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통합학급과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 및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강유선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o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grade teachers with special grade teachers and recogni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78 integrated grade teachers and 78 special grade teachers working at 78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outh Gyeongsa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integrated grade teachers and special grade teachers recognized that cooperation among teachers was realized more than normal and that cooperation among special grade teachers was more realized than cooperation among integrated grade teachers. Regarding teacher type to be a variable, recognition about cooper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scopes of ‘Learning guidance’ and ‘Life guidance’. Regarding the total career to be a variable, recognition about cooper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pes of ‘Learning guidance, life guidance and parents’ education’. Second, both integrated grade teachers and special grade teachers had an affirmative recogni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grade teachers had a higher recogni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than integrated grade teachers. However, all two groups had a negative recognition about specialty of general teachers on integrated education. In the scopes of ‘Concntd graintegration, specialty of general teachers, academic anticipation anic ehavioral anticipation’ out of five scopes of recogni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special grade teachers’ recognition was higher than integrated grade teachers’ recognition. In the scope of ‘Teachers’ efforts’, integrated grade teachers’ recognition was higher than special grade teachers’ recognition.

      • 자기공명영상의 T2 mapping을 이용한 무증상 젊은 성인의 견관절 연골 생리의 평가에 관한 실행 가능성 연구

        강유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quantitative T2 mapping of the glenohumeral joint cartilage at 3.0T and to assess the T2 mapping characteristics of the normal glenohumeral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was approved by our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ifteen healthy volunteers were enrolled and underwent a multiecho spin-echo T2-weighted MR imaging of the shoulder and T2 mapping was acquired with a dedicated software. Regions of interest that covered the full thickness of the humeral cartilage and glenoid cartilage were respectively placed on an oblique coronal image to assess the mean T2 relaxation time. T2 profiles of humeral cartilage were measured from the cartilage-bone interface to the articular surface. Intraobserver agreement was analyz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T2 maps were successfully obtained in 13 subjects (mean age, 28.6 years; age range, 24-33 years). All 13 joints showed normal appearance on conventional T2-weighted images, without signal intensity alterations or cartilage defects. On quantitative evaluation, the mean cartilage T2 values of humeral cartilage and glenoid cartilage were 50.5 msec ± 12.1 and 49.0 msec ± 9.9, respectively. Intraobserver agreement was good, as determined by an ICC of 0.736. Longer T2 values were observed at the articular surface with a tendency to decrease toward the bone-cartilage interface. The mean cartilage T2 value was 69.03 msec ± 21.2 at the articular surface and 46.99 msec ± 19.6 at the bone-cartilage interface of the humeral head. Conclusion: T2 mapping of the glenohumeral joint is feasible on a 3T scanner in a clinically feasible time frame. The T2 profile of the normal humeral cartilage shows a spatial variation with an increase in T2 values from the subchondral bone to the articular surface.

      •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의 비판적 큐레이팅 연구 : 찰스 에셔(Chales Esche)의 큐레이팅을 중심으로

        강유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도비판((Institutional Critique)이 예술가에서 큐레이터로 확산되는 지점에서, 본 논문은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의 비판적 큐레이 팅을 사회학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1960년대에 예술가들은 모더니즘 미술의 절대적 기준을 해체하고 미술의 문제를 사회적 맥락과 교차시킨 작업을 시도하는데, 이러한 제도 비판적 정신은 1990년대에 전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큐레이터에게도 확산된다. 그 결과 전시를 에워싼 제도 자체의 방향과 역할에 대해 큐레이터도 제도의 구성원으로서 반성과 성찰을 해야 한다는 공론이 형성된다. 진보적 큐레이터들은 제도 비판적 작가들과 협업을 통해 제도 안에서 창의적 개념을 장려하고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부각시키고 있는데, 연구자는 그 중에서도 2000년에 제도권으로 돌아온 찰스 에셔(Charles Esche, 영국, 1963- )에 주목하여 그의 비판적 큐레이팅 개념과 실천을 2002 광주비엔날레와 루제움에서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예술가의 아방가르드 정신이 어떻게 큐레이터에게로 확산되었는지 역사적 시대적 배경에서 살펴보았다. 비판적 큐레이팅의 시초로 불리우는 하랄트 제만(Harald Szeemann)의 《태도가 형식이 될 때(When Attitude is Form)》(1969, 이하 태도)전이 진보적 큐레이터들의 비판적 큐레이팅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했으며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신제도주의가 태동하게 된 배경과 그 특징을 이론가들의 논의를 통해 밝혔다. 두 번째 장에서는 에셔가 스스로 고안하고 차용한 비판적 큐레이팅 개념을 살펴보고 이것이 제도 안에서 어떻게 실천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에셔는 수퍼플렉스(Superflex)와의 협업을 통해 사회와 정치 그리고 경제적 변화 안에서 예술을 탐험하면서 대중에게 역동적으로 다가갔다. 그 결과 에셔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달리 상상될 수 있는 ‘가능성(Possibility)’의 제도를 구현하고, 그의 큐레이팅이 예술제도 안에서 확장된 스펙트럼으로 나아갔음을 밝혔다. 마지막 장에서는 신제도주의에서 중요한 프로그램인 공동작업을 WHW(What, How & for Whom)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에셔의 ‘가능성’ 개념을 자신의 작업에 시도하고 있는 WHW를 비롯한 공동작업 협력자들의 활동을 통해 공동작업이 공공장소의 민영화, 신자유주의 글로벌 헤게모니 등 오늘날 절박한 사회 정치적 이슈들에 대한 논리적 대응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제도주의 문맥에서 확장된 개념의 큐레이팅을 린드의 프로젝트 <그린룸(The Greenroom) : 다큐멘터리와 현대미술의 재고>를 중심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그것의 한계와 대안을 신제도주의 이론가 몬트만과 파콰슨의 논의를 통해 확인했다. 연구자는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신제도주의의 비판적 큐레이팅을 에셔의 프로젝트를 통해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제도를 그려보고자 했다. 자본주의에 포섭된 예술기관 안에서 역동적으로 새로운 공공성을 추구하고 있는 에셔의 큐레이팅을 통해 진보적인 현대 미술제도의 지향점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At the point where Institutional Critique expands from artist to curator, this thesis focuses on critical curating contemplated sociologically from the viewpoint of New Institutionalism. In the 1960s, artists dismantled an absolute standard of Modernist art and attempted work where the question of art crossed into social context. This spirit of institutional critique in the 1990s spread to curators, as increased prestige attached to exhibitions. As a result, general opinion has formed that curators, as members of the institution, should introspect and reflect on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itself that encompasses an exhibition. Progressive curator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sts of institutional critique, encourage creative concepts from within the institutional system. The institution as a social space characterizes its potential.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ogressive curator, Charles Esche, who returned to the institutional system in 2000. His concepts and practices of critical curating are examined, focusing on the projects of the Gwangju Biennale 2002 and Rooseum. Firstly, this thesis examined how the avant-garde spirit of artists in the 1960s spreads to curators with considerations given toward history and the relevant time period. It is confirmed that the exhibition, 《When Attitudes Become Form》 by Harald Szeemann, called the root of critical curating, greatly impacted the critical curating of progressive curators, and revealed how New Institution was birthed in the neoliberalism system and its features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orists. Secondly,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critical curating that Esche himself borrowed and contrived, and analyze how this practice is applied withi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Especially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Superflex, Esche was able to approach the public dynamically, while exploring art as related to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Consequently, it revealed that which Esche considered important, the institution of "possibility" which allows for alternative imaginings, is realized and his curating moved toward a widenening spectrum within the art institution. Finally, this thesis intended to look into collaboration, an important program in New Institutionalism, with a central focus on the activity of WHW (What, How & for Whom). Through the activity of collaboration workers, including WHW who attempts to introduce Esche’s concept of "possibility" into their work, we observed a logical response to today’s pressing sociopolitical issues like privatization of public places, the global hegemony of neoliberalism, etc. Also, the wider concept of curating from the context of New Institutionalism is discussed, using the project of Maria Lind, <The Greenroom: Reconsidering the Documentary and Contemporary Art> as a central focus. At the same time, its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are confirmed through discussion with New Institutionalism theorists, Nina Montmann and Alex Farquharson. This thesis tried, through an introduction to Esche’s project, to outline procedures that open new possibilities for Critical Curating which is still unfamiliar with such aspects of New Institutionalism in Korea. Inside the institution of art currently subsumed by capitalism, Esche’s curating, which dynamically pursues a new public character, may promote thinking in the direction of systems of progressive contemporary art.

      • Johann Sebastian Bach의 <Cello suite No.3 C major>와 Max Reger의 <Cello suite No.2 d minor>의 비교 연구

        강유선 숙명여자대학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resent thesis, J.S. Bach's Cello Suite No. 3 C Major and M. Reger's Cello Suite No. 2 D Minor are comparatively examined, from which we deduce the conclusion as follows: 1. Comparison of formal and structural aspects Bach's piece is composed of Prelude-Allemande-Courante-Sarabande-Bouree I, II-Gigue on the basis of the typical classic suite adopting the Binary form for each movement, and assumes the form of half cadence of I-V chord with the musical range C-g'. On the contrary, Reger's is composed of the liberal form for the typical classic suite, that is, Prelude-Gavotte-Largo-Gigue, and each movement is taking the various forms of Binary form, Tenary form and mono form. He used the half cadence processing of I-III chord which the romantic composers willingly adopted for half cadence as well as that of I-V. As for the musical range, it is enlarged to C ∼ a" and thus the range of representation is considerably extended. 2. Comparison of Bowing techniques The multiple stops in Bach's can be played by the various techniques and it requires functional complement and techniques appropriate to the modern bow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bow. However in Reger's, the multiple stops are adjusted with Arpeggio and therefore there is little problem of bowing techniques by the modern bow, and the contrast of the various staccato and slur are frequestly represented. 3. Comparison of Dynamics While Bach's music is composed of mainly forte and piano requiring the player's impromptu dynamic and limiting the range of dynamic from pp to f, Reger's presents the expression of the various dynamic on the work and the range of dynamic is extend from ppp to ff wherein crescendo and decrescendo are also used for variation of the detailed dynamic. 4. Other techniques In Bach's there is no special techniques but the use of the thumb for fingering. But Reger enhances the function of expression of Cello by the various techniques, anamely, constant use of the thumb based on the heightened musical range, many kinds of ornament, pizzicato, harmonics, etc.. Considering the two cello suites appeared with the gap of 200 years, we find something in common like the way of development of motive, use of the regular beat, sufficient termin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 sound of cello using the abundant vibrato and so on. Also we can see the developed aspects of enlargement of musical range, clearing up a problem of techniques, expression of minute dynamic and various techniques. However, the present thesis is extremely fundamental and thus should be the base for playing many other music after the profound study of said suit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thereof in which background of times and the way to play a Baroque music suitable to the modern sense must be considered.

      •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강유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o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school children in their lower grades, as this type of program provides plenty of social interaction opportuniti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verify the effect of a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on lower graders. 1. Does a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have any effect on children's social skills improvement? 2. Does a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have any effect on children's cooperativeness, ssertiveness, empathy, self-regulation that are subfactors of social skil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 students in two different second-grade classe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 pretest was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 two classes were equivalent or not. Out of the two, the students in a clas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a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The students in the other clas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which engaged in optional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lassroom curriculum.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10 times during a five-week period, twice a week.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39-item frequency section for students in Moon Sung-won(1997)'s inventory that adapted and modified Gresham and Elliott(1990)'s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to suit Korean circumstances. The four subfactors of the social skills of the preschoolers were rated by this inventory, which were cooperativeness, 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regul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5.0, and t-test was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ttest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he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would be effective at cooperativeness, one of social skill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show a bet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osttest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he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would be effective at assertiveness, one of social skill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make a better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posttest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he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would be effective at empathy, one of social skill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show a bet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posttest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he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would be effective at self-regulation, one of social skill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make a better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who were in the lower grades.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well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kills and try to teach them in systematic and diverse ways by producing appropriate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social skills program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could be one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foster children's social skill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아동 상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풍부히 제공하는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협동학습의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협동학습의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조절)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2개 학급은 사전 검사를 통해 두 집단 간의 동질성 비교를 하였으며, 이 중 1개 학급 22명은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다른 한 학급은 학급 교육과정에 따른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5주간 주 2회로 총 10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Gresham과 Elliott(1990)의 SSRS(Social Skills Rating System)를 문성원(1997)이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 수정한 척도 중 SSRS-학생용 39문항의 빈도영역만을 사용하여 사회적 기술 중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은 통계 패키지인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 중 협동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 중 주장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 중 공감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등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을 전개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등학교 현장에서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주판 활용 수 조작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유선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주판 활용 수 조작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주판 활용 수 조작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시의 S어린이집의 만4, 5세 2개 반을 무선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 실시 전에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2회에 걸친 실험처치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후 점수로 효과검증을 하였다. 수학능력 검사는 김지영(2005)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학적 태도검사는 황해익, 박지영(2006)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이 주판활용 수 조작활동을 총 12회 실험하는 동안에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의 교육과정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lN 22.0 프로그램으로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판 활용 수 조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능력의 덧셈, 수학적 태도의 수학에 대한 흥미 영역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서 나타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주판활용 수 조작활동이 유아들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주판 활용 수 조작활동은 만4세 이상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활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활용되어 온 여러 가지 계산 보조 교구 중 오랫동안 우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수학교육 보조 교구가 주판이다. 주판을 활용하는 주산교육의 특징은 수의 흐름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조작하고 확인하면서 수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자연수의 덧셈, 뺄셈의 경우 계산 원리와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주판알의 수량과 수의 개념을 이해하고 큰 수의 연산도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3∼5세 연령별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유아들의 수학지도를 위한 수학과정 및 유아 수학프로그램에서 주판을 활용한 조작활동을 포함하게 된다면 유아들은 쉽고도 즐겁게 계산능력 뿐만 아니라 수학적 태도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향후 장기적인 계획으로 체계적으로 주판을 활용한 수학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유아 수학의 다양한 영역과 수학에 대한 흥미까지도 유도해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numeral activities using an abacus on mathematical abilities and young children’s attitudes. Therefore, this study set a research goal to see if numeric manipulation activities with the abacus are really related and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Two classes consisting of 4 or 5 years old children randomly were chosen from K and S pre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15 children in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each. The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test and checked the homogeneity of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two groups. After 12 experimental sessions, a pos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This study used a tool developed by Kim Ji Yeong(2005) to measure the children’s math ability and a tool developed by Hwang Hae Ik and Park Ji Yeong(2006) for mathematical attitude.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12 sessions of numeral activities using an abacu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uri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by t-test by SPSS WlN 22.0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following.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the numeric manipulation activities using an abacu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ir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 ability and interest in math in mathematical attitudes , most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erifying that numeric manipulation activities using an abacus had effects on improvement of children’s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This study proved that a numeric manipulation activity using an abacus is an effective education to improve children’s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ver 4 years old. An abacus is the math teaching aid that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us for a long time among many other teaching aids. One can see, operate and check numeral flows with an abacus and understands the process of the numbers. An abacus shows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in natural numbers visibly, and children can understand the quantity of the beads and the numerical concepts. They can also do arithmetic operation of big numbers easily. Therefore, if a ma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program for children can include numeral activities using an abacus in connection with the Nuri education for 3∼5 years old children, their math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will be improved in an easy and enjoyable way. If we apply a math teaching program using an abacus as a systematic long-term plan, it will arouse children’s interest in mathematics and many other fields.

      • S-S-C-Model(System-Strategy-Communication) 전략들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강유선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에 대한 사회적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어떻게 해야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지에 관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요즈음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공헌활동 상태를 진단하는 척도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효과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위해 특히 필요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사회공헌활동 척도를 개발하는 데 본 연구가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신호창의(2008)의 S-S-C Model 전략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S-S-C Model의 유효성을 검토하고, 실제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수행정도를 진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이 적극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활동 자체를 공중들에게 PR하는 것 역시 필수적으로 연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부분을 강화하여 기업의 생각과 국민의 인식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조율하고 진정한 사회공헌활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우리나라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공헌활동을 진단하기 위한 S-S-C Model 세 가지 영역의 차원이 실제로 유사하게 평가되지는 알아본 결과 유사하게 구분되었고, 타당성 획득, 신뢰성 획득 과정을 통하여 척도로서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the concep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drawn wide attention from various fields as modern society requires corporations to take part more actively in creating a better living environment. Many Companies have already done much to improv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heir activities, yet these efforts have not been nearly as productive as they could be. Domestic Korean companies are also investing large sums in CSR activities. However, people do not have high awareness of likability of Korean companies since there is no strategy for CSR activities and lack of effectiven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uggest developing a CSR activity creation model focusing on effective CSR activities strateg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rategy on S-S-C Model (Shin, 2008) and verify an effectiveness of S-S-C Model. As a result, this thesis offers the strategy for effective CSR activities of domestic companies from S-S-C Model's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while the strategies of S-S-C Model acquire validity and reliability, suitability is verified as an evaluation Model for CSR activities

      • 함정 소프트웨어 군직정비를 위한 도급 탑재장비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대상 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강유선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Depending on the importance and dependence of the role of the onboard equipment software operating in naval ship, the software has become an important item to be secured and managed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naval ship. Unlike other weapons systems, ship-mounted equipment is acquired by contract, rather than by officials, and mounted on ships. However, since the clear standards and procedures have not been established for the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procedures for the software of contract equipment, which occupies the majority of the installed equipment, management related to this is bound to depend on the equipment manufacturer. In this thesis, for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software maintenance ability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naval ship project,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items of contract equipment that are required for maintenance activities of the Navy in the operation maintenance phase and need to be managed from the early phase were selected.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ip project and the importance of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were analyzed, and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process of weapon systems was analyzed to present the problems. In order to select the configuration management items, the classification identifier of the weapon system, the software attributes and software outputs were analyzed, and the software military maintenance considerations were analyzed, and the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items practically applicable by the Navy were selected and presented. In the future research, from the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 intend to conduct an improvement study the configuration management process of contract equipment software in regulations and guidelines. In addition,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 intend to conduct a study the internalization by constructing a systematic computerization system that enables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on-site maintenance for the selected configuration items. 함정에서 운용되는 탑재장비 소프트웨어의 역할의 중요도 및 의존도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함정의 군직정비 측면에서도 정비능력을 확보하고 관리되어야 하는 중요한 항목이 되었다. 함정 탑재장비는 다른 무기체계와 달리 대다수 탑재장비가 관급이 아닌 도급으로 획득되어 함정에 탑재된다. 하지만 탑재장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도급장비 소프트웨어에 대한 형상 및 정비 절차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준 및 절차가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관리업무는 장비 제작업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함정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군직정비 능력 향상을 위해 운용유지단계에서 소요군의 정비활동에 요구되고, 사업초기인 탐색개발 단계부터 관리가 필요한 도급 탑재장비의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대상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함정사업의 특징과 국제 규격의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제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형상관리 대상 항목 선정을 위해 무기체계의 분류체계 식별자 및 소프트웨어 속성과 소프트웨어 산출물을 분석하고, 소프트웨어 군직정비 고려사항을 분석하여 해군이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대상 항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도적 관점으로 규정 및 지침에서 도급 구매장비 소프트웨어의 형상관리 프로세스 구체화에 대한 개선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실무적 관점에서는 선정된 형상항목에 대한 형상관리 및 현장정비 지원이 가능한 체계적인 전산화 시스템 구축을 통한 내재화 방안 연구를 하고자 한다.

      • 유아의 보육경험과 애착유형 및 사회적능력과의 관계

        강유선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attachment patterns and social skills of this three­year­old children, who are spending much of their at daycare center during an important of personality of development, in order to understand children's stable attachment and social skills to development appropriate strategies for these development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daycare experiences by their attachment patterns? 2. How does the children's daycare experiences influence on their social skill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8 three­year­old children, along with their parents and ten teachers of the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en daycare centers from Kang­dong district, Young­deung­po district, and Joong­rang district of Seoul. Three measure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ASCT) (Bretherton, 1990), which was translated by Lee(2001), was used to investigate children's attachment. Second, the Skill Situation Measure (McGrinnis & Goldstein, 1990), which was translated by Lee, Park, and Roh (1993), was used to examine social skills of children. Third, the questionnaire of children's daycare experiences (cho, 2004) was revised and used identify issues regards children's daycare.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the SPSS 12.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ttachment patter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daycare experiences in terms of the initiation of the program, the amount of weekly time spent, and the amount of total daycare experiences. Specially, the children who stable attachment had late initiation of daycare program, spent little time in daycare per week, and had short total periods of times in daycare. Second, the children's daycare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skills. Children's weekly time spent in daycare and total period of time in daycar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hildren's social but the initiation of the daycare program did not have any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다니는 만 3세 유아의 보육경험(보육시작 시기, 총 보육기간, 주당보육 시간)과 애착유형 및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인성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 시기에 보육시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유아의 안정된 애착과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라 보육경험은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경험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동구, 영등포구, 중랑구 지역에 있는 총 10개의 어린이집 만 3세반에 3개월 이상 재원중인 유아 118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담임교사이다. 유아의 애착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Bretherton 등(1990)의 애착 이야기 완성과제(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 ASCT)를 이진숙(2001)이 번안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cGrinnis와 Goldstein(1990)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기술상황척도 ‘Skill Situations Measure'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수정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보육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조혜진(2004)이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보육경험에 관한 질문으로 보육을 시작한 시기, 현재의 주당 보육 시간, 총 보육기간을 묻는 문항을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다중회귀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SPSS 12.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라 보육경험 변인 중 유아의 보육시작 시기, 총 보육기간, 주당보육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안정애착인 경우가 불안정애착인 유아보다 보육시작시기가 늦으며 총 보육기간과 주당보육시간은 짧게 나타났고, 불안정애착인 유아가 안정애착인 유아보다 보육시작시기가 빠르며 총 보육기간과 주당 보육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보육경험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보육경험을 보육시작 시기, 총 보육기간, 주당 보육시간의 3가지 변수로 하여 이것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어떠한 변수가 사회적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총 보육기간과 주당보육시간의 두 변인이 사회적 능력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시작 시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이야기 담화 응집성 실현 양상 연구 : 이야기 담화 구조 및 응결 장치 사용을 중심으로

        강유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coherence realization of narrative discours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a part of investigating their capability of narrative discourse. Considering that discourse structure and cohesive devices as a linguistic and grammatical element represented in the discourse surface are engaged in the coherence of discour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spect of structure development of narrative discourse and the utilization of reference and conjunc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1, the importance of discourse competence as a communicative competence is examined. The insufficiency of the studies on discourse compet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pointed out, and the necessities, objectives,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chapter 2, discourse, coherence, narratives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on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 and coherenc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lso examined. In the chapter 3,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presented, and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explained in details. In the chapter 4, the aspects of the structure development of narrative discourse,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lements disrupting the consistency of the contents, and the aspects of their utilization of cohesive devices are described. In the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ointed out with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ectively contained [abstract] and [evaluation] while essentially contained [setting], [complicating action], [resolution] when comprising narratives. Although evaluation was selective, it was found to be relatively preferred. Also, the arrangement order that they preferred was [setting-complicating action-resolution-evaluation]. In terms of the content unit of each structure, the key contents of narratives were briefly suggested in [abstract]. In [setting], the cause of action occurrence or the introduction of appearing characters, the description of spatial or temporal circumstances, the personal opinions and common facts were included. In [complicating action], the occurrences of the events by autonomous behaviors of appearing characters or external factors were listed according to the temporal order. In [resolution], the outcomes after the events or the situations lasting till the present were reflected. Lastly, the emotional states of the speakers, such as lessons or feelings, were expressed in [evaluation]. In terms of the contents of narrative discourse, the coherence of discourse was found to be disrupted due to the insertion of extraneous contents, lack of information, excess of information, or delaying of the introduction utterances. Second,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utilized the reference expressions in the form of ‘그+noun’most actively in order to hold the topic by referencing the objects mentioned at the last minute of the narratives. They preferred the type of ‘이렇다’ in order to reference the objects which were close to the speakers in physical or emotional senses, while preferring the type of‘그렇다’ in order to recall the objects mentioned in the previous discourses. In addition, the problems of referencing objects vaguely and using inappropriate expressions for the referenced objects were found. In terms of conjunction, they usually used the expressions with the implications of cause and effect, transition, addition, list, enumeration, order. The utilization was concentrated in‘그래서’, which were used repeatedly and meaninglessly in order to maintain the discourse in general. Although they relatively use the words‘그런데’and‘그리고’ without mistake, few of them misused‘그리고’for the expression of cause and effect. As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the Korean language learners’group to require the linguistic capability ultimately closed to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nvestigated their discourse competence beyond sentence unit can examine the actual discourse compet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s higher frequency of being exposed to spoken language and can suggest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m by extension.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 능력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들의 이야기 담화 응집성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담화 구조와 담화 표층에 나타나는 언어·문법적 요소인 응결 장치가 담화의 응집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 이야기 담화의 구조 전개 양상과‘지시’,‘접속’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으로서 담화 능력의 중요성을 밝히고, 여성결혼이민자의 담화 능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하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담화와 담화의 응집성, 이야기 담화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선행 연구로 한국어교육에서의 이야기 담화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와 담화 응집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 자료의 수집과 분석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였고, Ⅳ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이야기 담화 구조 전개 양상 및 내용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 그리고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의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교육적 제언과 함께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이야기를 생산할 때 [요약]을 선택적으로 포함시키고, [배경, 사건, 결과]는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평가]는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비교적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선호하는 구조의 배열 순서는 [배경-사건-결과-평가]이며, 대체로 [배경-사건-결과 또는 평가]의 순서를 지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구조의 내용 단위를 살펴보면, [요약]에는 이야기의 중심 내용이 간략히 제시되고, [배경]에는 사건 발생의 계기 또는 등장인물 소개, 시공간적 상황 묘사, 개인적 견해, 일반적 사실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건]에는 등장인물의 주체적인 행위나 외부적 요인에 의한 문제 발생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되고 있었고, [결과]에는 사건 이후의 성과나 현재까지 지속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에는 교훈이나 느낌 등 화자의 정서적인 감정이 표현되었다. 내용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관련 없는 내용의 삽입, 정보의 과잉 및 부족, 도입 발화의 보류가 응집성을 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이야기 담화에서 바로 직전에 언급되었던 대상을 가리키며 화제를 유지하기 위해‘그+명사’형태의 지시 표현을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였고, 물리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화자에게 근접한 대상을 가리킬 때‘이렇다’유형을, 선행 발화에서 언급된 대상을 상기할 때에는‘그렇다’유형을 선호하였다. 또, 지시 대상이 불분명하고 지시 대상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접속 표현에 있어서는 인과, 전환, 첨가, 나열, 순서의 의미를 갖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쓰임은‘그래서’에 집중되었고, 담화 유지를 위해 무의미하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다.‘그런데’와‘그리고’는 비교적 오류 없이 잘 사용하고 있었으나 인과 관계를 표현할 때‘그리고’가 잘못 사용된 경우가 소수 발견되었다. 대한민국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야 할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궁극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에 가까운 언어능력이 요구되는 한국어 학습자 집단으로 문장 단위를 넘어 담화 능력을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는 구어에 노출 빈도가 높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실제 담화 능력을 진단하고, 나아가 이들을 위한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