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吳茱萸가 PTU로 유발된 갑상선기능저하증 Rat의 갑상선기능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철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 Hypothyroidism is a syndrome characterized by symptoms such as cold intolerance, weight gain, bradycardia and an overall decrease in metabolism. Western medicine generally uses LT₄ related thyroi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but this requires long term medication, and also causes side effects. So interest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reatment has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Evodiae fructus, which is a herb included in Anjeonleejungtang, on thyroid function and histological modification in hypothyroidism rat model induced by PTU. Methods : In this study, we used 6 out of 30 two month old rats as a normal group. We induced hypothyroidism in the other 24 rats by giving them PTU intra-peritoneal injections(2mg per 100g) everyday for two weeks. We divided these 24 rats into four groups of 6, which were the Evodiae fructus 100 group, Evodiae fructus 500 group, control group, and LT₄ administration group. As we maintained PTU intra-peritoneal injections for two weeks in every group, the Evodiae fructus 100 group and Evodiae fructus 500 group were given normal saline diluted Evodiae fructus(100mg/kg and 500mg/kg respectively). Just like the Evodiae fructus group,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same amount of normal saline orally two weeks after starting the PTU intra-peritoneal injections. The weight of the rats was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nd was thereafter measured once a week. Blood was sampled before the end of the experiment for biochemical analysis to check the levels of T3, T₄ and TSH. After sampling the blood, the thyroid tissue was removed, stained with H&E, and an image was obtain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Results :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showed low levels of T₄ and high levels of TSH. The Evodiae fructus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in levels of T3, and the amount of increasement showed a tendency to be dose related. But the levels of TSH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vodiae fructus group and the normal group. In relation to the biochemical tests(liver, kidney etc) and weight chang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vodiae fructus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biopsy, the Evodiae fructus group showed thyroid tissue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Evodiae fructus stimulates the decreased hormone secreting functions of a thyroid under hypothyroidism, and also has thyroid tissue cell protecting effects. And the biochemical lab results showed that Evodiae fructus is a safe substance that doesn’t cause hepatotoxicity or nephrotoxicity. Therefore Evodiae fructus is an effective substance in the treatment of hypothyroidism.

      • 폐콘크리트 순환골재를 이용한 포장용 섬유보강 포러스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철호 忠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6년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연간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약 5,420만톤 중 폐콘크리트는 약 50%인 2,730만톤을 차지하고 있으나, 재생설비 및 품질확보의 미흡 등으로 90%이상이 노반재 등과 같은 단순 재활용에만 주로 이용되고 있어, 천연골재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을 감안할 때 자원의 유효이용 및 환경보존 측면에서 대체 골재자원으로서의 다양한 용도개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차량의 증가로 지속적인 도로의 확충이 이루어져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등을 포함한 도로의 총 연장은 102,293km로서 포장률은 76.8%에 이르며 이중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이 대부분인 85.5%(67,424km)를 차지하고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14.2%(11,162km)를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포장은 시공성과 구조적 성능만을 중요시하여 강우시 배수기능이 부실하거나 용량이 부족할 경우 많은 양의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도로에 고여 교통에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성도 높다. 또한, 빗물이 지중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하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흘러들어 폭우시 도시 하천범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건설 분야에서도 기존 포장재료로서의 구조적 기능성과 투수기능을 동시에 갖는 새로운 개념의 포장재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면서 1980년부터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어 투수성 아스팔트 포장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투수성 아스팔트 포장재는 아스팔트의 점탄성적 특성상 여름철 노면의 온도상승, 과다한 차량하중, 반복하중, 차량의 급제동 등에 의한 아스팔트의 점성증대 및 소성변형 등으로 연속공극이 막혀 투수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근 콘크리트에 잔골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불연속 입도의 굵은골재를 사용한 포러스콘크리트를 투수포장용 재료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받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순환골재를 투·배수성 포장용 포러스콘크리트에 적용하기 위하여 폴리머와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사용한 포장용 포러스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을 분석하였다. 1) 포장용 포러스콘크리트의 공극률과 투수계수는 부순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순환골재의 혼입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폴리프로필렌섬유의 경우는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포장용 포러스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은 섬유의 적정 혼입률에서 순환골재 혼입률 50%까지는 주택공사 및 일본콘크리트공학협회에서 제안한 강도기준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포장용 포러스콘크리트의 골재비산저항성은 부순돌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순환골재의 혼입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폴리프로필렌섬유 및 폴림머를 혼입한 경우에는 골재비산저항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포장용 포러스콘크리트의 제조시 폐콘크리트 순환골재를 50%정도까지 재활용하여 부순돌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폴리머 분산재를 약 10%정도 혼입하고 폴리프로필렌섬유를 2%정도 혼입하면 투수성 포장 콘크리트에서 요구되는 물리·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포러스콘크리트에 대한 국내외 기준과 제안값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porous concrete used for pavement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recycled aggregates contents and polypropylene fiber in order to not only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the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of waste concrete generated in Korea for porous concrete as road paving material but also to determine a metho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rous concrete that utilizes recycled aggregate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test results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well as the durability of the porous concrete used for paving that uses polymer and polypropylene fiber in order to apply recycled aggregate from concrete waste to the porous concrete for paving. 1) The void ratio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porous concrete for paving tended to increase as the mixing ratio of the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crushed aggregate were used. However, they decreased as the mixing ratio of the polypropylene fiber increased. 2)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porous concrete used for paving satisfied the standard compressive strength propose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t the mixing ratio of the recycled aggregate up to 50% regardless of the mixing ratio of polypropylene fiber while the flexural strength satisfied the value of 4.5MPa proposed by the JCI at the mixing ratio of recycled aggregate up to only 50% when polypropylene fiber was mixed by 2%. 3) The weight loss resistance of the porous concrete used for paving tended to decrease as the mixing ratio of the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only crushed aggregate were used. However, when the polypropylene fiber was mixed, the weight loss resistance was improved. Therefore, when the polymer and polypropylene fiber were mixed by 10%, and 2% respectively, the abrasion resistance increased by approximately 15.8%, 11.5%, and 11.4% as the mixing ratio of the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by 25, 50 and 100% compared to when the fiber was not mixed. 4) From thes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n making porous concrete used for paving, if polymer dispersion agent and polypropylene were mixed by approximately 10% and 2% respectively,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 together with crushed aggregat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and satisfied the standard value and proposed value of domestic and overseas regulations.

      •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의 역학적 특성 및 환경유해성에 관한 연구

        강철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From among the industrial byproducts annually generated in South Korea, coal ash (fly ash, bottom ash), 6 million t of which is generated each year, and blast furnace slag (BFS), 8.2 million t of which is generated each year, are mostly disposed of as fill materials and reclamation materials. Considering the reality of South Korea, where endowed natural resources are absolutely insufficient due to reasons such as the deple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e effective recycling of these waste resources is urgently needed. Consequently, in South Korea, the need for research that promotes energy reuse and CO2 emission decrease by using industrial byproducts such as fly ash, bottom ash, and BFS as additives and cement admixtures and thus increasing the disposal and recycling rates of diverse types of industrial waste has increased. In addition, as concrete structures become larger and tall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ies, concrete, which is the most generally and broadly used material in constructional structures, likewise is being demanded to possess diverse functions such as high performance, high durability, and fire resistance. In particular, recent years have seen the broad use of concrete not only in applications as a structural material but also as a variety of secondary products and repair and reinforcement materials so that a demand for special functions tailored to different uses has arisen. Consequently, to manufacture environment-friendly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outstanding ductility by using industrial byproducts (fly ash, BFS, bottom ash), which have been generated in considerable amounts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 dramatic expansion of domestic industries, the present study sought to reduce cement use by using ground granulated BFS and fly ash as cement replacements and used bottom ash with the maximal particle diameter of 1000㎛ as a silica replacement. The consequent physical and mechnical properties of the cement composi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icromechanical principle and the optimal mix was derived. In addition, as for the cement composite manufactured with the optimal mix, the methods for predicting its uniaxial tension behavior were analyzed and its environmental hazardousness was evaluated.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is as follows. (1) When the optimal mixes for environment-friendly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were derived based on the micromechanical principle, the cement composite with W/B of 40% to which 25%, 20%, and 2% (with respect to the total volume) of ground granulated BFS, fly ash, and hydrophile PVA fiber, respectively, had been added was the most appropriate. When a preliminary molding test was conducted to derive the optimal mix, the cement composite with W/B of 40% was confirmed to possess the most outstanding fiber dispersion and to satisfy the strength level of high-performance concrete. (2) When a wedge splitting test (WST) was conducted on the matrix, in consideration of the fracture energy as well as the worka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matrix, the case where bottom ash had replaced and been added to within 20% of silica was the optimal. (3)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average uniaxial tensile strength, and average maximal strain of the environment-friendly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manufactured by adding industrial byproducts were 52㎫, 4.53㎫, and 2.82%, respectively, thus displaying performance identical to that of composites to which industrial byproducts had not been added. (4) To improve the precision of predictions of uniaxial tension behavior, image process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fluorescent microscope. According to the results, cases wher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for the fiber correction factor and the fiber orientation angle had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were confirmed to be more precise in predicting the actual behavior than those where fiber orientation had been assumed through 2D and 3D uniform distribution. (5) When hazard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environment-friendly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using industrial byproducts, hazardous material elution was slightly lower for cement composites than for bottom ash aggregates, and all reference values of elution tests for hazardous materials including Cr6+ as stipulated by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aws were satisfied, thus confirming that environment-friendly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are safe in terms of environmental hazardousness. (6) To manufacture the optimal environment-friendly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most optimal in terms of the micromechanical principle, mechnical properties, and environmental hazardousness to add 25%, 20%, and 20% (with respect to the total volume) of ground granulated BFS, fly ash, and bottom ash, respectively. 국내에서 매년 발생되는 산업부산물 중 년간 600만톤이 발생되고 있는 석탄회(플라이애시, 바텀애시)와 년간 820만톤 이상 다량 부산되고 있는 고로슬래그 등은 대부분 성토, 매립재 등으로 처분되고 있는 실정으로 천연골재자원의 고갈 등 부존자원이 절대부족한 우리현실을 감안할 때 이들 폐자원의 유효재활용을 위한 환경친화형 건설소재의 개발·응용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에서도 플라이애시, 바텀애시, 고로슬래그 등의 산업부산물을 혼화재 및 시멘트의 혼합재로 사용하여 각종 산업폐기물의 처분 및 재활용률을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의 재이용 및 CO2 배출량을 감소시키고자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형화·초고층화됨에 따라 건설 구조물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이고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 콘크리트 재료에도 고성능·고내구성 및 내화성 등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구조재료로의 적용 외에 다양한 2차 제품 및 보수·보강용 재료 등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도에 맞는 특수한 성능들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산업의 급속한 팽창으로 인하여 최근 다량 발생되고 있는 산업부산물(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바텀애시)을 활용하여 연성이 우수한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여 시멘트 사용을 저감시키고자 하였고, 최대입경 1000㎛의 바텀애시를 규사 대체재로 사용하였다. 그에 따른 시멘트 복합체의 물리․역학적 특성을 마이크로역학 이론에 근거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였다. 또한, 최적의 배합으로 제조된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1축 인장 거동 예측방법을 분석하고 환경에 대한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이크로역학 이론을 근거한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의 최적배합 도출결과, W/B 40%로 시멘트 복합체에 대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각각 25%, 20%를 혼입하고, 친수성의 PVA 섬유를 전체 부피에 대하여 2%를 혼입한 배합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배합 도출을 위하여 실시한 예비 비빔 실험 결과, W/B 40%가 가장 섬유 분산성이 우수하면서 고성능 콘크리트의 강도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매트릭스의 쐐기쪼갬 실험결과, 매트릭스 파괴에너지와 작업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였을 때 바텀애시를 규사의 20%내외 대체·혼입할 경우가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부산물을 혼입하여 제조된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의 평균 압축강도, 평균 1축 인장강도와 평균 최대변형률은 각각 52㎫, 4.53㎫ 및 2.82%로 나타나 산업부산물을 혼입하지 않은 복합체와 동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4) 1축 인장 거동에 대한 예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이미지 프로세싱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섬유 방향성을 2차원 및 3차원 균일분포로 가정한 방법보다 섬유 보정 계수와 섬유 배향각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를 고려한 것이 실제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의 유해성 평가 결과, 유해물질 용출량이 바텀애시 골재보다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할 경우가 다소 낮아졌으며 국내 및 국외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Cr6+을 비롯한 유해물질 용출시험의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여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가 환경유해성에 대하여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이상의 결과로부터 최적의 환경친화형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는 각각 25%, 20% 내외 혼입하고 바텀애시의 경우 20% 내외 혼입․사용하는 것이 마이크로역학 이론, 역학적 특성 및 환경유해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동결견 환자의 견관절 가동범위와 통증완화에 KTO(Korea Traditional Osteopathy)가 미치는 효과

        강철호 남부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동결견 진단을 받은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전통 정골요법(이하 KTO)을 적용하여 병증의 완화가 실제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자발적 방문을 한 환자로 구성이 되었다. 또한 약 6개월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되었다. 대상자는 총 14명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두 개 그룹으로 나누어 7명의 실험군과 7명의 대조군으로 하여 2그룹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 하였다. 7명은 KTO를 총 10회 시술하고, 7명은 시술하지 않은 채로 하여 10회의 측정을 하였다. KTO를 적용하는 실험군의 경우 다른 치료 및 투약을 하지 않기를 권고 하였다. 14명 모두에게 사전 연구에 대한 방향과 제한되는 것들을 권고 하였으며 최대한 객관성이 확보 될 수 있도록 인지 시켰다. 최초 방문 시 관절가동범위검사 와 통증강도검사를 실시 하였으며 매 일주일마다 1번씩 총10회의 검사를 하였다. 10회의 결과를 매주 기록하며 KTO가 관절가동범위의 변화와 통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분석을 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에만 치중 한 것이 아니라 환자 개개인의 효과를 알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집단의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의 변화 뿐만 아니라 환자 개개인의 변화 또한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이라 생각되어 그렇게 분석한 이유이다. 연구 결과 KTO를 적용 한 그룹의 경우 통증 수치가 감소 되었다. KTO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경우 통증감소가 적었다. 또한 관절의 가동범위의 경우 항목별로 살펴보면 KTO를 적용한 그룹은 가동치의 변화를 살펴 보았을 때 굴곡(7.33) 신전(10.00) 외전(8.76) 내전(9.05) 외회전(8.10) 내회전(10.00)의 변화가 나타났다. KTO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가동치의 변화를 살펴 보았을 때 굴곡(4.67) 신전(7.50) 외전(7.14) 내전(9.14) 외회전(6.59) 내회전(9.31)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이 미치는 효과는 유효하다라고 사료되며 정확한 적용을 위한 통일적 모델링과 효과가 증대 될 수 있는 다른 치료 및 요법과의 병행이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을 적용하면 견관절의 가동범위 증가와 통증의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발병의 원인이 너무 광범위하고 치료 방법도 정확하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대체의학적 기법이 실제 연구로 선행되어 과학적 검증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대체의학이 더욱더 발전되기를 기대합니다.

      • 실내먼지 중 프탈레이트 분석법에 관한 연구

        강철호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significant interest o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s(DECs) has greatly enhanced. EDCs in the world's top three environmental problems was emerged with the ozone depletion and global warming. Phthalates are a group of EDCs, and are ubiquitous in the ambient environment. In this study precisive and accurate analytical method for six representative phthalates such as DMP, DEP, DBP, BBP, DEHP and DOP were investigated by using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IDMS). For analysis of phthalates extraction methods were using soxhlet, ultrasonic and microwave were compared. Optimized analytical method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phthalates in dust of apartments, houses, University (lab and classroom), and large shopping center.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extraction methods using soxhlet, ultrasonic and microwave, sonication method with 1:1 (v/v) acetone, hexane showed the best recovery as an average of 98.5%. For the clean-up, the recovery for 6 phthalates was ranged from 93.3%(DOP) to 100.9%(DMP) and the lenear correlation coefficients(R2) of standard calibration were 0.998 ~ 0.999. The limits of quantitation gave 1.7 ppb for DEHP ~ 6.2 ppb for DBP. Group 1 has included university(lab and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and phthalates was ranged of 0.4 μg/g for DEP(1-1) ~ 902.1 μg/g for DEHP(1-1) in group 1. Group 2 has included houses and phthalates was ranged of 0.1 μg/g for DEP(2-2) ~ 2,230.4 μg/g for DEHP(2-2) in group 2. Group 3 has included apartments and phthalates was ranged of 0.04 μg/g for DMP(3-1) ~ 3,067.6 μg/g for DEHP(3-5) in group 3. Group 4 has included one-room and phthalates was ranged of 0.5 μg/g for DMP(4-4) ~ 1,488.5 μg/g for DEHP(4-2) in group 4. Group 5 has included large shopping center and phthalates was ranged of 0.1 μg/g for DOP(5-1) ~ 3,106.2 μg/g for DEHP(5-9) in group 5.

      • 한시 조사기관 조사기록의 관리체계 연구 :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강철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5년에 발족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로부터 최근으로 2018년부터 활동 중인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등은 한시 조사기관이라고 통칭할 수 있다. 이들 기관은 과거 또는 최근에 발생하였던 국가 폭력이나 사회적 참사의 진상규명 등을 위하여 한시적으로 설치ㆍ운영되는 국가기관이다. 한시 조사기관은 한시기관이라는 성격과 조사기관이라는 성격이 혼합되어, 독특한 조직적 특징을 띤다. 한시기관이라는 측면에서는 활동 기간 내에 최대한 진상규명이라는 임무를 완수해야 하면서도, 활동종료 이후에도 추가적인 진상규명과 조사ㆍ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업무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조사기관이라는 측면에서는 조사과정에서 참조자료로서, 그리고 진상규명의 증거로서 기록에 대한 활용도와 의존도가 높다. 그리고 사안 파일(Case file) 관리방법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기록이 다량이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한시 조사기관의 기록관리체계는 일반적인 국가기관 또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체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시 조사기관의 특성이 관철될 수 있도록 구축되어야 하며, 이는 한시 조사기관 기록전문직의 주요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시 조사기관에서 생산ㆍ접수 및 수집되는 조사기록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위해 한시 조사기관이라는 조직적 성격과 한시 조사기관에서 생산ㆍ접수 및 수집되는 조사기록의 특징을 살펴본 후, 관리체계에 반영되어야 할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시 조사기관의 사례로서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조사의 기록관리체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한시 조사기관의 조사기록 관리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축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관리ㆍ활용의 편의를 위해 조사기록은 전자적으로 생산ㆍ관리되어야 한다. 둘째, 조사업무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조사활동을 지원하는 기록전문직이 조사기록의 검색ㆍ열람ㆍ이용에 대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연구재단ㆍ추모시설과 같은 제3의 기관으로 이관 이후에도 조사기록에 대한 이용가능성 유지를 위해 조사기록정보를 체계적으로 설계ㆍ구축하고 최종적으로 확인ㆍ정리하여 이관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전자환경에서 조사기록의 관리ㆍ활용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설립될 한시 조사기관에서 조사기록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ㆍ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From the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launched in 2005, to the "Special Investigation Commission on Humidifier Disingectants & 4·16 Sewol Ferry Disasters," which have been active since 2018, can be collectively called a temporary investigation agency. These institutions are state institutions established and operated temporarily to investigate the facts of state violence or social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in the past or recently. A temporary investigation agency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temporary agenc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n investigation agency, which has uniqu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mporary institutions, they should find alternatives to complete the mission of finding the truth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e period of activity, but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heir work so that additional fact-finding, investigation and research can be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activity. In terms of research institutions, there is a high level of utilization and dependence on records as a reference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as evidence of fact-finding. There is also a large number of records that need to be managed by case file management, and they are important.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of a temporary investigation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ry investigation agency can be carried out, rather than just a typical national or public institution's record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addresse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the investigation records produced, received, and collected by a temporary investigation institution. To this end, the standards to be reflected in the management system were derived after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nature of the temporary investigation ag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gation records produced, received and collected by the temporary investigation agency.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case and the April 16 Ferry Sewol disaster special investigation committee investigation was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stablishment of the investigation record management system. We presented three directions for deployment: First, investigation records shall be produced and managed electronically for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utilization.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investigation work,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s who support investigation activities should seek ways to actively provide services for the search, reading and use of investigation records. Third, third, third-party institutions, such as research foundations, and memorial facilities, shall systematically design, establish, and finally verify and organize investigation records to maintain availability of investigation records. As such, this study focused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aspects of investigation records in electronic environment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help establish a system that can more effectively manage and utilize investigation records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in the future.

      • 교원연수제도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강철호 공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부 수립 후 교원연수제도의 변천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이론을 적용하여 제도 변화 요인과 요인별 공유된 이해와 행위논리를 통한 경로의존 관점에서 분석해 향후 교원연수제도의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교원연수제도를 분석하였고 제도적 맥락을 분석하고 각 맥락별 공유된 이해을 통한 행위논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연수제도의 경로의존성 분석하였다. 역사적 제도주의는 제도적 맥락 즉, 역사적 맥락을 분석하는 연구 기법이다. 역사적 시점과 상황에 따라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공유된 이해를 통한 행위논리의 제약과 강화를 통해 경로의존성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원연수제도의 제도적 맥락 분석을 통해 경로 의존적 특징을 기술하고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교원연수제도 변화는 역사적 맥락의공유된 이해 과정과 행위논리에 의하여 일어났고 경로생성, 경로유지 및 경로강화, 경로전환, 경로정착의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교원연수제도의 경로 의존의 특성은 정부가 기본적으로 교직사회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과 변화를 시도했고, 새로운 교육과정, 사회 환경, 정부의 이념 등을 교원연수를 통해서 전달했다는 점이다. 정부의 교원연수 정책 추진은 일정 수준 성과를 달성하면서도 항상 새로운 과정 개설과 보편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정치적 상황, 경제적 상황, 사회적 상황의 변화에 공유된 이해를 통한 행위논리를 통해서 제약, 강화, 유지하면서 기존 형태를 유지하고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하지 못하는 경로의존의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 교직사회에서 교원연수가 이루어질 때 정부에서 추진하는 교원연수제도에 교원연수의 당위성에 기초하여 구조적인 요인과 제도적 요인, 행위자의 공유된 이해와 행위논리의 합의를 통해 일방적이지 않게 추진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교원연수제도의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study was done based on the changes in teacher training system of Korean government by applying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ory and analyzed the system transforming factors through its shared understanding and behavioral logics from the path-dependence perspective. This study was analyzed in order of: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stitutional context, behavioral logics over the shared understanding by each context. Finally, path dependence of teacher training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a research technique that analyzes institutional context, i.e. historical context. It has path-dependence by restricting and strengthening behavioral logics based on the shared understanding that has reached social consensus upon historical moment or circumstances. In this stud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of institutional context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descriptions of path-dependence featur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anges in teacher training system occurred by the processes of shared understanding and behavioral logic in historical context. The changes appeared in following four steps process: path generation, path reinforcement/path maintenance, path conversion, and path settlement. The characteristic of path-dependence is that the government showed constant interest, attempted changes in teaching society, and conveyed new education curriculum, social environment, and government ideologies through teacher training system. The promotion of government’s teacher training policy has achieved certain levels of performances and responded in every launching of new education system and universal demand of related issues. However, the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represents path dependence indicates failure of active responses while it maintaining its basic form with restrictions and reinforcements though behavioral logic based shared understanding about changes in o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When the teacher training system is conducted in the academic professional society in the future, it should be implemented in variety of ways through major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consensus between share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text and behavioral logic based on the teacher training system purposes. Thus,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uture teacher training system.

      • 칼빈의 구원론 : 칭의와 성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철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교회에 도덕적 불감증과 윤리적인 실패의 증후들이 여기저기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과연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 여러 가지 원인을 찾아볼 수 있겠지만, 이것은 무엇보다도 인식의 문제다. 아는 바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인식에서 잘못된 것인가? 한 마디로, 구원론에 대한 인식이 잘못되었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화론보다는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칭의론을 더 강조해 왔다. 그러다 보니 성도는 거룩함의 열매가 없어도 믿기만 하면 구원받는다는 그릇된 인식을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선행마저도 상급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오해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종교 개혁자들의 탓이 크다는 지적이 많다. 과연 그러한가? 결코 그렇지 않다. 종교 개혁자들의 구원론은, 한 마디로, 성경의 원리에 근거하여 칭의와 성화를 균형 있게 강조한 성경적인 구원론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종교 개혁자들의 구원론을 살펴봄으로써 종교 개혁자들에 대한 그릇된 지적을 효과적으로 반박하고, 한국교회가 어떤 구원론을 견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지면의 제약상 대표적인 종교 개혁자인 존 칼빈의 구원론으로, 또한 그 중에서도 칼빈이 제시한 칭의와 성화의 관계로, 연구의 초점을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우선 칼빈이 이해한 칭의는 하나님이 죄인인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해 주심으로 말미암아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시고 우리를 의인으로 간주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스도의 의는 순종의 의다. 이 순종은 그리스도가 하나님이 명하신 모든 율법의 말씀에 순종하신 것과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보여주신 순종을 다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순종의 의를 우리의 것이 되게 하신다는 것이다. 어떤 방법을 통해서 그렇게 하시는가? 그것은 전가를 통해서이다. 이 전가는 오시안더나 로마 가톨릭이 주장한 의의 주입, 즉 의롭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의롭다고 간주되는 것이다. 어디에서? 하나님의 법정에서. 그런 의미에서 전가는 법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렇다면 전가는 어떻게 가능한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리스도와 우리가 서로 공유하는 연합의 관계를 맺음으로써 외부적인 의인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의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연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믿음이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도구가 되어서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거하게 되고, 또한 우리가 거하는 그리스도로부터 의를 전가 받아 죄 용서함을 받고 의롭다고 칭함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 믿음은 우리에게 대한 하나님의 선하심을 아는 지식을 기초로 삼아 그 지식을 마음으로 확신하고 신뢰하며 받아들여서 우리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칼빈이 이해한 성화를 살펴보면, 칼빈은 성화라는 용어보다는 중생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이 중생도 보다 넓은 의미, 즉 성령이 신자의 삶의 전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새롭게 하심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나아가 이 중생은 칼빈에게 회개로 해석된다. 회개란 우리 자신으로부터 떠나서 하나님께로 돌이킴이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돌이킴은 육신의 죽임과 영의 살림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두 가지 일을 통해서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일그러지고 거의 지워진 버린 하나님의 형상을 우리 안에서 회복시키는 것이 바로 회개의 목적이다. 이 두 가지 일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참여할 때, 즉 그리스도와 연합할 때 성취된다. 그러나 육신의 죽임과 영의 살림은 우리의 힘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이다. 하나님이 친히 주도하시는 일이다. 회개를 일으키시는 것은 물론 우리로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하시고, 우리에게 성령을 파견하셔서 우리의 회개(성화)를 이루신다. 그러나 이러한 회개는 한 순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신자 속에 거하는 죄 때문이다. 죄는 중생으로 말미암아 신자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지만, 죄의 흔적(악의 재)으로 여전히 신자 속에 거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자는 목숨을 다할 때까지 죄와 싸워야 한다. 이것이 바로 신자의 책임이다. 회개, 즉 성화는 하나님이 친히 주도하시는 일이지만, 그 일에 참여하는 것은 신자의 몫이다. 그러나 이 일은 신자가 죽는 그 순간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재림하시는 그 날에 비로소 완성될 것이다. 지금껏 살펴본 칼빈의 칭의와 성화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삼아 칭의와 성화의 관계를 고찰해 보자. 칼빈이 제시한 칭의와 성화의 관계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로 ‘동등한 관계’이다. 그것은 칼빈이 『기독교 강요』에서 칭의론보다 성화론을 먼저 다룬 것과 칭의와 성화를 ‘이중적인 은혜’로 명명한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둘째로, 칭의와 성화의 관계는 ‘구별되지만, 분리되지 않는 관계’이다. 칼빈은 칭의와 성화를 혼합하여 하나로 만들어 버린 오시안더와는 달리, 칭의와 성화는 그 역할 면에서 서로 구별되어야 하지만, 분리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셋째로, 칭의와 성화의 관계는

      • 부산항 북항 재개발을 통한 원도심 재생사업이 지역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철호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Busan is a city that has continuously developed around the sea. Among them, the North Port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Busan not only geographically, but also economically and culturally. However, with the relocation of the city hall, many functions and roles were transferred to other areas of Busan, and the voiding phenomenon was accelerated due to the aging of the area and the decline of the port function, and the need for regional development emerged. In particular, with the advent of Busan New Port in early 2000, the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North Port function disappeared, and based on overseas success stories, the North Port was developed as a logistics and leisure complex port for urban regeneration linking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The success of the regene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area, where the front and rear industries were connected, soon beca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North Port redevelopment industry. In this paper,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e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industries were investigated, and a prior study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n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how the redevelopment of the North Port and the related original downtown regeneration industry were perceived by the local residents and the resident population, and which direction could increase the utility fo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ample survey,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blem of cavitation due to aging and aging of the region is serious, and accordingly, the result that local residents can be satisfied with will be the result that local residents can be satisfied with only when policy support is given to boost the commercial district around Busan Station and Nampo-dong, the center of the original downtown. Based on these empirical studies, measures and implications that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induce high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redevelopment of the North Port and urban regene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were derived. Keywords: North Port redevelopment, original downtow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port regeneration, effect recognition,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부산은 바다를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해온 도시다. 그 중 부산항은 지정학적 위치뿐만 아니라 경제, 문화적으로 부산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시청의 이전과 함께 많은 기능과 역할을 부산의 다른 지역으로 이전되었고, 지역의 노후화와 항만 기능의 쇠퇴로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되어 지역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2000년 초, 부산 신항의 등장으로 전통적 북항의 기능의 필요성이 소멸하고, 해외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북항을 사회.경제.문화적 면을 연계한 도시재생 차원의 물류.레저 복합 항만으로 개발 사업이 진행되며 전후방 산업이 연결된 배후 원도심 지역 재생의 성공이 곧 북항 재개발 산업 성패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 재개발과 도심재생산업에 대한 유형과 특징 및 현황에 대한 조사하고 그에 따른 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하였다. 실증 연구에서는 북항 재개발과 그에 연계된 원도심 재생산업이 지역 주민 및 상주 인구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어떤 방향이 만족도에 대한 효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조사 결과 지역의 노후화와 고령화로인한 공동화 현상의 문제가 심각하고, 그에 따라 원도심의 중심인 부산역과 남포동일대를 중심으로 상권 부양을 정책적인 지원이 되어야 지역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북항 재개발과 원도심 도시재생에 있어 지역주민의 높은 참여와 만족도를 이끌어 내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키워드: 가치공동창조, 고객관계품질, 관계지속의도, 해상운송서비스구매형태, 해운선사, 국제물류주선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