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성형 AI를 활용한 효과적인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셋 생성에 대한 연구

        유태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synthetic images generated by Text-to-Image (t2i) models as a substitute for deep learning training datasets. Previous research has explored the potential for dataset expansion through image synthesis and 3D simulation, but these methods have shown practical limitations. This study utilizes the continuously advancing Diffusion Model to generate high-quality synthetic images and validates their practical application by applying them to various deep learning architectures and assessing imag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n three general-purpose datasets. Additionally, to address the lack of output diversity highlighted in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introduces a new Image-to-Text (i2t) model, HypoNet, capable of generating multiple subcategories from a single sample image. The study also compares the results of images generated using the latest techniques such as FreeU and LoRA. The findings reveal that training with images created using prompts extracted by HypoNet shows equivalent or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raining with real imag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dataset creation using the Diffusion Model without additional training on existing models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presenting a new avenue for dataset creation that significantly reduces reliance on large-scale real-world data collection. 본 논문은 Text-to-Image (t2i)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셋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탐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미지 합성과 3D 시뮬레이션을 통한 데이터셋 확장의 가능성을 모색했지만, 실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딥러닝 아키텍처에 적용 후 세 가지 범용적인 데이터셋에서 이미지 분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실질적인 사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출력의 다양성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단일 샘플 이미지로부터 다수의 하위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Image-to-Text (i2t) 모델인 HypoNet을 제시한다. 또한 FreeU, LoRA와 같은 최신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이미지들과의 평가 결과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모델의 추가적인 학습 없이 HypoNet을 적용하여 생성한 경우, 온전히 합성 이미지만으로 구축한 데이터셋임에도 실제 이미지 데이터셋을 통한 학습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모델에서 추가적인 학습없이도 Diffusion Model을 통한 데이터셋 생성은 실용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대규모 실세계 데이터 수집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데이터셋 생성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에서의 고객경험이 감정반응 및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귀영 동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국내 커피시장은 ‘커피 공화국’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큰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성장은 스페셜 티 커피의 수요 증가와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발전도 함께 가져왔으며 커피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과 지식도 함께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커피전문점은 더 이상 고객들에게 단순히 커피를 마시기 위해 방문하는 공간 아닌 커피를 마시며 분위기를 느끼기도 하고 정서적으로 교감 혹은 소통하는 등의 공간으로 변화했다. 즉 커피전문점은 고객이 커피를 마시기 위한 공간인 동시에 감각적, 정서적으로 소통하는 공간인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고객은 이성적일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존재에 초점을 둔 경험마케팅의 중요성이 대두됨을 의미한다. 고객경험은 고객에게 매장 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고객의 감정을 이끌어내고 향후 고객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커피시장의 흐름에 따라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에서의 고객경험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고객감정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총 2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미회수 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22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에서의 고객경험(감각적 경험, 지적경험, 행동적 경험, 정서적 경험)은 긍정적 감정반응에는 4가지 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정적 감정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감정반응(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은 고객만족, 행동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에서의 고객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로서의 활용과 긍정적 감정을 높이고 부정적 감정을 줄이기 위해 고객의 감각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인테리어 및 분위기 조성과 메뉴의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원두와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메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직원들의 전문지식 및 기술 습득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Recently, domestic coffee market has grown to be called 'coffee republic'. Following this growth special tea coffee market and rostery coffee shops are developed. In addition, customers' interest and knowledge of coffee has increased. Customers want to drink coffee at coffee shop, as well as communication sensibly and emotionally.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which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ustomer is not only a rational object but also an emotional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on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t the rostery coffee shop according to the current coffee market trend. Also examine the effact of the customer emotion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used 225 questionnaires as the final analysis for customers who have used rostery coffee shops in the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a method of analysis,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of Customer experience(sensory experience, intellectual experience, behavioral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ll ha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Second, sensory experience, Intellectual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emotions. Tirth, emotion respons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ub-dimensions of custom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ostery coffee shops and to verify the significant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pons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also has an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beans and original menus, the need to stimulate intellectual expertise and skills, and the need for emotional stimulation to get rid of daily boredom and stress.

      •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청력변화에 대한 연구

        이준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돌발성 난청은 수 시간 내지 수일 만에 청력의 갑작스러운 소실을 초래하지만 아직 병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질병이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소개되고 있고, 이 질환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에는, 아직 통일된 의견이 없지만, 나이, 치료시작의 시기, 난청의 정도, 청력도의 모양, 동반 증상의 유무, 상기도 감염의 병력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 받은 173명의 환자에서 이들 예후 추정인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추정인자들이 부신 피질 호르몬 요법을 받은 돌발성 난청 환자의 청각 회복과 청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직 정립되지 않은 예후 추정 인자들(성별, 이폐색감, 소음폭로, 정신적 스트레스, 병변 부위, 기저 질환, 적혈구 침강속도)과 청력 회복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996년부터 2001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를 받은 173명을 대상으로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총 173명의 환자 중 104명이 호전되어, 전체적인 회복율은 60.1%였다. 2. 연령이 50세 이하인 경우 105예 중 67예(63.8)가 회복되었으며, 50세 이상에서는 68예 중 37예(54.4%)가 회복되었으나 통계적 유의가 없었다. 3. 전체 173예 중 1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가 129예(74.6%)였고, 이 중 87예(67.4%)가 회복되었으며, 1주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에는 44예 중 17예(38.6%)가 회복되어, 1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초기의 청력손실 정도는 경도가 6예(3.5%), 중등도가 15예(8.7%), 중등고도가 27예(15.6%), 고도가 50예(28.7%), 농이 75예(43.4%)이었다. 회복율은 경도에서 66.7%와 중등도에서 40%, 중고등도에서 77.8%, 고도에서 72%, 농에서 49.3%로, 경도와 중등고도, 그리고 고도인 경우에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5. 초기 청력도상 상승형이 40예(23.1%), 수평형이 29예(16.8%), 하강형이 35예(20.2%), 농형이 57예(32.9%), V형이 12예(6.9%)였다. 회복율은 상승형에서 72.5%, 수평형에서 65.5%, 하강형에서 62.9%, 농형에서 42.1%, V형에서 83.3%를 보여 농형을 제외한 다른 유형의 청력도에서 회복율이 높았다(p≤0.05). 6. 동반 증상으로 현훈이 있었던 73예 중 39예(53.4%)가 회복하였고, 동반하지 않는 100예 중 65예(65.0%)가 회복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가 없었다. 그러나 1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했던 129예 중 현훈이 55예 있었고, 이 중 31예(56.4%)가 회복하였으며, 현훈이 없었던 74예 중 56예(75.7%)가 회복되어 현훈이 없었던 환자군에서 더 높은 회복율을 보였다(p≤0.05). 7. 이명, 상기도 감염은 병력, 성별, 이폐색간, 소음폭로, 정신적 스트레스, 병변 부위, 기저질환, 적혈구 침강속도 등의 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 a disease that is developed within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but its etiology is not verified yet. Therefore no specific regimen is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corticosteroid on the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patients through many variable (age, interval between onset of disease and initial treatment, degree of hearing loss, type of initial audiogram, accompanying symptom, history of URI) known as prognostic factors. The author also tr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ring recovery patterns and the prognostic factors (the sex, ear fullness, the history of exposure to noise, the emotional stress, the site of involvement, and underlying diseases) that were not established yet.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173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 admitted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July 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covery was seen in 104 cases out of 173 cases and the total recovery rate is 60.1%. 2. In patients aged less than fifty, 67 cases(63.8%) recovered out of 105 cases. In those over fifty, 37 cases(54.4%) recovered out of 68 cases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3.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in a week after the symptoms had a better recovery rate(67.4%, 87 cases out of 129 cases) than those treated after a week(38.6%, 17 cases out of 44 cases)(p≤0.05). 4. The recovery rate for patients whose initial hearing loss was mild was 66.7%. 40% for the moderate, 77.8% for the moderate-severe, 72% for the severe, and 49.3% for the profound hearing loss. As a result, the recovery rate was better for the mild, moderate-severe, and severe hearing loss(p≤0.05). 5. The recovery rate was 72.5% for the patients whose initial audiogram is upsloping. 65.5% for flat, 62.9% for downsloping, 83.3% for V-shape, and 42.1% for profound audiogram. Patients of all audiogram except the profound one had a better recovery rate(p≤0.05). 6. Among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in a week, the dizzy patients had the lower recovery rate than the non-dizzy patients(75.7%)(p≤0.05). 7. In order factors such as the history of URI, the sex, the tinnitus and ear fullness as a accompanying symptom, the history of noise exposure, the history of emotional stress, the site of disease, and the presence of underlying disease were not related with prognosis.

      • 소아 돌발성 난청의 임상적 특징과 결과

        신동주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돌발성 난청은 갑작스런 청력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이과적 응급질환이다. 성인 돌발성 난청은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소아 돌발성 난청의 임상양상 및 재발 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성인과 소아의 돌발성 난청 양상을 비교 해 보았고, 특히 영상검사 결과를 비교해 재발 등의 예후 및 치료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2005 년 11 월부터 2014 년 5 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에 돌발성 난청 진단 하에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 중 15 세 이하인 소아 40 명을 조사하였다. 동일한 시기에 돌발성 난청으로 치료를 받은 15 세 이상 성인 227 명 (양측 돌발성 난청 2명이 존재하여 229 귀)을 대조군으로 의무기록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 및 성별 분포, 청력감소 정도, 치료결과, 영상 검사 결과 등을 분석하였으며, 나이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청력 회복률을 나누어 산출하였다. 청력검사는 입원 당시에 청각 뇌간 유발 반응검사를 이용하여 청력저하를 측정하였고 이후 입원 중 순음청력검사를 1 주일에 2 회 시행하여 청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청력의 회복 정도는 치료시작 3 개월 후의 순음청력검사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소아 40 명 중 남아는 24 명, 여아는 16 명으로 성비는 1:0.67 이었다. 난청이 발생한 귀는 우측이 24 예, 좌측이 15 예, 양측이 1 예 해당하였다. 내원 당시 청력소실 정도는 경도 난청이 3 예 (7.5%), 중등도 난청이 8 예(20%), 중등고도 난청이 8 예 (20%), 고도 난청이 5 예 (12.5%), 농이 16 예 (40%) 였다. 이들 중 완전회복이 6 예 (15%), 부분회복이 10 예 (25%), 경도회복이 7 예 (17.5%), 불변군이 17 예 (42.5%)였으며 전체 회복률은 23 예 (57.5%)에 해당하였다. 치료의 시작시기는 7 일 이내의 경우가 27 예로 가장 많았으며 7 일 이후인 경우는 13 예로 이중 28 일 이상은 3 예였다. 재발은 4 예에서 보였는데 2 예에서는 완전히 청력이 회복되었던 환아였고 3 예에서는 영상검사 상 다른 기형이나 병변이 없는 환아였다. 나머지 1 예에서는 측두골 전산화 단층촬영 상 전정도수관 확장증 및 몬디니 기형(Enlarged vestibular aqueduct syndrome with mondini deformity)을 보인 환아였다. 결론 소아 돌발성 난청은 성인과 유사한 회복률을 보이는데 성인과 달리 어지럼증이 동반되어도 예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시기가 늦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끈기 있는 병력 청취가 필요하며, 와우의 기형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영상검사를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재발률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도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 호텔종사자의 교대근무가 직무만족, 직무소진, 감정노동에 의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태산 동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특급호텔 종사자들의 교대근무를 통해 직장 생활의 직무만족, 직무소진, 감정노동에 의해 직무성과에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하여금 특급호텔 종사자를 이해를 높이고 호텔 종사자원들의 교대근무를 함으로서 감정노동의 최소화, 직무소진의 사기저하, 직무만족의 업무량 등이 성과에 미치는 가에 장기근속 여건과 직무에 대한 사기를 높이고자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부산·경남의 특급호텔시설 20개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유의적 표집(purposive sampling)을 하였고,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방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을 활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교대근무, 직무만족, 직무소진, 감정노동, 직무성과 등 이론과 측정방법을 연구하여 통계자료에 활용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한 문헌연구와 자료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empirical study)를 수행하였다. 호텔종사자의 교대근무가 직무만족, 직무소진, 감정노동에 의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Baron & Kenny의 3단계모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가설검증결과 1단계인 단순회귀모형분석결과 교대근무와 직무만족은 영향을 미치며, 교대근무와 직무소진은 영향을 미치며, 교대근무와 감정노동은 영향관계에서 미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교대근무가 매개효과인 직무만족, 직무소진, 감정노동은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될 수 있다. 2단계인 단순회귀모형분석결과 교대근무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3단계인 다중희귀모형본석결과 감정노동은 교대근무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영향이 미치며, 직무소진은 교대근무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영향이 미치며, 직무만족은 교대근무와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미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교대근무는 직무만족, 직무소진, 감정노동을 통해 성과와에 영향을 받는 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결한다면 향후방안은 호텔기업 및 서비스의 관련된 모든 부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기업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리튬을 포함하는 복합레진(T-com)의 물리적 성질 분석

        이병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기존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굴곡강도를 개선하고자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첨가하여 새롭게 제작한 T-com (Lot No. TS1804111, NexoBio. Korea)에 대한 물리적 성질 중 굴곡강도 및 흡수도와 용해도, 방사선 불투과성, 색조 안정성을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복합레진 Z- (3M ESPE. USA)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T-com의 굴곡강도는 (89.44 ± 9.71) MPa를 보였으며, 흡수도와 용해도는 (17.50 ± 0.36) μm/mm³, (1.97 ± 0.44) μm/mm³를 나타냈다. Z-의 굴곡강도는 (143.72 ± 16.54) MPa를 보였고, 흡수도와 용해도는 각각 (23.90 ± 0.46) μm/mm³, (1.57 ± 0.52) μm/mm³를 나타냈다. 방사선 불투과성의 경우, T-com은 (3.27 ± 0.25) mm를 나타냈고, Z-은 (3.57 ± 0.46) mm를 나타냈다. T-com의 색조 안정성을 의미하는 ⊿E는 (0.51 ± 0.11)를 보였으며, Z-의 ⊿E는 (1.22 ± 0.69)를 보였다. 정규성 검정을 통해 정규성을 만족한 굴곡강도, 방사선 불투과성 실험은 Shapiro-Wilk를 이용한 Independent t-test를 하였으며, 표본 갯수에 따라서는 Mann-Whitney test를 실시했다. 유의성 검정 결과 굴곡강도 외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 볼때 굴곡강도를 제외한 흡수도, 용해도, 방사선 불투과성, 색조 안정성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T-com의 굴곡강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lexural strength, water sorption, solubility, radiopacity and color stability of the light cured composite resin – T-com (Lot No. TS1804111, NexoBio. Korea) including 10wt% lithium disilicate was compared with z- (N894506, 3M ESPE, USA). All specimens were made under the following a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4049. As the tested results, flexural strength of T-com was 89.438 ± 9.711 MPa, that of Z- was 143.718 ± 16.539 MPa.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of T-com were 17.495 ± 1.966 μm/mm³, 0.356 ± 0.444 μm/mm³ individually. Those of Z- were 23.895 ± 1.573 μm/mm³, 0.464 ± 0.524 μm/mm³ individually. Radiopacity of T-com was 3.27 ± 0.25 mm and that of Z- was 3.57 ± 0.46 mm. According to the CIE Lab of color stability was that ⊿E of T-com was showed 0.51 ± 0.11 and ⊿E of Z- was showed 1.22 ± 0.69. Flexural strength and radiopacity results satisfing normality test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Indepent t-test using Shapiro-Wilk test. Other test results were evaluated with Mann-Whitney test. From this study, solubility and water sorption, radiopacity, color stability except flexural strength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and flexural strength of T-com was needed for improvement.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로서의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의 유용성

        홍용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Objectives: Hearing impairment is a common disabolity of the newborn, which has an incidence of 1.6 per 1000 infants each year. 25% of hearing impairment infants was known as candidates of coclear implantation. The hearing screening test was not executed accurately in high risk newbo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efficacy of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TEOAE) in high risk newborns. Subjects and Methods: Fron January to December 2007, a total 1020 ears of 510 infants at risk for hearing loss were tested with TEOAE. The tests were reperformed after 1 month at the outpatient clinic, if intant had failed the first test. Results: 911 ears of 407 infants were passed at a first test of TEOAE. After 1 month retest, 56 ears was pass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screening test using repeated TEOAE were 100% and 99.8%, respectively. Conclusion: TEOAE is a useful hearing screening test of high risk infants. But, TEOAE has limitation as newborn hearing screening test of hearing loss due to deficiency of parents' cognition and follow-up test. 배경과 목적 : 신생아 난청은 현재 발견되는 신생아의 선천성 질환중 발병률이 높은 장애중 하나이며 국내에서 매년 신생아 1,000명당 약 1.6명에서 양측 60dB이상의 청각장애가 발생하며 이중의 약 25%는 인공와우 이식술의 대상자가 되는 고도 청각장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JCIH에서는 난청의 위험 인자가 있는 신생아들에 있어서 신생아 난청의 선별 검사를 시행하여 난청이 발견될 경우 늦어도 생후 6개월이 되기 이전에 재활 치료를 시작하여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여전히 상당수의 난청 신생아들이 제대로 선별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청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신생아중환자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로서의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transient evoked otoaoustic emissions, TEOAE)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 510명(1020귀)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아가 275명, 여아가 235명이었으며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퇴원전 일차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는 주위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생아가 수유 후 잠자는 시간을 이용하여 검사하였으며 일차 검사에서 불합격(refer)으로 나올시 1달후 외래에서 다시 이음향방사검사를 시행후 여기에서도 불합격시 청성뇌간유발전위검사로 난청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JCIH가 정한 고위험군 요인의 존재에 따른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510명의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중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에서 처음에 정상으로 나온 신생아 수는 911귀 이었으며 불합격된 신생아 수는 109귀 이었다. 일차검사에서 불합격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1달째 재측정한 결과 64귀는 합격으로 나왔으며 합격률은 58.7% 이었다. 이로써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에서 합격으로 판정된 수는 975귀 이었다. 검사에 소요된 시간은 남아나 여아, 좌측귀나 우측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위험인자를 가지는 환아는 114명(228귀, 22.4%), 위험인자가 없는 환아는 396명(792귀, 77.6%)이었으며 위험인자를 가진 환아의 경우 불합격이 나올 확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일차검사에서 불합격으로 나온 경우 반복시행한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에서 불합격이 나온후 청성뇌간유발전위검사(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는 2귀,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밝혀진 경우는 7귀 이었으며, 환아에게서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의 합격, 불합격의 결과에 따라 선별검사로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일차 검사시에는 100%, 89.9% 이었으며 이차 검사시에는 100%, 99.8% 이었다 결론 : 신생아에 대한 난청의 선별검사를 위해 시행한 일과성음 유발이음향방사는 검사가 용이하며 시간 및 비용면에서 다른 검사에 비해 효과적이다. 일과성음이음향방사가 선별검사로 높은 정확도가 있기 때문에 유용한 검사 방법이지만 위양성률 때문에 적극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난청의 조기 발견을 위해 일반인들에게 인식의 변화와 선별검사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하는등 보다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 Implementation of Heterogeneous cluster Scheduler for a suitable HEVC Encoder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반소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Implementation of Heterogeneous cluster Scheduler for a suitable HEVC Encoder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PAN, SUJING Department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With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demand for high-quality multimedia terminals is also growing. UHD, 4KTV and other high resolution and high frame rate video terminals are constantly emerging, and 8KTV video terminals will soon also be launched. People's endless demand for audio-visual effects of media brings great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video coding technology. HEVC is a new video compression standard that meets 4KTV, 8KTV and other coding requirements. Compared with the H.264 standard, the compress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50% - 70%, and the complexity is increased by 2 - 4 times.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 high memory bandwidth of the HEVC coding algorithm, the design and optimization of HEVC coding 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orresponding real time coding system have become the key to the rapid entry of the market application and have become a hot research focus for the market application. Considering the high complexity of the HEVC coding algorithm, it is very effective to develop heterogeneous distributed HEVC video coding by using the universal processor platform to complete the HEVC real-time coding task above the 1080p. Therefore, I propose a cheap heterogeneous distributed HEVC encoder system to replace the high cost encoder platform. The most difficult task in the heterogeneous distributed system is the scheduling task, which makes the whole distributed system in a balanced state, but it often needs to combine the data types of the scheduling task. Therefore, a support vector machine prediction method based on HEVC and embedded platform features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task allocation accuracy of HEVC heterogeneous distributed systems. HEVC 부호기에 적합한 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이기종 클러스터 스케줄러 구현 반소정 전자정보통신 학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명 유선 무선 인터넷 속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UHD, 4KTV 및 기타 고해상도 및 고 프레임 레이트 비디오 단말기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으며 8KTV 비디오 단말기도 곧 출시될 예정이다. 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사람들의 끊임없는 요구는 비디오 코딩 기술의 개발에 커다란 도전 과제를 안겨준다.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는 4K TV, 8K TV 및 기타 코딩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새로운 비디오 압축 표준이다. H.264 표준과 비교할 경우 압축 효율이 약 50 % ~ 70 % 증가하고 반면 복잡도는 약 2 ~ 4 배가 증가했다. HEVC 코딩 알고리즘의 많은 양의 계산 및 높은 메모리 대역폭으로 인해 HEVC 코딩은 설계 및 최적화와 실시간 코딩 시스템은 연구 및 개발이 중점이 되었다. HEVC 코딩 알고리즘의 높은 복잡성을 고려할 때, 범용 프로세서 플랫폼을 사용하여 1080p 이상의 HEVC 실시간 코딩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이기종 분산 HEVC 비디오 코딩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수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고가의 인코더 플랫폼을 대체하기 위해 저렴한 가격의 이기종 분산 HEVC 인코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기종 분산 시스템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전체 분산 시스템을 균형 있게 만드는 작업이다. 그리기에 본 논문에서는 HEVC 이종 분산 시스템 지연을 줄이고 분산 시스템의 부하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해 HEVC 기능과 분산처리 시스템의 플랫폼 퍼포먼스 기반으로 support vector machine 기계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은 다른 이기종 분산처리를 한 HEVC encoder에 비해 화면 소실이 없는 하에서 약 1.45정도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 소음성 난청모델에서 인간 신경줄기세포의 치료효과

        폰카즈 쿠마르 바닉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placement and trophic actions of neural stem cells after transplantation into the hearing impaired guinea pig by acoustic trauma. Materials and Methods: Acoustic trauma was induced by a continuous white noise at 120 dB SPL for 4 h/day for 3 consecutive days. Three days after noise injury human neural stem cells (HB1.F3) were transplanted into the scala tympani of the basal turn. Phalloidin staining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carried out to detect the status of hair cells of the organ of Corti. Immunohistochemistry with specific antibodies, toluidine blue and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ere used to demonstrate the spiral ganglia neurons. Hearing ability was assessed by auditory brain stem response (ABR) evaluation. Neutrophic factors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as GDNF, angiopoietin-3, and Neurotrophin-3)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 analyses. Results: The loss of hair cells within the organ of Corti and degeneration of spiral ganglion neurons after noise injury was found at-turn. Thresholds of click evoked ABR and 8 kHz tone burst ABR were increased to 60-75 and 60-80 dB, respectively. After stem cell engraft, the number of cochlear hair cells was increased in the 2nd and 3rd turns of cochlea compared with control group under phalloiding staining and SEM. The number of neuronal cells in the spiral ganglia was also increased in transplanted group. In addition, fluorescent immunohistochemistry with human specific antibody (hNuclei) revealed that implanted human neural stem cells migrated and survived with in the spiral ganglia. Moreover, in toluidine blue,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findings were demonstrated the increased number of neuronal cells in spiral ganglia in transplanted group than control group. Furthermore, after transplantation of neural stem cell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neurotrophic proteins such as GDNF, NT3 and angiopoietin 3 was observed in cochlea. ABR results showed the hearing recovery after transplantation. Thresholds of click evoked ABR and 8 kHz tone bursts ABR were decreased to 25-40dB and 35-45dB, respectively. Conclusion: Present study has demonstrated that neural stem cells are capable to replace the damaged spiral ganglion cells and to preserve hair cells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model,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also promotes hearing recovery

      • Real-time Implementation of Multi-view Video Decoding using Hardware Accelerator

        구옌반타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3D video based on stereo or multi-view representation is becoming widely popular. Real-time decoding of such video is an important concern as the number and spatial/temporal resolution of views increase. Significant improvement in video compression capability have been demonstrated by using H.264/Advanced Video Coding (AVC) standard. H.264/AVC is the latest video compression standard with a number of relatively new technical developments. It also means that the computation complexity compared to the previous video compression standards is increased. The thesis proposed to use extension of H.264/AVC standard to implement multi-view video coding (MVC) decoder on embedded system with multi-view high profile. Beside, most modern mobile phone or embedded systems are equipped with powerful yet cost-effective graphics engine to accelerate graphics/non-graphics operations. To optimize, the design proposed to use 3D graphics engine (3D-Accelerator) that can work in parallel model with CPU to accelerate multi-view video decoder operations. The multi-view video decoder is improved to reach real-time in terms of coding speed with a little performance degradation in term of PSNR and a little better performance of bit-rate by using parallel model and coding optimiz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peed of optimized multi-view video decoder increases to reach real-time (more than 24 frames per second) with QCIF (176x144) resolution on HBE-EMPOSIII-SV210 bo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