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체 이미지를 통한 죽음의 회화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혜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에른스트 피셔(Ernst Otto Fischer, 1918∼)는 “예술은 개별적인 것을 전체적인 것과 통합시키는데 없어서는 안 될 수단이다. 그것은 인간의 상상할 수 있는 무한한 능력, 경험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무한한 능력을 반영 한다” 라고 말한다. 피셔의 말대로 개인의 삶 체험에서 출발하는 예술은 다른 사람들과 경험의 공감대를 형성한다. 그리고 우리는 예술을 통해 삶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처, 기쁨, 고통 등 복합적인 감정들로 인한 결핍을 채우고자 한다. 이렇듯 예술은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으며 죽음 또한 떼어 놓을 수 없는 필연적인 요소이다. 인간을 포함해 생명을 가진 모든 자연은 한정된 삶을 끝으로 예외 없이 생물학적 죽음을 맞이하며, 모든 생명체의 귀결점인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근본적 욕구이자 삶을 영위하는 방식이다. 즉 삶에 있어 죽음은 다른 새로운 것이 아닌, 삶에 내재되어 있으며 수용되어 있는 것이다. 본인은 가족과 친구의 죽음, 그리고 본인의 암선고를 겪으면서 죽음이 삶에 대해 막대한 영향을 주는 것을 경험하였다. 처음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갖게 되었으며 큰 충격으로 다가왔지만 그로인해 삶의 태도 또한 변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이상 죽음은 단절의 의미가 아닌, 그 너머의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한다. 유한성을 가진 삶에 대한 사유는 죽음을 포함하며, 이러한 죽음을 실존의 거울로서의 적용조건으로 받아들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인체 이미지를 통한 죽음의 회화적 표현 연구’로 죽음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통해 형성화된 이미지와 요소들을 분석한다. 또한 미술사에 나타난 죽음 표현의 흐름을 정리하고, 현대미술에서의 죽음과 인체표현을 짚어나간다. 인체이미지를 고통 속에 뒤틀려 놓거나 뭉개 트리는 비극적인 방식으로 형상화 한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인체형상을 분석과 빌 비올라(Bill Viola, 1951∼)의 작품에서 삶과 죽음의 표현형식과 의미를 짚어보고 이들 관계의 순환적 의의를 되새긴다. 그로써 본인작품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인 인체를 경험적 인체와 소멸되어가는 인체로 분류하여 주관적인 죽음에 관한 표현양식을 분석하며, 중성적 공간과 색을 통한 감정의 심리상태의 분석을 통해 단절이 아닌 삶과 죽음과의 성찰적 공간과 순환적 의미를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전개해 나간다. 인간으로서 죽음의 영향에서 벗어나기란 불가능한 것으로 삶과 죽음과의 순환적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관계 안에서 죽음을 통한 자기 성찰적 예술 표현 연구는 필연적이라 하겠다. Ernst Otto Fischer(1918~) said, 'Art is the indispensable means for this merging of the individual with the whole. It reflects one's infinite capacity for association, for sharing experiences and ideas'. Like Fischer said, art starting from individual's experience forms a consensus. And through art we are trying to make up deficiency caused by complex emotions including pleasures, pains and etc in our lives. Ar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and death is also related to us as an inevitable matter. All the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s face biological death without exception after their limited lives, and realization of natural consequence, death, is a basic desire of humans and a way of leading their lives. In other words, death is not something else but reposed and accepted in our lives. I have experienced my family and friends' death and I actually went through a cancer so could realize how death impact one's life hugely. In the result, I experienced a big shock but could have a new opportunity to see a life in a different point of view because it was my first time to have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a death and life. Death doesn't only mean disconnection anymore but also an opportunity to look beyond an existence of it self. The reasons for finite of our life includes death so I am trying to understand how death can be described as a mirror of an existence. This thesis is about a 'Study on pictorial expressions of death in images of a human body' so analyzes images and elements produced by subjective experiences of death. Moreover, it is organizing how death was expressed in the history of art and pointing out death and expressions of a human body in the modern art. There are analysis about forms of a human body from the works of Francis Bacon (1909-1992), who painted human bodies in twisted or squashed forms in pains, and contents about expressions and means of a life and death from the works of Bill Viola (1951-) in order to review circulate significance in their relationship. Therefo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my works, human bodies, are divided into an experienced body and a dying body in order to analyze styles of expressions for subjective death. In the result, the works progress not to be cut off but to have examinations on a life, death and feelings of circulation by analyzing emotional status from neutral spaces and colors. As a person it is not possible to run away from impacts of death so my interest to the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a life and death came naturally. Thus, introspective expressions study about expressing art through death is inevitable.
체외 충격파와 신장 기법이 단축된 뒤넙다리근의 유연성, 근긴장도, 압력통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 충격파와 신장 기법이 단축된 뒤넙다리근의 유연성, 근긴장도, 압력통각역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뒤넙다리근 단축이 있는 환자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체외 충격파와 체외 충격파를 병행한 신장 기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작위로 체외충격파 20명, 체외충격파를 병행한 신장 기법 20명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체외충격파를 3주간 주 2회씩 진행하였으며, 체외충격파를 병행한 신장 기법도 3주간 주 2회씩 실행하였다. 매주 중재 전과 중재 후에 뒤넙다리근의 유연성 측정을 위해 뻗은발올림검사를 실시하였고, 근긴장도, 압력통각역치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그룹 간 및 측정 시기 간 유의차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반복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고, 시기별 그룹 간 사후검정으로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체외충격파 그룹에서는 뒤넙다리근의 유연성, 근긴장도, 압력통각역치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체외충격파 그룹과 신장 기법을 병행한 체외 충격파 그룹 모두 뒤넙다리근의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압력통각역치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뒤넙다리근의 단축이 있는 성인에게 체외 충격파와 신장 기법을 병행한 체외 충격파는 뒤넙다리근의 유연성을 증진시키며, 근긴장도를 감소시키고, 압력통각역치를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stretching technique on flexibility, muscle ton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of a shortened hamstring.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40 patients with hamstring shortening wa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group (n=20) or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with stretching technique group (n=20)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wo different form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twice a week for 3 weeks, and the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with stretching technique group performed stretching techniques with the same frequency for 3 weeks. [Results] To measure hamstring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weekly intervention , the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test was performed, and muscle ton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were assessed. Th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s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pressure pain threshold increased in both groups. [Conclusion]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hamstring flexibility, reducing muscle tone, and increasing pressure pain threshold in adults with hamstring shortening. Key words: Hamstring shortening, extracorporeal shockwave, hamstring stretching
지구단위계획내 특별계획구역에 대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평가
김혜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4 국내박사
본 연구는 단순히 공공기여만으로 인센티브를 산정하기보다 공공공간의 위치, 개방정도, 공공공간에 대한 공공성 정도에 따라 인센티브를 달리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도시에서의 공공공간은 도시 구조물의 주변 공간, 옥외주차장, 공공건축물 외부공간, 도시공원, 광장, 도로 등이 있다. 공공공간의 이용자에 대한 배려, 합리성과 형평성, 공익성에 대한 것이 요구된다. 오랜 기간 동안 도시에 있어서 공공성은 행정의 영역이었다. 도시계획에 다양한 주체의 참여가 요구되고 공공성 창출의 주체가 정부-민간 협력형으로 변화하면서 사적영역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적 공공공간 중 공개공지, 공공보행통로, 공공공지, 공공시설부지, 공원, 도로에 대하여 공공성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공공공간별 세부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항목과 세부지표는 물리적측면의 위치(인지성), 보행동선에 방해가 되는 시설물, 단차 등의 제거, 이용적측면의 누구에게나 항상(24시간) 열린 공간, 연계적측면의 대중교통수단연계, 공공시설(도서관, 학교, 문화 및 복지시설 등) 또는 인접공지와 연계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공간의 이용자는 직접 공공공간의 계획에 관여하고 있지 않으므로 공공공간에 대한 만족도만을 평가하였다.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공공기여 및 기부채납을 하는 공공공간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공간별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개선이 요구되는 세부지표는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의 인센티브 세부계획기준에 반영하여 공공성 평가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공개공지`, `공공보행통로`, `공공공지`, `공공시설부지`, `공원`은 위치(인지성)가 가장 중요한 세부지표로 분석되었으며, `도로`는 기존도로와의 관계가 중요한 세부지표로 분석되었다. 이용자 만족도 결과 `공개공지`, `공원`, `도로`는 개방시간을, `공공공지`는 위치(인지성)를, `공공시설부지`는 대중교통수단 연계를 `공공보행통로`는 단차여부에 대해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성 개선 방향은, 첫째 공공공간의 위치는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곳에 입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지의 가장 넓은 도로나 이면도로에 관계없이 보행자가 가장 많이 모이는 공간을 공공공간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공간은 지역여건을 고려하고 주변의 공공시설과 공공공간이 연계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주변의 공지 및 시설, 대중교통 연계(버스, 지하철 등) 등을 고려한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셋째, 공공공간 일정 면적확보로 인센티브 제공보다는 세부지표를 고려한 유연성 있는 인센티브 항목 및 세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반면 `도로`의 경우는 주변지역의 현황과 개발여건을 고려하여 도로의 형태 및 폭원을 계획하고, 기존도로의 확폭으로 보행동선 및 차량동선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공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김혜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우리 민족의 생활과 사상, 감정 등을 꾸밈없이 담아낸 전래동요나 민요는 부르는 사람에 따라 또는 부르는 상황에 따라 가사나 가락, 장단 등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창작 활동에 좋은 소재가 된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전래동요와 민요를 활용하여 창작해 봄으로써 우리말과 음악 어법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음악에 대한 감각을 신장시켜 나가야 한다. 현행 제 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서에는 각 지역의 민요를 가창․기악․감상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창작 활동으로는 동부민요의 음계만 제시되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창작의 모방과 변형의 모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래동요나 민요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각 지역 민요의 대표적인 음악적 어법을 토대로 다양하게 창작해 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기민요는 초등학교 3~6학년의 교과서에 고루 제시되어 있으나 그 관련 활동은 가창․기악․감상에 머물러 있고 경기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창작에 활용해보는 연구도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창․기악․감상에 머물러 있는 경기민요와 관련된 활동을 창작 활동으로까지 넓혀 경기민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가창․기악․감상 활동을 통해 알게 된 음악적 특징을 창작에 활용함으로써 경기민요 어법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 감정을 표현해 볼 수 있는 창작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경기민요는 모두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만들어져 유행하기 시작한 신민요이다. 또한 이 곡들은 전문가들이 불렀던 가창 유희요로서, 넓은 음역을 바탕으로 순차적 상․하행 진행을 하여 가락이 다채로우며 모두 유절 형식의 곡이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에게는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도 가락 진행이 단순하고 다양한 형식이 드러나는 향토민요를 교육적으로 제시하여 학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경기 향토민요에는 ‘창부타령조’의 음악적 어법으로 해석할 수 있는 민요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 향토민요 중 창부타령조의 민요를 음악적으로 분석하고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창작 지도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경기 향토민요를 장단, 가락, 형식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단은 주로 3소박 4박 장단에 해당하는 곡이 많으며 2소박 4박 장단과 불규칙 장단의 곡도 찾아볼 수 있었다. 가락은 ‘黃․太․仲․林․南(無)’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黃’이나 ‘仲’에서 종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우리 민요가 그렇듯이 경기 향토민요도 한 장단의 사설이 대체적으로 2음보로 구성되어 있고 1음보는 반장단을 차지하는데, 이에 따라 가락도 반장단 단위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한 장단 내의 가락 진행을 살펴본 후, 앞의 반장단과 뒤의 반장단 가락으로 유형화하였다. 형식으로는 메기고 받는 형식, 통절형식, 유절형식, 긴․자진 형식이 있는데, 메기고 받는 형식의 곡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들에게는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적 특징을 가창․기악․감상 활동을 통하여 학습하게 한 후 그것을 모방하고 변형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져서 ‘가창․기악․감상 활동 → 악곡의 구조 이해 → 창작할 목표 설정 → 창작할 음악과 비슷한 모델 제시 → 창작 및 기보 → 창작된 음악의 연주’의 창작 지도과정을 설정하여 제 1단계에서 제 4단계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1단계에서 제 4단계의 지도내용은 장단, 가락, 형식의 위계에 따라 선정하였는데, 제 1단계는 자진모리장단의 악곡을 통해 자진모리장단을 익힌 후 짧은 단어로 자진모리장단에 맞는 붙임새를 만들어 보며, ‘黃․太․仲’의 3음을 이용해서 가락을 지어 보도록 구안하였다. 제 2단계는 4자․4자로 제시된 가사를 자진모리장단의 붙임새로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한 후 ‘黃․太․仲․林’의 네 음으로 가락을 지어 보도록 구성해 보았다. 제 3단계는 중중모리장단의 노동요 제재곡을 통해 중중모리장단을 익히고, 노동요라는 제재곡의 특징을 살려 공동으로 ‘일’에 관한 가사를 창작한 후 중중모리장단의 붙임새로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또한 공동 창작한 가사에 ‘黃․太․仲․林․南’의 5음으로 가락을 지어 보고, 받는 소리의 가사를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보아 메기고 받는 형식에 대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제 4단계는 굿거리장단의 제재곡을 통해 굿거리장단을 익힌 후, 메기고 받는 가사를 각각 묻는 말과 답하는 말로 만들어 굿거리장단의 붙임새로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또한 메기고 받는 소리의 가락을 ‘黃․太․仲․林․南’의 5음으로 질러내는 소리․평으로 내는 소리․숙여내는 소리로 지어 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창․기악․감상 활동에 머물러 있던 경기민요 관련 활동을 창작 활동으로까지 넓혀, 경기민요의 음악적 어법을 토대로 창작 활동을 해봄으로써 우리 음악에 대한 감각과 창의적 표현력이 신장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우리 민족 누구나 삶의 모습과 생각, 감정 등을 민요를 통해 표출해왔듯이 현대를 사는 학생들도 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민요에 담긴 생활상, 생각 등을 이해하여 자신의 노래로 만들어 불러보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봄으로써, 그들의 삶에서 노래가 우러나오길 기대한다.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containing our Korean life, thought, and emotion naturally are good materials for composition activities because their lyrics, melody and Jangdan can be changeable according to either people who sing them or in situations where people sing theme In the elementary school days, students should learn and practice Korean and Korean musical language through composing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Based on this they have to develop musical sense.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the current 7th curriculum there are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of regional folk songs. However, only eastern folk songs' musical scales can be presented and made use of for composition activitie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which are the body of imitating and transforming composition should be required to compose variously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usical scales of every region because songs from its region do not have the same feature at all. Gyeonggi folk songs present in the textbooks 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heir activities have only present in the textbooks 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heir activities have only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and the textbooks do not indicate the study on making use of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gi folk songs for composition activities. This study tried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Gyeonggi folk songs using not only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but also composition activities. Additionally a teaching method to express their own thought, feeling, and emotion was searched by utilizing musical characteristics learned from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o compose music. Gyeonggi folk songs in the textbooks are new folk songs made from at the end of 19th century to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and became popular. As amusement songs by sung professionals, these songs are varicolored because their melody proceeds to go up and down consecutively based on a wide vocal range. And all of them have strophic forms. However, it is reasonable that in the elementary school days local folk songs should be presented and used educationally for the songs, have a simple melody process and various forms, and relate to our life. In this study folk songs with Changbutaryeong mode selected as topic songs were investigated musically and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utilized in teaching composition because there were many songs with the mode capable of analyzing with musical language. Analyzed Gyeonggr folk songs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Jangdann, melody, and form as follows. There are many songs of Jangdan of 4 beats of 3 divisions and some of Jangdan of 4 beats of 2 divisions and irregular beats. Their melody consists of 5 tunes and generally the last tune is either Hwang( R) or Joong({ ). As most of all our folk songs do, liyrics of one Jangdan of Gyeonggi folk songs compose of 2 foots, and 1 foot occupies half Jangdan so the melody is divided into half Jangdan unit. Then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melody, the first half Jangdan and the last half Jangdan were patterned. There are 4 forms of the songs which are call and responsorial form, through composed form, strophic form, and slow and fast form. Work songs and ceremony songs have many call and responsorial form. It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hat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have motivation of imitating and transforming music to use composition activities after learning mu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herefore, there ar 4 phases of a composition teaching process having a teaching plan of 4 stages. 4 phases of it is from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o understanding musical pieces to goal-setting for composition to presentation a model similar to composing music to composition and recording. The teaching contents of from the Ist to 4th stage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hierarch of Jangdan, melody, and form. In the first stage, students learned Jajinmori Jangdan by practicing music pieces of Jajinmori and then made Buchimsae proper to Jajinmori Jangdan with short wards, and next the activity of making melody was planned using Hwang( M), Tae(,;), and Joong(11). In the second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make the melody with Hwang(), Tae(;(ti.), Joong({), and Ihm(1:) after finishing making Buchimsae of Jajinmori Jangdan with the lyrics presented with 4 words and 4 words. In the third stage, students learned Jungjungmori Jangdan with topic songs of work songs of Jungjungmori Jangdan, and then composed lyrics about work collaboratively according to the work songs' characteristics. Finally they were asked to make Buchimsae of Jungjungmori Jangdan. In addition, students were asked to make the melody of 5 tunes such as Hwang(), Tae(Q), Joong(1째'), Ihm(), Nam(e) with the lyrics made from the 3rd stage, and then learn call and responsorial form as changing the lyrics of tunes into various forms. In the forth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make the lyrics of call and responsorial form and to make Buchimsae of Gutgeori Jangdan after practicing Gutgeori Jangdan through topic songs of Gutgeori Jangdan. Through this study, activities related to Gyeonggi folk songs were expanded from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o composition activities. It is thought that students will improve their music sense and creativity of Korean music by composition activities based on musical language of Gyeonggl folk songs. As every Korean expresses their life, thought, and emotion through folk songs, I expect that the students living in the current world understand musical characteristics, life, and thought involved in the folk songs, make their own songs, and share them with others.
김혜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In this study, the job and job competency of the principal required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were analyz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unction-oriented competency analysis for the principal’s job, competencies were classified including structural competencies for various member organizations and cultural competencies for improving school culture. In addition, 52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ompetency were develop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level of the principal's school autonomy competen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incipal's job required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Second, what is the job competency of the principal required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Third, what is the level of job competency of school principals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 Does the principal's perception of the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competency diff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current performance competencies? •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cipal's current performance competency level and the future required competency level?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the principal’s job competency was divided into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and ‘cultural-level competency group’. The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five competencies, including “education activity operation”, “student life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budget management" and “facility management," and has 22 sub-action indicators.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includes decision-making structures at various levels, including school organization level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vel, consisting of 6 competencies such as “student autonomy", “parent participation", “teacher autonomy", “community relat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lationship", and “school operation committee management" and has 21 sub-action indicators. The ‘cultural-level competency group’ is related to school culture such a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rincipal’s leadership, consisting of 3 competencies such as “vision shar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has 9 sub-action indicator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level of job competency of principals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using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26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rincipals (34.3%) in Jeollabuk-d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 based on the current degree of performance, 41 indicators of school-level variables, 28 indicators of school establishment type variables, 18 indicators of innovative school operation variables, and 6 indicators of school principal's career variab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14 competencies based on the current degree of performa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ersonnel management” and “student autonomy” competencies was lower than 0.4, and all other competencies were ‘correlat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 or higher.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etencies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 or more, the competency of “teacher autonomy” was ‘highly correlated’ with 7 competencies, especially “vision shar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7 or hig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future need level, most indicators recognized the future need level higher than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In addition, the current performance average and future necessity average of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were the lowest among the three competency groups, and the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and future level of necessity average’s difference by competency group was also the highest.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from 1st to 10th, 2 indicators of the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 and 8 indicators of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were included. If education needs are listed from the high ranking to the fifth place, they are indicators of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and the result was much higher than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of other competency groups. In the graph showing the average of the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and future level of necessity in quadrants, 14 indicators of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and 7 indicators of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s’ were recognized as low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and low future level of necessity, indicators requiring long-term measures.
라반 움직임 이론에 기반 한 애니메이션 생성기법 연구 : 무용기보법의 해석과 시각화 방법론을 중심으로
김혜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5 국내박사
For non-verbal communication as one of human communication methods, how to communicate is more important than what is actually done. It is tru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arts such as dance or paintings where we pursue the visually aesthetic and creative expression, and most communications are made through individual artists’ unique gestures and distinctive visual languages. Thus, in the arts creation, it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the artists to explore new tools and to establish his/her own language firmly through them.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movements is investigated via its language and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approach by utilizing a dance notation system in the production process. This allows the new ways to produce computer animation based on objectively pre-defined rules, not by relying solely on the arbitrary discretion of the artist in the creation of works of art. Historical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vant-garde film has represented a suggested notion of movements in the flat painting surface of spatiotemporal expression in the Cubism derivatives by utilizing the actual time ?based media. The meaning of mobility in these paintings and films was abstract rather than realistic, thus they could be easily connected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or producing abstract animation in computers. In addition, I wish to convince that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common three-dimensional computer animation researches which is focused on the techniques of realistic reproduction. The dance is the field where voluminous researches are conducted on the creative representation and the meaning of movements. Among them, Rudolf von Laban is referred as the most organized and excellent dance theorist in the 20th century. Laban developed Labanotation, a global movement notation systems and Laban Movement Analysis(LMA) for further studies. LMA is not merely focused on forms and meanings of movemets for direct communication, instead, it investigates variety of movements including intangible and psychological factors. Laban considered the changes in movements are not only due to the specific objective of movements rather to th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inner impulse. This approach provides a universal and extensible theoretical basis in the various areas of disciplines, as well as dance when a theory of movements is applied. This study found that the structural notation system became a basic framework in design of a path to the movements. The Laban Analysis of the space, the space harmony(Choreutics), is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of mathematics and geometry but differentiated by certain factors. Thus, I tried to introduce the potential and aesthetic point of view by following his notion on the space. In addition, by adapting Effort?Shape theory which refers to the sensitivity and nuances inherent in the movements, these elements can be visualized by the computerized parameters and the mechanical movements can be improved as more expressive ones. The algorithm used in this work implements Rotation Transformation and gradual translation by Polar Coordinate conversion. However, it does not aim to the automated generative system, rather it is a tool to design specific and unique movements, which many artists can engage directly in controlling numerical data to make their own work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the algorithm developed here can be extended to be artists’ tool for future creative work and can be utilized for new media performances and dance performances. 본 논문은 움직임의 언어를 기반으로 움직임의 의미를 고찰하고 작품 제작을 위해 무용의 기보체계를 적용한 추상 애니메이션 생성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방식을 통해 예술작품의 창작에 있어서 예술가의 임의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미리 규정된 규칙들에 근거하여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표적으로 움직임이 지닌 의미와 창의적 재현에 관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무용분야를 다루며 20세기 가장 체계적이고 탁월한 무용이론가로 일컬어지는 루돌프 본 라반(Rudolf von Laban)을 소개한다. 라반은 범세계적인 움직임의 기호체계인 라바노테이션(Labanota tion)을 발전시켰고 이를 보충하기 위한 움직임 분석 이론(Laban Move ment Analysis)을 통해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행위 이외에도 심리적 요소와 같이 무형적인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움직임의 재현형식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또한 큐비즘 이후의 회화에서 나타난 다중적인 시공간의 표현을 기반으로 실제 시간매체를 활용하여 평면에 암시된 운동성을 움직임의 환영으로 표현했던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적 특징과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운동성의 의미는 실재적이기보다는 추상적인 것으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추상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본 연구의 목표와 연결되었다.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중 하나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실제로 무엇을 소통하는가 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무용이나 회화에서처럼 시각적으로 심미적이고 독창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예술의 영역에서는 예술가 개개인의 개성적인 몸짓과 조형언어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술가의 언어가 특정한 하나의 기호체계로 부호화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무용의 기록인 라바노테이션의 가능성은 그것이 회화처럼 시각적이기도 하고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지만 여전히 음악처럼 고도로 발달된 표준적인 기보라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위해 먼저 라바노테이션을 기초로 움직임의 구성요소들을 구조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기하학과 수학의 체계를 따르지만 이와 차별화되는 공간에 관한 라반의 해석을 기초로 운동성 체계의 잠재적, 미학적 관점을 함께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라반의 에포트-셰이프(Effort-Shape)이론을 참고하여 운동성에 내재된 감수성과 뉘앙스를 공학적 변수들(Parameters)을 통해 가시화(可視化)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기계적 움직임을 표현적인 것으로 심화시킬 수 있었고 작품제작에 활용된 알고리즘은 향후 예술작품 창작의 도구로 확장되어 뉴미디어 퍼포먼스 및 무용 공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김혜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 증상이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여성으로 최근 2개월 이내에 신체적 증상이나 질병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만 20-59세 여성 320명을 대상으로 여성의 신체화 및 생활스트레스 정도와 분노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는 연려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생활스트레스와 여성의 신체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결과는 첫째, 중년기(40-59세)는 중년기 이전의(20-39세) 여성에 비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요인 중 경제·직업스트레스, 부부관계 스트레스,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중년기 이전의 여성은 중년기 여성에 비해서 분노표현과 분노통제, 분노억제 그리고 특성분노-분노기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화 증상은 생활스트레스와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가족갈등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많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여성의 신체화 증상은 분노경험 및 분노표현과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상태분노, 분노억제, 분노표출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경우 특성분노 이외에 문화적인 요인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상태분노와 분노억제, 가족갈등스트레스가 여성의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상태분노가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신체화 증상의 기제를 밝혀 여성의 신체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심리 치료 및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Psychosocial factors can exert on psychosomatic symptom.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lifestress, anger and psychosomatic symptom according to age. The psychological data of three hundred twenty adult women, had lived in Seoul and Suwon, who did not experience any disease conditions in recent two months were analyzed. Psychosomatic symptom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a psychopathology scale (SCL-90-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ddle aged group (40-59 years) compared with young aged group (20-39 years). Second, the psychosomatic symptom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lifestress, especially family and health related stress. Third, the psychosomatic symptom was increased by the anger experience and the anger expression. In other words, we though that the women were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such as a culture except the trait anger. Finally, the most credible factors that could explain the psychosomatic symptoms were the state anger. This study revealed the mechanism of psychosomatic syndrome of women which provided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