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야전병원과 후방병원 응급환자 특성 조사 연구

        南龍鉉 建陽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군 병원 응급실 내원환자의 특성을 조사 연구하여 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한 진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군 병원 응급의료체계 구축 및 효율적인 운영으로 군 병원 응급진료체계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군 병원 중에서 1개의 야전병원과 1개의 후방병원 응급실에 2001년 8월 1일부터 2002년 7월 31일까지 1년간 내원한 환자 4,875명을 대상으로 의무사령부 전산실 국방 의료정보체계(DEMIS)에 기록된 환자 진료기록지를 활용하여 제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간중 응급실에 내원한 총 환자는 4,875명으로 그 가운데 야전병원인 국군 L병원 1,487명, 후방 병원인 국군 S병원 3,386명이었으며, 병원간 환자 대비는 1(야전병원):2.3(후방병원)이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7.5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발생시기, 내원시각, 체류시간과 조치결과의 분포는 빈도와 비율로 측정하였고 병원 응급환자의 계급과 질병군 변수에 따른 응급환자의 발생시기, 내원시각, 조치결과의 분포 차이를 X^(2)-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체류시간의 병원간, 계급간, 질병군간 차이는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환자의 질병군별 분포 질병군별는 손상·중독·외인에 의한 결과 질환 환자가 40.4%로 가장 높았고, 야전병원과 후방병원간 차이가 있었으며, 외과 질환 환자는 야전병원에 그 외 질환 환자는 후방병원에 더 많았다. 계급간 차이는 전 계급에서 손상·중독·외인에 의한 결과 질환 환자가 가장 많았고, 장교는 호흡기계 질환 환자가, 부사관 및 병사는 소화기계 질환 환자가 많았다. 2. 응급환자의 내원시기별 분포 월별 및 계절별로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으며, 병원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원시각은 일과중이 53.8%로 가장 많았으며, 병원별 차이는 일과중에 내원한 환자 비율에서 후방병원이 높았고, 야전병원에는 일과후 취침전(17:00-22:00)에 내원율이 높았다. 계급간 차이는 전 계급에서 일과중 이용율이 높았으며, 이중 부사관의 일과중 이용율이 63.8%로 가장 높았고, 질병군별 차이는 모든 질병군에서 일과중 이용자가 많았으며, 이중 순환기계 질환 환자의 내원율이 60.4%로 가장 높았다. 3. 응급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실 내원환자 체류시간은 야전병원이 60.50(±82,83)분, 후방병원은 81.26(±100.98)분으로 후방병원 체류시간이 길었으며, 계급별로는 야전병원에서는 장교의 체류시간이 후방병원에서는 부사관의 체류시간이 가장 길었다. 후방병원이 모든 질병군에서 체류시간이 길었으며, 모든 병원에서 신경정신 및 행동질환 장애 환자가 가장 오래 체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응급실 내원환자의 조치결과 응급실 내원환자 조치결과는 야전병원에서는 원복이 60.6%, 후방병원에서는 입원이 54.1%로 가장 많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급별로는 입원율은 부사관이 56%로 가장 높았고, 원복율은 장교가 63.7%로 가장 높았다. 질병군별 조치결과는 입원율은 순환기계 질환 환자가 67.9%, 원복율은 호흡기계 질환 환자가 67.1%, 후송율은 기타 내과질환 환자가 20.4%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 병원 응급실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응급환자 특성을 조사 연구하여 군 병원 응급의료체계 발전의 참고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야전, 후방병원 각 1개 병원씩 2개 병원만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병원 제대별, 지역별 응급환자의 특성을 감안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과 응급진료 전반에 관한 분석을 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향후 더 많은 병원을 선정하고 보다 많은 표본을 추출하여 응급환자의 특성과 응급진료의 특성에 관한 심층연구가 요망된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arrived at the emergency room of military hospitals in Korea, which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military emergency medical system.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4875 emergent treated at a field hospital and a general hospital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 Among 4875 patients arrived at the emergency room, 1487 patients were treated at a field hospital and 3386 patients were treated at a general hospital(ratio = 1:2.3).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 7.5) statistical package software. The differences in patients distribution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of difference diseases between hospitals. The patients with trauma, intoxication and diseases caused by external factors were the most(40.4% of all cases).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diseases between hospital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rauma, intoxication and diseases are more in field hospital whil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other diseases are more in general hospital. 2. The difference in arriving time at emergency room. Most patients arrived at emergency room during working hours(53.8% of total). The difference in arriving time between hospitals is significant. More patients in field hospital arrived during after-working thru before-sleeping(17:00~22:00). while more patients in general hospital arrived during working hour. The most of non-commissioned officers arrived at during working hours(63.5% or total). The most of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rrived during working hour(60.4% of total). 3. The difference in stay period at emergency room The stay period at emergency room from arrival to discharge in field hospital is shorter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60.50 to 81.26). The stay period of officers is longest in field hospital while that of non-commissioned officers is longest in general hospital. The stay period of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eases and behavioral disorder is longest in both hospitals. 4. The difference in follow-up measures for the patients Most of patients(60.6% of total) returned to their base after treatment in field hospital while more than half(54.1% of total) were hospitalized in general hospital. Non-commissioned officers were rended to be hospitalized while officers were tended to return to their base. The cardiovascular disease were tended to be hospitalized while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were tended to return to their base. The rate of referred patients to other hospitals was highest in case of non-surgical diseases(20.4%). On the basis of study results it would be suggested that military emergency medical system is required to improve its performance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nd more in-depth study on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on the emergent patients' need is required to find out more useful information which this study could not cover.

      • 중·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의 특성에 따른 보유역량과 발휘역량 차이분석

        남용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보유역량과 발휘역량의 차이를 분석하여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가 올바른 역량을 보유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태권도 겨루기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를 대상으로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된 응답지를 제외한 총 115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의 특성에 따른 보유역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학교소재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의 특성에 따른 발휘역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원자격증을 보유한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는 교원자격증을 보유하지 않은 지도자에 비해 자신의 발휘역량을 낮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트레이너로 재직 중인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는 다른 보직에 근무하는 지도자에 비해 자신의 발휘역량을 낮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의 보유-발휘역량의 차이분석 결과 교원자격증이 있는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 직무연수 참가 경험이 두 차례인 지도자는 각각 교사자격이 없는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 직무연수 경험이 없는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에 비해 자신이 보유한 역량에 비해 발휘하는 역량이 낮다고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의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보유역량과 발휘역량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역량보유는 물론 이미 지도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는 능력이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발휘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연수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특히, 기존에 이루어지던 단발성 교육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의 반복적 교육을 실시하여 보유 및 발휘 역량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도자 스스로도 사명감을 가지고 지도역량을 강화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 태권도, 지도역량, 보유역량, 발휘역량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factors associa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competitive taekwondo coaches’ perceived competence,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ir discrepancies. For this study, data were from 115 coache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First, the coaches’ perceived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nd region. Second, coaches who had a teacher or trainer certification perceived their performance level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s who did not have such certifications. Lastly, coaches who had a teacher certification and longer career tended to more stongly perceive that their coaching performance was poorer than their capacity, compared their counterparts with shorter career length or without teacher cert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aches’ 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 of instructors affects their perceived competency and performance. Future studies should develop and test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erceived and actual competence of taekwondo coaches. Keyword : teaching competence, teaching performance, taekwondo

      • 다계층 네트워크 결측연결 추론방법: 바이오메디컬 응용분야

        남용현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의생명정보학에서는 인간의 질병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단백질, 대사관계 등을 규명하고 질병의 원인 및 치료약 개발 연구에 있어서 정보학을 활용하고 있다.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정보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데이터를 네트워크화 하는 것이다. 질병 네트워크는 여러 질병의 연관성을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로 표현한 네트워크로서, 최근 유전자, 단백질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질병간 연관성을 유도하는 심도있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모든 질병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정보들이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질병 네트워크 상에는 아직 연결되지 못한 질병들이 다수 존재한다. 바이오정보의학 측면에서 완전 연결된 질병 네트워크의 구성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질병간 유전적 유사성 분석, 신약 개발,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연대한 연계성 부여 등.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및 단백질 데이터를 기초로 질병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질병에 대해서는 이종 데이터의 정보를 활용하여 연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종 정보로는 임상에서 보고된 공존질환(Comorbidity)에 대한 연구를 활용하고, 알고리즘은 기계학습의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에 기반한다. 제안한 네트워크의 성능은 대사질환군에 대한 성능평가에서 기존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균적으로 25% 항샹시켰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대사질환군 중 최근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골연화증(Osteomalacia)를 대상으로한 심화연구에서 분자생물학적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없었던 동발질병들을 임상정보를 이용하여 확인·검증하였다.

      • 학습자 오류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조사 사용 및 대치 오류 양상

        남용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usage rate and error rate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grade and native langu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appear in the large-scale Korean learner corpus. In particular, the general and specific trends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substitution error, which are the main areas of the learner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 were examin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written language in the Korean learner corpu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number of word segments: 527,825; number of samples: 3,356).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patterns of learners' postpositional particle usage rate and error rate. The error rate of the entire postpositional particles steadily de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but the error rate of level 6 was still 8.5%, and it was observed that even advanced learners made a number of errors. Depending on the native language, the overall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 rate of Japanese-speaking learners was half of that of English- or Chinese-speaking learners. The postpositional particle usage rate of Japanese-speaking learners was 2 to 3% higher than that of other language speakers because Japanese-speaking learners demonstrated high use of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eun/neun/n’, ‘do’). It was observed that the usage rate of structural case particles among the three language-speaking learners in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usage rate of subject case markers and adnominal case markers as the grade progressed, but the error rat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mantic case marker, the usage rate decreased due to the decline in the usage rate of the semantic case markers 'e' and 'eseo' as the grade advanced, and the error rate slightly increased to the intermediate level (level 4).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the usage rate decreased slightly as the grade increased, but the error rate was higher at the advanced level than at the beginner level. Secondly, in this study, detailed substitution error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Korean level and native language for each specific postpositional particle within each postpositional particle type. In the case of English-speaking and Japanese-speaking learners, the substitution error of the subject case marker ‘i/ga’ with th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eun/neun’ continued at a high rate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In the case of Chinese-speaking learners, unlike English-speaking or Japanese-speaking learners, there were many substitution errors at the advanced level in the order of object case marker ‘eul/reul’ and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eun/neun’. In the case of the semantic case marker 'e', English-speaking learners made substitution errors with the object case marker 'eul/reul' the most, Japanese-speaking learners made substitution errors with the semantic case marker 'eseo' the most, and these substitution error rates increased slightly as the grade advanced.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eun/neun’, in English- and Chinese-speaking learners, the substitution error with the subject case marker ‘i/ga’ was maintained or slightly increased as the grade advanced. However, for Japanese-speaking learners, there was a very low substitution error rate, including the substitution error with the subject case marker 'i/ga' across all grad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vent the continued postpositional particle substitut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and as educational data to prevent long-term delays and fossilization in learning development due to postpositional particle substitution errors. 본 연구는 대규모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자의 등급과 언어권에 따른 조사 사용률과 오류율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학습자 조사 오류의 주된 영역인 조사 대치 오류의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영어, 중국어, 일본어권 문어 자료 (어절 수: 527,825, 표본 수: 3,356)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조사 사용률과 오류율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의 오류율은 등급이 올라가면서 꾸준히 감소하나 6급의 오류율이 여전히 8.5%로 고급 수준의 학습자도 적지 않은 오류를 일으킴이 관찰되었다. 언어권에 따라서는, 일본어권 학습자의 전체 조사 오류율이 영어나 중국어권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런대 조사 사용률에서는 일본어권 학습자가 다른 언어권에 비해 2~3% 높은데 이는 일본어권 학습자의 보조사(‘은/는/ㄴ’, ‘도’) 사용률이 높기 때문이었다. 세 언어권 학습자의 구조격 조사의 사용률은 등급이 올라가면서 주격 및 관형격 조사의 사용률 증가로 증가하나 오류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의미격 조사의 경우, 등급이 올라가면서 의미격 조사 ‘에’, ‘에서’의 사용률 감소로 사용률이 감소하였으며, 오류율은 중급(4급)에 이르기까지 소폭 증가하였다. 보조사의 경우, 사용률은 등급이 올라갈수록 소폭 감소하나 오류율은 초급보다 고급 수준에서 더 높았다.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각 조사 유형 내의 조사별로 한국어 등급과 언어권에 따라 세부 대치 오류를 살폈다.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주격 조사 ‘이/가’의 보조사 ‘은/는’으로의 대치 오류가 중급에서 고급에 이르기까지 높은 비율로 지속되었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영어권이나 일본어권 학습자와는 달리 목적격 조사 ‘을/를’, 보조사 ‘은/는’ 순으로 고급 수준에서도 대치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의미격 조사 ‘에’의 경우에는, 영어권 학습자는 목적격 조사 ‘을/를’과의 대치가 많았으며, 일본어권 학습자는 의미격 조사 ‘에서’와의 대치 오류가 많았고, 이러한 대치 오류는 등급이 올라가면서 오류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보조사 ‘은/는’의 경우에는 영어권과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주격 조사 ‘이/가’와의 대치 오류가 등급이 올라가면서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전체 등급에 걸쳐 주격 조사 ‘이/가’와의 대치 오류를 포함하여 매우 낮은 대치 오류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대치 오류의 지속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사 대치 오류로 인한 학습 발달의 장기 지연과 화석화를 차단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고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남용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39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employment discriminations in the labor market because of social stereotypes and prejudices against them. They also have difficulties getting jobs in fair competition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are likely to suffer from low wages even when they manage to get jobs. The low-wage employment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leads directly to their poverty. For it is not easy for them to escape from poverty because of additional costs caused by their disabilities and insufficient public benefits as well as their low wages. As such, it is urgent to create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 low-wage probl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low-wage employment of full-time workers with disabilities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to redress it. The data comes from the 2012 fifth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918 full-time wage workers are subject to analysis out of the 4,297 respondents. Frequ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crosstabs, and logistic regression are used.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analysis is whether a respondent is paid a low wage which is defined following the OECD as a wage less than two thirds of the median gross wage of all full-time workers.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four sets of factors: demographic, disability characteristic, human capital, and job-related factors. The demographic factors include gender and age;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 factors include disability severity, disability type, and health; the human capital factors include education level, job tenure, experience of vocational training, and possession of qualifications; and the job-related factors include employment status, appointment type(full-time or not), occupation type, industry type, enterprise size, enterprise welfare level, existence of a union, and experience of job discrimination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stimated size of low-wage employment amounts to 219,895(46.5%) out of all the 472,905 full-tim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is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e situation of the general labor market in which the number of low-wage employees is 3,626,000(23.1%) out of all the 15,720,000 full-time workers. Second, most of the demographic, disability characteristic, and job-related fact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ow-wage employment. Regarding the demographic factors,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in low-wage employment while worker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have lower chances of being paid low wages than do workers in their twenties. Regarding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 factors, worker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physical disabilities have higher chances of being in low-wage employment than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and sensory disabilities, respectively, while healthier workers have lower chances of being paid low wages. Regarding the human capital factors, work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are less likely to be paid low wages. Finally, regarding the job-related factors, managers/professionals and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are less likely to be in low-wage employment than are simple manual workers, while construction workers have lower chances of being paid low wages than do manufacturing workers. Workers in enterprises hiring 5-49 and 100-299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be in low-wage employment than are those in enterprises hiring 300 and more employees. And workers in enterprises providing greater welfare are less likely to be paid low wages, while workers with more job discriminations are more likely to be paid low wages. The policy proposals derived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re supports are needed for those workers who are more likely to be paid low wages such as workers with severe disabilities,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young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mall enterprises. For worker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amount of the employment subsidy should be increased, and more opportunities for decent jobs with proper wage and employment stability should be provided. Also, a reform of the employment subsidy system may be necessary which takes into account disabled young workers and disabled workers in small business who have higher chances of being in low-wage employment. Second, as healthier workers are less likely to be in low-wage employment, a whole variety of supports are needed for the promotion of the health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severity of disability, and type of disability an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occupation, industry, and enterprise size. In addition, worker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given more assistive equipments to prevent health deterioration and more exercise and other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and financial support for them). Third, as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of human capital,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sabled workers with low education level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social and informal education so that they can advance to higher education and pursue self-development. Government support for public, private, and individual vocational trai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lso insufficient.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an appropriate system for individual vocational training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It also should consider a measure to introduce a quota system for public and private vocational training where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should train a certain minimum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urrent minimum wage exemption syst 우리나라의 장애인들은 노동시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과 편견으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고용 차별을 겪고 있다. 또한 장애인에게 친화적이지 못한 사회 환경이나 장애의 특성에서 비롯된 기능의 제한으로 인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경쟁하여 취업하는 일이 쉽지 않고, 어렵게 취업이 되더라도 다수의 장애인들이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다.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고용 문제는 빈곤과 직결되어 있다. 근로장애인은 낮은 임금뿐만 아니라,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의 지출, 공적 급여의 부족 등으로 인해 근로빈곤층에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장애인의 저임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일제 임금근로장애인을 대상으로 저임금 고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저임금 고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5차년도(2012년) 조사의 패널 4,297명 가운데 전일제 임금근로장애인 918명이다. 자료분석에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종속변수는 저임금 고용 여부이며 저임금의 기준은 OECD의 정의에 따라 전일제 임금근로자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2012년 기준 월 12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는 근로장애인으로 정의하였다. 독립변수는 인구학적 요인, 장애 요인, 인적자본 요인 및 일자리 요인에 속한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애 요인은 장애정도, 장애유형 및 건강상태, 인적자본 요인은 학력, 근속기간, 직업훈련 경험 여부 및 자격증 소유 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자리 요인으로 종사상 지위, 정규직 여부, 직종, 산업분야, 사업체 규모, 복리후생 수준, 노동조합 유무 및 일자리에서의 차별 경험 수준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일제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고용의 규모를 추정한 결과 전일제 임금근로장애인 472,905명 가운데 저임금근로장애인은 219,895명으로 나타나, 46.5%가 저임금 고용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시점을 기준으로 전체 노동시장의 전일제 임금근로자 15,720천명 가운데 저임금근로자는 총 3,626천명으로 나타나, 23.1%가 저임금 고용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고용 비중(46.5%)은 전체 임금근로자보다 23.4%p 높게 나타나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고용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이 연구의 설명변수인 인구학적 요인, 장애 요인 및 일자리 요인 대부분과 인적자본 요인 일부가 저임금 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여성장애인이 저임금 고용에 처할 위험이 높게 나타나고, 연령과 관련해서는 20대를 기준으로 할 때 30대와 40대의 경우에 저임금 고용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요인에서는 중증장애인, 신체장애인의 저임금 고용 확률이 높게 나타나고(감각장애를 기준변수로 설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저임금 고용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본 요인 중 학력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저임금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요인들 가운데 직종과 관련해서는 단순노문직 종사자를 기준변수로 할 때 관리자‧전문가와 기능원‧장치‧기계‧조립종사자는 저임금 고용에 처할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산업분야에서는 제조업을 기준으로 건설업이 저임금 고용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5인 이상~50인 미만 사업체와 100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체가, 300인 이상 사업체에 비해 저임금 고용에 처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기업에서 제공하는 복리후생 항목이 많을수록 저임금에 처할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일자리에서의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저임금 고용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들을 토대로 근로장애인의 저임금 문제 해소를 위해 이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증장애인, 여성장애인, 청년장애인, 소규모 사업체의 근로장애인 등 저임금 고용의 위험이 높은 근로장애인에 대한 지원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먼저 중증 및 여성장애인을 위해서는 기존 장애인고용장려금(이하 고용장려금)의 지원수준을 상향조정하고 적정임금과 안정적 고용을 보장할 수 있는 괜찮은 일자리의 확대가 필요하다. 저임금 고용의 위험이 높은 청년층 근로장애인과 소규모 사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장애인을 위해서도 고용장려금의 신설 또는 기존 고용장려금의 가중지원 등이 필요하다. 둘째, 근로장애인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저임금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근로장애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성(性), 연령, 장애정도 및 장애유형 등 근로장애인의 개인적 특성과 직종, 산업분야, 사업체 규모 등 일자리 특성별로 차별화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근로장애인에 대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의 확대를 통해 장애로 인한

      • Direct Dynamic-Simulation 기법을 이용한 비선형 최적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회전익기 Category-A 이착륙 성능 예측에 대한 연구

        남용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최적제어문제 풀이를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전익 항공기의 Modeling & Simulation(M&S)을 이용한 Category A 비행성능의 해석적 입증 방안을 제안하였다. Category A 감항기준은 독립된 엔진시스템을 갖는 다중엔진 대형 회전익 항공기에 적용되는 인증으로, 인증을 받은 회전익기는 특정 공간에서 이착륙시 한 개의 엔진이 정지되더라도 안전한 비행과 착륙을 보장한다. FAA는 비행성능시험과 승인을 받은 M&S를 이용한 해석적 입증방안을 통한 Category A 적합성 입증을 권고하고 있다. 엔진고장을 모사하는 비행성능 시험은 위험하므로 철저한 점진적 절차로 진행되야 하며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이때 적절한 M&S의 사용은 안전한 비행시험 계획을 세울 수 있어 이를 토대로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행시험 횟수 또한 줄일 수 있어 시간,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Category A 최소인증 요구조건과 인증기준에 대하여 분석하여 적합성 입증에 사용될 수 있는 M&S를 정의하였다. Category A 적합성 입증을 위한 M&S는 물리법칙 기반의 M&S로 회전익 항공기의 비행운동을 모사할 수 있어야 하며, 인증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비행이 가능한지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비행운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비행운동 방정식을 유도하여 회전익 항공기의 동역학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각 동역학 모델을 검증하였다. 기동비행 해석을 위하여 인증기준을 적용한 비선형 경로최적화 문제를 정의하였고, 이를 해결 방법 중 하나인 직접법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비선형 경로최적화 기법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접근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개발된 접근법은 여러가지 비선형 최적제어문제를 해결하여 검증 및 입증되었다. 새로운 접근법은 기존의 접근법보다 더 복잡한 시스템 동역학을 갖는 비선형 경로최적화 문제를 해결할 때 계산시간과 메모리 관리 등에서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접근법과 회전익 항공기의 동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적합성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기동비행 해석을 통하여 M&S를 활용한 Category A 적합성의 해석적인 입증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developed an efficient algorithm for solving the nonlinear optimal control problems and proposed a methodology to verify the rotorcraft Category A performance through Modeling and Simulation (M&S) and the proposed algorithm. Category A airworthiness standards are certification for large transportation rotorcraft with independent multi-engine systems. The helicopters certificated under Category A standards can guarantee that in the event of an engine failure, the flight can continue flight and land safely in a specified place.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recommends demonstrating Category A conformity through flight tests and analytical verification methods using an approved M&S. The flight test that simulates an engine failure is hazardous, so it must be carried out in a thorough and buildup process, which inevitably increases time and cost. The use of appropriate M&S can lead to a safe flight test plan,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risk and the number of flight tests,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ime and cost. In this paper, M&S that can be used to Category A means of compliance are defined by analyzing Category A minimum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criteria. The M&S for Category A means of compliance is based on physics theory. It must simulate flight and attitude motion and analyze flight performance, which is satisfied certification criteria. It is derived and validated that the rotorcraft flight dynamic equation using for the simulation and flight performance analysis. The new approach of a direct method called the 'Direct Dynamic Simulation Approach (DDSA)' is developed and applied to solve the problems. It is an improved method that complements the weakness of a typical direct method. DDSA are validated and vitrificated by solving various nonlinear optimal control problems. When it solves the nonlinear trajectory optimization problem with large and complex system dynamics, the DDSA is more effective than a typical method at computation time and memory alloc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analytic methodology to predict Category A flight performance satisfying the means of compliance criteria through M&S consisted of the DDSA and rotorcraft dynamic modeling method.

      • 광고 크리에이티브 유형분석을 통한 레이아웃의 전략 연구 : 조선일보 광고대상 창작광고 수상작을 중심으로

        남용현 中央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1839

        신문광고 시장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는 광고주의 위기이며 곧 저널리즘의 위기다. 소비자가 광고주에 대한 인식을 다각도로 바꾸고 있는 이상, 신문광고의 크리에이티브 또한 소비자 지향적 방향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소비자의 지향점이란 또 다시 바뀔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신문광고 창작에 있어서 오늘날의 특정한 경향을 살피기보다는, 크리에이티브의 보편성이라 는 부분을 찾아내어 이를 근거로 크리에이티브의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본 연구는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효용성의 문제와 미학적인 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시장과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화해라는 관점에서 신문광고를 파악한다. 이를 본 연구는 ‘전략적 크리에이티브’로 명명한다. 이 전략적 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기본 요소는 언어적 요소와 조형적 요소 그리고 이를 한데 묶는 상상력이다. 여기서 레이아웃의 역할은 지대한다는 점을 밝히고 이를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분석의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일보 창작광고 수상작(기성인, 신인)을 1964년 1회부터 2004년까지의 대상수상작 작품을 대상으로 제작과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전문 광고대행사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조사를 한다. 크리에이티브에 필요한 요소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항목별로 조사 분석한다. 조사된 유형별 분류는 컨셉트, 문자, 아이디어 발상, 기업식별ㆍ상품식별 위치, 신문광고의 규격이다. 이 유형별 분석은 기성인과 신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빈도를 분석하고 연이어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이 결과를 상관적으로 분석한다. 레이아웃과 상관하여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각 요소를 이해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드러낸다. 1) 레이아웃의‘시각중점의 원리지도’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점 2) 시각적 차원에 있어서나 아이디어발상의 차원에 있어서나 레이아웃의 고전적 규칙은 지켜진다는 점. 3) 레이아웃이 하나의 비주얼 언어일 수 있다는 점이다. 레이아웃이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백하게 주장할 수는 없으나, 이런 레이아웃의 기본적인 사항은 신문광고 크리에이티브의 다른 요소가 바뀌더라도 유지되는 심리학적 규칙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레이아웃에 관한 한 일정한 전략적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레이아웃에 대한 본 연구가 광고실무와 광고인 교육에 기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핵심용어 광고 크리에이티브, 효용과 미학, 신문광고, 구성요소, 시각중점의 원리, 레이아웃

      • 전기광학 기능성소자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남용현 慶熙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반도체 및 여타의 박막 소자를 포함한 전기광학 기능성 소자들의 전기 광학적 특성의 분석을 주목적으로 하여 박막 두께의 측정 및 평가와 전기적 특성에 따른 복굴절 위상차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시스템의 제작 및 검증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박막 또는 bulk material의 두께 측정 및 광학적 성질의 분석을 위하여 빛의 투과, 반사, 또는 편광 상태의 변화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작하고 광학적 오차가 실제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고려 해야할 변수들 형태와 광학적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박막 구조에 대한 비접촉식 분석의 한계성 및 활용 방안과 액정 물질이 주입되어 있는 LCD cell이나 PLZT와 같은 광학적 이방성 물질에서의 편광 간섭 상태와 복굴절 현상의 해석을 위한 시스템의 활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At present, research into electro optic material science is being pursued in many technical fields such as semicondoctiors, optical wave guides and optical shutters. Hence, the evaluation of the electro opt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 optic materials is extremel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possible application fields. This thesis introduces the fundamental technological principles of the system and studies on construction of application system and measurement of thin film thickness and retardation values in the electro optic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