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학교자치시대에 요구되는 학교장의 직무역량 분석

        김혜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In this study, the job and job competency of the principal required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were analyz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unction-oriented competency analysis for the principal’s job, competencies were classified including structural competencies for various member organizations and cultural competencies for improving school culture. In addition, 52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ompetency were develop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level of the principal's school autonomy competen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incipal's job required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Second, what is the job competency of the principal required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Third, what is the level of job competency of school principals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 Does the principal's perception of the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competency diff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current performance competencies? •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cipal's current performance competency level and the future required competency level?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the principal’s job competency was divided into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and ‘cultural-level competency group’. The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five competencies, including “education activity operation”, “student life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budget management" and “facility management," and has 22 sub-action indicators.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includes decision-making structures at various levels, including school organization level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vel, consisting of 6 competencies such as “student autonomy", “parent participation", “teacher autonomy", “community relat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lationship", and “school operation committee management" and has 21 sub-action indicators. The ‘cultural-level competency group’ is related to school culture such a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rincipal’s leadership, consisting of 3 competencies such as “vision shar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has 9 sub-action indicator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level of job competency of principals in the age of school autonomy using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26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rincipals (34.3%) in Jeollabuk-d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 based on the current degree of performance, 41 indicators of school-level variables, 28 indicators of school establishment type variables, 18 indicators of innovative school operation variables, and 6 indicators of school principal's career variab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14 competencies based on the current degree of performa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ersonnel management” and “student autonomy” competencies was lower than 0.4, and all other competencies were ‘correlat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 or higher.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etencies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 or more, the competency of “teacher autonomy” was ‘highly correlated’ with 7 competencies, especially “vision shar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7 or hig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future need level, most indicators recognized the future need level higher than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In addition, the current performance average and future necessity average of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were the lowest among the three competency groups, and the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and future level of necessity average’s difference by competency group was also the highest.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from 1st to 10th, 2 indicators of the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 and 8 indicators of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were included. If education needs are listed from the high ranking to the fifth place, they are indicators of the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and the result was much higher than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of other competency groups. In the graph showing the average of the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and future level of necessity in quadrants, 14 indicators of ‘structural-level competency group’ and 7 indicators of ‘functional-level competency groups’ were recognized as low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and low future level of necessity, indicators requiring long-term measures.

      • 청년 1인가구의 건강행태, 식습관, 영양섭취와 대사증후군 유병과의 연관성

        김혜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 이 요인들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가구형태별로 비교해 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대상자중 건강설문, 건강검진, 영양조사에서 무응답한 자들을 뺀 나머지 20-39세 13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년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대사증후군 위험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지만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그러나 청년 1인 가구가 소득수준이 낮고, 폭음과 흡연 등 건강행태가 다인 가구에 비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생활습관 교정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식횟수가 많고, 지방을 비롯하여 탄수화물 단백질 섭취와 총 에너지 섭취가 다인가구에 비해 높으며 이런 것들이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식습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노년기로 갈수록 1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비가 높아짐으로 청년기부터 건강행태, 식생활, 영양소 섭취 등에 대해 교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levels in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1 young people aged 20-39 among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9. The data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Rao-Scott x2-test, the general linear mode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Primar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proportion of men and 20-29 years old than multi-person households, and their income level was lower.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smokers, heavily drinkers more than once a month,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tioners was high. 2.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te out more often than multi-person households, had a high rate of skipping dinner,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energy intake and intake of carbohydrates, fat, protein. 3.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but were not significant. 4. As a result of mu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correcting all variables, the adjusted odd ratio(OR) of metabolic syndrome i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as 1.140 higher than that of multi-person households, but it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bove, it was found that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 라반 움직임 이론에 기반 한 애니메이션 생성기법 연구 : 무용기보법의 해석과 시각화 방법론을 중심으로

        김혜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39

        For non-verbal communication as one of human communication methods, how to communicate is more important than what is actually done. It is tru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arts such as dance or paintings where we pursue the visually aesthetic and creative expression, and most communications are made through individual artists’ unique gestures and distinctive visual languages. Thus, in the arts creation, it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the artists to explore new tools and to establish his/her own language firmly through them.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movements is investigated via its language and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approach by utilizing a dance notation system in the production process. This allows the new ways to produce computer animation based on objectively pre-defined rules, not by relying solely on the arbitrary discretion of the artist in the creation of works of art. Historical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vant-garde film has represented a suggested notion of movements in the flat painting surface of spatiotemporal expression in the Cubism derivatives by utilizing the actual time ?based media. The meaning of mobility in these paintings and films was abstract rather than realistic, thus they could be easily connected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or producing abstract animation in computers. In addition, I wish to convince that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common three-dimensional computer animation researches which is focused on the techniques of realistic reproduction. The dance is the field where voluminous researches are conducted on the creative representation and the meaning of movements. Among them, Rudolf von Laban is referred as the most organized and excellent dance theorist in the 20th century. Laban developed Labanotation, a global movement notation systems and Laban Movement Analysis(LMA) for further studies. LMA is not merely focused on forms and meanings of movemets for direct communication, instead, it investigates variety of movements including intangible and psychological factors. Laban considered the changes in movements are not only due to the specific objective of movements rather to th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inner impulse. This approach provides a universal and extensible theoretical basis in the various areas of disciplines, as well as dance when a theory of movements is applied. This study found that the structural notation system became a basic framework in design of a path to the movements. The Laban Analysis of the space, the space harmony(Choreutics), is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of mathematics and geometry but differentiated by certain factors. Thus, I tried to introduce the potential and aesthetic point of view by following his notion on the space. In addition, by adapting Effort?Shape theory which refers to the sensitivity and nuances inherent in the movements, these elements can be visualized by the computerized parameters and the mechanical movements can be improved as more expressive ones. The algorithm used in this work implements Rotation Transformation and gradual translation by Polar Coordinate conversion. However, it does not aim to the automated generative system, rather it is a tool to design specific and unique movements, which many artists can engage directly in controlling numerical data to make their own work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the algorithm developed here can be extended to be artists’ tool for future creative work and can be utilized for new media performances and dance performances. 본 논문은 움직임의 언어를 기반으로 움직임의 의미를 고찰하고 작품 제작을 위해 무용의 기보체계를 적용한 추상 애니메이션 생성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방식을 통해 예술작품의 창작에 있어서 예술가의 임의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미리 규정된 규칙들에 근거하여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표적으로 움직임이 지닌 의미와 창의적 재현에 관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무용분야를 다루며 20세기 가장 체계적이고 탁월한 무용이론가로 일컬어지는 루돌프 본 라반(Rudolf von Laban)을 소개한다. 라반은 범세계적인 움직임의 기호체계인 라바노테이션(Labanota tion)을 발전시켰고 이를 보충하기 위한 움직임 분석 이론(Laban Move ment Analysis)을 통해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행위 이외에도 심리적 요소와 같이 무형적인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움직임의 재현형식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또한 큐비즘 이후의 회화에서 나타난 다중적인 시공간의 표현을 기반으로 실제 시간매체를 활용하여 평면에 암시된 운동성을 움직임의 환영으로 표현했던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적 특징과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운동성의 의미는 실재적이기보다는 추상적인 것으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추상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본 연구의 목표와 연결되었다.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중 하나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실제로 무엇을 소통하는가 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무용이나 회화에서처럼 시각적으로 심미적이고 독창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예술의 영역에서는 예술가 개개인의 개성적인 몸짓과 조형언어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술가의 언어가 특정한 하나의 기호체계로 부호화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무용의 기록인 라바노테이션의 가능성은 그것이 회화처럼 시각적이기도 하고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지만 여전히 음악처럼 고도로 발달된 표준적인 기보라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위해 먼저 라바노테이션을 기초로 움직임의 구성요소들을 구조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기하학과 수학의 체계를 따르지만 이와 차별화되는 공간에 관한 라반의 해석을 기초로 운동성 체계의 잠재적, 미학적 관점을 함께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라반의 에포트-셰이프(Effort-Shape)이론을 참고하여 운동성에 내재된 감수성과 뉘앙스를 공학적 변수들(Parameters)을 통해 가시화(可視化)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기계적 움직임을 표현적인 것으로 심화시킬 수 있었고 작품제작에 활용된 알고리즘은 향후 예술작품 창작의 도구로 확장되어 뉴미디어 퍼포먼스 및 무용 공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생활스트레스와 분노가 여성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김혜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 증상이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여성으로 최근 2개월 이내에 신체적 증상이나 질병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만 20-59세 여성 320명을 대상으로 여성의 신체화 및 생활스트레스 정도와 분노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는 연려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생활스트레스와 여성의 신체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여성의 신체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결과는 첫째, 중년기(40-59세)는 중년기 이전의(20-39세) 여성에 비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요인 중 경제·직업스트레스, 부부관계 스트레스,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중년기 이전의 여성은 중년기 여성에 비해서 분노표현과 분노통제, 분노억제 그리고 특성분노-분노기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화 증상은 생활스트레스와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가족갈등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많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여성의 신체화 증상은 분노경험 및 분노표현과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상태분노, 분노억제, 분노표출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경우 특성분노 이외에 문화적인 요인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상태분노와 분노억제, 가족갈등스트레스가 여성의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상태분노가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신체화 증상의 기제를 밝혀 여성의 신체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심리 치료 및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Psychosocial factors can exert on psychosomatic symptom.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lifestress, anger and psychosomatic symptom according to age. The psychological data of three hundred twenty adult women, had lived in Seoul and Suwon, who did not experience any disease conditions in recent two months were analyzed. Psychosomatic symptom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a psychopathology scale (SCL-90-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ddle aged group (40-59 years) compared with young aged group (20-39 years). Second, the psychosomatic symptom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lifestress, especially family and health related stress. Third, the psychosomatic symptom was increased by the anger experience and the anger expression. In other words, we though that the women were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such as a culture except the trait anger. Finally, the most credible factors that could explain the psychosomatic symptoms were the state anger. This study revealed the mechanism of psychosomatic syndrome of women which provided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it.

      • 경기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활용한 창작 지도방안 연구

        김혜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 민족의 생활과 사상, 감정 등을 꾸밈없이 담아낸 전래동요나 민요는 부르는 사람에 따라 또는 부르는 상황에 따라 가사나 가락, 장단 등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창작 활동에 좋은 소재가 된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전래동요와 민요를 활용하여 창작해 봄으로써 우리말과 음악 어법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음악에 대한 감각을 신장시켜 나가야 한다. 현행 제 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서에는 각 지역의 민요를 가창․기악․감상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창작 활동으로는 동부민요의 음계만 제시되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창작의 모방과 변형의 모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래동요나 민요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각 지역 민요의 대표적인 음악적 어법을 토대로 다양하게 창작해 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기민요는 초등학교 3~6학년의 교과서에 고루 제시되어 있으나 그 관련 활동은 가창․기악․감상에 머물러 있고 경기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창작에 활용해보는 연구도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창․기악․감상에 머물러 있는 경기민요와 관련된 활동을 창작 활동으로까지 넓혀 경기민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가창․기악․감상 활동을 통해 알게 된 음악적 특징을 창작에 활용함으로써 경기민요 어법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 감정을 표현해 볼 수 있는 창작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경기민요는 모두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만들어져 유행하기 시작한 신민요이다. 또한 이 곡들은 전문가들이 불렀던 가창 유희요로서, 넓은 음역을 바탕으로 순차적 상․하행 진행을 하여 가락이 다채로우며 모두 유절 형식의 곡이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에게는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도 가락 진행이 단순하고 다양한 형식이 드러나는 향토민요를 교육적으로 제시하여 학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경기 향토민요에는 ‘창부타령조’의 음악적 어법으로 해석할 수 있는 민요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 향토민요 중 창부타령조의 민요를 음악적으로 분석하고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창작 지도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경기 향토민요를 장단, 가락, 형식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단은 주로 3소박 4박 장단에 해당하는 곡이 많으며 2소박 4박 장단과 불규칙 장단의 곡도 찾아볼 수 있었다. 가락은 ‘黃․太․仲․林․南(無)’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黃’이나 ‘仲’에서 종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우리 민요가 그렇듯이 경기 향토민요도 한 장단의 사설이 대체적으로 2음보로 구성되어 있고 1음보는 반장단을 차지하는데, 이에 따라 가락도 반장단 단위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한 장단 내의 가락 진행을 살펴본 후, 앞의 반장단과 뒤의 반장단 가락으로 유형화하였다. 형식으로는 메기고 받는 형식, 통절형식, 유절형식, 긴․자진 형식이 있는데, 메기고 받는 형식의 곡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들에게는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적 특징을 가창․기악․감상 활동을 통하여 학습하게 한 후 그것을 모방하고 변형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져서 ‘가창․기악․감상 활동 → 악곡의 구조 이해 → 창작할 목표 설정 → 창작할 음악과 비슷한 모델 제시 → 창작 및 기보 → 창작된 음악의 연주’의 창작 지도과정을 설정하여 제 1단계에서 제 4단계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1단계에서 제 4단계의 지도내용은 장단, 가락, 형식의 위계에 따라 선정하였는데, 제 1단계는 자진모리장단의 악곡을 통해 자진모리장단을 익힌 후 짧은 단어로 자진모리장단에 맞는 붙임새를 만들어 보며, ‘黃․太․仲’의 3음을 이용해서 가락을 지어 보도록 구안하였다. 제 2단계는 4자․4자로 제시된 가사를 자진모리장단의 붙임새로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한 후 ‘黃․太․仲․林’의 네 음으로 가락을 지어 보도록 구성해 보았다. 제 3단계는 중중모리장단의 노동요 제재곡을 통해 중중모리장단을 익히고, 노동요라는 제재곡의 특징을 살려 공동으로 ‘일’에 관한 가사를 창작한 후 중중모리장단의 붙임새로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또한 공동 창작한 가사에 ‘黃․太․仲․林․南’의 5음으로 가락을 지어 보고, 받는 소리의 가사를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보아 메기고 받는 형식에 대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제 4단계는 굿거리장단의 제재곡을 통해 굿거리장단을 익힌 후, 메기고 받는 가사를 각각 묻는 말과 답하는 말로 만들어 굿거리장단의 붙임새로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또한 메기고 받는 소리의 가락을 ‘黃․太․仲․林․南’의 5음으로 질러내는 소리․평으로 내는 소리․숙여내는 소리로 지어 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창․기악․감상 활동에 머물러 있던 경기민요 관련 활동을 창작 활동으로까지 넓혀, 경기민요의 음악적 어법을 토대로 창작 활동을 해봄으로써 우리 음악에 대한 감각과 창의적 표현력이 신장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우리 민족 누구나 삶의 모습과 생각, 감정 등을 민요를 통해 표출해왔듯이 현대를 사는 학생들도 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민요에 담긴 생활상, 생각 등을 이해하여 자신의 노래로 만들어 불러보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봄으로써, 그들의 삶에서 노래가 우러나오길 기대한다.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containing our Korean life, thought, and emotion naturally are good materials for composition activities because their lyrics, melody and Jangdan can be changeable according to either people who sing them or in situations where people sing theme In the elementary school days, students should learn and practice Korean and Korean musical language through composing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Based on this they have to develop musical sense.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the current 7th curriculum there are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of regional folk songs. However, only eastern folk songs' musical scales can be presented and made use of for composition activitie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which are the body of imitating and transforming composition should be required to compose variously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usical scales of every region because songs from its region do not have the same feature at all. Gyeonggi folk songs present in the textbooks 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heir activities have only present in the textbooks 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heir activities have only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and the textbooks do not indicate the study on making use of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gi folk songs for composition activities. This study tried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Gyeonggi folk songs using not only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but also composition activities. Additionally a teaching method to express their own thought, feeling, and emotion was searched by utilizing musical characteristics learned from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o compose music. Gyeonggi folk songs in the textbooks are new folk songs made from at the end of 19th century to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and became popular. As amusement songs by sung professionals, these songs are varicolored because their melody proceeds to go up and down consecutively based on a wide vocal range. And all of them have strophic forms. However, it is reasonable that in the elementary school days local folk songs should be presented and used educationally for the songs, have a simple melody process and various forms, and relate to our life. In this study folk songs with Changbutaryeong mode selected as topic songs were investigated musically and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utilized in teaching composition because there were many songs with the mode capable of analyzing with musical language. Analyzed Gyeonggr folk songs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Jangdann, melody, and form as follows. There are many songs of Jangdan of 4 beats of 3 divisions and some of Jangdan of 4 beats of 2 divisions and irregular beats. Their melody consists of 5 tunes and generally the last tune is either Hwang( R) or Joong({ ). As most of all our folk songs do, liyrics of one Jangdan of Gyeonggi folk songs compose of 2 foots, and 1 foot occupies half Jangdan so the melody is divided into half Jangdan unit. Then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melody, the first half Jangdan and the last half Jangdan were patterned. There are 4 forms of the songs which are call and responsorial form, through composed form, strophic form, and slow and fast form. Work songs and ceremony songs have many call and responsorial form. It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hat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have motivation of imitating and transforming music to use composition activities after learning mu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herefore, there ar 4 phases of a composition teaching process having a teaching plan of 4 stages. 4 phases of it is from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o understanding musical pieces to goal-setting for composition to presentation a model similar to composing music to composition and recording. The teaching contents of from the Ist to 4th stage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hierarch of Jangdan, melody, and form. In the first stage, students learned Jajinmori Jangdan by practicing music pieces of Jajinmori and then made Buchimsae proper to Jajinmori Jangdan with short wards, and next the activity of making melody was planned using Hwang( M), Tae(,;), and Joong(11). In the second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make the melody with Hwang(), Tae(;(ti.), Joong({), and Ihm(1:) after finishing making Buchimsae of Jajinmori Jangdan with the lyrics presented with 4 words and 4 words. In the third stage, students learned Jungjungmori Jangdan with topic songs of work songs of Jungjungmori Jangdan, and then composed lyrics about work collaboratively according to the work songs' characteristics. Finally they were asked to make Buchimsae of Jungjungmori Jangdan. In addition, students were asked to make the melody of 5 tunes such as Hwang(), Tae(Q), Joong(1째'), Ihm(), Nam(e) with the lyrics made from the 3rd stage, and then learn call and responsorial form as changing the lyrics of tunes into various forms. In the forth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make the lyrics of call and responsorial form and to make Buchimsae of Gutgeori Jangdan after practicing Gutgeori Jangdan through topic songs of Gutgeori Jangdan. Through this study, activities related to Gyeonggi folk songs were expanded from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ng activities to composition activities. It is thought that students will improve their music sense and creativity of Korean music by composition activities based on musical language of Gyeonggl folk songs. As every Korean expresses their life, thought, and emotion through folk songs, I expect that the students living in the current world understand musical characteristics, life, and thought involved in the folk songs, make their own songs, and share them with others.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사 교재 및 교수법 개발

        김혜란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한국이 단일민족 국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 전체 결혼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난 2004년 이후 줄곧 10%를 넘게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 외국인 노동자나 유학생의 유입도 매우 많아졌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자녀를 출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한국사회의 미래를 전망할 때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한국인의 의식구조는 매우 배타적인 민족주의 의식에 더하여 인종주의적 차별의식까지 가지고 있어서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정착을 어렵게 하고 있다. 한국인들의 이러한 의식은 한국 근대사회의 형성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잘못된 의식구조임이 분명하다. 더욱이 단군을 시조로 한 단일민족주의 의식은 해방 후 독재 권력에 이용되면서 교과서에 실려 거의 60여 년 동안 한국인들의 배타적 민족주의 의식의 형성에 일조하였다.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한국사나 일반 교양으로서의 한국사 체계 또한 지나치게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쓰여져 있어 다민족?다문화 시대의 한국사회에 적합하지 않다. 새로운 한국사 프레임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화순지역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3학기 동안 한국사 수업을 진행해보고 현재 한국사 인식 체계의 문제점을 깊이 깨달았으며, 이에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한국사 교재 및 교수법을 개발해보고자 하였다. 단군조선을 출발점으로 하는 단일민족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다민족 통합의 역사의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삼국통일에 대한 인식의 문제점도 지적하여 그 당시를 다민족 시대로 해석하였다. 다만 신라의 민족 융합 정책과 고려의 민족 융합 정책의 긍정적인 면은 그대로 계승하여 현재의 민족 융합 정책의 필요성과 앞으로 남북한의 통일을 전망하였다.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고려시대 여성들을 비교하여 설명하면서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에서 인종주의적 차별에서 여성차별까지 이중으로 차별받는 측면의 부당함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사 부분에서 왜 한국인들이 그토록 강한 민족주의 의식과 인종주의적 차별의식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사회적 상황을 설명하고 결혼이주여성들의 이해를 구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이주는 한국의 필요에 의한 것이다. 이제는 민족주의를 벗어나고 저급한 물신주의에서도 벗어나 이들을 따뜻하게 포용해야 한다.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교류를 확대하여 그들과 그들의 문화를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융합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사가 다민족 통합의 역사로 복원되어 한국인의 의식을 개선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와 같은 배타적 민족주의, 물신주의에 의한 인종주의적 차별의식으로는 결혼이주여성들과 그 자녀들을 사회 바깥으로 내몰아 사회 통합을 방해하고 국제화 시대에 뒤떨어지는 것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자신과 자녀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하여 한국사를 공부하기를 원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논문이 미미하나마 하나의 디딤돌이 되어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사를 위한 연구와 실천이 더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러시아권 한국어 교재의 통시적 연구 : 19세기말에서 1990년 이전 한러 교재를 중심으로

        김혜란 문화창조대학원 글로벌한국학 전공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Russi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90, and shed a new light on their value and significance as part of the effort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odern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es of the textbook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period segments by separating extrinsic elements from intrinsic ones. Conclusions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officially in Russia in the late 19th century, teaching methods or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was hardly found, or even mentioned, in academia. Due to this reas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in Russia, which have high historical value and represent the respective period segments mentioned above.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classified by period consists of 'textbook system’, 'textbook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and '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textbooks’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could be characterized as Korean studies involving history, politics and economics, when compared with the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lassified into the 1st and 2nd period consisted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and the early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Dynasty and Russia. Particularly, the first Korean language textbook in 1899 was identified as being a teaching material that contained the spirit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and Hangeul by King Sejong. Third, analysis on the 3rd period, which corresponds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independence and the chaotic period thereafter, shows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World War II.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ing,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studies entered a period of stagnation before they revived with independence on August 15, 1945, wh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gan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ublish textbooks. During the period a number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reading published were publish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aterials that dealt with such topics of society, literature, culture, and science in Russia.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on topics such as Russian literature, society, and culture translated into Korean contain content worthy of use in modern Korean textbooks localized in Russia.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the fourth period (1953-1989),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and the diplomatic tie between Korea and Russia was cut off, included university-level textbooks with high academic value for teaching Korean grammars. There were also many Korean bilingual textbooks for children compiled by ethnic Koreans forcibly relocated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Finally, the implications of Russian-Korean textbooks analyzed diachronically was found to be meaningful in developing and utilizing Russian-localized Korean textbooks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in textbook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on the types of text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as presented for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time to discover and analyze Russian Korean textbooks diachron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 1860년부터 1990년 한국과 러시아 수교 전까지의 통시적 시대를 대표하는 러시아에서 발행된 한국어 교재의 시대별, 유형별 분류를 통해, 시대별 특징과 교재의 유형 및 변천에 따른 한국어 교재들의 가치와 의의를 조명하며, 현대 한국어 교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4시기로 분류된 한국어 교재의 외사적, 내사적 특성을 구별하여 시대별 교재가 지니는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19세기말 유럽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한국어 교육이 시작된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수법과 교재에 대한 연구가 학계에 언급되지 않거나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고려하여, 1990년 한러 수교 이후 연구 자료의 희귀성을 지니고, 시대적 대표성을 지니는 러시아에서 발행된 한국어 교재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시기별 분류된 한국어 교재 분석은 ‘교재 체제’, ‘교재 내용 및 교수-학습 조건’, ‘교재사적 가치와 시사점’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러시아에서 한국어 교육은 다른 나라에 비해 역사, 정치, 경제적으로 연관성이 깊은 한국학으로서 특징을 보였다. 시대별 1-2기 바탕기, 태동기로 분류되는 교재들은 한인 이주의 역사, 조선과 러시아의 첫 외교적 관계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는 교재들로 구성되며, 특히 1899년도 첫 한국어 학습 교재는 러시아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로서 한글 교재로 훈민정음 창제와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을 담은 교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시대별 3-4기 정체기, 도약기에 해당 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일제강점기-해방기 및 혼란기에 해당되는 3기에서는 러시아의 혁명, 2차 세계 대전 등 외사적 특징을 지닌다. 한반도의 일본 합병으로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의 정체기를 보내지만, 8·15 광복과 동시에 잠시 중단되었던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다시 활성화되고, 한국어 교재 발간을 위해 노력이 이어졌습니다. 동시에, 고려 한인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과 러시아의 사회, 문학, 문화, 과학을 주제로 하는 통합적 교재 유형으로 모국어 한국어 읽기 교육에 중점을 둔 독본 교재들이 많이 발행되었고, 한국어로 번역된 러시아 문학 및 사회, 문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육용 독본 교재는 러시아 현지화 현대 한국어 교재에 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넷째, 4기(1953-1990) 남북 분단기, 한러 외교 단절기에 해당되는 한국어 교재에서는 대학용 학문·국어학적 성격을 띈 학술적 가치가 높은 한국어 문법개론서와,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고려·한인의 민족언어 교육의 부흥을 위한 아동용 이중언어 한국어 교재가 대표적이다. 마지막으로 통시적 분석을 통해 분석된 러시아 한국어 교재의 시사점은 한러수교 이전 교재에서 언어 교육적, 문화 교육적 측면은 러시아 현지화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한·러수교 이후 한국어 교재 분석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 한국어 교과서를 통시적으로 살펴 한국어 교재의 시대별 특징에 따라 분석한 첫 시도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