigt werden. Diese Lücke versucht die vorliegende Arbeit auszufüllen. Da es im Übermaßverbot keine präzise systematische Bestimmung gibt, werden in dieser Arbeit Anwendungsfälle und Niederschläge vom Übermaßverbot in der unermeßlich verschiednene Einzelgesetze analysiert. Wenn Anwendungsfälle gesammelt werden, kann der Maßstab für die Anwendung des Übermaßverbotes festgestellt werden. Schließlich kann die sachlogische Struktur und Teilinhalte des Übermaßverbot klargestellt werden. Seit da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 begründet worden ist, ist das Gerichtsurteil aufgrund des Übermaßverbotes gefallen, das über 300 Fälle beträgt. Die Frage soll überprüft werden, ob Anwendungsfälle des Übermaßverbotes nicht übermäßig ist, wie dies in Deutschland scharf kritisiert worden ist und ob das Übermaßverbot ohne den Unterschied zwischen dem jeweiligen Bereich der Grundrecht in gleichem Maße angewendet werden kann. 우리 헌법 제37조 2항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법률로서 기본권을 제한 할 수 있다고 규정하며 基本權制限의 必要性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권은 우리 헌법 제10조에서 “․․․國家는 개인이 가지는 不可侵의 基本的 人權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義務를 진다.”라는 규정에 비춰보면 최대한의 보장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본권의 최대보장을 위한 심사기준으로서 주로 이용하는 것이 과잉금지원칙이다. 따라서 과잉금지원칙을 명백히 밝히는 것은 기본권 보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할 것이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과잉금지원칙을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려는 입법의 목적이 헌법 및 법률의 체제상 그 정당성이 인정되어야 하고(目的의 正當性), 그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그 방법이 효과적이고 적절하여야 하며(方法의 適切性), 입법권자가 선택한 기본권 제한의 조치가 입법목적달성을 위하여 설사 적절하다 할지라도 보다 완화된 형태나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기본권의 제한은 필요한 최소한도에 그치도록 하여야 하며(被害의 最小性), 그 입법에 의하여 보호하려는 공익과 침해되는 사익을 비교형량 할 때 보호되는 공익이 더 커야 한다(法益의 均衡性)는 헌법상의 원칙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위의 판례에서 보듯이 과잉금지원칙은 헌법상의 원칙이다. 그러나 과잉금지원칙이 처음부터 헌법상의 원칙으로서 자리를 잡은 것은 아니다. 과잉금지원칙은 독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독일에서 과잉금지원칙은 처음부터 헌법적 지위를 가진 것이 아니라 경찰행정법의 원칙에서 출발하여 헌법상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과잉금지원칙의 근거에 관해서 독일의 학계와 연방헌법재판소에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 졌다. 그러나 우리는 헌법상의 원칙으로서 과잉금지원칙을 받아들여서 인지 근거에 관해서 활발한 논의는 없다. 과잉금지원칙의 근거로서 연방헌법재판소에서 주로 이용되는 것이 법치국가원리와 기본권자체의 본질설이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과잉금지의 원칙은 법치국가의 원칙으로부터, 좀더 근본적으로는 기본권 자체의 본질로부터 도출되어지는 것이고, 위 기본권은, 시민의 국가에 대한 일반적 자유의 청구권으로서, 공권력이라 할지라도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이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판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잉금지원칙의 근거에 관해서 헌법 제37조 2항의 ‘필요한 부분’이 과잉금지원칙의 실정법적 근거라는 견해가 일반적이며,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도 법치국가원리 혹은 헌법 제37조 2항에 근거를 두고 있다. 과잉금지원칙은 적합성의 원칙, 필요성의 원칙, 비례성의 원칙으로 구성된 합성원칙이다. 적합성의 원칙이란 어떤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채택된 수단은 그 목적실현에 적합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필요성의 원칙이란 목적실현을 위해 필요한 한도를 넘어 조금이라도 더 침해하는 수단을 선택해서는 아니 된다는 원칙을 말한다. 그리고 비례성의원칙이란 일정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특정한 수단을 행사하는 경우 이 목적과 수단사이의 관계에서 상당한 관계가 성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부분원칙중 각 단계에서 한 부분이라도 통과하지 못한다면 그러한 국가의 공권력은 위헌판결을 받아 무효 선언되는 것이다. 그러나 과잉금지원칙 자체가 구체적인 위헌성판단의 내용적 지침을 제공해주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내용은 결국 개별사안에서 채워지게 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판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창설된 이래로 300여건이 넘게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여 심판을 하고 있다. 흔히 과잉금지원칙이 독일의 학계에서 받은 비판과 마찬가지로 과잉금지원칙의 과잉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상당히 많은 양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례가 나름대로 일관된 지침을 제공해준다면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권영역별로 과잉금지원칙의 적용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기본권영역별로 거의 차이가 없고 또한 아무런 이유설명 없이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단지 최근의 군제대자 가산점 판결에서 평등권에서 과잉금지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아주 주목할 만한 판례라고 생각된다. 이렇듯 과잉금지원칙의 적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례가 누적된다면 과잉금지원칙이 개별기본권에 관해서 기준을 제시해주는 기능을 할 것이다.

      • 도로다이어트 보행자 만족도 영향요인분석 연구 : Factor Analysis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고영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은 이동성을 추구하는 차량중심에서 안전과 공유의 사람중심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는 보행친화정책의 일환으로써 기존 차량중심의 도로횡단 구성에서 보도를 확장하고, 차도 등을 축소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 중심의 횡단면을 구성하는 도로 공간으로의 재편을 말한다. 도로다이어트의 실효성 평가와 사회적 요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으나, 그 간 시행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나 다양한 지역에 특화된 정책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며, 우선순위로 선정된 장소에 대한 적정성과 사업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은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로다이어트 시행에 따른 보행자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보행자가 체감하는 만족도 요인을 클러스터링하고, 요인별 중요도를 선별하여 도로다이어트 추진 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향후 도로다이어트 추진 방향 설정 및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로다이어트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에 의해 구분된 성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리스크감소와 편의성증대의 두 가지 성분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 편의성증대 성분이 리스크감소 성분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편의성증대 성분에 포함된 세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최종모형을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업지의 토지이용형태를 학교, 주거, 상업, 업무지역으로 구분하여 편의성증대 성분의 세부항목을 재분석한 결과, 토지유형별로 도로다이어트에 대한 보행자 만족도 영향 요인들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자 만족도를 최대화하는 도로다이어트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로 보행자들의 Needs를 만족시키는 계획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향후 설문조사시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으로 구분하기보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리스크감소와 편의성증대 2가지 성분으로 항목을 개발하고, 조사하는 것이 더 유의미한 조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로다이어트 만족도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으며, 토지유형별 세부모형을 구축하여 각 지역별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 transportation policy paradigm has shifted from a motorized vehicle to a human being-centered paradigm for safety and mode sharing. Road-diet refers to the re-organization of road space from an existing vehicle-centered road cross configuration to a pedestrian and bicycle user-focused geometry as reducing roadways and expanding sidewalks. While the effectiveness and social demands of road diets are increasing in urban area, it is still insufficient the research on evaluation of road diet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policy specialized in a variety of regions which are selected as the priority lo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essential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useful road-diet projects by clustering the specific factors affect the high level of pedestrian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elected factors were taken to establish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oad diet.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Seoul Metro City, which is actively enforcing a road-diet. From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wo crucial factors such as risk reduction and convenience increment were found, and they were appli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to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s that the factor of convenience increment has more impact on pedestrian satisfactory than the risk reduction factor. With the outputs, we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contained in the factor of convenience increment by land use. The land us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residential, commercial and business areas, and appli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final model. Each type of land use demonstrate that particular factors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pedestrians satisfaction and policy makers could carry out to implement a road diet project that maximizes pedestrian satisfaction, It would be more meaningful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two factors, risk reduction, and convenience inc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ather than dividing them into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factors for future surveys. Moreover, we demonstrate that it can predict the level of road diet satisfac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approaches and be plausible building individual models by the land use type to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in each location.

      • (A)study on turbulent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turbulent steady and unsteady flows in the entrance region of a square duct

        고영하 Chosun Univ. 1992 국내박사

        RANK : 247615

        正四角斷面 덕트내의 入口유동領城에서 亂流定常流動, 亂流振勳流動과 亂流脈動流動에 대하여 理論的 方法과 實驗的인 方法으로 解析을 하였다. 理論的 解析方法으로는 正四角斷面 덕트 入口領城에 座標系를 設定한 후 支配方程式과 旣發表된 相關關係式을 정리하여 速度分布式과 壓力分布式을 誘導하였고 덕트 중심으로부터 백면까지 代數應力模型을 改善한 저 레이놀즈 수 亂流模型을 適用한 數値解析方法을 利用하여 난류정상유동의 速度分布를 구하였다. 實驗的인 방법으로는 40 × 40 ×4000 mm인 正四角斷面 덕트의 入口領域에서 열선 풍속계와 고감도 압력 변환기에 連結된 資料處理시스템에 의하여 速度波形, 平均速度分布와 亂流强度, 平均剪斷應力分布, 壓力分布와 摩擦係數등을 얻었고, 이들 實驗結果를 利用하여 理論結果 및 數値解析結果를 檢證하였다. 亂流定常流動, 亂流振動流動 그리고 亂流脈動流動에서 速度波形에 대한 觀察로 부터 덕트 입구유동영역에서 下流方向으로 갈수록 亂流成分이 增加되어 完全發達된 流動領域에서는 거의 一定한 값을 나타내고, 덕트中心에서 벽쪽으로 接近할수록 亂流成分이크게 나타나며, 平均速度分布에 대한 數値結果와 實驗結果는 잘 一致하며, 亂流强度分布는 덕트中心부근보다 벽쪽부근으로 갈수록 크게 增加된다. 난류맥동유동의 亂流强度分布는 加速流動領域보다 減速流動領에서 크게 나타나고 平均剪斷應力分布와 壓力分布에 대한 理論結果와 實驗結果는 잘 一致한다. 亂流振動流動의 時間平均 管摩擦係數의 실험식은 λ_(u, ta) = 0.183 Re^(0.2805)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亂流定常流動, 亂流振動流動 및 亂流脈動流動의 入口길이는 본 실험조건에서 거의 同一하게 水力直徑의 40배 정도이다. In the Present study, the flow characterics of developing turbulent steady, oscillatory and pulsating flows are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Iy in the entrance region of a square duct. The governing equations, a system of conservation equations, are solved analyticalIy. Analytical solutions are obtained for shear stress and pressure distribution of these flows. The velocity profi les of turbulent steady flows are obtained numericalIy by using the Lew Reynolds Number Algebraic Stress Model. The experimental study using air in a square duct (40 ㎜ X 40 ㎜ and 4000 ㎜ long) is carried out to measure velocity profiles and pressure distributions by the hot-wire anemometer system and high-sensitivity pressure transducers with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s. The major flow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turbulent steady, osci llatory and pulsating flows provide such as velocity waveforms, mean velocity profiles and turbulence intensity, mean shear stress distributions, pressure distributions, friction factors and entrance lengths. The velocity waveforms do not change in the fulIy developed flow region such as x/D_(₂) ≥ 40. For turtulent steady, oscillatory and pulsating flows, the turbulent components in velocity waveforms increase as the dimensionless transverse positions approach to the wall. Mean velocity profiles of the turbulent steady flows follow the one-seventh power law profile in the fully developed flow region and mean velocity profiles of the developing turbulent steady flow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Turbulence intensity increases as the dimensionless transverse position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wall of the duct, and is slightly smaller in the accelerating phase than that of in the decelerating phase for the turbulent pulsating flows. mean shear stresses and pressure distributions for those flow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solutions, and time-averaged friction factor of turbulent oscillatory flow may be represented by the correlation equation of λ_(u), ta = 0.183 Re_(os)^-0.2805. The entrance lengths of the turbulent steady, oscillatory and pulsating flows are about 40 times as large as the hydraulic diameter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