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lymerization of Multiynes to Give Conjugated Polyenes and Polyenynes : Cyclopolymerization and Cascade Metathesis/Metallotropy Polymerization

        강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iscovery of polyenes, such as polyacetylenes, led to intense interest in the use of organic compounds in optoelectronic materials. Notably, using α,ω-diyne derivatives as monomers involved cyclization reactions during polymerization, affording polyacetylene structures containing cycloalkene rings. Studies from the past decades provided efficient cyclopolymerization systems using Mo- and Ru-based catalysts, enhancing the monomer scope and the complexity of the resulting polymers. However, there had been constraints in using certain types of catalysts and monomers, limiting the utility of cyclopolymerization. In addition to polyenes, conjugated polyenynes consisting of double bonds and triple bond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intriguing optical properties. However, their synthetic routes were limited to topochemical polymerization and step-growth polymerization, thus the controlled synthesis of conjugated polyenyne had remained elusive.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expansion of the scopes of catalysts and monomers for the cyclopolymerization of α,ω-diynes using Ru-based olefin metathesis catalysts. Furthermore, we broadened the utility of Ru catalysts for making conjugated polymers by developing cascade metathesis and metallotropy polymerization, which is the only method thus far that yields conjugated polyenynes via chain-growth mechanism. In Chapter 2, we demonstrate the successful cyclopolymerization using the first-generation Grubbs catalyst (G1), which had been known to be inactive toward cyclopolymerization. After the extensive additive screening, we found two additives, benzoic acid and sodium benzoates, are effective for enhancing the activity of G1, enabling the efficient cyclopolymerization of various 1,6-heptadiyne monomers. The roles of the additives were elucidated by control experiments combined with in situ NMR studies. While most studies on cyclopolymerization used 1,6-heptadiynes as monomers, polymerization of 1,5-hexadiynes had been elusive due to the high ring strain of cyclobutenes in the resulting polymer structure. We describe, in Chapter 3, the cyclopolymerization of 1,5-hexadiynes, in which challenging cyclizations occur to give new polyacetylene structure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Sterically bulky groups in the catalysts and monomers facilitated the cyclization reactions, even allowing for the controlled polymerization as well as the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s.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ies supported that these new polymers possess exceptionally delocalized π-systems. We also became interested in making conjugated polyenynes by using Ru-alkylidenes. In Chapter 4, we demonstrate the design principle for various multiyne monomers to proceed polymerization via sequential and selective reactions of olefin metathesis and metallotropic 1,3-shift. This new polymerization, which we call cascade metathesis and metallotropy polymerization (i.e., M&M polymerization), afforded unique conjugated polyenyne motifs consisting of different numbers and sequences of double and triple bonds. Moreover, living polymerization gave access to the precise control over molecular weights of polymers as well as to the synthesis of block copolymers. Lastly, the scope of M&M polymerization could be broadened by switching the regioselectivity, as described in Chapter 5. Conventional Grubbs catalysts underwent M&M polymerization via α-addition to give only five-membered rings in the backbone. In contrast, the use of a Ru catalyst containing a dithiolate ligand successfully switched the regioselectivity to β-addition, thereby providing new conjugated polyenynes having alternating six- and five-membered rings. Furthermore, it exhibited unique polymeriz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formation of alkyne-chelated Ru complex, as confirmed by in situ NMR analysis. 폴리엔 (폴리아세틸렌)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성 고분자의 발견 이후, 다양한 공액 고분자는 여러 전기·광학적 재료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양 끝에 삼중 결합을 갖는 다이아인 단량체는 고리화중합을 거쳐 사이클로알켄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틸렌을 형성할 수 있다. 지난 수 십년 간의 연구를 통해 몰리브데넘과 루테늄 기반의 촉매를 사용하는 고리화중합 방법이 개발되어 왔지만, 여전히 몇몇 종류의 촉매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폴리엔뿐만 아니라 폴리에나인 구조를 갖는 공액 고분자 또한 흥미로운 광학적 성질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은 토포케미컬 중합이나 단계 중합 반응에 의존해 왔기 때문에 정교한 분자량 조절을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루테늄 촉매를 사용한 고리화 중합 반응 연구를 확장하여 기존에 사용할 수 없었던 촉매와 단량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루테늄 촉매로부터 올레핀 복분해와 금속 이동 반응이 일어나는 연쇄 중합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처음으로 사슬 중합 메커니즘을 통해 폴리에나인을 합성하는 사례를 보고한다. 2장에서는 기존에 고리화 중합 반응에 사용되지 못했던 1세대 그럽스 촉매 (G1)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폴리엔을 합성하는 것을 보고한다.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시도했을 때, 벤조산과 벤조산 나트륨이 G1의 반응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1,6-헵타다이아인의 고리화 반응 중합을 진행시킬 수 있었다. NMR 분석을 이용한 대조 실험들을 통해 이 두 종류의 첨가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고찰하였다. 1,6-헵타다이아인을 단량체로 사용하는 고리화중합 연구가 많이 진행된 것과는 달리, 1,5-헥사다이아인의 경우에는 고리화 반응 이후에 생성되는 사이클로뷰텐의 불안정성 때문에 단량체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3장에서는 1,5-헥사다이아인을 사용하여 4각 고리를 형성하는 중합 과정을 통해 새로운 종류의 폴리엔을 합성한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커다란 입체 구조의 작용기를 가진 촉매와 단량체를 사용했을 때 고리화중합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어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록공중합체의 합성도 가능하였다. 또, 4각 고리를 가지는 새로운 폴리엔이 기존의 경우보다 특히 비편재화된 π-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계산적 방법을 통해 밝혀내었다. 더 나아가, 루테늄 촉매를 이용한 고분자 합성 확장의 일환으로 폴리에나인 공액 고분자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멀티아인 단량체 디자인을 통해, 올레핀 복분해와 금속 이동 반응이 연속적이고 선택적으로 일어나는 중합 방법 개발에 대해 서술한다. 새로운 M&M 중합을 통해 이중 결합과 삼중 결합의 다양한 조합으로 뼈대가 구성되는 특이한 폴리에나인을 합성할 수 있었다. 또, 리빙 중합을 통해 고분자의 분자량 조절과 블록공중합체의 합성도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기존의 M&M 중합의 위치 선택성을 전환함으로써 본 연구를 보다 확장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전의 M&M 중합은 α(알파) 배향을 통해 5각 고리를 선택적으로 생성하였는데, 루테늄 다이싸이올레이트 촉매를 사용한 경우 β(베타) 방향으로 선택성이 전환되어 결과적으로 6각 고리와 5각 고리가 번갈아 나타나는 새로운 폴리에나인을 형성할 수 있었다. 추가적인 NMR 분석을 통해 중합 과정에서 인접한 알카인이 킬레이트를 형성하여 중합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Weighted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네트워크 패킷기반의 비정규 침입탐지 기법

        강철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과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서 거의 대부분의 기업과 사람들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중요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와 시스템의 서비스 등을 공격자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때문에 IT 업계에서는 보안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고 그 속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솔루션이 방화벽과 함께 침입 탐지 시스템(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이다. 공격의 기법은 점점 더 다양화 되고 있으며 더욱 더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그 탐지는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다가올 공격들은 매우 심도 있는 공격이 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응은 매우 시급하다. 구체적이고 빠른 해결책이 필요하며, 이러한 해결책은 현존하는 보안문제에 대한 대응을 포함하여 앞으로 발생할 잠재적인 위협을 막을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격 패턴에 의한 침입 탐지가 아니라 정상적인 행동에서 벗어나는 모든 행동들에 대해서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기존의 침입 탐지 시스템은 알려진 공격으로부터 침입 탐지 규칙을 추출하기 때문에 새로운 침입에 대한 탐지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방법과는 다르게 침입에 대한 행위를 벡터화하여 기계학습 모형인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침입 탐지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통계적 분석 기법을 통한 가중치를 계산하여 애트리뷰트에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으로는 탐지가 불가능했던 새로운 유형의 침입에 대한 탐지가 가능함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system, most of the companies and persons are using computer in their life and important information is shared by internet nowadays. In these situations, the protection about information and service of system from many invader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So IT industries is paying attention to the security and you can find the solution at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or firewall. Techniques of attack have been gradually diversified. They are also changing intellectually more and more so it's getting harder to detect about that. Attacks that are coming in the future will be very serious, dangerous so immediate confrontation is necessary to cope with situation. Solutions must be concrete, quick and be powerful to prevent potential coming threats which can be occurred. Therefore, not detection of invasion but new technique that can detect all the cases about abnormal behaviors is needed. There's a limit in existing invasion detection system because it makes invasion detection rule from well-known attacks. In difference with established ways behavior of invasion is vectorized and invasion detection model is built by an instrument studying sample, Support Vector Machine in this thesis. This thesis suggested the method that endow to the attribute by calculating weigh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Using suggested technique, it can be inspected by an experiment that detection about new type of invasion that is impossible before is possible.

      • 웹을 이용한 데이터보안관리시스템 구현

        강철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웹을 이용하여 안전한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보안정책이 수립 및 적용되고, 데이터의 위 · 변조 및 유출방지를 위한 솔루션을 적용한 데이터보안관리시스템 (DSMS : Data Security Management System)을 설계, 구현 및 시험한다. 웹 브라우저를 통해 관리자는 데이터의 등록, 수정, 삭제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 관리와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 시스템 접근통제 보안정책 적용, 데이터 접근권한 통제를 통해 시스템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열람, 다운로드 및 인쇄 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데이터관리시스템과 DRM으로 나누어진다. 데이터관리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은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Document Safer 소프트웨어로 구성 되어 있다. Document Safer는 시스템에 설치되어 데이터의 직접적인 보호를 위한 암호화, 유출 방지 및 유출경로 파악을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시스템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며, 웹을 이용한 데이터의 관리 및 서비스를 수행하며, 시스템의 사용자에 대한 보안정책, 접근제한 통제, 데이터에 대한 위 · 변조 및 유출방지를 통해서 안전하게 안정적인 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this paper, the Data Security Management System (DSMS), in which a security policy for safe data management based on Web and a solution for data security are applied, is introduced and demonstrated. The system is maintained by the administrator not only for general matters such as data registra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through Web, but also for the site security policy, the access control to system and the control of user's privileges for the safety of the system and data. Users can read, download and print the data upon simple requests. The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small systems, i.e. Web system, and security system that is connected. The web system consists of Web browsers, a Web server, Web applications software and a Database. The security system, that promises data security, includes a Digital Rights Managements (DRM) server DRM Web applications and document safer software. The document safer inhibits making of any unauthorized data copy and enables the data flow monitoring for the sake of data safety. Each system performs data managements through Web with having a close connection to another, and provides safe and stable services by means of the security policy to users, the reliable access control and the protection of illegal data manipulation & duplication.

      • 비엔날레 기록화방안 연구 : 광주비엔날레 기록 수집방안을 중심으로

        강철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ncrete method of collecting of Biennale archive in Korea. The Biennale which held biennially exhibits various experimental artworks through close interaction with holding area focusing on issues of the same age. Therefore, one could see local culture and various issues of same age through records of Biennale. However, among the 11 ongoing Biennale in Korea, there are no Biennale systematically manages the archive. In this research, we pointed out three major problems by analyzing archive management of Gwangju Biennale foundation which is in charge of managing the Gwangju Biennale, the first Biennale ever held in Korea. First, There are no collection policy that shows the purpose and subject of Biennale archive. Second, there are no human resources that take full charge of collecting task. Third, there are no concrete managing plan of collected records. After analyzing current situation of Gwangju Biennale archive management, we analyzed the Venice Biennale, Cassel Documenta, Sao Paulo Biennale archive for foreign case analysis. By analyzing the foreign Biennale archive case, we learned several implications. First, they defined the concrete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collection data from Biennale with separate archives. Second, they had group of archivist and various fields that collects and preserves Biennale records in cooperation form. By gathering these contents, be proposed the concrete collecting method of Gwangju Biennale archive by sorting into collection policy and management method after collection. To begin with, we deduced factors of collection policy by existing precedent research. The deduced components are categorized into mission, purpose, collecting range, order of priority, collecting plan, measures of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 and matter of utilization and disposal. Each categor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Gwangju Biennale. For management method after collection, we proposed into three category which are institution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human resource environment. For institutional environment, we suggested policy for managing method of Gwangju Biennale that can supports collection policy. For physical environment, we proposed facility and method for preserving archive of Gwaungju Biennale based on facility regulations of managing permanent archive. Lastly, for the human resource environment, we made a suggestion of exclusively charging the archive collection of Gwangju Biennale in the form of a team.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비엔날레 기록의 구체적 수집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격년제로 진행되는 비엔날레는 동시대의 이슈를 중심으로 개최지역과 밀접한 상호관계를 통해 다양한 실험적 성격의 미술작품들이 전시된다. 따라서 비엔날레 기록을 통해 동시대의 다양한 문제와 지역문화에 관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11개의 비엔날레 가운데 체계적 기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개최된 광주비엔날레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광주비엔날레 재단의 기록관리 현황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첫째, 비엔날레 기록 수집의 목적 및 대상을 나타내는 수집정책의 부재이다. 둘째, 수집 업무를 전담하는 관리 인력의 부재이다. 셋째, 수집한 기록에 대한 구체적 관리 방안의 부재이다. 광주비엔날레 기록관리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해외 사례로 베니스 비엔날레, 카셀 도큐멘타, 상파울루 비엔날레 아카이브의 기록 수집방안을 분석했다. 해외 비엔날레 아카이브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해외에서는 별도의 아카이브를 통해 비엔날레 기록 수집의 구체적 목적과 대상, 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다. 둘째, 기록관리 전문인력과 함께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이 협력의 형태로 비엔날레 기록의 수집 및 보존을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광주비엔날레 기록의 구체적 수집방안을 수집정책과 수집 후 관리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안했다. 먼저 수집정책은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수집정책 구성요소를 도출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사명과 목적, 수집범위와 우선순위, 수집 방안과 유관기관 협력 방안, 활용 및 처분에 관한 사항이며 각 항목은 광주비엔날레의 특징을 반영하여 작성했다. 다음으로 수집 후 관리방안으로는 제도적 환경,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의 3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했다. 제도적 환경으로는 수집정책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광주비엔날레 기록관리 전반에 대한 정책을 제안했다. 물리적 환경으로는 영구기록물 관리에 관한 시설규정을 근거로 광주비엔날레 기록의 보존을 위한 시설 및 방법에 대해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인적 환경으로는 팀의 형태로 광주비엔날레 기록의 수집을 전담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 트롤리문제(the trolley problem)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강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도덕적 딜레마 사례로서 Philippa Foot과 Judith Thomson이 제기했던 트롤리문제(Trolley Problem)를 탐구한다. 트롤리문제란 다수를 살리기 위해 소수를 죽일 수 뿐이 없다고 했을 때에, 허용될 수 있거나 없는 조건이 무엇인지와 관련된 문제이다. 트롤리문제를 본 논문에서는 Bernard Williams와 Thomas Nagel이 제시했던 도덕적 운(moral luck)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도덕적 운이란 어떤 결과가 행위자의 통제를 벗어나서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행위자를 도덕적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어질 쟁점으로는 의료윤리, 전쟁윤리 등에서 핵심개념인 죽임과 죽게둠의 문제와, 행위의 허용가능성과 관련된 ‘함과 둠의 이론’, 이중결과론 그리고 삼중결과론 등이 있다.

      • 한국어 모음 교수-학습 방안 :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강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 instruction-learning method of Korean vowel system for second language leaners.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migrant workers who are attending Korean language classes. Basically, as learning a second language not aim a mastery of a language as a native speaker but presupposes the acquisition of basic communication skill, speaking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learning domain. At this point, learning about pronunciation starts from a phoneme of a vowel and a consonant, and in general the first session of a Korean language class begins with learning of a vowel system. The aim of this is to propose a method on how to enhance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providing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at the stage of vowel learning for basic language learners. In general, at the elementary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a similar difficulty in terms of vowel learning, and as the level of a learner's linguistic ability enhance, this difficulty results in incomprehension of the phonological system and the fossilized pronunciation. Therefore, this study searching for an effective vowel learning method is a meaningful research topic in that this can contribute to enhancing language learning achievement. This study classifies two types of a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vowel learning as follows. The first difficulty is originated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the second one is from the instructor's perspective. In addition, based on these two types of the difficulties,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vowel learning practices which have been overlooked as an object that should be memorized in order to construct a syllable. Actually, there is a dearth o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ffective vowel instruction-learning and the enhancement of speaking ability. The main reasons that the researcher got interest in an effective vowel instruction-learning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ge of recognition, due to the hieroglyphic similarity among vowels, it is much harder to recognize a vowel than a consonant, and the instructor teaches a vowel followed by a consonant. Second, it is problematic that mos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provide learners with difficult vocabularies in the exercise section of the vowel learning. Third, as the learner's linguistic ability enhances,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learner complains of the difficulty of vowel pronun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 an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for vowel learning. The first chapter indicates tha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vowel instruction-learning consists of the first session of Korean language class, vowel learning is very important learning domain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he chapter II addre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method and rationale of the effective vowel instruction-learning. The chapter III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the vowel instruction-learning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chapter IV examined vowel recognition level and learner's need through survey and interview for migrant workers who attend the Korean language class. Based on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previous chapters regarding the current vowel instruction-learning of a single vowel and a diphthong, the chapter V suggests the effective method of vowel instruction-learning in two aspects: 1) regularizing vowel fluctuation and vowel harmonization in the Korean phonological fluctuation system, 2) providing sufficient vocabularies based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variables. With the lack of the researcher's ability, this study did not fully address consonant instruction-learning along with speaking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these areas. However, through investigating the current vowel instruction-learning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that an appropriate vowel education at the basic level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learning domain should. 본 논문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모음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로, 이주노동자 한국어 교실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제2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모국어가 아닌 목표어로서의 의사소통을 전제함으로, 말하기 능력은 1차적인 표현 기능으로서 매우 중요한 학습 영역이다. 이때, 발음에 대한 학습은 대체로 기초 단계 학습에서 모음과 자음에 대한 음운 학습이 되고, 한국어 학습자의 첫 시간은 일반적으로 모음 학습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은 기초 학습자의 모음 학습 단계에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의 제시를 통하여 학습의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기초 단계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모음 학습과 관련하여 느끼는 불편의 유형은 대체로 유사하고, 이러한 불편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 향상되어 감에 따라 음운 법칙의 이해 부족과 발음의 화석화로 남게 된다. 따라서 모음 단계에서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는 학습의 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론의 구성은 모음 학습 단계에서 느끼는 불편의 유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첫 번째는 학습자 관점에서 살펴보는 불편의 유형이며, 두 번째는 교수 관점에서의 시각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원인에 근거하여 모음 학습이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단순 암기 영역으로 간과 시 되어온 기존의 실태에 대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효과적인 모음 교수 학습과 기초 단계로서의 말하기 능력 향상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의 연구사례는 한국어교육 쪽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본 연구자가 모음 교수 학습의 방법론에 주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육의 기초 단계인 인지 단계에서 상형의 유사성으로 인해 모음이 자음보다 어렵게 인식된다는 것이고, 기초 학습에서 대부분 모음이 자음보다 먼저 교수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모음 학습 이후 이에 대한 연습으로 제시되는 어휘가 학습자들에게 지나치게 어렵다는 점은 한국어 교재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자음보다는 모음의 발음 오류에 대하여 불편을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찾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각 장의 구성을 살펴보면, 1장은 일반적으로 한국어 모음 교수 학습이 기초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첫 시간 수업임을 감안해 볼 때, 학습자의 모음 학습은 매우 중요한 기초 단계의 학습 영역임을 강조하는 단원이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는 단원으로서 효과적인 모음 교수 학습의 방법과 필요성에 대해 좀 더 이론적 측면에 따라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모음 교수 학습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이주노동자 한국어 교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모음 인식 수준과 학습자 요구를 설문 조사와 면접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단모음과 이중모음에 있어 연구자가 제안하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는 한국어의 음운변동 규칙 중 모음변동과 모음조화 현상을 규칙화 하여 교수하는 방법과 학습자 변인이 고려된 충분한 어휘를 표현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비록 본 연구가 자음 교수 학습과 함께 기초단계의 말하기 교육으로서 완성을 보여주지는 못하겠지만, 이에 대한 아쉬움은 학문과 역량의 부족으로 이후 연구 과제로 남겨두고, 연구자가 계속 노력 정진하여 채워 나가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하여 정확한 모음 교육이 기초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 학습 영역임을 본고의 모음 교수 학습 방안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는 수준으로 연구의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근육 이완의 길항시Neostigmine과Atropine의 혼주에 의한 심박수의 변화

        강철 朝鮮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Clinically, neostigmine is most commonly use as the reversal agent. Atropine is the anticholinergic drug employed to counteract the muscarinic action of neostigmin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n pulse rate of atropine(l5㎍/kg, 20㎍/kg) and neostigmine(40㎍/kg) mixture during operation(Group 1) and at the end of operation(Group 2), 15 patients, on each group, belong to Class Ⅰ by ASA classification were selected.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enfIurane(l.5 %), N_(2)O(2L/min), O_(2)(2L/min) and pancuronium(50㎍/kg), and the pancuronium was administered with increment of 2㎍/kg whenever necessa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1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nd decrease in pulse rate compared with Group 2. 2) In Croup 2, neostigmine(40㎍/kg) and atropine (15㎍/kg) mixture were administered. Initial increase of pulse rate was minimal but bradycardia was significant, later. 3) In Group 2, neostigmine(4㎍/kg) and atropine(2㎍/kg) mixture were administered. Initial tacycardia was prominent but bradycardia was absent, later.

      • 濟州島 蛇神說話의 特性 硏究 : 本土 蛇神說話와의 比較

        강철 濟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제주도 蛇神說話의 樣相과 그 意味를 검토해 보고, 이를 本土와 비교하여 특성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의 蛇神說話의 樣相과 意味를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 ‘蛇神과 人間이 對決하는 이야기’, ‘人間이 蛇神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런 분류를 통하여 제주의 蛇神說話의 면모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었다. 아울러 現代 小說文學에서의 受容 樣相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의 <칠성본풀이>형의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 설화에서는 蛇神이 재화, 부귀와 직접 관련된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뱀은 조상신이고, 豊饒의 신앙적 대상임을 알 수 있다. 본토의 경우에도 뱀은 人間에게 복을 주는 존재임을 알 수 있지만, 본토에는 유사한 설화가 거의 전하고 있지 않다. 濟州島의 蛇神說話만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본토의 경우 논농사 지역으로 물을 가져다주는 龍이 뱀을 代置하여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주는 논농사를 짓지 않고 海洋 작업을 위주로 하는 곳이므로 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蛇神과 人間이 對決하는 이야기’에서는 蛇神에의 忌避와 崇拜의 兩面을 동시에 나타내면서,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에서 보이는 蛇神에 대한 절대적 崇拜에서 對決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또한 중앙에서 내려온 관원들은 표면상으로는 중앙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면적으로는 이런 설화들이 중앙의 지방에 대한 완전한 지배라는 儒學的 이데올로기에 대립되는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제주의 전통 사회가 중앙과는 다른 나름대로의 체계로 움직이고 있어서 儒敎的 질서로 편입할 수 없는 장애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신당 철폐는 제주의 전통적인 祭祀인 漢拏山祭의 儒敎式으로의 변질과 風雲雷雨祭의 혁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신당을 비롯한 제주 전통 제의의 혁파는 중앙 지배 질서의 강화를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설화에 등장하는 허좌수와 영천 이목사로 대표되는 지배 집단은 堂信仰을 중심으로 하는 제주의 질서 체계를 중앙 집권의 장애 요인으로 보고 이를 파괴하려는 중앙 지배 권력으로 파악된다. 이런 모습은 본토의 蛇神說話에서도 비슷한 양상과 구조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제주의 蛇神說話에는 본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人間의 도움으로 蛇神이 승천하는 變身譚이 드러나고 있지 않으며, 본토에서 보이는 이시미, 용 등과 같이 蛇神의 다양한 형태도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제주에는 남아 있는 蛇神說話의 흔적이 본토에는 희미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또한 제주의 蛇神說話에는 많이 남아 있는 ‘광정당과 이형상 목사’와 같은 설화가 본토에는 남아 있지 않은 것은 이 유형이 후대에 내려오면서 民譚化되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蛇神說話의 소재가 현대문학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재홍의 <여드렛당의 숙명>, 玄吉彦의 <金寧蛇窟 본풀이>, <廣靜堂記>, 玄基榮의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통해 검토하였다. 이재홍의 <여드렛당의 숙명>는 고전적 소재가 완전히 현대적으로 융화되어 버리게 하는 방법을 취하면서, 설화가 소설의 揷話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토산 여드렛당> 설화를 바탕으로 여드렛당을 모시지 않으면 안되는 숙명을 다루고 있다. 고향과 토속, 뱀의 전설에 얽혀진 뱀의 저주의 숙명에서 빠져나오려는 고통 끝에 다시 그 세계로 회귀해 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金寧蛇窟 본풀이>와 <廣靜堂記>는 김녕뱀굴과 廣靜堂과 관련된 전설의 의미를 충실히 수용하였다. 옛날 설화의 세계로 거슬러 올라가서 시대와 무대를 옛날 그대로 두고 再構하는 방법으로, 설화가 소설전체의 구조로서 참여하는 ‘구조로서의 설화’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玄吉彦의 작품들은 시대적·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변용하고 재창조함으로써 제주설화의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玄基榮의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통해서는 업신으로 崇拜의 대상이었던 蛇神에 대한 인간 인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 蛇神說話의 연구는 지렁이, 지네, 거북 등을 포괄할 수 있는 龍蛇說話와의 관계 속에서 더욱 의미가 견고해질 것이며, 인류학·비교문학 등 다양한 인접학문의 도움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심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중국의 海南島, 일본의 오키나와를 비롯한 여러 지역,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 지역 등과의 비교를 필수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추가로 자료 수집 및 보완이 계속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I will check the aspects of snaketales in Jeju-do and extract the features of them, compared with those of mainland. For this, I am considering the aspects and meanings of snake tales in Jeju-do as follows; “the story that snake is superior to human beings”, “the story that snake and human beings are fighting each other”, “the story that human beings are superior to snake”. I treated the various aspects of snake tales in Jeju-do through this classification. Also, I looked this story as the possibility among current novel. The main contexts that is being discussed are as follows. At first, snake is the object of religion that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wealth and honor in the tales of “the story that snake is superior to human beings” as <Chil-seong bonpoori> in Jeju-do. The snake is an ancestral god, and the religious object of richness. The snake in mainland is the fortunate being for human brings, but there is no any tale similar to tales in Jeju-do. So this is the unique feature of tales in Jeju-do. In mainland, the dragon bringing water into paddy fields area replaced the snake. On the contrary, in Jeju-do, people didn’t do rice-farming but work at the sea. Secondly, in “the story that snake and human beings are fighting each other”, the hatred and worship toward the snake coexist. And this leads to from the absolute worship to the confrontation against snake in “the story that snake is superior to human beings”. Also, in this story, government officials are seemingly trying to reinforce the ruling ideology of the government. But, on the other hand, these tales show the adversarial nature against the confucian ideology that expresses the government’s complete dominance over the district. We know that the traditional society of Jeju-do couldn’t be assigned to the confucian system because Jeju-do had an independent system different from the government. In this context, abolishing traditional and religious temples degenerate the traditional Mt. Hala ritual of Jeju-do into the confucian ritual, and innovate “Windy rain and thunderstorm ritual”. The innovation of traditional rituals in Jeju-do, including the innovation of religious temples, was made for the reinforcement of government. So, the dominant group represented by Huh Jwasoo, Yeongcheon Lee moksa in these tales considered the temples in Jeju-do as the obstacles for the government and was trying to destroy them. This is similar to the snake tales in mainland. Third, there is no transformation-story that snake ascends to heaven with the help of human beings, which is common in mainland, including the story of dragon as the various kinds of aspects for snake, in these tales. This prove that the trace of snake tales remaining in Jeju-do can’t be found in the mainland. Also, the tales such as “Khwangjeongdang and Lee Hyung-sang moksa” that can be easily found in the tales in Jeju-do can’t be found in the mainland, which is the evidence that this story was turned into the tales in later generations. Fourthly, I studied how the materials of snake tales can appear in modern literature in <Yeodretdang’s fate> by Lee Jae-hong, <Kimnyoung snake cave bonpoori> by, Hyun Gil-un, <The story of Khwangjeongdang>, <A spoon on the ground> by Hyun Ki-young. In <Yeodretdang's fate> by Lee Jae-hong, tales served as the illustration in novels, and traditional materials were completely fused. Through <Tosan Yeodretdang> tale, the fate that had to take Yeodretdang appears. In this tale, the fate entangled with the hometown, the folk, and the legend of snake shows the pattern of repetition and going back. <Kimnyoung snake cave bonpoori> and <The story of Khwangjeongdang> accept truly the meaning of the legend related with Kimnyoung snake cave and Khwangjeongdang. And this serves as ‘tale as a structure’ that tale is involved in the whole novel as a structure, in a way that age and stage are restructured tracing back to the world of tale. Especially, Hyun Gil-un’s works serve as the modern narrator for the tales in Jeju-do recreating and changing them related with the social situations at the time. Through <A spoon on the ground> by Hyun Ki-young awareness of the snake that was considered as a guardian for worship is changed. The research of snake tale can be meaningfully fortified in a relationship with dragon-snake tales including earth worms, centipedes, turtles, and intensifies the realm of research with the help of various neighboring literatures like anthropology, comparative literature. Also, the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of Hainan island in China, Okinawa in Japan, South Asia, and Northern Asia will be necessarily needed. And additional data-gathering and data-supplement have to go together with this work. I am going to hand additional discussion about this down the later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