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Three Essays in Empirical Industrial Organization

        이상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hree chapters related to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the energy industry. Chapter 1 is o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the others are on the energy industry. In Chapter 1, I analyze the impact of handset subsidy on a demand for bundl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and handset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subsidy regulations on the social welfare using a simulation method. From estimation results I find that mobile carriers offer a discriminatory subsidy for handsets depending on a consumers’ choice of service plans.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 that the ban of or putting ceiling on the handset subsidy reduces the social welfare because, when regulating the handset subsidy, market share of outside option in which consumers does not purchase new products increases, thereby profits of producers are also reduced. If the reduced service rates are required with handset subsidy ceiling, the social welfare will also decrease, because the cut of service rate just make a monetary transfer, which does not affect the consumers’ demand, from mobile carriers to consumers. Thus, the change of social welfare is same with the case of handset subsidy ceiling. Finally, if the bundling of mobile carriers is prohibited, then the price competition between handset manufactures occurs, but the social welfare is not improved even if the competition leads to a cut of handset price. Therefore, in Chapter 1, I argue that the most efficient way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is letting the market decide. In Chapter 2, I investigate a pricing puzzle found in the Seoul retail gasoline market. The pricing puzzle I found is price differentials of regular unleaded gasoline between multi-product stations selling the premium and regular gasoline together and single-product stations only selling the regular gasoline. Using various pricing theories in the retail gasoline market, I empirically try to explain the pricing puzzle. However, the significance of price differentials is not disappeared, even i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roduct differentiation, brand effects, spatial competition factors and station fixed-effects are controlled. The results in Chapter 2, therefore, suggest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premium gasoline stations set up the psychological pricing making the quality salience for the premium gasoline to can be more sold. Finally, in Chapter 3, I empirically evaluate the effects of informative mobile apps on the spatial price competition and price dispersion in the Korean retail gasoline market. In May 23, 2010,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distributed a mobile application so called “Opinet” to stabilize the gasoline price and intensify the competition among the gasoline stations. Using the spatial econometric method, I find the various interesting results. First, the increased transparency makes the market less competitive as the producers have more information rather than the consumers. Second, as the ratio of informed consumers crosses a threshold level, the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because the informed consumers make the market punishments weak. Third, there is the inverted-U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informed consumers and price dispersion, which is consistent with Stahl’s view (AER, 1989). Therefore, in Chapter 3 I conclude that the penetration rate of informative mobile apps intensifies the price competition among gasoline stations and reduces the price dispersion of gasoline.

      • 종합편성채널의 개국 후 기존 방송시장의 시청률과 장르의 다양성 변화 연구

        김주원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의 개국 이후 기존 TV 방송들의 시청률 변화와 장르 다양성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있다. 또한 채널 번호가 종합편성채널 방송사의 시청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한다. 2011년 12월 1일 4개의 종합편성채널 사업자가 새롭게 개국하였다. “종합편성채널”이라 함은 보도, 교양, 오락 등 다양한 방송분야 상호간에 조화를 이루도록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채널을 말한다. 종합편성채널은 개국 전 많은 사회적 갈등을 야기했으나, 현재 방송사로서 자리를 잡아가며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종합편성채널의 개국 후 기존의 지상파방송과 케이블방송의 시청률 변화를 알아보고 시장탈취효과가 있었는지 알아본다. 또 개국 후 지상파 방송사들의 장르의 다양성 변화를 HHI지수로 계산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 연구는 지역마다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들의 번호가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채널번호가 종합편성채널의 시청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AGB닐슨미디어리서치에서 제공한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 기간 동안 34개의 채널별, 15개의 지역별 시청률을 이용하였다. 단,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개국일인 2011년 12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의 시청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종합편성채널의 개국 이후 지상파와 케이블의 시청률은 떨어졌다. 케이블방송보다는 지상파방송의 시청률이 더 떨어졌으며, 지상파방송을 시청하는 소비자들을 더 끌어왔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종합편성채널의 시청률이 아직까지 매우 낮기 때문에 종합편성채널의 개국이 기존의 방송채널에 영향을 주었다고 명확히 하기는 힘들다. 또한 지상파방송사들의 장르 편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지상파 방송사의 장르에 대한 HHI 지수가 종합편성채널 개국 이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 제작과 방영에 있어 기존의 지상파 방송사들의 다양성이 오히려 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종합편성채널사업자도 마찬가지로 특정 분야에만 치중된 장르편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종합편성채널의 진입은 전반적인 방송의 장르 다양성을 떨어뜨렸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채널번호가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채널번호가 낮을수록 시청률이 더 오른 것을 확인하였다.

      • 금융 규제·감독 시스템 변화에 대한 은행의 경영 성과 분석

        성원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금융 규제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시 겪게 될지 모를 금융위기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금융위기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학술적·정책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 기업들의 경영 성과 및 금융안정성이 금융위기 발생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교훈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은행의 성과 및 안정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많은 학자들은 정보 비대칭성 문제와 같은 금융 산업 내의 비효율성에 대해 규제 및 감독 당국의 대응이 부적절했다고 지적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은행의 경영 성과와 연결 지어 생각해보려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 규제 및 감독 수준의 차이가 은행의 금융 성과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요약·정리하고, 논쟁적인 주제들에 대해 실증적인 결과를 보인 것이 학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보다 나은 데이터와 방법론을 이용하여 기존 실증 연구들에서 발견된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였다. 과거 이론 연구 결과들을 재검증하여 주장을 강화하거나 또는 부족한 부분은 반박할 수 있었다. 먼저, 과거 선행 연구들은 전체 규제 시스템의 특정 규제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것이 많으나, 본 연구는 은행 경영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규제 및 제도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많은 규제들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들이 데이터의 제약으로 인해 국가 단위의 금융 산업 안정성 또는 금융 시장 발전을 종속 변수로 하여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BankScope 데이터를 이용해 개별 은행 단위의 경영 성과를 대상으로 하면서 보다 설명력 높은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84개 국가의 금융 규제·감독 시스템이 2002년부터 2011년, 10년 동안 각 국에 속한 12710개 은행들의 경영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패널 고정 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을 이용해 실증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이렇게 많은 국가들의 은행과 금융 규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종속변수인 은행의 경영 성과를 선정함에 있어서 수익성, 자산건전성, 자본적정성을 선택함으로써, 기존 연구보다 더 구체적인 해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들 간의 교차항 분석을 다양하게 시도해봄으로써 어떤 설명변수들의 조합이 경영 성과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다른 어떤 분야보다 금융 규제·감독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일치된 의견 없이 논쟁이 계속 이어져 왔으므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학술적으로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 결과는 유익한 정책함의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도 바젤 III 협약 내용의 시행에 대해서 논의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가 이에 유익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우리나라 기업성장의 특성 및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표한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An issue has been raised that existing study on firm growth does not fully reflect current reality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Accordingly, there is a claim that grasping characteristics of firm growth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is a priority rather than establishing a theoretical system. Despite of various restrictions, what enables such empirical investigation i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panel data. This study explains an empirical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firm growth using corporate penal data made available. The first chapter i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exploring the influence of profit rates on subsequent growth rate and the influence of growth on profit rates by using the ‘system GMM’ estimator. We explore the reciprocal influence on growth rate and profit rates by tracking 3,600 Korean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over the period 2000∼2007 and classifyi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echnological level and establishment size based on R&D intensities. While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rates and subsequent growth identifies little positive influence, the influence of growth on profit rates is negative which suggests that ‘Penrose effect’ is a dominant feature of firm dynamics. Specially Penrose effect is found to be notable in low-technology industries and micro enterprises. In the second chapter, I show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of long-term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companies' KOSDAQ listings by comparing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 treatment group includes companies newly listed on KOSDAQ from 2000 until 2002 when new IPOs were booming while setting external financial auditing corporations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of Return on Total Assets even beyond the t+5 period turns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This backs up the window of opportunity hypothesis on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it indirectl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management specialists' too much emphasis on short-term profitability rather than long-term investments will cause decrease in profit.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long-run operating performance until the t+5 period by newly listed companies from 2003 to 2006, a depression era of company listings, and we get fairly similar results to those of a booming era of company listings from 2000 to 2002. The third chapter shows a result that the distribution of growth rates for firms whose sales are KRW 3 billion or more but under KRW 1 trillion tends to have fatter tails than the Laplace distribution regardless of firm size. Moreover, as for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irm growth, a poole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is found to be more overestimated than quantile fixed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unobserved heteroskedesticity. In other words, firm growth and firm estimates in t-1 record are reported to be -0.0741 and -0.0612 in the 90th quantile in pooled quantile regressions, respectively. Meanwhile, in quantile fixed effect regressions, the firm growth and a firm estimates are -0.0876 and -0.152, respectively, representing reductions of 18.2% and 148.4% each. Overall, estimates of internal financing and external financing are 0.286 and 0.0847, respectively in the 90th quantile of pooled quantile fixed effect regressions. In addition to it, in quantile fixed effect regressions such estimates reach 0.244 and 0.0736, down by 14.7% and 13.1%, respectively. In general, final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we use number of employees or sales, based on firm size. 기업성장에 관한 기존 연구에 대해 이론적인 측면에서 현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이론적 체계의 구축보다는 실증분석을 통한 기업성장의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최근 기업에 대한 패널 데이터가 구축되어 이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용 가능한 기업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기업성장의 특성과 결정요인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1장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업의 수익성이 미래 기업규모의 성장률 증가에 동력으로 작용하는가’, 그리고 ‘현재의 기업규모의 높은 증가율이 미래 기업의 수익성 증가로 이어지는가’를 제조업 전체와 기술 수준별 및 기업 규모별로 나누어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000∼2007년까지의 광업제조업조사 자료를 패널화하여 연립GMM방법으로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전기의 수익성이 금기의 기업 성장의 동력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전기의 성장이 금기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지는 소위 펜로즈 효과가 우리나라 제조업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특히 저기술 업종 및 소규모 사업체에서 펜로즈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장에서는 신규 상장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인 2000∼2002년까지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기업들을 처리군으로 하고 상장요건을 갖추었지만 상장을 하지 않은 외감법인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장(t+0) 이후 장기적인 경영실적의 평균처리효과를 살펴보았다. 추정결과 t+5기를 넘어서도 총자산순이익률의 평균처리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상장 침체기인 2003∼2006년간 신규 상장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t+5기까지의 상장기업의 장기성과에 대한 분석에서도 상장 호황기인 2000∼2002년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기업들이 상장을 하는 이유로 제시되는 시장적기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고, 상장 초기 전문 경영인들이 단기적인 수익성만 집착하여 장기적인 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이 감소한다는 가설도 간접적으로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2000∼2010년 동안 우리나라의 매출액 30억원 이상 1조원 미만인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규모의 성장률 분포가 기업규모 기준에 관계없이 라플라스분포보다 꼬리가 두꺼운 결과를 얻었다. 한편,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업규모 성장률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Gibrat's law가 기각되었다. 다른 한편, Pooled 분위회귀분석이 관찰되지 않은 기업의 개별성을 고려한 분위고정회귀분석보다 과도추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전기의 기업규모 성장률과 기업규모의 추정치는 Pooled 분위회귀분석의 90%분위에서 각각 -0.0741과 -0.0612를 기록한 반면, 분위회귀분석에서는 -0.0876과 -0.152로 각각 18.2%, 148.4%가 감소하였다. 또한, 전기의 내부자금과 외부자금의 추정치는 Pooled 분위회귀분석의 90%분위에서 각각 0.286과 0.0847를 기록한 반면, 분위회귀분석에서는 0.244와 0.0736으로 각각 14.7%, 13.1%가 감소하였다. 아울러, 종업원수와 매출액 등 기업규모 기준으로 어느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기업규모 결정 요인의 크기 등 그 결과가 다소 상이함을 볼 수 있었다.

      • 규모의 경제 추정을 통한 종합유선방송산업 수평결합의 효율성 분석 : Fourier & spline function을 중심으로

        김정민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의 규모의 경제 추정을 바탕으로, 효율성 향상을 위한 수평결합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다채널유료방송 시장에서 SO들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유료방송 플랫폼산업은 사업자 간 비대칭적 규제 하에 경쟁하고 있는 시장이었으나, 2013년 현재 동일시장·동일규제 원칙에 따라 유료방송시장 점유율 통합규제에 관한 법안이 발의 되어있는 상황이다. 특히 동일규제 원칙하에 SO사업자에 대한 권역수 1/3 초과금지 규제가 폐지될 경우, MSO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수평결합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전개될 SO사업자들의 수평결합이 플랫폼 산업 및 다채널 유료방송 산업에 미칠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0-2012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의 자료를 이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추정하였으며, Fourier 와 Spline 비용함수를 통해 Translog 비용함수를 이용한 추정결과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비용함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우리나라 종합유선방송 산업은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가지 비용함수 모두 대규모 사업자에서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선방송 시장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MSO사업자들도 수평결합을 통해 추가적인 효율성 증대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되어졌다. 또한 유연한 함수형태(globally flexible functional form)를 가진 Fourier와 Spline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추정한 평균비용곡선은 Translog 비용함수와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Fourier 비용함수를 이용한 규모의 경제 추정결과 전 구간에서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비용곡선은 Translog 비용함수의 평균비용곡선과 다르게 소규모 사업자에서 평균비용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Spline비용함수는 Translog 비용함수와 규모의 경제 및 평균비용곡선 모두에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Spline비용함수는 중규모 사업자에서 규모의 비경제가 존재하고 평균비용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Translog 비용함수의 함수적 제약으로 인해 분석하지 못하는 부분을 Fourier와 Spline함수의 유연한 함수적 특성을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라고 분석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feasibility of horizontal integration among System Operators(SO) on the basis of measuring economies of scale and proposes a wa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O in Paid cable TV industry. Pay-TV platform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market where operators in the industry are competed under asymmetric regulation. However, in 2013, a consolidated regulation bills for market share are proposed based on a ‘Same market, Same regulation” principl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Multiple System Operator(MSO)s will actively lead horizontal integration, if a business district restriction is abo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same regulation principle. Therefore, this research measures economies of scale by using a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s survey data to analyze a ripple effect on the cable TV industry after horizontal integration. In addition, Fourier & Spline cost functions are used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Trasnlog cost func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economies of scale in cable TV industry is clearly existing, although some differences were derived based on the cost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istence of the economies of scale in large-scale corporations, MSOs, which occupy the greater part of cable TV industry, are expected to improve efficiency by merging with other SO. Also, average cost curves measured by Fourier and Spline cost function, which are globally flexible functional form, are different from Translog cost functions. The average cost computed from Fourier cost function increased in the area of small scale operators, which led to different conclusion compared to Translog cost function. On the other hand, both economies of scale and AC curve, estimated by Spline cost function, have different results from Translog c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estimation measured from Spline cost function, the diseconomies of scale and the average cost acceleration are reported in medium-scale operators. These results can be estimated by globally flexible property of Fourier and Spline function, which functions complement of the Tranlsog Function’s limitation.

      • Do new media substitute for old media? : A panel analysis of daily media use

        장신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개인의 시간대별 미디어 이용행태를 기록한 미디어다이어리 자료를 이용해 미디어 간 이용자 대체 또는 보완관계를 추정한다. 개인 특유의 미디어 이용 경향으로 인한 추정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패널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 인쇄, TV, 컴퓨터 간에는 유의한 대체관계가 나타난 반면 전화와 컴퓨터 이용 간에는 보완관계가 발견되었다. 미디어(기기)를 보유한 표본만으로 동일한 추정을 한 결과 미디어 간 대체·보완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특정 목적 하에서 대체관계를 분석한 결과 더 적은 종류의 미디어 간에 대체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지상파·지상파TV 실시간 시청행위 하에서는 TV와 컴퓨터, 영화·동영상 시청행위 하에서는 컴퓨터·촬영기기와 비디오기기, 신문기사읽기행위 하에서는 종이매체와 컴퓨터, 마지막으로 정보콘텐츠 이용행위 하에서는 컴퓨터와 전화기가 대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user substitutability and complementarity of media by using media diary data on the media use of individuals over the course of three days. Fixed effects panel data models allow us to eliminate possible bias due to individual-specific media use propensity. We observe significant substitution among paper, television and computer use, while telephone and computer use seem to be complementary in time of use. The magnitudes of substitutability and complementarity become larger if we control for subscriptions or the possession of media devices. For specific actions and purposes of use, there is substitutability within a smaller set of media. Televisions and computers exhibit substitutability for `watching real-time television,' computers and cameras act as substitutes for video devices for `viewing movies/videos,' paper and computers exhibit substitutability for `reading news articles,' and computers and telephones substitute for one another in `using informative content.'

      •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교섭력이 자녀의 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소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교섭력의 분배가 자녀의 학교 진학률과 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FLS(Indonesian Family Life Survey 1997)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아내와 남편 간의 가정 내 교섭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구성했다. 추정결과, 아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가정은 자녀의 교육에 더 많은 돈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내와 남편의 상대적 교섭력이 통제되면 아내의 소득이 가지는 한계효과가 작아짐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아내의 교섭력이 작으면 아내의 소득증대가 가지는 효과도 제한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분석은 가정 내에서의 자원을 여성이 통제함으로써 여성의 교섭력이 향상되면 가정의 소득증대가 갖는 효과가 배가될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그러나 교섭력의 중요한 의미가 근저에 있다면 결국 여성의 교섭력을 변화시키지 않고서 단순히 소득을 여성에게 주는 것은 우리가 기대하는 만큼의 개발 효과를 낳지 못할 것이다. In this studyThis study aimed at learning the causal effects of bargaining power distribution of a household on the college entrance rate and educational expenses of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made an index to directly measure the bargaining power between a mother and a father in a household by using IFLS(Indonesian Family Life Survey 1997) survey data. Our study suggested that the bigger a woman had bargaining power the more the household spent educational expenses. In addition, when we controlled the relative bargaining power of a father and a mother, the limiting effect of income of a woman decreased. In other words, if a woman has small bargaining power, the effect of increase in the income of a woman is limited. Our study connoted that the effect of increase in the income of a household could be doubled if a woman in a household commands the resources of the household. However, we can’t get the effect of development as much as we expect if we simply give income to a woman, but do not change the bargaining power of a woman.

      •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effect of long-term glycemic exposure and the development of dementia

        조선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Ⅰ. 연구배경 기존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T2DM)과 치매 발병의 관련성이 보고 되었으며, 당뇨병을 관리하는 것이 치매 발병을 낮추는 것이 치매의 전반적인 위험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당뇨병을 어떻게 관리해야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는지, 어떤 HbA1c 값으로 얼마나 오랫 동안 노출되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당뇨병 이환 기간과 장기적인 HbA1c 값을 분석하는 포괄적인 연구의 부족때문이다. HbA1c의 단일 시점 측정 값으로만 분석하게 되면, 장기적인 혈당 변화와 누적 효과를 과소 평가하거나 과대 평가할 수 있다. 그동안 HbA1c 노출의 장기적인 누적 효과를 기반으로 치매의 발달을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장기적인 혈당 노출의 누적 효과에 따라 치매 발병 위험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005년 11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 사이에 한국 세브란스 병원의 전자 의료 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자 의료 기록에서 확인된 2형 당뇨병 환자 20,48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포함할 환자는 등록 시점에 치매가 없는 50세 이상의 남녀로 HbA1c 검사를 2회 이상 실시하고 세브란스병원에서 처음으로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사람으로 정하였다. 2형 당뇨병 환자의 장기 혈당 노출을 평가하는 데 두가지 측정 지표가 사용되었다. 장기간 혈당 노출의 척도인 누적 HbA1c (AUCHbA1c)와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HbA1c (HbA1cavg) 을 치매의 발병과 치매에 걸리는 시간에 대해 비교했다. 평가 변수로는 첫째 치매의 발병 여부로 EMR 데이터베이스의 첫 번째 치매 진단 기록을 기반으로 했다. 둘째 평가변수는 치매 발병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당뇨병의 첫 진단부터 치매의 첫 진단 날짜까지의 기간으로 정의했다. 우선 연구 대상 피험자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치매발병 유무를 기준으로 나누어 연속변수는 t-검정 (t-test)와 분산분석 (ANOVA (Analysis of variance)) 검정, 범주변수는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여 연구대상 환자의 특성과 장기적인 혈당 노출량을 분석하였다. . 장기적인 혈당 노출의 패턴은 궤적 분석을 통해 16년 동안 HbA1c 변화의 패턴을 그룹화하여 조사했다. 치매 발병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HbA1cavg를 기반으로 다양한 그룹의 혈당 노출 수준의 위험비 (Hazard Ratio)를 추정하였다. 변수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를 고려하는 Cox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치매가 발생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사이에 HbA1cavg와 AUCHbA1c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HbA1cavg=7.2%, AUCHbA1c=28%Year에서 부터 값을 올려가며 컷오프 수준을 추정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의 통계적 견고성을 평가하기 위해 몇 가지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다. HbA1cavg 및 AUCHbA1c가 당뇨병의 첫 진단에서 치매 발병까지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 기간과 공변량으로 보정한 다변량 선형 회귀 분석이 수행되었다. Ⅲ. 연구결과 연구대상 20,487명의 2형 당뇨병 환자 중 [남성, 54.3%; 평균 기준 연령, 71.7 (SD 10.1)세], 추적 관찰 기간 동안 5.2% (N = 1,072)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남성, 526; 평균 연령, 79.7 (SD 8.0)세]. AUCHbA1c와 HbA1cavg는 치매가 발병하지 않은 환자보다 이후에 치매가 발병한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AUCHbA1c: 56.2 ± 26.4 vs. 52.1 ± 26.1 %Year; HbA1cavg: 7.3 ± 1.0 vs. 7.0 ± 1.0 %). 치매 발병에 대한 연령 요인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환자를 5세 연령 간격으로 계층화한 분석도 시행했다. AUCHbA1c와 HbA1cavg는 60세 이상 치매환자에서 높았고, 60세 미만 치매환자에서 낮았다. 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한 Cox 회귀 분석과 Kaplan–Meier 그래프에서 HbA1cavg 수치가 7.0% (53mmol/mol) 미만인 그룹에 비해 HbA1cavg 수치가 7.0% (53mmol/mol) 이상인 그룹에서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HbA1cavg <7.0 그룹에 비해 7.0≤ HbA1cavg <8.0 그룹에서 위험이 28% 증가했다 (HR: 1.28, 95% CI: 1.04–1.55). 또한 8.0≤ HbA1cavg <9.0에서는 위험이 79% 증가했고 (HR: 1.79, 95% CI: 1.24–2.58), 9.0≤ HbA1cavg <10.0에서는 위험이 181% 증가했다 (HR: 2.81, 95% CI: 1.57–5.05). 10.0≤ HbA1cavg 그룹의 경우 위험이 288% 증가했다 (HR: 3.88, 95% CI: 1.74–8.61). HbA1cavg가 1% 증가함에 따라 치매 발병 확률이 43%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나이, 동반질환, 당뇨병 유병기간, 치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슐린 치료 등을 고려한 민감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민감도 분석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역인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5년 미만의 제2형 당뇨병 및 5년 미만의 발병 치매를 가진 그룹을 제외시킨 민감도 분석도 시행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HbA1cavg 가 1% 증가할 때 치매의 발병 확률이 47-59% 증가하였다. 치매 발병 확률은 HbA1cavg 가 7.2% (55mmol/mol) 이상일 때, AUCHbA1c가 42%Year (예 : HbA1c 7.0% 으로 6년 유지) 이상일 때 증가했다. 치매가 발생한 사람 중 HbA1cavg가 증가할수록 치매 발병까지의 시간은 감소하였다 (β = -380.6일, 95% 신뢰구간[CI]: -416.2~-345.0). Ⅳ. 고찰 이 연구는 혈당 기억 (glycemic memory) 의 맥락에서 2형 당뇨병 환자의 장기 혈당 노출의 누적 효과와 치매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첫 번째 코호트 연구이다. 이 연구는 몇 가지 강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치매 발병에 대한 장기 혈당 노출 (평균 HbA1c 및 누적 HbA1c 측면에서 측정)을 사용하여 관련성을 밝히는 새로운 연구였다. 둘째, 본 연구는 고혈당을 잘 조절하면 치매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환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셋째, 연구 데이터베이스에 병원에서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통제하는 결과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적 단일 측정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종단적 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우리는 역인과성 편향을 주의 깊게 설명하고 연령, 인슐린 치료 및 동반 질환 진단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으며, 그 결과는 우리의 주요 연구 결과의 견고성을 뒷받침했다.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계점도 있다. 첫째, 환자의 사회경제적 상태, 흡연여부, 음주, 신체활동, 식이섭취 등에 대한 정보가 일관되게 수집되지 않아 분석할 수 없었다. 둘째, 발병 시점보다는 진단 시점을 관찰할 수 밖에 없는 점이다. 셋째, 2형 당뇨병 환자의 상당 부분이 실제로 현재 연구에서 구별할 수 없는 당뇨병 유형인 성인 잠복성 자가면역 당뇨병 (LADA)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서 모든 변수를 통제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잘 통제된 전향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연관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잘 조절되지 않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AUCHbA1c 및 HbA1cavg로 측정된 값으로 치매 발병 위험 증가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누적 혈당 노출 값이 높을수록 더 짧은 기간 안에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a relationship between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dementia,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diabetes management in dementia risk reduction. However, no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long-term glycemic exposure on dementia risk; hence, it remains unclear how diabetes control, expressed via optimal HbA1c levels and exposure duration, specifically affects dementia risk. Single-time-point HbA1c measurements do not adequately reflect glycemic changes and cumulative effects over time, and hence can potentially lead to under- or overestimation of the long-term effect of glycemic exposure on dementia risk. Consequent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dementia based on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long-term cumulative effects of HbA1c exposur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cumulative effect of long-term glycemic exposure on the development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T2DM. Methods Between November 1, 2005 and June 30, 2021,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by identify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of 20,487 patients with T2DM at Severance Hospital, Korea. We included patients (men and women) aged at least 50 years, without dementia at baseline, who underwent at least two HbA1c tests, and who were newly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Two quantitative measures were used to evaluate long-term glycemic exposure: cumulative HbA1c level (AUCHbA1c) and mean HbA1c level over time (HbA1cavg). These variable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dementia and time to dementia. The primary outcome was the development of dementia, defined as the first dementia diagnosis recorded in the EMR database. The secondary outcome was the time to dementia onset, defined as the duration from the first diabetes diagnosis to the date of the first dementia diagnosis.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glycemic exposure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the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with the occurrence or non-occurrence of dementia as the stratification variable. Trajectory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istinct patterns of HbA1c change over the 16-year study period. To assess the risk of dementia, Cox regression with time-varying effect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hazard ratios (HR) of the different groups with glycemic exposure based on HbA1cavg levels. Additionally, multivariate log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HbA1cavg (from 7.2% and above) and AUCHbA1c (from 28%*Year and above) levels required to produ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ho developed dementia or not. Several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robustness of our finding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bA1cavg and AUCHbA1c values on the time to dementia onset from the first diabetes diagnosi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was performed with adjustment for the duration of follow-up of HbA1c levels and covaria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TATA (version 17.0; Stata Corporation LLC, College Station, TX, USA). Results Among the 20,487 eligible patients with T2DM (men, 54.3%; mean baseline age, 71.7 [SD 10.1] years), 5.2% (N = 1,072) developed dementia during the follow-up period (men, 526; mean age, 79.7 [SD 8.0] years). AUCHbA1c and HbA1cavg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developed dementia than in those who did not (AUCHbA1c: 56.2 ± 26.4 vs. 52.1 ± 26.1 %Year; HbA1cavg: 7.3 ± 1.0 vs. 7.0 ± 1.0%).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ge in the development of dementia, patients were stratified by age (5-year intervals) for further analysis. In patients who developed dementia, the AUCHbA1c and HbA1cavg levels were higher in those aged ≥ 60 years, but lower in those aged < 60 years. The time-varying Cox regression and a Kaplan–Meier curves showed an increase in dementia risk in HbA1cavg ≥ 7.0% (53 mmol/mol) group, compared with HbA1cavg < 7.0% (53 mmol/mol) group. Moreover, compared with the HbA1cavg 7.0% group, dementia risk increased by 28% (adjusted HR: 1.28, 95% CI: 1.04–1.55), 79% (adjusted HR: 1.79, 95% CI: 1.24–2.58), 181% (adjusted HR: 2.81, 95% CI: 1.57–5.05), and 288% (adjusted HR: 3.88, 95% CI: 1.74–8.61) in the 7.0% ≤ HbA1cavg < 8.0%, 8.0% ≤ HbA1cavg < 9.0%, 9.0% ≤ HbA1cavg < 10.0%, and HbA1cavg ≥ 10.0% groups, respectively. A 1% increase in HbA1cavg level increased the odds ratio of developing dementia 43%. To evaluate this tendency,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age, comorbidities, diabetes duration, and insulin treatment, which may affect dementia occurrence. This analysis revealed a trend similar to that observed in of the previous analysis.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reverse causality by excluding the group with T2DM duration < 5 years and dementia duration < 5 years. The risk of dementia increased by 47–59% when HbA1cavg increased by 1% in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odds ratio of dementia increased when HbA1cavg and AUCHbA1c values were ≥ 7.2% (55 mmol/mol) and ≥ 42%*Year (e.g., HbA1c level 7.0% maintained for 6 years), respectively. Among patients who developed dementia, an increase in HbA1cavg decreased the time to dementia onset (β = -380.6 days, 95% CI: -416.2 to -345.0). Discuss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ohort study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umulative effect of long-term glycemic exposure and the development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T2DM, in the context of glycemic memory. This study has several strengths. First, this study provides relevant and novel findings regarding the effect of long-term glycemic exposure (measured in terms of average and cumulative HbA1c levels) on the development of dementia. Second, our findings can be used to educate patients on the possibility of dementia risk reduction –via adequate glycemic control. Third, our study database contained results collected and controlled regularly from the hospital; hence,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effects without cross-sectional single-point effects. Lastly, reverse causality bias was carefully accounted for, and multiple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clude confounders such as age, insulin treatment, and comorbidities, thereby enhancing the robustness of our main finding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data on the patient socioeconomic status,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intake were not collected consistently, and thus could not be analyzed. Second, we evaluated the time of diagnosis rather than the time of onset. Thir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patients with T2DM might have been affected by 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 a type of diabetes that could not be distinguished in this study. Finally,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retrospective, and therefore none of the variables could be controlled for.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se associations via well-controlled prospective designs.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poorly controlled T2DM (expressed AUCHbA1c and HbA1cavg level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dementia risk. A higher cumulative glycemic exposure may accelerate the onset of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