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구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구전 동기에 관한 연구

        申承元 亞洲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Since the advent of internet, it has been very important role in modern society. Generally WOM of the off-line occurs in real place and that size is small and that range is limited to some degrees such as between friends, family, neighbors and so on. But the internet enables customers to share their opinions on, and experiences with, goods and services with a multitude of other consumers. These days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provides the customers with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to communicate all of a company. Therefore, as internet is growing rapidly, we have to notice every activities of the internet users. Especially, in the present time when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s marketing is put great emphasis on. Consumers are getting sensitive to the product offered and the service of the company and taking active steps to clear their complaints and to argue their rights to buy the product of good quality through various kinds of way. The very one of useful interactive tools is internet.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s on-line WOM motivations and on-line WOM activity. We classified six on-line WOM motivation' variables by Thorsten Hennig' paper; Focus-Related Utility, Consumption Utility, Approval Utility, Economic Rewards Utility, Moderator-Related Utility, Homeostase Utility and then investigated how those variables have an influence on the on-line WOM activity. The result of analysis, on-line WOM activity has influenced Focus-Related Utility, Approval Utility, Homeostase Utility. 인터넷이 이 세상에 출현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건만 우리는 이미 인터넷 세상에 살고 있다. 인터넷은 어느 순간 우리 모두의 생활 속에 들어와 확고하게 자리매김을 해버렸다. 이제는 인터넷이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가 어색하다. 일반적 구전의 개념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구전으로서 규모가 작고 친구나 가족 등과 같이 어느 정도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소비자들은 다른 수많은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견이나 소비경험 그리고 상품과 서비스 등의 정보를 서로 공유한다. 오늘날의 인터넷의 기하급수적인 성장은 소비자들이 기업의 모든 것을 국제적으로 지각하고 이에 관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터넷에 급속도로 발전해감에 따라 인터넷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모든 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객 만족과 서비스마케팅이 중요시되는 현실에서 소비자들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보다 민감해지고 불만족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여러 채널을 통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즉각적으로 대처하는 적극적인 성격을 띠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이 유용한 상호작용적 도구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동기로 제시한 영향행사 동기, 조언요청 동기, 인정획득 동기, 보상획득 동기, 중재요청 동기, 안정회복 동기는 Thorsten Hennig-Thurau(2004)와 온라인, 오프라인 구전에 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 구전동기가 온라인 구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아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해 본 결과 영향행사 동기, 인정획득 동기, 안정회복 동기가 구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던 조언요청 동기, 보상획득 동기, 중재요청 동기가 표집의 문제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은 향후 연구자들이 좀더 연구해야할 부분으로 남겨두었다.

      • 소외된 노동의 경제 비판 : 『1844년의 경제 철학 초고』를 중심으로

        신승원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Diser Aufsatz beschreibt das Konzept der ‘entfremdeten Arbeit’ in ökonomisch-philosophische Manuskripte aus dem Jahre 1844(im folgenden Manuskripte gennant) unter dem ‘ökonomischen kritischen’ Aspekt. Dadurch wird es gezeigt, daß Die Ökonomie-Kritik der Manuskripte eine ‘rettende Kritik’ ist. Der Beitrag zielt darauf ab, die Streitpunkte der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innerhalb dieser Kritik darzustellen. Marx regelt die Entfremdung, die ontologisch dargestellt wird, als die gesellschaftliche und ökonomische Kategorie und analysiert damit die negativen Ökonomischrealität der damaligen Zeit. Auf der anderen Seite prüft er die Möglichkeit der alternativen Ökonomie durch die Überwindung der ‘entfremdeten Arbeit’. Aber die Ambiguität, die im Konzept der entfremdeten Arbeit gezeigt wird, ruft die theoretische Spannung hervor und läßt die Analyse und Alternative der Manuskripte auf der abstrakten Ebene erkenne. Der Grund dafür liegt darin, daß Marx als eine objektive Arbeitkategorie die ‘konkrete Arbeit’ und die ‘gesellschaftliche Arbeit’ mit der ‘Entfremdung’ verbunden und das Arbeitskonzept als ein doppeltes Konzept gemacht hat. Dieser Aufsatz geht davon aus, die die Anordnung dieser Ambiguität eine gesellschaftlich verborgene Bedeutung besitzt. Es ist eine Frage nach den modernen Ökonomie, die die Ästhetik der Existenz unterdrückt, während die Ökonomie der Existenz einseitig versucht wird. D.h. wird die ‘unentfremdete Arbeit’ mit dem Aspekt der neuen Befreiung, nämlich dem ‘Genuß des Lebens als Werk’ verbunden. Daraus wird die die Ästhetik umfassende Ökonomie, d.h. die Möglichkeit einer ‘menschlichen Ökonomie’ als eine gesellschaftliche Planung der Freizeit gezeigt. Die bisherige Interpretation der Manuskripte stellte die Befreiungslehre Manuskripte als einen abstrakten und utopischen Projekt dar und beachtete den Aspekt der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nicht. Z.B. behandelte Althusser die Ambiguität der Manuskripte als unwissenschaftlich. Marcuse hat die Kategorien der Manuskripte mit d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verbunden und den Projekt der Manuskripte als ein Fertigprodukt von Hegel angesehen. Mandel hat zwar die gesellscahftlichen und ökonomischen Inhalte der Manuskripte relativ gut gezeigt aber auch den Zusammenhang zwischen der Ambiguität der Manuskripte und den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n vernachlässigt. Der Nachfolger, der die neu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der Manuskripte zum jetzigen Zeitpunkt übernimmt, ist Andre Gorz. Gorz betrachtet die Lohnarbeit und die Arbeit als eigene Tätigkeit getrennt und ist der Meinung, daß die Kulturgesellschaft durch die unbedingte Gewährleistung des ‘Grundeinkommens’ verwirklicht werden sollte. Dies konkretisiert die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n unter den vorhandenen Bedingungen erneut. Der Kern der Veränderung ist die erneute Anordnung der Arbeit und die Regelung der ökonomischen Rationalität. Marx sieht den Kapitalismus als nicht permanent an aber auch gleichzeitig war der Meinung, daß der Kapitalismus durch Vereinbartung oder Institutionen nicht leicht überwunden werden kann. Er hat die objektiven Bedingungen der technischen Entwicklungen erwähnt. Aber heute wird die allgemeine Verbreitung des Wachstumg ohne Beschäftigung und der Armut zu einer starken Entfremdung entwickelt. Die Überwindung der ‘entfremdeten Arbeit’, die das größte Argument darstellt, war ein Projekt, aus dieser lebensexistentiellen Unterdrückung das Dasein zu befreien. Dies bietet immer noch einen gültigen Zugang für eine Möglichkeit der heutigen fortschrittlichen Gesellschaft. Das liegt daran, daß die Manuskripte die Grenzen der Analyse, die sich auf die Arbeit bezieht, besitzen aber trotzdem die Einstellung der rettende Kritik gegen Ökonomie übernehmen. Die Ergänzung der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nach dem jetztigen Standpunkt ist eine wichtige Aufgabe der sozialistischen Lehre zur Überwindung des immer stärker werdenden heutigen Skeptizismus. ※ Stichwörter : Entfremdung, entfremdete Arbeit, menschlichen Ökonomie, ökonomisch-philosophische Manuskripte, Marx, Andre Gorz 이 논문은 『1844년의 경제 철학 초고』(이하 『초고』)의 ‘소외된 노동’ 개념을 ‘경제 비판’의 측면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초고』의 경제 비판이 ‘구제적 비판’임을 보이고 비판에 내재한 대안적 경제 인식의 논점들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맑스는 존재론적으로 다루어지던 ‘소외’를 사회 ․ 경제적 범주로 조정하여 당대의 부정적 경제 현실을 분석하는 한편, ‘소외된 노동’의 극복을 통한 대안적 경제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러나 ‘소외된 노동’ 개념에 나타나는 애매성은 『초고』의 이론적 긴장을 가져오며 『초고』의 분석과 대안을 추상적인 차원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그 주된 원인은 맑스가 객관적 노동 범주로서 ‘구체적 노동’과 ‘사회적 노동’에 ‘소외’를 결합하여 노동 개념을 이중적인 것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애매성의 배치가 사회적 차원의 함의를 갖고 있다고 본다. 그것은 존재의 경제학이 일면적으로 추구되어 오면서 존재의 미학을 억압해 온 근대 경제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곧 ‘소외되지 않은 노동’은 ‘작품으로서 생의 향유’라는 새로운 해방의 관점과 연계되며, 이로부터 존재의 미학을 포괄하는 경제, 곧 자유 시간의 사회적 기획으로서 ‘인간적 경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지금까지『초고』의 해석은 『초고』의 해방론을 추상적 ․ 유토피아적 기획으로 일면화하고 대안적 경제 인식의 측면을 소홀히 다루었다. 가령 알튀세르는 『초고』의 애매성을 비과학적인 것으로 취급했으며, 마르쿠제는 『초고』의 범주들을 철학적 인간학에 결부시켜, 『초고』의 기획을 헤겔의 실현이라고 해석했다. 만델의 해석은 『초고』의 사회 경제적 내용들을 비교적 잘 드러내고 있지만, 그 역시 『초고』의 애매성과 대안적 경제 인식 사이의 연관에 주목하지는 않았다. 『초고』의 새로운 경제 인식을 현재적으로 계승한 논자는 앙드레 고르이다. 고르는 임금 노동과 자기 활동으로서의 노동을 분리하는 한편, 무조건적인 ‘기본 소득’ 보장을 통한 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주장한다. 이는 『초고』의 대안적 경제 인식을 현재적 조건 하에 새롭게 구체화한 것이며, 변화의 핵심은 ‘노동의 재배치’ 및 ‘경제 합리성’의 조정이다. 맑스는 자본주의가 영구적이라고 보지 않았지만, 동시에 합의나 제도를 통해 손쉽게 극복될 수 있는 것으로 보지도 않았다. 그는 기술 발달의 객관적 조건을 언급했지만 오늘날 고용 없는 성장과 빈곤의 대중적 확산은 소외의 심화로 이어지고 있다. 『초고』의 가장 강한 주장인 ‘소외된 노동’의 극복은 이같은 생계필연적 억압으로부터 현존을 해방하기 위한 기획이었으며, 오늘날 진보적 사회의 가능성에 관한 여전히 유효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는 『초고』가 노동중심적 분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경제에 대한 구제적 비판의 입장을 견지하기 때문이다. 대안적 경제 인식의 현재적 관점에서 이를 보완해가는 것은, 심원해지는 현대의 회의론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주의론의 중요한 과제이다.

      • 人間中心 敎育課程의 理論的 基盤으로서 老子의 思想

        신승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관이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 되어야 하는지를 Rogers와 노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찾으려고 하였다. 교육의 근본목표가 시대와 사회를 초월하여 인간형성과 자아실현에 있으면서도 교육 과정 유형에서 굳이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야 할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선명하게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였으며 교실사태, 즉 교사와 학생의 인간관계에서 바람직한 교사의 심리적 태도를 밝히려고 하였다. 따라서 인간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인간관은 인간의 자유성, 합리성, 전체성, 가변성, 주관성, 발생성, 불평형성, 불가지성적 입장을 지지하며 체질과 환경에 대해서는 중용적이다. 또한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을 위해서 교사의 인격적 성숙은 중요하며, 교사의 자기 자신에 대한 정확한 자각과 학생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수용하기 위해서 노자의 사상은 여러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데, Rogers는 그의 인간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선'과 '노자' 사상을 적극 수용하고 있음은 매우 주목된다. 어떤 면에서 '인간중심' 문제는 '인내천'의 동양 사상, 그 가운데서도 '무위자연'을 주장하는 노자사상에서 그 근저를 밝혀내는 것이 순서로 생각된다. 이는 인간의 '본연성'을 노자를 통해서 보다 근접해서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 강우 및 지진 시 물성치의 불균질성을 고려한 저수지 제체의 안정성 평가

        신승원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More than 76% of the reservoirs in Korea are considerably aged. In addition, natural factors such as heavy rain, earthquake, and the heterogeneity of material properties result in the risk of reservoir collapse. However, the existing stability evaluation methods could not consider decay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ability evaluation is performed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on the risk of reservoir collapse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For stability evaluation using numerical analysis, the standard sectional shape and material properties of the reservoir are applied based on design criteria, and the width and depth of the ground are applied following sensitivity analysis. A stability evaluation considering the effects of heavy rain and earthquake is performed. And, the various models of the safety factor are proposed.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safety factor and the probability of failure is determined following probabilistic analysis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of the material properties. Then, compared existing study. In addition, stability evaluation is performed for actual reservoirs in Gyeongju and Yeongcheon by utilizing the variation model of the safety factor. Results show that the safety factor is decreases as the height and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increase. And the probability of failure is low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tudy,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of the material properties. Lastly, by applying the variation model of the safety factor to the actual reservoir, the lower the height of the reservoir, the higher the level of rising for the same heavy rain, so the safety factor tends to decrease. In conclus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stability of disasters and to evaluate the reasonable probability of fail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the reservoir slope is required.

      •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신승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The concepts of andragogy that form the basis of adult learning are the role of experience, self-directedness, the learner's need to know, orientation to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Andragogy, the knowledge of adult learning and adult learners needs to be permeated into EFL adult education and the role of adult educators should be viewed as a facilitator. In addition, the existing research concerning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focused mainly on the objective dimension of the learners and, by and large, has ignored the subjective dimens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s upon demographic or environmental variables in tandem with students' cognitive, metacognitive, affective, and motivationa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English teacher 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d tw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second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34) was drawn from 17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instructional 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lthough English self-concep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English self-concep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With research indicating that English self-concept has affected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directly, it may be inferred that enhancing English self-concept would be still an effective way to boost adult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undertaken analysis of conceptualized instructional leadership could serve as a benchmark for further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ndragogy in adult EFL programs. Inclusion of adult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in this analysis has also been an especially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xtension of the existing research of educational satisfac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allow adult English educators to more fully understand adult English learners and their 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to equip a more practical and rational knowledge for the anteceden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utcomes of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imila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self-leadership, locus of control,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as well as andragogical practice in the EFL adult education field. Such studies can bring about valuable insights and implication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성인학습자의 경험, 자기주도성, 알고자 하는 욕구, 학습에 대한 지향성, 내적 동기와 같은 안드라고지 개념들은 성인학습의 토대를 형성한다. 안드라고지, 즉 성인학습과 성인학습자에 대한 지식은 EFL 성인교육 분야에도 반영되어야 하며 성인교수자의 역할도 촉진자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만족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환경적 변인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인지적, 초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변인에 영향을 받는데도 불구하고, 교육만족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관적인 측면보다는 객관적인 측면에만 집중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은 교육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은 교육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7개 평생교육기관의 EFL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634명의 성인학습자가 표본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통계 검정 결과 교수리더십,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과 교육만족 간의 정적 상관이 입증되었다. 특히 교수리더십은 교육만족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은 중요한 매개변인임이 실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영어자아개념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영어자아개념은 셀프리더십과 영어교사효능감의 중요한 선행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영어자아개념은 교육만족을 향상하는 데 여전히 중요한 변인임이 추론되었다. 교수리더십의 개념화와 분석에 대한 본 연구는 EFL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안드라고지의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분석은 교육만족에 대한 기존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했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영어교수자들이 성인영어학습자와 학습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만족의 선행변인 및 학업자아개념,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 대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와 유사한 맥락의 연구들이 실행되어 EFL 성인교육에서의 안드라고지의 적용과 성인학습자의 동기, 셀프리더십, 통제 소재, 자아개념, 교사효능감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을 심도 있게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EFL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통찰력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몽골 홉스골 호수와 낙동강 하구 지역의 시추 퇴적물 분석을 통한 퇴적환경 진화 해석

        신승원 강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839

        아시아 내륙 고산지역에 위치한 몽골 홉스골 호수와 한반도 남동해안에 위치한 낙동강 하구 지역은 지난 플라이스토세 후기에서 오늘날까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혹은 호수면의 상승으로 퇴적환경이 변화하였다. 그래서 같은 아시아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은 두 지역에서 획득한 시추 퇴적물을 활용하여 퇴적환경을 해석하였다. 몽골 홉스골 호수에서 중력코어 11개와 박스코어 2개를 연구에 사용하여, 퇴적학적, 지구화학적, 연대측정 등을 통하여 총 6개의 퇴적상으로 분류하였다. Md 퇴적상은 가장 많은 코어에서 관찰되고 규조 연니로 구성되며, 주로 홀로세 동안 부유성 생물기원의 퇴적물로 수심 100m 이상의 호수 중심부에서 분포하고 있다. Mwl 퇴적상은 모래질 머드 퇴적층으로 빙하기와 홀로세 사이인 해빙기 동안 퇴적작용이 일어났으며,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호수면이 상승하는 시기에 퇴적되었다. Mm 퇴적상은 괴상의 모래질 머드 퇴적층으로 개형충 화석을 포함하며, 빙하기에 호수면이 낮은 환경에서 쇄설성 퇴적물의 유입으로 퇴적되었다. Mp 퇴적상은 이끼 식물을 다수 포함하는 모래질 머드 퇴적층으로 빙하기와 홀로세 모두 관찰되고, 호수면의 깊이가 낮은 호안선 근처에서 퇴적되었다. Mt 퇴적상은 중력류에 의한 퇴적상으로 개형충을 다수 포함하는 모래와 이질이 호층을 이루는 퇴적상이다. 하천에 의한 퇴적물의 유입이 높은 지역으로 플라이스토세에 퇴적층이 형성되었고, 퇴적물이 쌓이는 지역에 경사가 급하여 중력류에 의한 재퇴적작용으로 퇴적되었다. Ml 퇴적상은 엽층리가 발달하고 모래와 머드, 실트와 점토가 반복되는 리드마이트 퇴적층으로 수심이 낮고, 쇄설성 퇴적물의 유입이 활발한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홉스골 호수는 플라이스토세에 가장 퇴적률이 높게 관찰되는데, 이것은 호수면이 낮은 시기에는 퇴적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 퇴적률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해빙기 동안은 비교적 짧은 시기 동안 퇴적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에 다른 시기에 비하여 퇴적률이 낮게 측정된다. 홀로세 동안 퇴적률은 호수 중심으로 가면서 퇴적률이 낮아지며, 일부 바닥의 지형기복과 수로 등에 의하여 퇴적물이 관찰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호수 중심부에서 5개의 박스코어의 최상부 탄소연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호수 중심부의 체류효과가 약 500년으로 제시된 바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하여 유일한 배수천이 분포하는 호수 남쪽은 약 600년으로 측정되어 연대를 보정할 경우 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낙동강 하구지역에서는 총 2개의 심부시추 코어(ND-1, 2)를 획득하여 기존에 보고된 내륙의 OW-1코어와 외해쪽의 SSDP-102 코어를 비교하여 삼각주의 퇴적작용 및 퇴적환경 진화를 연구하였다. 낙동강 하구지역은 빙하기에는 해수면이 낮아 대기에 노출된 육상환경이였으며, 지형기복에 따라 하천퇴적층, 습지 퇴적층, 범람원 환경의 고토양 등이 분포하고 있다. 빙하기 이후 해수면의 상승으로 하구 환경으로 전이하였고, 약 9ka 까지 해수면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리고 해수면은 약 8~9ka 시기에 상승이 느리거나 정체되었으며, 강으로부터 많은 모래퇴적물의 유입으로 전진퇴적작용이 해양방향으로 발생하였다. 해수면은 6~8ka 동안에 다시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초기에는 하구 환경에서 수심이 깊어지면서 내대륙붕 환경으로 전이되었다. 해수면 상승이 안정되고 육상으로부터 퇴적물의 공급이 활발하여 전진퇴적작용이 일어나면서 삼각주 환경으로 변하였다. 삼각주의 형성은 초기에 prodelta 환경에서 delta front와 delta plain 환경이 순차적으로 쌓이는 환경으로 전이되었다. 또한, 해수면의 변동이 거의 없어 삼각주 퇴적층은 수평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ND-1, 2 퇴적층의 정밀한 연대측정을 통하여 삼각주의 성장속도를 측정하였으며, prodelta의 성장속도는 약 2~3km/ka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연구지역은 약 3~4ka 시기동안 매우 낮은 퇴적률이 관찰되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퇴적물이 쌓이고 침식되었을 경우와 퇴적물의 공급이 낮았을 수 있으며, 퇴적작용이 강의 상류에서 활발하였을 수 있다. 그러나 퇴적물 코어에서 침식에 의한 경계는 확인되지 않으며, 강의 상류 지역에 대한 연구결과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강수량 감소에 따라 퇴적물의 공급이 감소해 퇴적률이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 내륙 고산지역의 홉스골 호수와 낙동강 하구 지역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과 호수면의 상승 속도가 서로 달라 시기별 퇴적상은 다르게 관찰된다. 그러나 두 지역의 같은 시기 퇴적층을 통하여 아시아 몬순 기후의 변화를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고립된 고산지역의 호수와 삼각주 퇴적층이 주로 만(bay) 환경에서 퇴적되어 서로 다른 독특한 퇴적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밀한 퇴적상 분석을 통하여 퇴적환경 진화를 해석할 수 있다.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이론

        신승원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ce This thesis presents a study on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ce, presented in The Production of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ose the substance of Lefebvre‘s theory, and analyze details of his perception strategies. Lefebvre’s theory pertains to social space. Discussions about social space have tended to focus on social practice. However, this approach has inadequately addressed the conception of space itself, and thus Lefebvre’s space theory has not been treated properly. Thus this study approaches his theory by focusing on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space. In The Production of Space, Lefebvre criticizes the disintegration of space and insists that we should understand general space as social space. This implies the intervention of the dominant intellectual tendency to regard theories of Newton or Einstein as the only valid theory of space. More specifically, Lefebvre tries to transition the anthropological space to the social space and integrates the former into the latter. He undertakes this process by applying the dialectic to the spatial dimension. Two dialectics of space exist : one is the trinity of the production of space(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spaces of representation) and the other is the history of space. Through these dialectics of space, Lefebvre reach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pace, where social space is the space of totality, which includes social relations. Moreover, Lefebvre argues that social space is not an ideal space. According to him, social space is the concrete space where strategy and political practice take place. Accordingly, he insists that the body and city are central to understanding space. In particular, the city aggregates and revises whole relations of space. Further, the city guides the process of conversion of the mode of production. As a result,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goods is included in the production of social space. Lefebvre reaches such a perspective by un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the social system. For him, the social system refers to the mode of produc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ode of production is associ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space. This view is the direct antithesis of the theory of the container space. Container space separates the space from its contents. It implies the separation of the scientific knowledge of space from concrete spatial life. However, Lefebvre resists this separation. Rather than presenting a stable explanation of space, he concentrates on problematic aspects of space.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he adopts a subjective approach to space. According to Lefebvre, the truth of space is produced socially. Lefebvre warns that when we exclude any aspects of space, whether the context is microscopic space, such as the space of the body, or macroscopic space, such as the space of the city, separate spaces can develop. This is an important reason to advance our thinking about the truth of space. 본 논문은 『공간의 생산(La production de l'espace)』을 중심으로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 이론을 고찰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르페브르가 제시하는 공간 규정의 본질을 드러내고,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인식 전략의 세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르페브르 공간론은 사회적 공간론이다. 르페브르 공간론을 포함해서, 지금까지 사회적 공간론에 대한 논의는 공간에서 사회적 실천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접근은 공간 규정 자체에 대한 분석을 방기한다. 공간 인식의 분열에 대한 르페브르의 대응 역시 이러한 이유로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엄정한 공간 인식과 공간의 진리에 대한 해석적 관심을 중심으로 르페브르의 공간론에 접근하고자 한다. 『공간의 생산』에서 르페브르는 근대 이후 심화되고 있는 공간 규정의 분열을 비판하고, 공간 일반이 사회적 공간임을 주장한다. 그것은 가령 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의 이론만을 공간 일반의 이론으로 인식하는 통념에 도전함으로써 공간의 지성사에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르페브르는 ‘인간학적’ 공간에서 ‘사회적’ 공간으로의 이행과 후자의 공간을 중심으로 한 통합을 시도한다. 이 통합을 주도하는 것은 ‘변증법의 공간적 적용’으로서 ‘공간-변증법’이다. 공간-변증법은 ‘공간 생산의 삼중성(공간적 실천, 공간재현, 재현공간)’과 ‘공간의 역사’라는 두 형태로 이루어지며, 르페브르는 이를 통해 공간의 통합적 인식에 도달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공간 일반으로서 사회적 공간은 사회적 관계를 포괄하는, ‘총체성’으로서의 공간이다. 르페브르가 말하는 사회적 공간은 형식적인 추상으로 환원되는 관념적인 공간이 아니라, 전략과 정치적 실천의 층위가 결부된, 구체적이면서 개방적인 공간이다. 르페브르는 ‘몸’과 ‘도시’가 사회적 공간의 ‘중심성’을 이루며, 특히 ‘도시’가 공간 이해의 핵심 단위가 된다고 주장한다. 르페브르는 공간과 ‘사회 체제’, 곧 ‘생산양식’ 사이의 연관을 발견함으로써 이러한 관점에 도달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생산양식의 변화는 공간의 인식과 공간을 둘러싼 사회적 실천의 양상과 결부되어 있다. 이때 도시는 공간의 제관계들을 응집시키고 변화시켜나감으로써, 산업적 생산물로서 ‘사물’에 결부된 생산양식이 ‘공간의 생산양식’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주도한다. 르페브르 공간론의 이러한 논점들은 근대 이후 공간의 지성사와 공간의 실재적 역사 속에 지속되어 온 ‘수용기적’ 공간의 지배에 대한 일종의 반정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는 공간에 대한 ‘지식’과 구체적인 ‘공간적 삶’의 분리에 대한 저항이 수반된다. 일견 르페브르의 접근 방식은 공간에 대한 안정적인 설명 방식을 제공하기보다는 공간을 항상적인 문젯거리로 남겨두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공간에 대한 주관주의적인 접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르페브르에게 공간의 진리는 구체적 현실과의 변증법적 매개를 거쳐 ‘사회적으로’ 생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르페브르는 몸과 일상의 미시적 공간이든, 지구적 네트워크와 국가의 거시적 공간이든 공간의 어느 한 순간을 망각하거나 배제할 때, 관계망에서 절연된, 폐쇄적인 공간이 출현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현실화되고 있는 ‘저성장’의 시대는 공간과 공간의 실질적 사용자 사이의 극한적인 모순과 그로 인한 공간적 삶의 퇴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공간의 진리에 대한 사유를 진전시켜 나가야 하는 이유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