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고서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middle school girl's test anxiet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49 middle school girls. firstly,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value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of major research factors. Second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research factors. Thirdly,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of research factors,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Bootstrapping were also conducted. First,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middle school girl's test anxiety.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test anxiety had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had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could negatively effect on test anxiety of middle school giers, and also could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Those results suggest that to reduce academic stress of middle school girls, there should be efforts of parents to reduce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eforehand. Based on tho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study,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 시험불안,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시험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넷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다양한 지역의 재학 중인 여중생 1, 2, 3학년 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에 사용된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량을 검토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산출하였고, 주요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ROCESS macro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시험불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시험불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중생의 시험불안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웰빙 의식에 따른 남성의 화장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고서연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ale 'LOHASIAN' seeking well-being and valuable consump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0 male consumers aged between 20 and 50 year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ehavior toward buying cosme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sump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well-being and LOHAS, and the consumers' value orientations.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Of the five well-being lifestyle factors, self-devoted and sensation- seeking consumers, rather than those environmentally oriented, health- seeking, and socially oriented,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s of cosmetics. As well, self-devoted, sensation-seeking and socially oriented consumers have a greater impact on buying behavior toward cosmetics than those environmentally oriented and health-seeking. In addition, of the perceived values of cosmetics, both consumption value and service quality affect the three factors of buying behavior toward cosmetics, namely, intentions to repurchase, revisit, and recommend. The result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ell-being consciousness found that the groups of 4-year-university graduates (undergraduates) and those earning monthly incomes between 2 million and 2.99 million w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interest in well-being lifestyle, while the groups purchasing cosmetics over 150,000 won per month were mostly sensation-seeking. Overall, the higher the level of well-being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of cosmetics and the level of buying behavior toward cosmetics. Sensation-seeking male consumers value service quality over consumption value and belong to a group with an education higher than graduate school, with a high monthly income, and a high spending in cosmetics. Meanwhile, self-devoted consumers put consumption value before service quality when purchasing cosmetic products and exhibit the highest levels of intentions to repurchase, revisit and recommend. These results imply that consumers who value service quality more than anything also tend to be more willing to repurchase, revisit and recommend.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will not only view every male consumer with buying power and influence as a single consuming subject and offer functional value, but also provide aesthetic, social values according to individual lifestyles.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preparing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cluding an opportunity for future male cosmetics and a sales promotion plan by identifying the possibility of consumers' increasing buying power. It is thus important to develop products and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ailor-made for groups with varying styles by analyzing male consumers' well-being consciousness and more detailed lifestyles. 웰빙 의식과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남성 로하스족이 늘어나는 시점에서 이들의 화장품 구매 행동이 웰빙과 로하스의 개념에 따른 소비의 특징, 소비자의 가치 지향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0-50대 남성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웰빙 라이프스타일의 5가지 요인 중 환경지향형, 건강추구형, 사회지향형을 제외한 자기충실형, 감성추구형의 소비자가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지향형, 건강추구형을 제외한 자기충실형, 감성추구형, 사회지향형의 소비자가 화장품의 구매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 중 소비가치와 서비스품질 모두 화장품의 구매행동의 3가지 요인인 재구매, 재방문,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웰빙 의식의 관련 결과에서는 4년제 대학교 졸업(재학)과 월평균 수입 200~299만원의 집단이 웰빙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고 화장품 월평균 구입비 15만원 이상의 집단은 감성추구형의 성향이 가장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웰빙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화장품에 대해 인식하는 가치 수준과 화장품 구매 행동력이 높다. 감성추구형의 남성 소비자는 소비가치 보다는 서비스품질을 중요시하고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 높은 월수입, 높은 화장품 구입비 지출 집단에 속하고, 자기충실형 소비자는 화장품 구매 시 소비가치를 서비스품질에 우선하여 생각하고 화장품 구매 후 재구매의도, 매장 재방문의도, 추천의도가 가장 높은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 품질을 중요시하는 소비자일수록 재구매, 재방문, 추천의지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구매력과 영향력을 지닌 남성을 하나의 소비 주체로 보고 단순한 기능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감성적, 사회적 가치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한 구매력의 상승 가능성을 파악하여, 향후 개발되는 남성 화장품의 제품기회와 판매촉진 방안 등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따라서 남성 소비자의 웰빙관련 인식과 그에 따른 좀 더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여 각각의 스타일 집단에 맞는 새로운 제품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수학 학습곤란 학생 선별 및 진전도 점검을 위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 개발

        고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Mathematics fosters the ability and attitude to creatively solve problems in real life and other subjects by allowing students to learn how to calculate and think logically. It also has value as a basic subject that provides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to have as a citizen of the world community and essential competencies to members of future society. Despite these values and importance of mathematics subjects, as a result of evaluating national achievement test and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PISA), the proportion of students underachieving basic education in mathematic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underachieving basic education is increasing and the educational gap is widening, there is a growing social demand to identify students' academic difficulties an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treatment. Gravois and Gickling (2002) attributed these students' academic difficulties to inconsistencies between curriculum, class and student ability. Curriculum Based Assessment(CBA) and Curriculum Based Measurement(CBM) were developed to provide curriculum and classes that conform to students' abilities based on this problem awareness. Curriculum Based Assessment and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were developed in a similar paradigm, but because of their differences in purpose and function, the two tests can be used together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tudents while having high relevance to classes. However, unlike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Curriculum Based Assessment is difficult to validate, so active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relatively, so there are very few test tools that teachers can use in classroom.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EMW-CBA) for all areas of mathematics to provide balanced intervention between areas and improve problem solving of students, the ultimat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Also It was intended to validate the developed EMW-CBA and to ensure that EMW-CBA is effectively used to progress monitoring of students under the Response to Intervention(RTI) syste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rom Study1 to Study3. First,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EMW-CBA) was developed, and whether the test was valid and reliable as a screening criter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as verified (Study1). Nex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gres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ere verified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obtained as a result of the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Study2). Finally,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is effectively used for the selection and progress monitoring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Response to Intervention system (Study3). In Study1,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the EMW-CBA,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learning goal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re identified, and the inspection area was selected based on mathematics textbooks, math learning textbooks, teacher guidance, and prior research. In addition, the word problem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textbook were collected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EMW-CBA. The collected question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centering on the subject matter of the main words constituting the problem from a syntactic perspective, semantic perspective, and EMW-CBA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rived implications. Data for validation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2019 (Study1) and 2020 (Study2) using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developed as the above process. First, in Study1, 604 3rd and 4th grade students attending 7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tested whether the tool was valid and reliable as a screening criter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For this purpos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isomorphism reliability, statemen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item difficulty, item discrimination, item fit value, and item response distribution as item parameter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secure content validity, the items were compos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reviewed by five experts in the draft inspection stage of Study1. As a result of calculating factor loading, scree plot, and RMSEA values for validation of construct validity, this measurement is interpreted as having a single factor structure of problem solving.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as a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Competence Tests(NISE-B·ACT), it was found that both the 3rd and 4th graders secured high criterion-related valid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isomorphism reliability and the statemen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also calculated with a high value of .9 or more, confirming that the measurement was reliable. Finally, through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item parameters, the items that need to be slightly modified in terms of difficulty and fit were revi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reasonable measurement to select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rough the item response distribution. In Study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gres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ere calculated for 957 3rd and 4th grade students attending 14 schools nationwid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vised items's item fit value and the problem response distribution were calculated and a more stable value was obtained than the preliminary test of Study1. As a result of the predictive valid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ourth grade obtained significant results in both intercept and slope, while the third grade only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slope.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4th graders, students who received low scores at the beginning of school classe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arning difficulties group, so they can predict whether they have learning difficulties only with the results of one uni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hird grad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y have learning difficulties only with the results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but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selectable through the student's progr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progress reliability value as an answer to the time when third-grade learning difficulties can be selecte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rogress reliability, the reliability index for all periods except the first unit of the third grade was found to be .9 or higher.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third grade,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appropriate to select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fter the test results of at least two units are collected. Finally, Study3 confirmed whether the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selecting and check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the Response to Intervention(RTI) model system. Accordingly, the usability of this measuremet was confirmed by verifying its effectiveness by introduc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at have been proven effective through previous studies. Therefore, it was checked whether the weekly test had the accuracy of screening every sess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secured the accuracy of selection in all sessions. In addition, the utility of this tool was confirmed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at have been proven effective through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60 out of 21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ier1 intervention were selected as learning difficulties(ld), of which 29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ier2 intervention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31 students who disagreed as comparison groups. As a result of conducting small group teaching through Direct Instruction(DI) using Schema based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and verifying it with a division function growth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gr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from the time the intervention began. Finally, it was found that all sessions of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secure the accuracy of screening. Finally, Study3 confirmed whether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with secured validity and reliabilit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selecting and check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Therefore, it was checked whether the weekly test had the accuracy of screening every sess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secured the accuracy of selection in all sessions. In addition, the utility of this test was confirmed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at have been proven effective through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60 out of 21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ier1 intervention were selected as learning difficulties, of which 29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ier2 intervention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31 students who disagreed. As a result of conducting small-group teaching through Direct Intervention using schema-based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and validating it with a split function growth mod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gr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from the time the intervention started. That is,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 was verified, confirming that this tool sensitively measures student progr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deriv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hecks students' progress through Curriculum Based Assessment, selects learning difficulties early,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guarantee basic education by implementing additional interventions that have proven effective for them. Second, if the Curriculum Based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develop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re used together, students can be evaluated more comprehensively while having a high relationship with classes. Third, by applying a simplified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that executes two-stage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t was intended to reduce the burden of teachers and satisfy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particular, the guidance plan developed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s in this study and the study materials for student and teacher can be used as teaching materials for mat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schools with a high proportion of education-funded students were first recruited in recruiting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refore, if the tes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utilized in schools with a low proportion of education-funded students, item difficulty or cut scores can be derived different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in third grade, unlike in fourth grade, it was concluded that learning difficulties should be selected after conducting two units of tests in terms of predi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these results a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s used for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same results are derived in terms of predictive validity and progress reliability by steadily using this test tool from Unit 1. Third, in 2020,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was difficult to exercise flexibility in securing arbitration targets and implementing arbitra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improve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by presenting more flexible models through future research. Fourth, Elementary Math Word-problem Curriculum Based Assess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istributed in printed form, and it took a lot of time to collect, score, and code the test papers. Considering the school site where online classes have been established to some ext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f you create an application or internet site, you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use the inspection tool more efficiently. 수학은 학생들로 하여금 논리적으로 계산하고 사고하는 방법을 익히게 함으로써, 실생활과 다른 교과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준다. 또한 세계 공동체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과 미래 사회의 구성원에게 필수적인 역량을 제공하는 기초교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수학 교과의 이러한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가수준학업성취도 및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수학교과에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수포자’가 우리사회에 신조어로 자리 잡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증가하며 교육격차는 심화되는 현 상황에서, 학생들의 학업곤란을 파악하고 적절한 교육적 처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Gravois와 Gickling(2002)은 이러한 학생들의 학업곤란(academic difficulties)은 교육과정 및 수업과 학생 능력 간 불일치에 기인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반하여 학생의 능력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및 수업을 제공해주고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평가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교육과정중심평가(Curriculum-Based Assessment, CBA)와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이 개발되었다. 교육과정중심평가와 교육과정중심측정은 유사한 패러다임에서 개발되었으나, 각자의 목적과 기능 면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두 검사를 함께 사용하면 수업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면서도 학생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교육과정중심측정과는 달리 교육과정중심평가는 타당화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검사 도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과 분리되어 단순계산에 치중하는 선행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영역 간에 균형 잡힌 중재를 제공하고 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학생의 문제해결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과 전 영역에 대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검사 도구를 타당화하고, 실제 중재반응모형(Response to Intervention, RTI) 체제에서 학습곤란(learning difficulties) 학생의 선별 및 진전도를 점검(progress monitoring)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1부터 연구3까지의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해당 검사가 학습곤란 학생의 선별 척도로서 타당하고 신뢰로운지 검증하였다(연구1). 다음으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 결과 얻어진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학습곤란 학생의 진전도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연구2). 마지막으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가 중재반응모형 체제에서 학습곤란 학생 선별 및 진전도 점검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는지 확인하였다(연구3). 연구1에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는 선행연구와 2015개정 수학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검사 개발을 위해 2015개정 수학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및 학습목표를 확인하고, 수학 교과서, 수학익힘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사 영역을 선정하였다. 또한 검사 개발에 시사점을 얻고자 2015개정 수학교과서에 수록된 문장제 문제를 수합하였다. 수합된 문항들을 구문론적 관점, 의미론적 관점, 문제를 구성하는 주요 단어의 소재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개발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를 활용하여 2019학년도(연구1)와 2020학년도(연구2)에 걸쳐 타당화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연구1에서 서울시 내에 소재한 7개 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604명을 대상으로 해당 도구가 학습곤란 학생의 선별 척도로서 타당하고 신뢰로운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타당도로서 내용 타당도, 구성 타당도, 공인 타당도를, 신뢰도로서 동형검사 신뢰도,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를, 문항모수로서 문항 난이도, 변별도, 적합도, 문항반응분포를 산출하였다. 내용 타당도 확보를 위해 연구1의 검사 초안 제작 단계에서 5명의 전문가가 검토한 내용을 반영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 부하량, RMSEA, 스크리도표를 산출한 결과, 본 검사는 문제해결의 단일 요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국립특수교육원 기초학습능력검사(NISE-B·ACT)와의 상관계수로써 공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3, 4학년 검사지 모두 높은 공인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형검사 신뢰도와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또한 .9 이상의 높은 값이 산출되어 신뢰로운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항모수 산출 결과를 통해 난이도와 적합도 측면에서 다소 수정이 필요한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문항반응분포를 통해 학습곤란 학생을 선별하기에 타당한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연구2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14개 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957명을 대상으로 학습곤란 학생의 진전도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1에서 수정을 거친 문항들의 적합도와 문항반응분포를 산출하여, 예비검사보다 안정된 값을 얻었음을 확인하였다. 예측 타당도 분석 결과 4학년은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은 반면, 3학년은 변화율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학년의 경우 등교 수업 초반에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학습곤란 집단에 소속될 확률이 높으므로, 한 단원의 결과만으로도 학습곤란 여부를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3학년의 경우 검사 초반의 결과만으로 학습곤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나, 학생의 진전도를 통해 선별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3학년 학습곤란 학생의 선별이 가능한 시점에 대한 답으로서 진전도 신뢰도 값을 참고할 수 있다.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3학년 첫 번째 단원을 제외한 모든 시기의 신뢰도 지수가 .9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학년의 경우 적어도 두 단원의 검사 결과가 수합된 이후에 학습곤란 학생을 선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3에서는 연구1과 연구2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가 실제 중재반응모형 체제에서 학습곤란 학생 선별 및 진전도 점검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에 매주 실시된 검사가 매 회기마다 선별의 정확성을 갖는지 점검하였다. 검증 결과,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는 모든 회기가 선별의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증거기반의 중재를 투입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본 검사 도구의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Tier1 중재에 참여한 216명의 학생 중 60명을 학습곤란(learning difficulties, ld) 학생으로 선별하고, 그 중 Tier2 중재 참여에 동의한 29명의 학생을 실험집단, 동의하지 않은 31명의 학생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도식 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를 통하여 소집단 교수를 실시하고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검증한 결과, 중재가 시작된 시기부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진전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증거기반중재의 효과성이 검증됨으로써 본 도구가 학생의 진전도를 민감하게 측정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과정중심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진전도를 확인하여 학업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을 조기 선별하고, 그들에게 효과가 입증된 추가 중재를 실행함으로써 기초학력을 보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주된 의의를 갖는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와 기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중심측정을 함께 활용한다면, 수업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면서도 학생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셋째, 학습곤란 학생을 대상으로 2단계 중재를 실행하는 간소화된 중재반응모형을 연구에 적용하여, 교사의 업무부담을 경감시켜주면서도 학생의 교육적 수요를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중재 실행을 위해 개발된 지도안과 학생용·교사용 학습지는 학습곤란 학생들의 수학교육을 위한 교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참여하는 학교를 표집함에 있어 교육비 지원을 받는 학생 비율이 높은 학교를 우선적으로 모집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교육비 지원 학생 비율이 낮은 학교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검사를 활용한다면 문항 난이도나 절단 점수(cut scores) 등이 본 연구 결과와 다르게 도출될 수 있다. 둘째, 3학년의 경우 4학년과는 달리 두 단원 정도의 검사 시행 후 학습곤란 학생을 선별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이러한 결과가 학년 특성에 의한 것인지, 분석에 활용된 단원의 특성에 기인한 것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검사 도구를 1단원부터 꾸준히 활용하여 예측 타당도와 진전도 신뢰도 측면에서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2020학년도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중재 대상자를 확보하여 중재를 실행함에 있어 융통성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보다 유연한 모델들이 제시되어 중재반응모형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 수학 문장제 문제 교육과정중심평가도구는 인쇄물로 배부되어 검사지 수합, 채점, 코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학교 현장을 고려하였을 때, 어플 또는 인터넷 사이트를 제작한다면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검사 도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 급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인과 모형 비교 : 타인인정추구와 지능신념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서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school levels and verify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n validation from others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further aims to compare causal models betwee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argeting 400 students (92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90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9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109 gifted high school students), self-administered question surveys were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cales of validation from other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For verifying research problems, twoway ANOVA, linear regression and SPSS MACRO, with bootstrapping method we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average on validation from others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Second, high school students were lower beliefs about improvement of intelligenc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comparing gifted with general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idn’t show. Thir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average on RAI(Relative Autonomy Index)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Especially in case of gifted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s self-determination level was low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same as general students. But gifted high school students’s self-determination level was higher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Forth, validation from other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school levels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Fifth, beliefs about intellig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evels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gifted students, whereas partially mediated in general students. It means beliefs about intelligence’s mediation effect between school levels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s more powerful in gifted student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Sixth, high school students’s validation from ot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sequently beliefs about improvement of intelligence and self-determination got lower in order in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o be concrete, validation from others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 played complete medium roles between school levels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gifted students whereas partial medium roles in general students. It means validation from others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s mediation effect between school levels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s more powerful in gifted student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Furthermore, It means that as school levels heighten, self-determination doesn’t get lower in gifted students but in case of general students, higher school levels by itself influence self-determination gets low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 급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를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타인인정추구와 지능신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두 집단 간 인과 모형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공립초등학교 재학생 92명(초등일반학생), 서울 소재 K대학교 초등영재교육원 재학생 90명(초등영재학생), 충북 소재 C일반고등학교 재학생 73명(고등일반 남학생), 충북 소재 B일반고등학교 재학생 36명(고등일반 여학생), 전북 소재 J과학고등학교 재학생 109명(고등영재학생) 총 4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인인정추구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Wei와 Mallinckrodt(2006)가 제작한 검사지를 한민희(2010)가 한국형으로 번안한 타인인정추구 검사지를 주로 사용하였다. 지능신념과 자기결정성 동기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2005종단연구 2, 3, 4차년도 설문지의 ‘지능에 관한 신념’ 검사지와 ‘자기결정성’ 검사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이원분산분석 및 선형회귀분석과 Hayes(2013)가 제안한 SPSS MACRO를 통해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인정추구는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일반학생이 영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지능의 고정관점을 지지하는 지능신념이 높고 반대로 향상관점을 지지하는 지능신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경우 지능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자기결정성 동기는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일반학생이 영재학생보다 자기결정성이 낮고 두 변인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재학생의 경우 일반학생과 마찬가지로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자기결정성이 감소하였으나, 고등영재학생이 초등일반학생보다 자기결정성이 오히려 높아 학교급과 영재 여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넷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 급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계에서 타인인정추구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지능의 향상관점을 지지하는 지능신념이 낮고, 그 결과 자기결정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재집단은 완전매개, 일반집단은 부분매개모형을 보여 영재학생의 경우 학교 급에 따라 지능신념이 자기결정성에 대해 갖는 매개효과는 일반집단의 그것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타인인정추구가 높고, 그 결과 지능의 향상관점을 지지하는 지능신념이 낮아지며 이는 자기결정성이 낮아지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영재집단은 완전매개, 일반집단은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재학생의 경우 학교 급에 따라 타인인정추구와 지능신념이 자기결정성에 대해 갖는 매개효과는 일반학생의 그것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학교 급이 높아짐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나, 일반학생들은 학교 급이 높아지는 것 자체로도 자기결정성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중매개모형을 통해 학교 급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가 낮아지는 원인을 해석하면 고등학생은 초등학생보다 타인인정추구가 높고, 이는 지능신념 중 향상관점을 지지하는 데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자기결정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타인인정추구는 자신의 행동이나 사고방식을 결정함에 있어 타인의 시선이나 기준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학습자의 경우 자신의 지능에 대해서도 그 기준을 본인 스스로의 만족이나 도달점으로 삼기 보다는 타인과의 비교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통해 결정하게 된다. 즉 스스로의 노력으로 누적될 수 있는 결정적 지능보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타인과의 우위에 집중하여 유동적 지능을 중심으로 한 지능의 이미지를 내재하게 되는데, 이 때 유전적으로 타고난 타인과의 우위는 쉽게 변하지 않는 요인이기에 이러한 학습자는 지능신념 중 고정관점을 지지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능의 고정관점을 지지하는 학습자는 스스로의 배움에 초점을 두는 학습목적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똑똑하게 보이는 것에 초점을 두는 성과목적을 추구하므로 학습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는 내재적 동기를 갖기 어렵고, 따라서 자기결정성 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 Role of PmrAB in Colistin Resistance and Virulence of Acinetobacter baumannii :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콜리스틴 내성 및 독성에 대한 PmrAB의 역할

        고서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A. baumannii is an opportunistic nosocomial pathogen and a member of ESKAPE pathogens that are important multi-drug resistant microorganisms. Bacterial pathogens adapt to and survive in harsh environments through several regulatory systems such as TCS. TCS also regulates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bacterial pathogenesis. The PmrAB TCS is a major regulator of colistin resistance. PmrAB is activated by environmental signals such as acidic pH, high Fe3+, and low Mg2+ levels, leading to achieve the resistance of colistin through lipid A modification of LPS by the expression of pmrC, a pEtN transfera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PmrAB TCS of A. baumannii in the resistance to colistin, virulence, and OMV biogenesis using the WT A. baumannii 17978, ΔpmrA (HJ2751D) and ΔpmrB (HJ2751D) mutant strains, and pmrA-complemented strain (HJ2751C). The WT A. baumannii strains cultured at pH 5.5 showed a 32-fold increase of colistin MIC compared with that cultured at pH 7.0, and the colistin MIC of HJ2751C strain increased by 256-fold at pH 5.5 compared to pH 7.0. However, the colistin MIC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HJ2751D and HJ2751D mutant strains grown in the media at pH 5.5. The expression of pmrCAB operon in the WT strain grown at pH 5.5 increased to 8.3, 2.6, and 2.1-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in the WT strain at pH 7.0. The expression of pmrCAB operon in the HJ2751D and HJ2751D mutant strains at pH 5.5 de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WT strain at pH 5.5. PmrA protein was only detected HJ2751D strain carrying the ppmrA_FLAG plasmids grown at pH 5.5, and not detected in HJ2751D strain carrying the ppmrA_FLAG plasmids. In the WT strain cultured at pH 5.5, the lipid A modification by the addition of phosphoethanolamine was observed using the MALDI/TOF MS analysis. PmrAB TCS does not affect the growth of A. baumannii at pH 7.0 or pH 5.5, and under shaking or static conditions. The surface motility was decreased to about 30% in the HJ2751D and HJ2750D strains than the WT strain by the low expression of A1S_0113, A1S_0115 and A1S_0116 genes. Biofilm formation of HJ2751D and HJ2750D mutant strains grown at pH 7.0 was decreased to 73% and 6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WT strain at pH 7.0 at 12 h incubation. Biofilm mass was also decreased to up to 87% in the WT strain grown at pH 5.5, compared to the HJ2751D and HJ2750D strains at 12, 24, and 48 h, suggesting that PmrAB regulates the attachment or initiation of biofilms in A. baumannii. The size of OMV particles was increased in the HJ2751 and HJ2750 mutant strains, and protein concentrations in the OMV particles were decreased to 70% in the HJ2751 strain compared to WT strai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PmrAB TCS controls resistance to colistin, surface motility, biofilm formation, and OMV biogenesis in A. baumannii.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association of PmrAB TCS with the adaptation and pathogenicity of A. baumannii under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주로 병원감염을 일으키는 기회감염균으로, 항균제 다제내성으로 보건학적 문제를 일으키는 ESKAPE(장알균, 포도알균, 폐렴막대균, 아시네토박터, 녹농균, 엔테로박터) 병원균 중 하나이다. 세균은 여러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한다. 신호 전달 매개체 중 하나인 two-component system(TCS)은 항균제 내성 및 병원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세균의 적응 반응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 콜리스틴 내성의 주요 조절자로 알려진 PmrAB TCS는 낮은 pH, 높은 철분 또는 낮은 마그네슘과 같은 여러 환경 신호에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형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TCC 17978, ΔpmrA(HJ2751D) 및 ΔpmrB(HJ2750D) 결실 돌연변이 균주와 pmrA 보완 균주(HJ2751C)를 사용하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항균제 내성, 병원성, 외막소포체 생합성에서의 PmrAB TCS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pH 7.0에서 배양한 야생형 균주에 비해 pH 5.5에서 배양한 야생형 균주는 콜리스틴의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가 32배 증가하였고, HJ2751C 균주는 pH 7.0에 비해 pH 5.5에서 배양하면 콜리스틴 MIC가 256배 증가하였다. 반면 HJ2751D와 HJ2750D 균주는 콜리스틴 감수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 7.0에서 배양한 야생형 균주보다 pH 5.5에서 배양한 야생형 균주에서 pmrCAB 오페론의 발현이 각각 8.3배, 2.6배, 2.1배 증가한 반면, pH 5.5에서 배양한 HJ2751D 균주는 pH 5.5에서 배양한 야생형 균주에 비해 5.1배, 13.3배, 1.3배 감소하였으며, HJ2750D균주는 7.2배, 1.9배, 84.4배 감소하였다. PmrA 단백질은 pH 5.5에서 배양한 ppmr_FLAG plasmid가 도입된 HJ2751D 균주에서만 검출되었으며, ppmr_FLAG plasmid가 도입된 HJ2750D 균주에서는 pH 5.5와 pH 7.0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MALDI-TOF 질량분석을 통해 pH 5.5에서 배양한 야생형 균주에서 phosphoethanolamine(pEtN)이 공유 결합된 lipid A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mrAB TCS가 sensor kinase인 PmrB를 통해 산성 환경을 감지하고, 산성 조건에서 pmrCAB operon의 유전자 발현 유도는 lipopolysaccharide의 lipid A에 pEtN을 결합시켜 콜리스틴 내성을 유도함을 의미한다. HJ2751D와 HJ2750D의 표면운동성(surface motility)은 야생형 균주와 비교하여 약 30% 감소하였고, PmrAB가 표면운동성 관련 유전자인 A1S_0113 (acyl-CoA dehydrogenase), A1S_0115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 및 A1S_0116 (RND superfamily transporter)의 유전자 발현을 통해 표면운동성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pH 7.0에서 HJ2751D 및HJ2750D 균주의 균막형성은 12시간 배양 시 야생형 균주보다 각각 73%, 68% 감소하였고, pH 5.5에서는 12, 24, 48시간 모두에서 HJ2751D와 HJ2750D 균주에 비해 야생형 균주에서의 균막형성이 최대 87%까지 감소하였는데, 이는 PmrAB가 균막형성의 초기 부착 단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외막소포체의 입자 크기는 야생형 균주에 비해 HJ2751D와 HJ2750D 균주에서 각각 27%와 29% 증가하였고, 외막소포체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농도는 HJ2751D 균주에서 70%까지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PmrAB TCS가 pH 5.5산성 환경에 반응하여 콜리스틴 내성을 유도하고, 표면운동성, 균막형성 및 외막소포체 생합성 등 균의 병원성에 관련된 다양한 독력인자를 조절함을 규명하였다. PmrAB TCS가 항균제 내성 및 독성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환경 변화에 대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적응 반응에 관여함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 문학 번역물 유형 기반의 번역 전략과 명시화 양상 연구

        고서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ly to categorize translations based on Chesterman's translation strategies to examine difficulties in English into Korean. Secondly, we will examine several examples of explicitation types in literary translations for children and adults. English and Korean do not have the same grammatical systems or cultural modes of expression. The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Korean culture can make it difficult for target text readers to understand and accept translations that possess many unfamiliar cultural features and expressions. The aim of literature translation is to enable target text readers to have similar feelings and impressions as those of source text readers. Therefore, a good translator should acknowledg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to be understood in the culture of the target text readers. Explicitation is a much discussed subject in translation studies. Especially, Blum-Kulka(1986) developed what is referred to as the ‘explicitation hypothesis'. In the act of interpretation performed by the translator on the source text, the target language text becomes more redundant than the source language tex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observe whether the translator becomes more overt in children's literature, and thus more explicitation is found in translations targeted towards younger readers. The assumption behind this study of explicitation is that translators play a more active mediating role when translating children's literature, compared to books targeted towards an adult audience. The translator uses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for readers of the target text.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ses various strategies that translators can use, and also evaluates these strategies in literary translations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The translator must mediate between the two languages carefully in these circumstances by trying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 소셜미디어(Social Media)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미술 수업 방안 연구

        고서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2020년 4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는 온라인 개학을 맞이하였고 온라인 교육을 시작했다. 대면 수업이 어려워 실시간 참여형 수업, 과제 제시형 수업 등의 온라인 수업을 했고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이번 온라인 수업은 기존의 수업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온라인 수업은 비대면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의 과정을 설계하고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자기주도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학습자 간의 학습 격차가 생길 수 있고 교수자가 의도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대부분의 미술 수업은 예시 영상을 보고 작품 만들어오기 혹은 영상에 담긴 작품 감상하기 등 제한된 활동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해줄 방법으로 디지털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을 제안한다.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기존에 사용하던 종이 포트폴리오가 보관과 업데이트가 어렵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미흡하다는 점, 결과 중심의 피드백을 하게 된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자발성과 동기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미술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는 총 12차시로 진행되며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할 수 있는 미술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 결과를 정리하여 어떤 장점이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 기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미술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업 및 코로나19로 인한 학습 결손을 보완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이 온라인 수업의 방법이나 코로나19로 인한 결석 등의 보충 학습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학습 격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 과정과 결과를 기록하고 반성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이 향상된다. 셋째, 댓글 기능의 피드백으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소셜미디어의 댓글 기능을 이용해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피드백 주체에 의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피드백을 통해 학습 과정을 성찰하며 발전할 수 있다. 넷째, 자기표현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게시물을 작성하면 타인에게 공유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학생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표현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의 방법을 제안한다.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 제안을 통해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길 기대하며 온·오프라인 교육에서 모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수업 방안이 나오길 바란다.

      • 영화 Script를 통한 듣기와 쓰기 지도방안 연구 : Jane Austen의 Pride & Prejudice

        고서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English listening and writing skills by using the movie script. The text under consideration is the film script of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Needless to say, the original text(novel), the visualized film, and the film script are all useful tools for improving both the learner's literary appreciation as well as their linguistic skills. It could be argued that the use of film and literature will pay the way for reforming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predominantly focuses on university entrance exam.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serves as an ideal choice for teaching materials. Above all, the learners can make an easy access to this novel because it has many interesting episodes written in simple sentences. In addition, it includes daily happenings in the English countryside such as social intercourses, weddings, and partings. Based on the film script, in listening part, I devised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a cloze test, true or false choice, and matching the scene. In writing part, I devised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description of selected places in the movie, transforming the original and abridged text into the film script (mainly in the form of dialogues), a short essay writing, and how to use dictions. In conclusion, a film version of an English novel, for example, Pride and Prejudice will serve as useful teaching materials at the high school level because it is easy and interesting to read. Classroom activities included and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will be of much practical use to English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 Script를 활용하여 최근 영어교육에서 중시하고 있는 영어의 듣기능력과 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의사소통의 기초적인 기능인 듣기활동과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이고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필요한 쓰기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간결한 문장과 많은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포함하고 있고, 영국 시골의 일상생활과 연인들의 만남과 헤어짐, 결혼 등의 소재를 다루고 있어 학습자의 접근이 쉬운 이상적인 교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만과 편견󰡕의 영화와 영화 Script를 텍스트로 사용하여 듣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몇 가지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듣기활동의 경우, 몇 가지 기준에 의해 선정된 명장면을 활용한 Cloze Test, 장면 고르기, True or False 고르기 등을 포함했다. 쓰기활동의 경우, 영화 속 주요 장소에 대한 묘사, 원본과 축약본을 비교하여 script로 바꿔 쓰기, 결혼의 유형에 관한 에세이 쓰기 활동, Diction 사용법 등을 포함했다. 아울러서 이런 활동들을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영화화된 문학작품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이를 통해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수준의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교재가 될 수 있다.

      • 유전자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발암성ㆍ유전독성 biomarker 연구

        고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신기술을 이용해 화학물질에 의한 유전자 손상시 반응하는 유전자 프로파일을 지표로 사용하여 유전독성 및 발암성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독성 대체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전자 칩(GeneChip) system은 Mouse Genome 430 2.0 array (Affymetrix)를 선정하였다. L5178Y mouse lymphoma 세포에 20 종의 시험물질을 처치한 후, total RNA를 분리하여 다음의 4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의 특징적인 유전자 발현을 보이는 바이오 마커를 찾아 보았다. 시험물질을 처치한 sample을 Microarray 실험을 통해 얻은 data를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해 검증해보았다. 유전독성-발암성 시험물질에는 1,2-dibromoethane, glycidol, melphalan, urethane, diethylstilbestrol이 있었다. 유전독성-비발암성 시험물질에는 8-hydroxyquinoline, emodin, acetonitrile, diallylphthalate, L-ascorbic acid가 있었다. 비유전독성-발암성 시험물질에는 methylcarbamate, o-nitrotoluene, 1,4-dioxane, tetrachloroethylene,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이 있었다. 그리고 비유전독성-비발암성 시험물질에는 D-mannitol, 1,2-dichlorobenzene, caprolactam, bisphenol A, chlorpheniramine maleate가 있었다. MAS 5.0분석법을 이용하여 Global normalization과 Quantile normalization후에 fold change 2배 이상, p-value 0.05이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 프로파일을 얻었다. 그리고 RMA분석법을 이용하여 fold change 2배 이상, p-value 0.05이하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프로파일은 시험물질에 따라서 수가 적은 경우가 많아서 fold change를 1.5배 이상으로 낮추어 데이터를 얻었다. MAS 5.0와 RMA 분석법을 이용한 결과에서 Melphalan, diallylphthalate, bisphenol A를 제외한 나머지 시험물질에서는 공통적으로 유의하게 변하는 유전자가 없었다. 그래서 새롭고 간편하지만 성능이 좋은 방법인 TSP(Top Scoring Pair) classifi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Caskin 1과 Nol 3가 발암성 존재하에 유전독성의 biomarker로써 확인되었다. 그리고 MAS 5.0분석법을 이용하여 도출된 Gene Ontology와 RMA 분석법을 이용하여 그린 GO Tree에서 공통되는 pathway는 다음과 같았다. 발암성에 관련해서는 MAPK pathway signaling pathway 유전독성에 관련해서는 natural killer cell mediated cytotoxicity 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Caskin 1/ Nol3의 pair 와 cell signaling pathway는 각각 유전독성과 발암성에 대하여 좋은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microarray analysis of L5178Y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twenty test compounds using Mouse Genome 430 2.0 Array in order to find out biomarkers for genotoxicity and carcinogenic toxicity. Twenty test compounds were consist of four classes, such as genotoxic carcinogens, genotoxic noncarcinogens, nongenotoxic carcinogens, and nongenotoxic noncarcinogens. Genotoxic carcinogens are 1,2-dibromoethane, glycidol, melphalan, diethylstilbestrol and urethane. Genotoxic noncarcinogens are 8-hydroxyquinoline, emodin, acetonitrile and diallylphthalate, L-ascorbic acid. Nongenotoxic carcinogens are methyl carbamate, o-nitrotoluene, 1,4-dioxane, tetrachloroethylene and 2,3,7,8-tetrachlorodibenzo -p-dioxin. And nongenotoxic noncarcinogens are D-mannitol, 1,2-dichlorobenzene, caprolactam, bisphenol A and chlorpheniramine maleate. Based on MAS 5.0 analysis, common gene expression profiles change over 2-fold (p-value<0.05) were identified by Global normailzation and Quantile normalization. However based on RMA analysis, few common gene expression profiles change over 2-fold (p-value<0.05) were identified over 2-fold change, below p-value 0.05. Therefore robust multi-array analysis (RMA) and the MAS 5.0 algorithm were used for search common gene expression profile change in response to test chemicals by using 1.5-fold as a cut off. Melphalan, diallylphthalate, bisphenol A out of twenty test chemicals showed common gene profile from both RMA and MAS 5.0 algorithm analysis. We have analyzed using the top-scoring pair (TSP) classifier, and identified Caskin 1/Nol 3 pair as genotoxic biomarker using carcinogenic chemicals. Based on MAS 5.0/Ontology and RMA/GO Tree analysis, we have found out that MAPK pathway signaling pathway was seems to be carcinogenic toxicity, and natural killer cell mediated cytotoxicity seems to be related to genotoxicity. In summary, this study showed Caskin 1/ Nol 3 pair and cellular signaling pathway could be a biomarker for genotoxicity and carcinogenic toxicity,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