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적 주체 개념을 통한 현대시 교육 연구

        강영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lyric genre, and explores whether poem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lyric genre could be addre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ontent of literature education by introducing the renewed aspect of the lyric genre in the latest modern poetry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about the poetic subject. The concept about the poetic subject is a concept that can explain new lyricism and the consequent modern poetry. Also, this study mostly focuses on the korean modern poetry after the 2000s. Korean modern poetry after the 2000s can be explained with the concept about the poetic subject as it expands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n the modern poetry by shift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lyricism and taking into account disidentification. Chapter Ⅱ critically reviews the theories on the lyric genre. The conventional lyric genre inherently identifies itself with the poetic object. However, under the conventional lyric genre, poems do not belong to poets, and the modern poetry, which reflects the changing world, cannot be accounted for. The poetic subject, which does not embrace the conventional lyric genre, can recognize the object more freely, and can express the content of the recognition with poetic language. Not accepting the identification expressed in poetic language can be understood as one aspect of discourse. Discourse should be constructed not only by the producer but also by the receiver independently. Therefore, readers are required to actively interpret the modern poetry. Based on this approach, Chapter Ⅱ review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oetic subject. Chapter Ⅲ concret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subject in the modern poetry, particularly in the works of 진은영(Eun-yeong Jin), 이장욱(Jang-Uk Lee), and 이수명(Su-myeong Le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ubject, "others", and the world. First, the subject could identify him or herself as the object of inquiry. Then, the subject re-explores and understands other aspects of him or herself. By doing so, the subject could find the aspect of "others" in him or herself, and then acknowledges that this aspect of the subject is also part of him or herself. Secondly, the poetic subject pays attention to "others." During this process, "others" do not exist in order to identify the lyrical self, and acquire their own unique meaning. By doing so, the subject can recognize "other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m. Lastly, the poetic subject accesses a "different" world and completely denies the conventional lyric genre, which pursued identification. Such denial comes from the recognition that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oneself with the entire world. The poetic subject explores the "different" world, and expresses the meaning with poetic language.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oneself with the whole world and poetic language itself is incomplete, the poetic subject continues to explores the world. Chapter Ⅳ formulates the objectives of literature education so that learners can form critical views about the object, construct discourses, and enjoy literature. The content of the instruction includes forming metacognition about the lyric genre, cultivating taste for literature, and encouraging learners to practice literature by understanding the utterance of the poetic subject as a cultural phenomenon. This study begins the discussion on the poetic subject in order to expand the content of modern poetry education. This study carries academic significance since recent modern poems,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with the conventional lyric genre, could be covered in an educational context.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content of literature education by stimulating the discussion on the lyric genre. 이 연구는 서정 장르를 비판적으로 재인식하는 동시에 기존 서정 개념에 저항해 왔거나 기존 서정 개념으로 설명될 수 없는 성격의 시들이 교육의 장에서 어떻게 다루어질 수 있는지를 살핀다. 변화하는 서정의 양상은 기존의 서정이 포괄할 수 없었거나 혹은 논의하지 않았던 대상에 대한 보다 다양한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최근 현대시가 보이는 새로운 서정의 모습을 교육의 장에 도입함으로써 문학교육의 내용을 확장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적 주체 개념을 도입하는 동시에 구체적으로는 2000년대 이후의 현대시를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한다. 시적 주체 개념은 새로운 서정과 그로 인한 현대시의 모습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개념이며, 2000년대 이후의 현대시는 기존의 서정 문법에서 벗어나 비동일성의 대상을 사유하며 담론의 장으로 시의 논의를 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적 주체 개념을 통해 설명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Ⅱ장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시적 주체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전제를 펼친다. 시적 주체가 문학교육에서 포괄하기 어렵고 기존 서정 개념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시들을 담아내기 위해 도입된 개념인 만큼 기존의 서정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기존의 서정은 자아론에 입각하여, 세계를 자아화할 수 있거나 혹은 세계와 자아의 동일시에 입각해야만 서정시가 성립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접근 방식은 시를 시인의 것으로 복속시키는 문제를 낳으며, 또 변화하는 세계에 맞물리지 못한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동일화나 자아화와 같은 기존의 서정 문법을 수용하지 않는 시적 주체는 대상을 보다 자유롭게 인식할 수 있게 되며, 그 인식의 내용을 시적 언어로 표현하게 된다. 시적 언어로 표현되는 동일성의 거부는 현대시를 시인의 복속물이 아니라 담론의 한 양상으로 이해하게 한다. 담론은 생산자뿐 아니라 수용자에 있어 주체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기에 현대시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은 독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시적 주체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진은영, 이장욱, 이수명의 현대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현대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시적 주체의 특성을 주체, 타자, 세계의 관점에서 구체화한다. 먼저 주체가 스스로를 탐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주체는 자신이 몰랐던 또 다른 주체의 모습을 재탐색하고 이를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주체 자신에서 또 다른 타자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이 역시 주체의 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또한 시적 주체는 타자 자체에 주목하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타자는 자아와의 동일화를 위해 존재하지 않으며 타자 자체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타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주체가 아닌 타자 자체를 인식하는 과정이 그려진다. 마지막으로 시적 주체는 이질적인 세계에도 접근한다. 이는 동일성을 추구했던 기존의 서정 문법을 전면적으로 거부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거부는 세계가 더 이상 동일화되기에는 너무나 거대하고 이질적인 존재라는 인식에서 오는 것이다. 하지만 시적 주체는 시를 통해 끊임없이 세계를 탐구하고 나름의 의미를 찾아내게 된다. 시적 주체는 권위적인 자아의 위치에서가 아니라 담론으로서의 위치에서 의미를 구성한다. 따라서 그 의미 구성은 현대시를 향유하는 독자와 함께 이루어야 하는 것이며, 시적 언어의 불완전성 및 비동일성의 속성을 지닌 대상의 성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적 의미를 담게 된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학습자가 대상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형성하는 것과 더불어 담론을 구성하며 작품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문학교육적 목표를 마련한다. 또한 이를 통한 교육의 내용으로는 시라는 장르에 대한 메타적 인식의 형성과, 시적 언어에 나타나는 감각을 통해 주체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읽어내고 언어감각을 기르는 것, 그리고 문화적 현상으로 시적 주체의 발화를 이해함으로써 문학의 생활화를 도모하는 과정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는 현대시 교육의 내용을 확장하기 위해 시적 주체에 대한 논의를 도입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서정으로 설명하지 못했던 최근의 현대시들을 교육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로 하여금 서정 장르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어 문학교육의 내용이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 리뷰 분석 :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빅데이터 방법론 중심으로

        강영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메타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메타버스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경험 탐색이 중요하다. 특히 기업과 브랜드에서 새로운 마케팅의 도구로 메타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더 다양한 형태의 메타버스 플랫폼이 등장할 것은 분명하기에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 경험 연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메타버스 이용률을 기반으로 제페토, 로블록스, 동물의 숲 포켓 캠프, 이프랜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하였다. 토픽 모델링의 결과로 제페토의 긍정 리뷰 대표 토픽은 사진 공유, 가상 화폐 및 경제활동, 선물 기능,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으로 명명하였고 부정 리뷰의 대표 토픽은 현금 결제 유도 및 과금, 계정 및 로그인 오류, 코인 획득 방법, 업데이트 및 접속 오류로 명명하였다. 로블록스의 토픽 모델링 결과 긍정 리뷰는 모바일 게임, 다양한 맵, 만족스러운 콘텐츠, 스킨 및 장식으로 토픽을 명명했으며 부정 리뷰의 경우 버그 및 서버 이슈, 계정 오류, 거래 사기, 멤버십 결제 문제로 명명한 토픽을 도출하였다. 동물의 숲 포켓 캠프의 긍정 리뷰 대표 토픽은 계정 연동 이벤트, 모바일 전환, 성장 플랫폼, 가구 제작 및 꾸미기로 명명하였고 부정 리뷰의 경우 계정 연동 오류, 접속 및 연결 오류, 정기 결제 컴플레인, 원작 대비 실망으로 명명하였다. 이프랜드의 대표 토픽은 문서 공유 기능, 그룹 모임, 자료 호환, 음성 채팅으로 명명하였고 부정 리뷰의 경우 제페토 짝퉁 인식, 접속 무한 대기, 버퍼링 오류, 아바타 및 소통 이슈로 토픽을 명명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각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징과 기능이 긍정 리뷰에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었고 유료 정기 결제, 서버 및 계정과 같은 기술적인 오류는 부정적 리뷰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Metaverse is growing swiftly, and the exploration of user’s experience is integral for the activation and retainment of Metaverse ecosystem. Specifically, companies and brands are actively utilizing Metaverse as a new marketing tool and it is clear that there will be the advent of more diverse types of Metaverse platform in the future and thus the research on user experience on the Metaverse platform i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paper, Zepeto, Roblox, Animal Crossing Pocket Camp, and Ifland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domestic metaverse utilization rate and text mining was conducted. From the result of topic modeling, Zepeto’s positive review topics were named photo-sharing, virtual currency and economic activity, gift functions, and avatar customization, whereas negative review topics were named cash payment induction and billing, account and login errors, coin acquisition methods, updating and accessing errors. As a result of Roblox’s topic modeling, positive reviews were named on topics of mobile game, various maps, satisfying content, and skins and decorations, and for negative reviews, the topics named of bugs and server issues, account errors, transaction fraud, and membership payment were derived. The positive review representative topics of Animal Crossing Pocket Camp were named of account linking event, mobile conversion, growth platforms, furniture production and decoration, and negative reviews were named on account linking errors, access and connection errors, recurring payment complaints, and disappointment compared to the original work. Ifland’s representative topics were named document sharing functions, group meetings, data compatibility, and voice chat, and for negative reviews, the topics were named of fake Geppetto recognition, infinite waiting for access, Buffering errors, issues of avatar and communication. Through topic modeling,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each metaverse platforms were evident in positive reviews, and technical errors such as charged recurring payment and server and accounts were commonly criticized in negative reviews.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전자그림책 활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강영주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디지털매체의 보급과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전자그림책이 어떻게 활용 되고 어떻게 인식 되고 있는지 그 활용 실태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자그림책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전자그림책 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유아교육기관의 영아반과 유아반의 전자그림책 활용 실태는 어떠한가? 2. 전자그림책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 교사의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4. 유아교육기관에서 전자그림책 활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광주광역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5세 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95부의 질문지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집단 간 활용실태와 교사인식차이 검증을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전자그림책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과반수에 가까운 교사들이 교수매체로써 동화시간이나 귀가하기 전에 전자그림책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전자그림책의 활용이 유아의 독서량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반수 이상의 교사가 전자그림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자그림책이 필요한 이유로 ‘유아의 호기심과 주의집중을 높이기 위해’라고 생각하였다. 전자그림책 활용 시 어려운 점으로 ‘시설 및 기기의 부족’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고, 전자그림책의 가장 중요한 교육적 효과는 영유아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연령별 인식 차이를 보면, 20~30대의 교사가 상대적으로 40대 이상의 교사보다 전자그림책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다. 전자그림책 활용을 위해 20∼30대 교사는 전자그림책 활용을 위한 디바이스(기기)의 확대 지원을, 40대 이상의 교사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제공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 넷째, 전자그림책의 바람직한 활용 방향으로 종이그림책과 전자그림책 활동이 상호 보완적으로 통합되어 이루어져야 하고, 서로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매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자그림책 활동의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제공과 디바이스(기기)의 확대 지원을 요구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전자그림책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활용을 위한 시설 및 기기와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 구축을 위한 지원이 절실했다. 이러한 실태는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빠르게 변화 하고 있는 교육의 페러다임에 유아교육의 현실은 보조를 맞추지 못함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지원을 확대하고 전자그림책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정책적 지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수매체를 준비하고 제공하는 교사들은 디지털매체의 무분별한 활용을 자제하고 전자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의 적합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선별적 활용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교육소외계층의 교육지원방안

        강영주 대구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교육의 이념을 수월성의 추구와 평등의 실현으로 구분한다면,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은 평등의 실현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교육 평등의 이념을 실현시키는 대표적인 사회 기구는 공립체제의 학교라고 볼 수 있다. 학교는 모든 학생들에게 동등한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교육적 성취에 대해서 공정하게 경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이념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공교육 체제의 학교는 이런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못하고 있다.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교육을 통한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또는 계층화와 사회적 부의 불평등을 정당화 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교육에서의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바로 학교 교육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조건과 환경들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무시하기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학업 성취는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조건과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기에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환경이나 조건을 무시하고 학교에서 동등한 입장에서 경쟁을 하라는 것은 허울 좋은 말일 수 있다. 가정에서 경제적 빈곤으로 인한 주거 및 생활환경의 열악, 문화적 결핍과 교육 경험의 부족,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취학 당시부터 뒤쳐진 학생은 학교에서 특별한 인위적 조치가 있지 않는 한 다양한 경험과 지적자극 속에서 성장한 학생들에 비해 신체 발달, 인성 발달, 학업 성취 면에서 뒤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이들이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이유가 자신의 능력 부족이나 자신의 노력 부족이기 보다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자신의 환경적 불리함으로 교육 기회를 제한 받고 자신의 잠재 능력을 제대로 표현해 보지 못하기에 낮은 학업 성취율이나 학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자신의 낮은 학업 성취율은 학벌 사회의 특징을 가지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으로 낮은 대접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이것은 경제적 활동을 통하여 경제적 부의 획득을 할 기회를 잃게됨을 의미한다. 경제적 부의 획득 실패는 자신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자녀들의 교육 여건 및 환경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사회적 빈곤이 대물림이 되어 계급의 재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조건과 환경이 다르기에 동등한 입장에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없으며 환경적 조건의 차이로 인하여 경쟁에 뒤처지게 되면 사회에서도 낙오할 수 밖에 없다. 이런 관점에서 각 개인이 소유한 열악한 조건과 환경 때문에 평등한 경쟁 기회나 교육 성취 기회조차 가지지 못하는 집단인 교육소외계층이 등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소외계층 실태와 교육 소외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교육소외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 사회에서 교육 소외 교육 소외 현상의 원인을 경제적 빈곤, 문화자본의 결핍, 한국 문화 부적응, 교육 낙후 지역 거주, 신체적 장애로 나누어 보았다. 경제적 자본 소유의 차이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교육 투자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각 가정이 소유하고 있는 문화 자본의 결핍으로 소외 학생들에게 양질의 문화적 체험이나 문화적 안목을 길러주지 못하고, 한국 문화의 부적응으로 인종적 차별을 경험하고, 원활한 학교생활을 하지 못하며, 언어 이해의 차이로 학업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농촌과 같은 교육 낙후 지역에 거주하여 학생들의 문화적 체험기회가 극히 적으며, 교육의 물리적 환경과 여건이 열악하고, 우수 교육 인력이 기피한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장애, 즉 장애인의 교육 소외로 교육 현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물리적 교육 환경의 미비, 장애인에 맞는 교육과정 구성이나 학교 현장의 운영, 상급 학교로의 진학 기회 보장 및 지원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원인들로 인하여 우리 사회에서 소외계층인 저소득층, 농어촌 거주 학생, 북한 이탈 청소년, 외국인 근로자 자녀, 장애인들은 공교육 체제 내에서 평등한 교육 기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위에서 제시된 원인을 바탕으로 교육 소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저소득층을 위해서는 경제적 빈곤으로 인한 불안한 가정 기능을 보완해 주어야 하고, 저소득층 학생들의 자기 존중감, 성취동기를 부여하여 교육적 의욕을 고취할 수 있어야 하며, 저소득층 거주 지역의 교육·문화 시설 투자 확대, 경제적 지원을 통해서 고등 교육 기회가 확대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위해서는 먼저 복잡한 취학 단계를 간단하게 정비해야 하며, 학교생활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위한 상담 교사 및 전문교사 배치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학업 적응을 도와야 한다. 그리고 한국 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하고, 우리나라 학생들에게도 다른 문화와 인종을 수 This research is in goal the fact that actual condition with the educational estrangement class and grasped occurs the cause the educational estrangement actual condition from the research which sees and searches the model will be able to solve an educational estrangement actual condition In difference of economic capital possession of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estrangement about reduction in studies accomplishing degree of the students decisive effect the difference occurs from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and is the possibility of decreasing in scarcity of the cultural capital which each family has in the estrangement students cultural experience or cultural good eye of good quality not to raise, even in studies, not living school is smooth with experience with vice-adaptation of Korean culture not to be able a racial discrimination, with difference of language gain and the difficult is undergoing And educational falling behind as the farming village dwells and the cultural experience chance of the students is few,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ircumstance of education inferior excessively, the excellent educational manpower avoids. Finally, with education estrangement of body obstacle from education field entering upon studies chance guarantee at the operation and the advanced school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which hits to the deficiency and the disabled person of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or school site and support etc. do not become accomplished about the disabled person to be being and about reduction the low income layer which is an estrangement class from our society,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welling students, the North Korea disconnection young people, the foreigner worker children and the disabled people cannot receive the educational chance which is equal from within public education setup the fact that is actuality with like these reasons Educational estrangement problem estrangement class of society only cannot be educated in underclass and economic poor class ending from the fact that cannot know and the education to become cause from the society falls down, there is problem. Especially, the education with social position in korea will be called and get from the academic clique member of society Korean society to admit like this actual condition is appearing more strongly. In these reasons, this the effort for is necessary that educational estrangement actual condition seriously from our society, accepts and solves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material policy which supports,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n educational estrangement class from about estrangement class interest, and private groups are not to help these but a support national policy could be adapted to our society the thing which from private level do with livelihood support these people. And it will be educated simultaneously social system the latent ability of guarantee receiving themselves and the poverty which in education the right that is possibility the maximum is revealed and It stop to cause by handing down to posterity, or lower class handing down to posterity.

      •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문화소의 번역연구

        강영주 부산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문화소가 번역서에서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 문화 및 문화소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문화소의 중요성, 그리고 문화소의 부등성이 존재할 경우 극복 전략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Vinay and Darbelnet와 Baker의 번역전략을 참고하고 문화소의 번역전략으로 상위어 사용전략, 문화대체어 사용전략, 설명을 덧붙인 차용어 사용전략, 부연설명 제공전략을 소개했다. 분석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소의 번역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이근희가 나눈 문화소의 범주 중 고유명사, 특정 문화와 관련된 어휘, 관용구, 도량형의 단어를 선택하였다. 마지막으로 번역전략과 문화소와의 관계를 통해 각각의 문화소를 번역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번역시 일대일 등가 실현을 위한 언어 실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서로 상이한 두 문화 간에 언어 충돌이 생겼을 경우 Nida가 주장한 역동적 등가를 실현하기 위해서 문화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 나라의 문화와 문화소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 나라의 언어를 이해한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종의 문화소를 번역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는 번역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번역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실제 문학작품인 김동인의 『감자』와 그 번역서에서 발췌한 예문을 분석텍스트로 사용한 것이 기존의 문화소 관련 논문들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또한 문화소를 범주별로 나누어 적절한 번역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 하지만 문화소의 부등성 보상전략이 하나 이상일 경우 어떤 전략이 더 바람직한지 또 그 근거는 무엇인지 명확히 제시하지 못했다. 번역은 작위적이고 주관적이기도 하기 때문에 시대와 상황, 개인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문화소에 대해 어느 한 번역 전략만이 최선이라고 단정 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Understanding a language is acknowledging not only the literal meanings of the language but also its culture because a language implies a culture. A language that is an expression of a culture has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translating a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is not an easy work. In particular, if the culture of the source text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target text, it will be a huge challenge for the translator. As for cultural-bound vocabulary, there are some translating strategies presented by various scholars. However, it is hard to say which is the best strategy in translating cultural-bound vocabulary. Despite such difficulty, a translator should make all-out efforts to discover the most appropriate strategies in a given situation for a better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cultural-bound vocabulary and suggest some kinds of strategies for its translation. To this end, this paper selected a Korean short story which contains a number of cultural elements and its published translations to analyze the translation strategies used in the texts and categorize them. Lastly this study shows that which translation strategies are appropriate in certain situations. More studies must be done on the translation of cultural-bound vocabulary from Korean literature including Korean classical short stories to reveal their excellences to the world society.

      • 멀티스트링 태양광 PCS용 3상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의 설계 및 제어

        강영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three-phase interleaved boost converter. The effects of interleaving method are that reducing the ripple current and inductance, capacitance. Also the volume reduced and conduction losses. Thus efficiency is increase. 3-Phase Interleaving method was applied to boost converter of photovoltaic PCS and converter models were developed. A single converter module is design and produced to 10kW, Multiple modules can be configured to expand capacity. Input current control method of 3-phase interleaved boost converter is way to meet input current through control of each phase of inductor current control. It is important that balance is required between the Inductor currents. Therefore, the appropriate A / D conversion time and the execution of PI control and the reflection of resul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synchronization between multiple modules of the converter can operate more than 3-phase. The exact tim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nd delivery delays of the signals for synchronization should be minimized, Also it is broadcast to the connection between converter modules were configured. This extends the work on a number of benefits have been demonstrated experimentally. Advantages of interleaved simulations and experiments have been demons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