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의 유전체 해독

        백승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39

        이종간 교배는 식물 다양성을 증가 시키는 중요한 진화적 과정중의 하나이다. 제주도에서 왕벚나무(Prunus x nudiflora)는 동배수성 잡종으로서 벚나무속(genus Prunus)의 유전적 다양성에 기여하며 자생지를 형성하고 있다. 벚나무속은 과수 작물인 체리와 매실을 포함하고 있고, 다수의 종이 아름다운 꽃과 우수한 관상용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원예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제주도 왕벚나무는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이형접합체 유전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돼 왔다. 따라서 왕벚나무의 유전체 연구는 벚나무속에서 종간 잡종화에 의한 이형접합 유전체의 기능에 대한 형성과 식물유전체학의 진화 생물학적 지식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서열에 기반을 둔 유전체 분석 전략을 사용하여 자생 왕벚나무의 높은 이형접합체 유전체를 해독하고 그 정보를 분석하였다. 왕벚나무 유전체는 323.8 Mb 크기의 스케폴드 서열로 조립되었고, 반복서열은 약 47.2%를 포함하고 있다. 유전자 주석 분석 결과 41,294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결정하였다. 이는 유전자 영역의 93% 이상을 포괄한다. 왕벚나무의 모계로 추정되는 올벚나무(Prunus pendula f. ascendens)와 부계로 추정되는 벚나무(Prunus jamasakura)의 유전체 서열을 왕벚나무 유전자 모델과 매핑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유전자 모델 중 19%는 모계 유래, 21%는 부계 유래, 59%는 모계와 부계의 공통 유전자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왕벚나무는 모계 올벚나무와 부계 벚나무 사이에서 형성된 1세대 잡종으로 판단된다. 잎, 꽃잎, 암술, 수술, 열매 등 5개 조직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계 유래 유전자 562개와 부계 유래 유전자 576개가 조직별로 차등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모계에서 유래된 꽃 발달 관련 전사 인자는 영양조직과 생식조직에서 차등 발현 하였으며, 부계에서 유래한 차등 발현 유전자는 꽃가루와 꽃가루관, 세포벽, 2차 대사산물 관련 유전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잡종 강세에 의한 양친 계통별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나타낸다. 왕벚나무와 이의 근연종인 올벚나무, 벚나무, 산벚나무(P. sargentii), 사옥(P. jamasakura var. quelpaertensis), 그리고 소메이 요시노(Prunus х yedoensis) 등 6개 분류군에 속하는 16개 개체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차원척도법의 차원에서 자생 왕벚나무는 모계 올벚나무와 부계 벚나무 양친 그룹의 중간 유전체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는 소메이 요시노와 유전체 수준에서 뚜렷하게 구분되어 상호 별개의 분류임이 판명되었다. 왕벚나무의 형성에 대한 유전체 기반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주도 자연적 생육지 내에서 분포하는 근연종 벚나무 분류군의 자가 불화합성 S-locus 반수체의 구조와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왕벚나무 각 개체는 서로 다른 2개의 S-locus 반수체를 갖고 있으며, 두 개체 중 하나는 벚나무와, 다른 하나는 올벚나무와 S-locus를 공유하고 있었다. 한편 벚나무와 올벚나무간 서로 공유하는 S-locus가 전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벚나무류의 강한 배우자체 자가 불화합성에 의한 동소적 이종간 교배로 인해 자연 잡종화를 통하여 왕벚나무가 생성되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확립한 왕벚나무의 유전체 서열과 유전자 정보는 왕벚나무의 동정과 계통학적 분류, 산업적 활용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Hybridization is an important evolutionary process that results in increased plant diversity. Flowering Prunus includes popular cherry species that are appreciated worldwide for their flowers. The ornamental characteristics were acquired both naturally and through artificially hybridizing species with heterozygous genomes. Therefore, the genome of hybrid flowering Prunus presents important challenges both in plant genomics and evolutionary biology. Prunus yedoensis Matsumura is one of the popular ornamental flowering cherry trees native to northeastern Asia. The natural populations of its close relative wild taxon (P. x nudiflora, Pxn) have only been found on Jeju Island, Korea.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Pxn is a hybrid taxon and closely related to Yoshino cherry (P. x yedoensis), however, there are no solid evidences on its exact parental origin, genomic organization, and genetic boundary against its related taxa. To solve these problems, I sequenced and assembled the genome of Pxn and compared it with those of closely related Prunus species, including its candidate parental species and Yoshino cherry. I used long reads to sequence and analyze the highly heterozygous genome of Pxn. The genome assembly covered more than 93% of the gene space, and annotation identified 41,294 protein-coding gene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enome with 16 accessions of 6 related taxa and phasing of genes based on short read sequence mapping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is showed that 41% of the genes were assigned into the maternal or paternal state. This indicates that Pxn is an F1 hybrid originating from a cross between maternal P. pendula f. ascendens and paternal P. jamasakura, and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its confusing taxon, Yoshino cherry. A focused analysis of the S-locus haplotypes of closely related taxa distributed in a sympatric natural habitat suggested that reduced restriction o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due to strong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is likely to promote complex hybridization of wild Prunus species and the development of a hybrid swarm. In conclusion, I report the draft genome assembly of a natural hybrid Prunus species using long-read sequencing and sequence phasing. Based on a comprehensive comparative genome analysis with related taxa, it appears that cross-species hybridization in sympatric habitats is an ongoing process that facilitates the diversification of flowering Prunus. Overall,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address issues of the origin, taxonomic delimitation, nomenclature, and genetic relationship of Pxn with other Prunus species.

      • 사회과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백승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how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is determined. As a planned practice by the authority that takes initiative in education, a curriculum is a planned practice of a country in Korea. Therefore, it has held a political meaning, and the policy-making procedure has played a crucial role. However, the analysis of the policy-making procedure of such a curriculum has been analyzed mainly from an educational aspect. In particular, the policy-making procedure of a curriculum has not been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olitical analysis. The discussion concerning the nature and character of social studies has not been completed; thus, the discussion about the policy-making procedure of the curriculum was a kinetic and dynamic procedure. Specifically, the policy-making procedure of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was even more so because of the dispute centering on the integration vs departmentaliz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history education. The policy network was introduced in order to conduct a political analysis, focusing on such kinetic dynamics. A policy network i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interaction among policy actor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defining the effect of a policy environment on a policy network that is composed of policy participants, a relationship structure, and an interaction with an analytic framework, and by analyzing the policy-making procedure of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First, there appeared to be a capture phenomenon in the triggering mechanism of the policy environment. The insistence on the Northeastern Project and the dominium of Dokdo became a triggering mechanism, and the reinforcement plan for history education in the history education circle was able to be passed. Accordingly, the logic of integration that had been sustained in the existing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was collapsed. Second, the structure of a policy-making procedure is a research service and consultative body type of policy-making structure, and the leading influence was analyz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iod in the policy-making procedure. For a pursuing period, a chief of the social studies team for elementary schools became a core community, for a deadlock period, a chief of the social studies team for elementary schools and a joint researcher conference, and for an agreement perio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ecame a core community. Although the policy community was formed by the participation of a professional group, the processional group was limited to a peripheral group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lso,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participation by teachers, but still they became peripheral communities. Furthermore, other codes concerning the closure of a human resource organization, and the area of an integrated curriculum, made a compartmentalized tendency emerge in the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the policy-making procedure was a closed vertical network. Since outside opinions were not accepted, the border was closed, and the connection was vertical due to the fortif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power centralized in joint researchers and of the power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urth, the interaction was poised between the policy community and the sub-government model in the policy-making procedure. In the relationship, participations demonstrated the feature of a policy community, but the level of coordination and negotiation were closer to the sub-government model. Also, trust failed to be constructed on the whole, and there was no official coordination mechanis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or the policy-making procedure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logic for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with a view to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effect independently. Second, in order to prepare such a field of logic, a policy community should be built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and the related system should improve. Third, for the preparation of the fundamental of logic, there needs to be improvement in the deliberation procedure through deliberative democracy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dure.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을 주도하는 기관의 계획된 실천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계획된 실천이다. 그래서 정책적 의미를 가지게 되며, 결정과정은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그러나 이런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분석은 주로 교육적 측면에서 분석되어 왔다. 특히 교과교육의 결정과정은 정책적 분석의 관점에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사회과는 본질과 성격에 대한 논쟁이 완료되지 않아,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한 논의가 동태적이며, 역동적인 과정이었다. 특히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결정과정은 통합-분과 및 역사교육강화를 둘러싼 논란 때문에 더욱 그러하였다. 이러한 동태적 역동성에 주목하고 정책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정책네트워크를 도입하였다. 정책네트워크는 정책 행위자들 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 환경이 정책 참여자, 관계구조, 상호작용으로 구성되는 정책네트워크에 미친 영향을 분석틀로 규정하고,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결정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책 환경에서 격발메커니즘에 포획현상이 발생하였다. 동북공정과 독도 영유권 주장은 격발메커니즘이 되어, 역사교육계의 역사교육 강화방안이 통과되었고, 기존의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유지되어 오던 통합의 논리는 와해되었다. 둘째, 결정과정의 구조는 연구용역·자문기구형 정책결정구조로, 결정과정에서 시기에 따라 주도적 영향력이 다르게 분석되었다. 추진기는 초등사회과팀장이, 교착기는 초등사회과팀장과 공동연구원회의가, 합의기는 교육인적자원부가 핵심적공동체가 되었다. 전문가 집단의 참여로 정책공동체가 되었지만, 교육인적자원부의 영향력과 관련하여 전문가 집단은 주변공동체로 한정 되었다. 교사집단의 참여가 많았지만, 역시 주변공동체가 되었다. 또한 인적 구성의 폐쇄성과 핵심쟁점인 통합과 분과에 대한 다른 강령은 초등 사회과에서 분과적 경향이 나타나게 하였다. 셋째, 결정과정의 관계구조는 폐쇄적·수직적 네트워크였다. 외부의 의견들은 받아들여지지 않아 경계는 폐쇄적이었고, 공동연구원에 집중된 의사결정권과 교육인적자원부의 권한 강화로 연계는 수직적이었다. 넷째, 결정과정에서 상호작용은 정책공동체와 하위정부모형 사이에 위치하였다. 관계에서 참여자들은 정책공동체의 특징을 보였으나, 조정 및 협상의 수준은 하위정부 모형에 가까웠으며, 전체적으로 신뢰가 구축되지 못하였고, 공식적인 조정기제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영향을 주체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초등 사회과교육의 논리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이런 논리 마련의 장을 위해,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정책공동체의 구축과 이를 위한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논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의사결정과정에서 심의민주주의를 통해 숙의과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 현장실험에 의한 부산점토의 토질특성 분석

        백승훈 동아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1839

        낙동강 하구 일대의 해안 및 평야에서는 항만, 공업 및 주거단지 조성, 공항의 확장 등을 위하여 1990년대 초기부터 수많은 지반조사가 수행되었으나, 조사방법이 정립되지 못하고 일관되지 못하여 부산점토에 대한 토질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한 실정에 있다. 특히 시료교란 문제로 인한 토질특성의 과소평가 때문에 성토에 의한 지반침하 및 소요시간을 과소평가하여 사회적 및 공학적인 문제로 비화되기도 하였다. 부산점토는 다른 지역의 점토와는 달리 연약점토가 깊게 분포하고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불교란 시료의 채취 시에 시료교란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아서 현장실험에 의한 토질특성의 규명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평야일원의 5지점을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현장베인시험 및 피에조콘시험을 정교하게 실시하여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또한 피에조미터(standpipe type)와 피에조콘 소산시험을 수행하여 흙의 투수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실내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분석함과 아울러 토질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대표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부산점토에 대한 지층의 구분과 지층별로 변화하는 토질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퇴적환경분대(류, 2002)와 비교할 때 부산점토는 크게 2개의 대지층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2) 현장시험에 의한 전단강도 특성을 위한 피에조콘 계수는 대분류된 지층에 따라 정리한 결과 좋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Nqu보다는 Nu와 Nau를 이용하여 지층 및 지역별로 규명할 수 있었으며, 또한 실내토질실헝 결과들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할 수 있었다. (3) 부산점토의 투수특성을 위해서는 Standpipe-type Piezometer에 의한 시험결과가 대표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점토에 비하여 상부점토의 투수계수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수평압밀계수는 피에조콘 소산시험 결과를 이용한 Teh & Houlsby(1991) 및 Torstensson(1977)의 실린더형 팽창이론의 적용 결과가 비교적 신뢰 있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지역 및 지층의 특성보다는 시험법 및 분석법에 크게 의존적이었다. In the Nakdong River plain a large number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 have been performed for development of new Pusan port, industrial and residential complexes, extension of Kimhae international airport and so on, since early 1990s. However non-harmonization of site investigation made it difficult to clearly elucidat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n Pusan clays. Such a investiga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sample disturbance, and then followed by underestimation of the amount of settlement and elapsed time when filling on the ground. As the soft clays is unusually thick in the world, it is not easy to take good quality samples. Hence it may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clays by using insitu tests. In this study field vane and piezocone tests were carried out for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stand-pipe piezometer and dissipation test using piezocone for permeability properties at 5 reference-testing site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laboratory test results for seeking for reliability and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y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Using the result of piezocone test it could be defined stratification of the clays and found out that the soil properties are almost constant on each lay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st result clearly indicates two units having different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lays(Ryu, 2002). (2) A good correlation between piezocone and field vane tests was obtained on each unit, particularly when using N_(kt) and N_(Δu) compared to N_(qu). The insitu test results could be also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3) The result of stand-pipe piezometer test would be considered as a typical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n Pusan clays, and the permeability of the upper unit is greater than the lower. The horizontal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obtained by Teh and Houlsby(l991) and Torstensson(l977) with cylindrical expansion theories, indicated as a reliable value, however the value was significantly dependent upon testing and calculating methods rather than soil itself.

      •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제조공정 경도예측에 관한 연구

        백승훈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제조공정 중에서 예비양생이 완료된 반 경화제품(cake)인 상태에서 탈형을 실시할 때 적절한 탈형시기가 지난 후에 탈형을 하게 되면 보습력이 떨어지고 절단시 피아노선이 절단되어 제품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탈형시기의 관리기준이 되는 경도(hardness)에 관한 예측을 하기 위해 관련된 변수들 간에 상호관련성을 찾고자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ALC 제조공정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LC 제조공정의 V/T(Vibration Time)대기, V/T동작, 발포높이, 경화시간, 타설온도, Rising, C/S비의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들이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인 경도(hardness)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7개의 독립변수 조건에 따른 62개의 실험 데이터에 대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추정된 회귀방정식은 경도 = - 88.8 - 0.0056 V/T대기 - 0.0036 V/T동작 + 0.037 발포높이 + 84.1 경화시간 + 0.256 타설온도 - 0.054 Rising + 137 C/S비로써 회귀 계수의 유의성을 보면 경화시간, C/S비는 p-값이 0.005, 0.000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V/T대기, V/T동작, 발포높이, 타설온도, Rising은 p-값이 각각 0.815, 0.848, 0.757, 0.174, 0.661로 유의수준 0.05보다 크므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R-제곱이 89.9%, R-제곱(수정)값이 88.6%로써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결과 p-값이 0.000으로 회귀식이 유의하다고 할 수 있었다. 2) 7개의 예측변수에 대해 전진 선택법을 수행한 결과 C/S비, 경화시간, Rising만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선택되었다. 1단계에서는 상수항과 C/S비가 회귀모형에 포함되어 R-제곱이 84.00%, 2단계에서는 경화시간이 회귀모형에 추가로 포함되어 R-제곱이 88.49%, 3단계에서는 Rising이 회귀모형에 추가로 포함되어 R-제곱이 89.47%로 나타났다. R-제곱(수정)은 1단계 83.73%에서 3단계 88.93%로 5.2% 증가하였다. Mallows C-p 통계량은 1단계 27.9에서 3단계 2.5로 작은 값일수록 실제 회귀계수를 추정하고 미래 반응 값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정확함을 나타내었다. 3) 후진 제거법 수행 결과 5단계에서 끝이 나고 7개의 예측변수 중 경화시간, Rising, C/S비만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선택되었다. R-제곱은 89.47%, R-제곱(수정)은 88.93%로 전진 선택법을 이용하여 변수 선택을 했을 때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4) 최량 부분 집합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R-제곱 89.9%, R-제곱(수정) 89.2%, Mallows C-p값이 2.1, S값이 0.46897인 4개의 예측변수 경화시간, 타설온도, Rising, C/S비의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5) 최종 모형으로 선택된 모형이 타당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회귀 분석과 잔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추정된 회귀식은 경도 = - 76.4 + 88.6 경화시간 + 0.238 타설온도 - 0.0157 Rising + 136 C/S비로 회귀모형이 적합 되었고, 분산분석의 p-값 0.000으로 모형자체가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잔차 분석 결과 잔차 정규 확률도에서 데이터가 직선에 가까운 정규분포를, 잔차 대 적합치에서는 규칙이나 패턴을 보이지 않고 랜덤으로 분포되어 등분산성을 만족 시켰으며, 잔차 대 데이터 순서 그래프는 특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은 잔차의 독립성을 만족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에 따른 추정된 회귀방정식을 산출하여 단계적 회귀분석과 최량부분 집합 회귀분석, 잔차 분석을 수행 후 유의성이 입증된 추정 회귀식을 통하여 경화시간, 타설온도, Rising, C/S비가 경도(hardness)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ALC 제조공정 전체가 아닌 탈형 및 절단 공정에서 탈형시기의 기준이 되는 경도에 관한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한 제한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향후 ALC의 대중 보편화를 위해서라도 ALC에 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ALC와 관련성이 있는 콘크리트, 건축 재료에 관한 연구에 국한되기 보다는 산업공학적 측면에서 보다 과학적인 기법을 통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manufacturing process, if the pre-cured semi-cake is removed after the proper time is passed, it will be hard to retain the moisture and easy to be crack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took the research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r the prediction the hardness that is the control standard of the removal time. Moreover, we are going to use this result as the base data for ALC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wait for the V/T(Vibration Time), V/T movement, expansion height, curing time, placing temperature, Rising and C/S ratio and the Dependent variables, the hardnes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drew the conclusion. 1) We tri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ze sixty two research data which are based on seven independent variables' condition. From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next regression equation is 'Hardness = - 88.8 - 0.0056 V/T wait - 0.0036 V/T movement + 0.037 expansion height + 84.1 curing time + 0.256 placing temperature - 0.054 Rising + 137 C/S ratio. In the significance of regression coefficient, curing time and C/S ratio, p- value were 0.005, 0.000; it means result was significant. In V/T wait, V/T movement, expansion height, placing temperature and Rising, p- value was 0.815, 0.848, 0.757, 0.174, 0.661each. This result was higher than the significant standard 0.05, it was not significant. Regression model's R-square value was 89.9%, R-square(adjusted) value was 88.6%, it was high. The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was what p-value was 0.000. It tells regression equation was significant. 2) As a result of taking forward selection method to seven predictors, C/S ratio, curing time and Rising are selected only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constant term and C/S ratio wer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so R-square was 84.00%, In the second stage, curing time was also included, so R-square was 88.49%, and in the third stage, Rising was included, then R-square was 89.47%. R-square(adjusted) was increased from 83.73% of the first stage to 88.93% of the third stage, it was increased 5.2% totally. Mallows C-p statistic was from 27.9 of 1st stage to 2.5 of 3rd stage, it shows the low value is more accurate to predict the regression coefficient and future react value relatively. 3) As a result of backward elimination, it finished in the 5th stage, and among the seven predictors, curing time, Rising and C/S ratio was only selected as the predictors. R-square was 89.47%, R-square(adjusted) was 88.93%. Its values are same as the case we used the forward selection method to select variable. (4) In the best subset regression analysis result, four predictors; curing time, placing temperature, Rising and C/S ratio's models were selected as the final model R-square was 89.9%, R-square(adjusted) was 89.2%, Mallows C-p value was 2.1 and S value was 0.46897. (5) To check whether or not the final model was relevant, we did the regression analysis and residual analysis, then we could get the regression equation 'hardness = - 76.4 + 88.6 curing time + 0.238 placing temperature - 0.0157 Rising + 136 C/S ratio,' was fit to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as the p-value of variance analysis was 0.000, it showed model was significant. The result of residual analysis was that data for the residual normal ratio close to linear for the normal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esidual to fit, it didn't show rule or pattern, and was distributed randomly, so it was satisfied to the homoscedasticity. Furthermore, The residual to data sequence graph was satisfied the indepence of residual, it doesn't show specific pattern. In this study, first, we calculated regression equation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en we tried phased regression analysis, best subset regression analysis and residual analysis. Finally, we could verify curing time, placing temperature, Rising and C/S ratio influence to the hardness by the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This study was taken as the limited study which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hardness is the standard for the removal time of removal and cutting, not the whole ALC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generalization of ALC, it is necessary many research about ALC. Moreover, This is not only the study about the concrete or architectural materials, but the study by more scientific method in the business must be done.

      • 선행하중과 벽체강성에 따른 흙막이벽 및 인접지반 거동

        白承訓 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일반적인 굴착 공사에서 흙막이 벽체 변위, 굴착 저면의 heaving과 piping 그리고 지반 손실(Ground Loss) 문제 등에 의해 인접 지반의 침하 등이 수반되어 흙막이벽체와 인접 구조물의 손상 등이 발생되고 있다. 흙막이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현장 계측결과를 근거로 제시된 Peck(1969)의 겉보기토압, Tschebotarioff(1973)의 경험토압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제반 규정 등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현장 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경험식은 흙막이벽체의 수평변형 영향요소인 벽체 강성, 선행하중, 버팀보강성 그리고 근입깊이 등의 요인에 따른 것이므로 흙막이 구조물과 인접지표 침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70×1700×l200(폭×길이×높이, mm)의 토조에 굴착판(400×100, 폭×높이, mm)을 설치하여 단계별 굴착을 모형화하였으며, 벽체수평변위를 계측하고 선행하중을 재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흙막이벽체의 강성과 선행하준량을 변화하면서 벽체의 수평변형 및 인접 지표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내모형실험결과 벽체 강성과 선행하중이 증가할수록 벽체 수평변형과 지표 침하량은 감소하였으며, 버팀보 축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접지표 침하량은 초기 굴착 단계와 선행하중이 Peck의 겉보기 토압의 30%이상 재하되는 경우 Bauer( 1984)의 반경험식보다 작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표 침하 포락선은 Mana & Clough(1981)가 제시한 단일 삼각형 형태와는 다른 두 개의 삼각형을 조합한 형태로 나타났다. 토압 분포 형태는 Tschebotarioff의 경험토압 분포와 유사하지만 지표면으로부터 0.7H(H:굴착깊이,cm) 부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는 다각형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토압의 합력의 크기는 Peck(1969)의 겉보기 토압과 Tschebotarioff의 경험토압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In the vertical ground excavation practices,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horizontal deformation of braced wall, the heaving and piping at the bottom of excavation, and the ground loss can cause the surface settlement in the adjacent ground. This settlement may cause the stability problems of braced wall, which can damage the adjacent structures. The earth pressure on the braced wall is determined conventionally by the apparent earth pressure by Peck(1969) which was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 the empirical earth pressure by Tschebotaroff (1973), and the other specifications based on the former two methods. However, it is hard to estimate quantitatively the influences of the vertical ground excavation on the braced wall and ground surface deformation. The existing empirical methods for the horizontal deformation of the braced wall are subjec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wall stiffness, the pre-stress, the stiffness of the strut and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wall.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model test box was made in the dimension of 270×l700×l200(width×length×height in mm). This test box was equipped with the excavation plates(400×l00, width×height in mm) in the side wall to simulate multi-stage excavation, the measuring system for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wall, and the pre-loading system. With this new equipment, different strut forces can be applied to the wall with various wall stiffnesses. As a result of the model tests, as the wall stiffness and the pre-load were increased, the horizontal deflection of the wall and the ground surface settlement decreased, but the axial forces of struts increased. The measured settlement of the ground behind the wall was smaller than that of Bauer(1984) when the pre-load over 30% of Peck's apparent earth pressure was applied or at the early stage of excavation. The envelopes profil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of the wall normalized by ground settlement look like the superpose of two triangles, although Mana & Clough(1981) has proposed single triangle. While the measured earth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model tests was similar to the empiric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by Tschebotarioff(1973), there were many vertices with the peak value near the depth of 0.7H (H = excavation depth in cm) from the ground surface. The magnitude of resultant earth pressur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apparent earth pressure by Peck(1969) and the empirical earth pressure by Tschebotarioff(1973).

      • Preparation of chitosan particle composites modified multiwall carbon nanotube(MWCNT) by electrostatic interactions

        백승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Chitosan(CS) particle/carbon nanotube(CNT) composite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electrostatic interactions between CS particles and functionalized CNTs(fMCNTs). Nano-sized and micro-sized CS particles(positively charged) were synthesized. Negatively charged fMCNTs were prepared by a chemical oxidation method. With CS nanoparticles, CS nanoparticles coated fMCNTs were obtained. On the other hand, fMCNTs were coated on CS microspheres. The morphology of CS particle/fMCNT composite materials was observed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Especially, the electrorheological(ER) properties of fMCNTs coated CS microspheres were investigated. These CS particle/CNT composite materials with a different size of CS particles could be utilized for potential biomedical applications because of the biocompatibility of CS and the interesting properties of CNTs(such as electric,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키토산은 갑각류에서 추출되는 물질로써 대표적인 천연고분자중 하나이다. 인체에 독성이 없으며 여러가지 유용성이 확인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의료용으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생체내에서의 이용가능성을 예상하여 실험을 시작하게 되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라는 전기적으로 우수한 성질을 가진 물질을 입자에 도입함으로써 복합체를 제조하고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서는 키토산-탄소나노튜브의 나노복합체가 키토산과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이용되었다. 먼저 표면에 마이너스의 charge를 띠는 탄소나노튜브는 oxidation처리과정을 통해 준비되었다. 그리고 나노에서 마이크로대의 크기를 가진 키토산 입자를 제조하였다. 첫 실험은 나노크기(100~500나노)의 키토산 입자에 탄소나노튜브를 도입하여 복합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준비된 키토산 입자의 pH에 따른 Zeta potential값을 확인하였다. 나노크기의 키토산 입자에 탄소나노튜브를 도입하였을 때 키토산 입자의 크기가 작아 입자가 탄소나노튜브에 들러붙는 구조를 나타냈다. 제조된 복합체는 TEM을 이용하여 확인되었다. 두번째 실험은 마이크로 사이즈(약 1마이크로)를 보이는 키토산 입자를 제조하고 그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였다. 준비된 키토산-탄소나노튜브 입자는 OM및TEM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제조된 복합체의 ER(Electro Rheology)특성을 확인하였고 전기장의 세기를 강하게 해줌에 따라 shear stress, viscosity 값의 차이를 통해 ER 특성이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 여러가지 면에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좀더 안정성을 확인하는 과정,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함을 느끼며 연구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 중학생의 성취지향목표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백승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외재적이고 경쟁적 특성의 성취지향목표 추구가 중학생들의 강점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여기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로써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목표는 개인의 정서와 행동을 이끄는데, 특히 생애목표는 개인의 성장단계에서 접하는 사회ㆍ문화적 환경 속에서 수립되어 삶 전반을 이끌게 된다. 생애목표는 그 내용에 따라 가정화목, 인간관계, 여가 등을 통해 삶의 안녕감을 높이고자하는 삶지향목표와 부, 명예, 자기성장 등의 성취를 통해 성공을 이루고자 하는 성취지향목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목표가 적절히 균형을 이루며 발달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높아지게 된다. 대체로 선행연구에서는 내재적 성향의 삶지향목표를 생애목표 성취에 있어 긍정적으로 보고하지만, 타인시선에 민감하고 경쟁적인 교육환경 속에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의 삶은 매우 외재적이며 성쥐지향적인 경향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이를 마냥 외면하기보다는 실패가 가져오는 부정적 결과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성취지향목표의 순기능적 특성을 잘 살려 강점인식을 높여주는 것은 현교육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적 방안이 될 것이라 보았다. 또한 그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개입 되여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더불어 다양한 정서ㆍ정보ㆍ물질ㆍ평가적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지리라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성취지향목표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강점인식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D지역 2개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총 140부의 자료로 SPSS 20.0을 통한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이 검증되었다. 첫째, 해당 연구의 주요 변인들인 성취지향목표, 사회적 지지, 강점인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성취지향목표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성취지향목표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성취지향목표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생들이 바람직한 성취지향목표 추구를 통해 스스로의 강점을 제대로 인식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음으로써 현실에서 당면하는 실수나 실패 상황을 더욱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삶지향목표를 더 우위에 두는 형식적 교육 풍토에 대한 실질적이고 현실적 방안으로써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pursuit of achievement-oriented goals of external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s affects the recognition of strength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how social support works as a medium effect. The goal leads to individual emotions and behavior, especially the goal of life is establish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encountered in the growth phase of the individual, leading to the overall life. Life goals can be divided into life-oriented goals that aim to enhance the sense of well-being in life through domestic harmony, human relations and leisure, and achievement-oriented goals that aim to achieve success through the achievement of wealth, honor, self-growth, etc. In accordance with their content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can be increased when these two goals are properly balanced. In general, prior research reports an intrinsic life-oriented goal positively in achieving a lifetime goal, but the reality is that adolescents who live in a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sensitive to other people's eyes are very foreign and have a very adult-oriented tendency. Therefore, rather than turning a blind eye to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failure, we thought that it w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o enhance awareness of its strengths by taking advantage of the ne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oriented goal.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ink that social support will be more effective if positive relationships are formed and various emotional, information, material, and evaluation support are achieved. To this end, the achievement-oriented target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strength recognition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survey young students in 2 middle schools in D-area. In addition,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verified by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pies through SPS 20.0 with a total of 140 copies of the data used in the final analysi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oriented goals, social support, and strength recognition, the main contributors to the study.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oriented goals have a direct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ffect on strength recognition.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oriented goals on strength recogni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greater the impact of achievement-oriented goals on strength recognition has also been shown. As a result of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will be able to better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provide positive social support through the pursuit of desirable achievement-oriented goals, thus dealing with the mistakes or failures faced in the real world more flexibly. In addition, if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made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as a practical and realistic measure of the formal education climate, which places life-oriented goals above them.

      • 역 수성가스 전이 반응을 이용하는 매체 순환 공정 내에서 활용되는 철 산화물 계열 산소 전달 입자 연구

        백승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use of fossil fuels is emitting large amounts of carbon dioxid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is accelerating global warming and efforts to reduce it continue. Carbon capture, storage and utilization are the way to reduce carbon dioxide and among which carbon dioxide utilization, a technology that reduces emissions and converts carbon dioxide into other industrial gases, is drawing attention. Among these utilization technologies, chemical looping technologies that can operate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are drawing attention compared to other technologies. In particular, with the use of the chemical looping process, carbon dioxide can only be converted into carbon monoxide in the chemical looping process using the reverse water gas shift reaction, since the desired gas can be obtained with a high selectivity. In the case of the chemical looping process, oxygen transfer between the reactions is necessary because one reaction is divided into several reactions, and the metal oxide used at this time is called oxygen carrier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However, metal oxides that are active with carbon dioxide are very limited, of which iron oxides are used the most due to their low prices, eco-friendly and high reactivity. However, when iron oxides conduct a reducing reaction within operating temperature, sintering and agglomeration occur, which results in a continuous degradation of oxygen transfer performance by cycles due to decreased reactivity. To compensate for this, MgO, which is a thermally stable support and has a relatively low molecular weight, was combined with Fe2O3 to form a spinel structure, MgFe2O4, to enhance thermal stability and prevent degradation of oxygen transfer performance. In this paper, XRD,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TPR and TPO and GC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two materials, Fe2O3 and MgFe2O4. As a result of experiments, when two materials are reduced. they were commonly reduced to Fe in the first reduction section, but Fe and FeO were detected in the reduction section after first cycle. However, in the first cycle, the oxygen transfer capacity of Fe2O3 was higher than that of MgFe2O4, but from the second cycle, the oxygen transfer performance of Fe2O3 decreased sharply, so from the second cycle, the oxygen transfer performance of Fe2O3 was decreased. The TPR and TPO analyses also showed this tendency, first of all, in the TPR analysis results, Fe2O3 was found to be more active than MgFe2O4. However, MgFe2O4 showed a constant tendency in hydrogen consumption over a cycle, with Fe2O3 show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hydrogen consumption compared to the first cycle, resulting in a decrease in reduction reaction performance. And the TPO analysis confirmed that the overall oxidation performance of MgFe2O4 was better than Fe2O3. Finally, in the case of GC analysis, when oxidizing MgFe2O4 material through carbon dioxide, it was confirmed that no side reaction product exists other than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nd the yield of carbon monoxide over cycle was almost constant. Therefore, MgFe2O4 material is considered to have potential as oxygen transfer carrier in the chemical looping process using reverse water gas shift reaction.

      • 1980년대 재개발대상지역 세입자들의 집단 정체성 형성 : 상계5동 173번지를 중심으로

        백승훈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enants of the redevelopment areas in the 1980s, focusing on 173 Sanggye-dong 5th district, which resisted forcible demolition, and how this identity influenced resistance. The tenants of Sanggye-dong resisted forced demolition and formed a community identity beyond individuals. This study divides the identity of tenants into ‘urban poor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through the concept of collective identity. The tenants made a systematic and ongoing protest with clear understanding of the other tenants of the redevelopment areas as 'we' and coalition of house owners, construction company and government as 'they'. The tenants of Sanggye-dong clearly understood themselves as "us" as members of the village and tried to maintain the villages in other areas even after the demolition was completed. The formation of community identity w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characteristic of the time and place of Korea in the 1980s.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total redevelopment policy in 1981 when Seoul was selected as the venue for the next Olympic Games. This has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discontented tenants. In the 1980s Korea, radicalized college students and catholic activist spread interpretive frameworks to tenants to understand themselves as members of militant urban poor communities and altruistic village communities, respectively. These interpretive frameworks has been validated by the tenants' resistance to the dismissal crews and civil servants who often abused the tenants. The collective identities of tenants sometimes cooperated and conflicted. The strong sense of solidarity of the villages formed as a member of the altruistic village community became a resource that continued to resist as a member of the militant urban poor community. However, the interpretive framework of the altruistic village community was spread to the tenants through the religious ritual where 'sacredness' was required, and 'forgiveness' was formed as the norm to be followed by the tenants. This led to the identity and tension of a militant urban poor community aimed at 'figh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상계5동 173번지를 중심으로 1980년대 재개발대상지역 세입자들이 강제철거에 저항하며 어떤 정체성을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정체성은 저항을 지속시키는데 있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상계동의 세입자들은 강제철거에 저항하며 개인을 넘어선 공동체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정체성(collective identity) 개념을 통해 세입자들의 정체성을 도시빈민 공동체와 마을 공동체로 구분하였다. 세입자들은 다른 재개발대상지역 세입자들을 ‘우리’로, 부동산 투기세력과 정부를 ‘그들’로 선명하게 이해하며 조직적, 지속적 저항을 하였다. 상계동의 세입자들은 자신들을 마을의 구성원으로 ‘우리’로 선명하게 이해하며 철거가 완료된 뒤에도 다른 지역에서 마을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들이 공동체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 것은 1980년대 한국이라는 시간과 장소에 특징적인 여러 요인들이 결합된 결과였다. 정부는 1981년 서울이 차기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자 전면적인 재개발정책을 실행하였다. 이는 불만을 가진 다수의 세입자들을 등장시켰다. 1980년대에 급진화된 대학생들과 종교인들은 불만을 가진 상계동 세입자들에게 각각 전투적 도시빈민 공동체와 이타적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자신들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석 틀을 유포시켰다. 이러한 해석 틀은 세입자들이 모욕과 폭력을 행사하는 철거반원들과 공무원들에게 저항하면서 확인되어갔다. 세입자들의 집단 정체성들은 때때로 협력하고 갈등하였다. 이타적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형성한 마을 단위의 강한 연대감은 세입자들이 구심점을 잃은 상태에서도 전투적 도시빈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저항을 계속해나갈 수 있던 자원이 되었다. 그러나 이타적 마을 공동체의 해석 틀이 ‘신성함’이 요구되는 ‘미사’라는 종교적 의례를 통해 세입자들에게 유포 되어 ‘용서’가 세입자들이 지켜야할 규범으로 형성되었다. 이는 ‘싸움’을 목표로 하는 전투적 도시빈민 공동체 정체성과 긴장을 일으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