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중.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빛과 파동 영역 중심으로

        강미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 7차 교육 과정은 제 6차 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학교급 간의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각 학교급 간에 밀접한 연계를 갖도록 교과 내용을 구성한다고 교육 과정 구성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3학년부터 10학년(고등학교 1학년)까지 배우는 과학 과목의 물리 분야 중 「빛과 파동」 영역에서는 한 학년에 몰아서 수업을 하고, 1∼3년 동안은 전혀 다루지 않는 긴 시간적 단절이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이러한 시간적 단절이 나타나는 교과 내용으로 수업이 진행되면, 수직적으로 연계가 되어야 할 내용은 긴 시간적 단절로 인하여 학년이 올라가더라도 동일한 수준의 내용이 자주 반복되어지는 시간적 낭비가 생길 뿐만 아니라 단계적 학습이 되어야 할 부분은 한 학년에 몰아서 과도하게 수업이 진행되어야하거나 긴 공백으로 인한 격차도 크게 나타나게 된다. 여기에 학습자의 지각능력과 사고능력에 맞게 수평적으로 연계가 되어야 할 내용에서는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나타난다. 주위를 살펴보면 우리가 생활 속에서 매일 같이 경험하는 많은 현상들이 진동운동임을 알 수 있다. 소리는 공기분자들의 집단적 진동현상이고, 빛은 매질 없이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를 만들어가고 진동하면서 진행하는 현상이다. 뿐만 아니라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들 또한 전기적으로 뭉쳐 물체를 이루고 있으나 그 상태는 마치 원자들이 용수철로 연결된 상태로 진동운동을 하며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생활에서 가장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빛과 소리 그리고 물체들이 모두 전기적 또는 역학적 파동 현상임에도 현행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는 「빛과 파동」 영역의 중요성도 크게 강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학습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행 7차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과학 교과서 중 「빛과 파동」 영역에 대한 교과 내용을 검토한 후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내용의 수준과 수직적 연계성 및 수평적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과 내용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계성을 지니도록 그리고 「빛과 파동」 영역의 비중도 좀 더 확대되도록 교육 과정이 재구성 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e 7th curriculum constructed the policy for forming curriculum as saying of making up curricular contents so that there can be close connection among classes in each aiming to solve a gap among classes, which was shown in the 6th curriculum. However, in the sphere for 「Light and Wave」 out of the field in physics for science subject that is learnt from the 3rd grade to the 10th grade(1st grade of high school), the long temporal discontinuation was shown that teaching is performed by being gathered to one school year and is not addressed at all for 1∼3. Given that teaching is progressed with curricular contents that this temporal discontinuation is shown on the school field, the temporal extravagance is caused that the contents in the same level are often repeated even if a school year goes up owing to the long temporal discontinuation as for the contents that will need to be connected vertically. In addition, a part, which will need to be learnt step by step, should be progressed teaching by being gathered excessively to one school year or comes to be shown even a gap caused by a long blank. Furthermore, even a problem is indicated about which connection is not made in the contents that will need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in line with a learner's perception ability and thinking power. Given examining around, the vibrational movement can be known in many phenomena that we experience every day in the middle of life. Sound is the collectively vibrational phenomenon in air molecule. Light is the phenomenon that electric field and magnetic field progress while making and vibrating each other without a medium. In addition, even atoms, which form object, gather electrically and form object. However, its state performs vibrational exercise in a condition as if atoms are connected with a spring, and is maintaining its form. In this way, all in light, sound, and objects, which we can feel most familiarly in our life, have phenomenon of electrical or mechanical wave. Nevertheless, in the current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the importance of sphere for 「Light and Wave」 was not emphasized greatly. Moreover, its continuous learning is not being performed. Accordingly, there is suggestion that curriculum will need to be re-constituted so that curricular contents can have systematic and continuous connection and so that even the relative importance in sphere for 「Light and Wave」 can be expanded more,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level, vertical connection, and horizontal connection for the more efficient learning after examining curricular contents on the sphere for 「Light and Wave」 out of the science textbook that is being used in the currently 7th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 早期 音樂敎育을 위한 效率的인 指導方法에 대한 硏究 : 피아노 敎育을 中心으로

        강미라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mportance of early music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all times and by all scholars of music education. Early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to educate children to become a social being with sensitivity and right personality. Including Kodaly, many scholars limited the appropriate age for early music education to four to seven, because children's sensing ability is developed the most actively during that period. In particular, their sense of hearing is fully developed at the age of six. This study looks into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early music education, focusing on piano education. Because piano education takes the major position in music education. Chapter one discusses the general theories on early music education. It examines the meaning, importance, contents and problems of early music education as well as environment for early music education, level of advancement of human knowledge in early music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ors. Chapter two researches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actual early music education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singing and instrument teaching. Chapter three studies the early piano education including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early piano education, problem and effect, basic elements of early piano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method, technique and principle as a base for piano education, and ideal way of early piano education. Through early piano education, children will be able to accept music as it is and learn how to express its joy and emotions extemporary and creatively. Therefore, it can be a helpful for the children to find musical talent inside them when they grow up. To do so, piano education should be as follows: 1. Piano education should be fun. In addition, it should be focused on cultivating musicality based on understanding on pieces and ability to play artistically. 2. Children should be able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musical notation and how to read it. Piano lesson should be done after fostering accurate hearing for music. 3. To raise general musical ability such as solfeggio, prima vista, memorizing notes, and impromptu play, the education should be general and broad. 4. Teachers should have right personality with strong sense of duty. They should love children and make continuous effort. As stated above, children should understand music and make it as everyday life through early music education using piano and have beautiful and fine emotion and mind to have emotionally stable and abundant life. This study used the music education methodology and learning factors declared by Jaques Dalcroze, Zoltan Kodaly, Carl Orff, and Edwin Gordon, who are the leaders of music education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of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early music education, and provide correct way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m.

      •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미술 감상 지도방안 연구

        강미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rt education, teachers must present art works that are subject to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resent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interpret art by themselves. Namely, it is needed in art appreciate education for children to not only have one interpretation of art works but also hav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m according to their own perspectives and, going further, need to have an attitude of recognizing and respecting various interpretations by others. However, the art appreciations occurring in most schools consist of mostly teachers' explanations, simply following and drawing along famous paints, or activities of writing the students' impressions from observing art works. In addition, since the children are not finding the meaning of art work by themselves but observing them by depending on the painters' intention of expression and thoughts, meaningful and interesting appreciation activities are not occurring. If children are able to internalize art works into a story form, they will develop a familiarity with the art works that they observed and remember them for a long time, and their interests and understandings of art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storytelling as a method for diversely interpreting art work that is centered on children and to increase the familiarity and the ability to perceive art work, and seeks to come up with a plan for guiding art appreciation using storytelling. Also, the study seeks to identify educational effect of art appreciation guide that uses children's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guide. In detailed content of the study, Rezeptionsästhetik, which i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rytelling, is first examined as a discussion of art appreciation method and, afterwards,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and the storytelling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re examined to find the level of appropriateness of storytelling as a method of art appreciation. In addition, a guide plan is designed by analyzing the art appreciation method that can apply children's storytelling and the select criteria of art work for class use and storytelling types. Furthermore, through the results generated from the study upon conducting a class, an analysis is conducted to find if storytelling art appreciation activity can enable the student to have various interpretations. Lastly, the educational effect of storytelling lesson is examined and presents a future direction for storytelling appreciation lesson. There are ten lessons in the lesson presented through the plan for guiding art appreciation using children's storytelling, and each lesson explains in detail the guidance method and the content of storytelling through teacher-study guide, appreciation materials, explanatory materials for teacher, activity results and content analysis of children's storytelling. In the result of the guidance for art appreciation using children's storytelling, the development types of children's story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orytelling appreciation lesson are presented.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f future art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ytelling, various study subjects that are mor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ves of children and a study plan that includes storytelling types must be searched, an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study contents are need that are familiar and interesting to students and through which students can long remember art work related to the storytelling that is ingrained in every area of the modern society. 미술교육에서 아동이 감상의 폭을 넓게 갖기 위해서 교사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미술작품을 제시하고 아동 스스로 이러한 해석을 해보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즉, 아동이 미술작품에 대해 한 가지 해석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해석을 하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의 다양한 해석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미술 감상교육에서 요구된다. 그러나 대부분 학교에서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 감상은 교사의 설명위주이거나 단순히 명화 따라 그리기, 또는 작품을 보고 느낀 점을 기술하는 감상문쓰기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작품의 의미를 아동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화가의 표현의도와 생각에만 의존하여 감상하기 때문에 아동에게 의미 있고 흥미로운 감상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만약 아동이 미술작품을 자신만의 이야기 형태로 의미화한다면 자신이 감상한 미술작품에 친근감을 갖고 오랫동안 기억할 것이며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작품에 대한 아동 중심의 다양한 해석 및 작품에 대한 친근감과 인지력을 높이기 위한 감상 방법으로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도결과를 분석하여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 지도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 먼저 미술 감상의 방법적 논의로서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수용미학에 대해 알아본 후 미술 감상방법으로서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미술 감상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을 살펴본다. 그리고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할 수 있는 미술 감상방법과 수업에 활용할 미술 감상 작품 선정기준 및 스토리텔링 유형을 분석하여 지도방안을 설계한다. 또한 실제 수업을 한 후, 학습 결과물을 통해 스토리텔링 미술 감상활동이 아동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스토리텔링 감상수업의 방향을 제시한다.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으로 제시한 수업은 총 10가지이며 각 수업마다 교수-학습 지도안, 감상자료, 교사의 설명자료, 활동결과 및 아동의 스토리텔링 내용분석 등으로 지도방법과 스토리텔링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 지도결과에서는 아동의 이야기 전개유형을 종합분석하고 스토리텔링 감상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다. 앞으로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이 교육적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의 실생활과 더욱 관련된 다양한 학습주제와 스토리텔링 유형이 있는 수업안을 모색해야 하며 현대 사회 모든 분야에 자리 잡고 있는 스토리텔링과 연관하여 친숙하고 흥미 있으며 오랫동안 미술작품을 기억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내용 개발이 요구된다.

      • 중학교 도덕과에서 논쟁 수업을 통한 시민성 교육 방안 연구

        강미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덕과 시민성 교육을 위한 논쟁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 안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교육부는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민주시민교육은 학생들의 시민성 향상을 위한 교육이지만 그 시민성 교육은 도덕과의 핵심 가치인 도덕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도덕과는 시민성과 도덕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학생들을 도덕성을 갖춘 정의로운 시민으로 성장시키고 시민교육의 중심 교과로도 자리매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과는 도덕과 시민성 교육의 정체성을 담은 ‘윤리적 시민성’ 함양을 그 목적으로 시민교육에 접근해야 한다. ‘윤리적 시민성’은 비판적·성찰적 사유 능력을 바탕으로 공동선을 위한 사회 참여에 동참하여 대화와 협력으로 사회를 윤리적으로 변화시켜가는 자질을 말한다. 최근 민주시민교육 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논쟁 수업은 소통과 공감에 기반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활동을 독려한다는 점에서 시민성 교육의 방향을 가장 잘 반영한 수업방안이다. 하지만 기존 논쟁 수업과는 달리 ‘윤리적 시민성’ 향상을 위한 도덕과 논쟁 수업은 집단적 숙고가 온전히 스며있는 공동의 도덕성을 발달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도덕성과 시민성이 자연스럽게 융합한 형태로 함양될 수 있어야 하며, 도덕적 탐구 및 성찰을 통해 민주시민의 역량을 기를 수도 있어야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중학교 도덕과 논쟁 수업에 적합한 수업 모형인 ‘윤리적 시민성 향상을 위한 논쟁 수업 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최근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논쟁 이슈를 선정하여 관련 수업 자료를 개발, 중학교 교실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논쟁 수업의 결과 첫째, 학생들이 윤리적 시민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지적·정의적 요소 및 관련 역량을 신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사회적 논쟁 이슈 속에는 도덕·윤리를 바탕으로 접근해야 할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도덕적 가치와 도덕성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갖게 되었다. 셋째, 공동선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는 방법을 창조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되었다.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윤리적 시민성 향상을 위한 논의를 통해 도덕과 시민성 교육방안을 제안하려고 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 고등학교 학생들의 윤리적 시민성 비교연구에 이르기까지 그 연구지향이 넓혀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controversial class for Moral subject citizenship education.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strengthen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for the citizenship improvement of Students. However it should be based on morality as main value of Moral Subject. Thus Moral subject need to prepare the plan of education to bring citizenship and morality of student up and make student grow up as righteous citizen with morality, then should be main subject of civic education. For this, Moral subject has to approach to civic education with the aim of cultivating ‘ethical civility’ that contains the identity of moral subject citizenship education. ‘Ethical civility’ means the talent engaging social participation for common goodness based on critical and reflective ability of thinking and changing society ethically by commutation and collaboration. For the point of view that encouraging learning activity to resolve social issue with communication and sympathy, controversial class, introduced recently a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good lesson plan well-reflecting the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However unlikely previous controversial class, controversial lesson of moral subject should be able to develop moral civility absorbed collective deliber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cultivate morality and citizenship in a natural fusion form, and it should also be possible to cultivate the capacity of a democratic citizen through moral inquiry and reflection. Reflecting these points, this researcher proposed “Controversial lesson curriculum for the ethical civility improvement” as class curriculum suitable for controversial lesson of moral subject in middle school.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by survey. As result of controversial less, First, Helped to improve cognitive, affective factor and relative ability required to live as ethical citizen. Second, Had attitude to understand that there is issue requiring moral and ethical approach among controversial issues in current society and to resolve issue based on moral value and morality. Third, Grew the ability understanding essence of common goodness and proposing creatively the way to realize. This study has meaning of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controversial class to improve morality and citizen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future follow-up studies, the research direction should be broadened to a comparative study of ethical civ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 우리나라 교회학교 영유아유치부 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육전도사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

        강미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교회학교 영․유아․유치부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전도사의 연령, 전공, 경력, 담당부서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효율적인 영․유아․유치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회학교 유아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유치부의 교회학교 교육프로그램(예배·공과공부·특별활동)의 운영은 어떠한가? 2. 영․유아․유치부 교육전도사의 배경변인(연령·전공·경력·담당부서)에 따른 교회학교 교육프로그램(예배·공과공부·특별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영․유아․유치부 교육전도사의 배경변인(연령·전공·경력·담당부서)에 따른 교회학교 교육프로그램(예배·공과공부·특별활동)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교회의 교회학교 영․유아․유치부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전도사 213명이며, 윤미선(2008)이 사용한 연구도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및 기술통계, χ ²,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학교 영․유아․유치부 운영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예배시간은 영․유아․유치부 모두 ‘40분’동안 드리는 곳이 가장 많았으며, 예배 대상은 영아부는 ‘부모님과 함께’, 유아부와 유치부는 ‘유아만’ 예배를 드리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예배공간은 세 부서 모두 ‘독립된 공간’에서 예배를 드리는 경우가 많았으며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설교자료는 모두 ‘PPT'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공부 시간은 영․유아․유치부 모두 ’30분‘동안 진행하는 곳이 가장 많았으며 공과공부 교재는 세 부서 모두 ’교단공과‘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영아부는 ’교재를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유아부와 유치부는 두란노 출판사의 ‘예수님의 꿈아이’와 ‘예수님이 좋아요’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과내용과 그 주의 설교주제는 모두 일치하였으며 공과공부 활동은 ‘조형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유치부 특별활동은 월 1-2회 실시하는 곳이 가장 많았으며, 시간은 ‘30분 이하’로 하며 대부분 ‘주일예배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은 ‘생일잔치’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성경암송’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유치부 교육전도사의 연령, 전공, 경력, 담당부서에 따른 인식은 예배시간의 충분성, 예배공간의 만족도, 설교자료의 만족도, 공과공부 시간의 충분성, 공과공부 교재의 만족도, 공과공부 활동의 만족도, 특별활동 시간의 충분성, 특별활동 종류의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대부분 불만족한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불만족하는 이유는 예배공간이 ‘인원에 비해 협소’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설교자료는 ‘제작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공과교재에 대해서는 ‘활동자료 유형이 다양하지 않다’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공과교재에 대한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 ‘공과공부 교재의 내용은 취하되 방법을 바꾸어 진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공과공부 활동에 대해서는 ‘활동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특별활동은 ‘진행 할 교사가 부족’하여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유치부 교육전도사의 연령, 전공, 경력, 담당부서에 따른 요구는 효율적인 예배를 위해서는 ‘설교법과 설교자료 제작 및 활용법’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으며 효율적인 공과공부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방법 활용’에 대해 가장 높은 요구를 보였고 효율적인 특별활동을 위해서는 ‘특별활동의 자료와 실제’를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 변인에 따른 요구를 살펴본 결과, 효율적인 예배를 위해서 신학을 전공한 교육전도사는 ‘유아-교사 상호작용’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으며 유아교육을 전공한 교육전도사는 ‘신학이론과 성경공부’를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 기독교교육과 그 외의 전공을 가진 교육전도사는 ‘설교법과 설교자료 제작 및 활용법’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 효율적인 공과공부를 위해서 모든 연령의 교육전도사가 ‘다양한 활동방법 활용’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영아부를 담당하는 교육전도사는 ‘공과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부를 담당하는 교육전도사는 ‘교사교육 지원’, 유치부를 담당하는 교육전도사는 ‘다양한 활동방법 활용’에 대한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효율적인 특별활동을 위해서 1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육전도사는 ‘교사교육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 발달지체유아의 유치원 전환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수준

        강미라 대구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T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transition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kindergarten of parents and teachers includ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 in order to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First, is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ion on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Seconder, is revel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on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Third, is to make manifes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transition activities to be consider significantly on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Fourth, is to make clear early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children's skills to be need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Fifth, is to make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 on early children' adjustment after finished transition to kindergarten Sixth, is to make out the method of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To analyze of data, ANNOVA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level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as par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djustment, and Opened-questionnaire adap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data as part of adjustment, transition activities and transition methods on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for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case of parents, parents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d at concurrent establishment kindergarten have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while general parent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d at concurrent establishment kindergarten have a low level of participation. and in case of teachers, of STM(sending team members), teacher group who have been thre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high perception level of participation, while teacher group who have been below on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low perception of participation. Second,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case of parents, parent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t at private establishment kindergarten have a high preception level of satisfaction, while parents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t at kindergarten class in special school for the handicapped have low perception level of it. and in case of teachers, of RTM(Receiving Team Members), teacher group who have been below on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low level of it. Third, on the perception level of important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n that giving information on transition to kindergarten, cooperation with inter-education agencies, and sharing information with inter-agencies have request. Fourth, on the perception level of their competencies in the process of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the findings of the study appeared that there is a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in their transition skills to be considered importantly between RTM(Receiving Team Members) and STM(sending team members). We known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preparing their skills between early intervention class settings and kindergarten class settings. Because this difference of teachers' perception may influence on adjustment of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pecialists and educator caring them may develop curriculum and programs as referring to STM(sending team members) and RTM(Receiving Team Members) index. Fifth, at the perception level on their adjustment in the process of successful transition to kindergarten, the study appeared that, in order for them to adapt to kindergarten settings, should do accurate assessment, do executive assistant teacher system, and do limitation to fitting class numbers of early children, first of all, is important counseling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exchange information. Sixth, After analyzed the level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methods of effective transition to kindergarten for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ed out that first of all, should fix kindergarten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system, and at the opinion of teachers, should turn all related numbers' perception which work at transition to kindergarten. The suggestion drawn from the conclusion in the study was as fellows; First, The further study have a necessity of study on the effect of transition in education settings after leaving kindergarten. Second, The further study have a necessity of case study on inter-agencies to be needed cooperation of education agencies, and counseling of parents and teachers, communication cooperation between STM(Sending Team Members) and RTM(Receiving Team Members). Third, The further study have a necessity of study on transition to kindergarten as subjects personnels who are education administrator, and parents and facility in early childhood special school for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excluded in this study. Fourth, The following study have a necessity of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transition model to kindergarten.

      • 마을만들기 주민들의 갈등조정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강미라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we often face the news that reports conflicts among villagers are taking place at the sites where the making neighborhood projects are proceeding. The project has been created many sorts of problems because the villagers haven't coped with the situations full of the conflicts from it. The types of the conflicts caused by many reasons from the project are revealed as ones among the villagers, between the villagers and the administration, between the villagers and the constructors, and between the tenants and the landlords. These conflict situations can damage the goal of the project, the continuous and spontaneous community, as well as evoke negative emotions and spread them to the villagers. But if the conflicts from the villages which are in the middle of the project were treated efficiently by the villagers, the project would be more stable. Thus some concrete management plans with which the villagers could solve the conflicts effectively are needed. The research conducted, so called, a learning conflict mediation program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in a way of effectively controlling conflicts among villagers in making neighborhood project and monitored whether the experience of the program would be reflected on the daily life. The result was that the actual reasons of the villagers' conflicts are the difference of the communication method, the appropriation of the roles and the absence of informa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cause of failing to make communications is the disfunction of non verbal messages and the filtering communications, that of the appropriation of the roles is the roles of the readers and the nominal operating committee, and that of the absence of information is the operation in a secret room and the undemocratic decision making progres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conflict mediation program has been showed as the possibility of new experiences, recall and chance, and the experience as changes of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the communications and the behavior ,in turn, has been applying to the virtual conflicts among villagers. For them to recognize how to treat conflicts, how to behave, how to communicate, and how to find introspection has become a new experience. The progress of the program has also become a time to recall past and present conflicts. Besides, although the program couldn't become a direct tool for reducing real conflicts, it has turned out that there is changes on the villagers' points of view toward a psychological conflict resolution and conflict prevention effect, and the very conflict itself. The shift of point of view toward conflicts having happened in the community has more important value rather than the program applies as a tool to eliminate conflicts among all of the villagers. In conclusion, the conflict mediation program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one method of conflict management plans to solve the conflicts among the villagers who have taken part in the making neighborhood project and to restore their relationship.

      • 서비스 품질 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국내항공사를 이용하는 외국인을 중심으로

        강미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 날 자본사회는 경제적 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삶의 질 수준의 높은 향상, 편리성의 추구로 인하여 현대 사회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그 결과 서비스 산업은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항공산업 역시 다른 서비스산업과 마찬가지로 많은 성장을 보이며 국내·외 항공사간의 무한경쟁 상황으로 치닫게 되었다. 따라서 항공사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항공사서비스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각 항공사에 고객들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여러 요구의 충족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확산을 불러일으켰고, 기업전략의 궁극적 방향이 고객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또한 항공산업에서 서비스품질과 그것에 의한 고객만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1980년대 중반 이후 PZB의 서비스품질 측정 방법의 개발 이후, 연구자들은 다양한 서비스 품질 측정 방안을 제안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항공사서비스 품질에 관한 여러 연구가 있어 왔다. 하지만 서비스 자체가 가지는 무형성, 상대성, 이질성, 시간성 등과 같은 다양한 특징들 때문에 서비스 품질 측정에 관한 다양한 제안들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고, 또한 우리나라에서 이뤄지는 연구들은 아직까지 자국민만을 대상으로 한 한정된 연구에 그쳐있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다. 본 연구는 국적 항공사를 이용하는 외국인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미래에 항공사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잠재적인 고객으로도 외국인의 비중이 클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국적 항공사를 이용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적 항공사서비스에 대한 품질에 대한 만족 정도, 그것에 의한 재구매와 구전 가능성을 조사하여 국적 항공사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며, 나아가 세계화 추세의 항공산업에서 국적 항공사가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국내항공사를 평가대상기업으로 하고, 조사대상자로는 국내 항공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고, 영어구사 능력이 있는 외국인을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지의 구성은 서비스 품질 측정 모형의 대표적 대립모형이라 할 수 있는 PZB의 SERVQUAL과 Cronin and Taylor의 SERVPERF를 비교한 후 그 중 기존 연구에서 우월한 것으로 조사된 SERVPERF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성과만을 측정하는 22개의 설문 문항에서 19문항을 항공사 서비스품질에 맡게 개선하였으며, 최근 서비스 산업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4문항을 연구자가 추천하여 포함시켰다. 자료수집결과 총 18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설문문항에 대한 불성실한 응답을 포함하고 있는 57부를 제외한 126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SPSS를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변수들간의 관계는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요인분석을 통한 서비스품질 결정요인(SERVQUAL)이 분류되었으며 연구 가설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면 대응성(Responsibility)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요인들 모두 고객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공산업의 본질적 서비스인 운항안전이나 수속, 탑승 등 신뢰성(Reliability)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 관계에 있어서도 회귀계수가 0.587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고객만족과 구전효과에 관계에서는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 관계에 있어서 보다도 훨씬 유의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결과가 말해주듯이 서비스품질의 향상은 세계화 시대에 공존하는 여러 항공사 기업들에게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적 항공사 서비스가 다른 항공사와의 경쟁에서 외국인 고객들에 대한 대응 방안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국적 항공사의 경쟁적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Nowadays the development of capital society has caused the increase of economic income and leisure time, and through them, it raised the quality of life.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in the modern society increases gradually by the pursuit of convenience. As a result of these things, service industry shows the rapid growth. Airline industry, one of service industries, also shows this trend, and now faces the unlimited competition. Consequently,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airline service becomes the key factor for survival in the unlimited competition age. Under this situation, the perce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meet several needs from customers related to service quality expands to each airline and, in turn, the ultimate direction of corporate strategy is changed to be customer-oriented. The studies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satisfaction through it are carried out as well. After developing the way to measure service quality of PZB in 1980s, many researchers suggested various ways to measure service quality and several ones are carried out in Korea. But features like intangibleness, relativity, heterogeneity which service itself has make it difficul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tudies, in spite of various suggestions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nd the subject of several studies carried out in Korea are still limited to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atisfaction level of foreigners who use Korean Airline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service-repurchase and publicity, and then suggests the strateg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foreigners use Korean Airlines increasingly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reigners as potential customers will be bigger.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Korean Airlines a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foreigners who have used Korean Airline service and can speak English fluently a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23 questions, 19 from SERVPERF model which is proved to be superior to SERVQUAL in existing studies after comparing SERVQUAL of PZB with SERVPERF of Cronin and Taylor, and 4 from researcher's recommendation which are necessary for service industry. 19 questions are selected among 22 questions which measure only the performance and they are adjusted to be fit to Airline service quality. 183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and except 57 which have insincere answers 126 are adop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data, SPSS i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 and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Above all, SERVQUAL is classified by Factor Analysis and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when analysing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ll factors except responsibilit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Especially reliability factor such as flight safety, procedure, boarding, which is the essential service of Airline industry, shows the highest effect of all. Second, a regression coefficient in the 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s 0.587 and shows the valid effect.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advertising has more valid influence than the relation between cust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At the e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