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열대 서태평양 상층 열수지와 엘니뇨 전조 기작

        김형보 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엘니뇨 예측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 전조 현상으로서의 엘니뇨 최고조 1년 전 열대 서태평양 웜풀 상층(5oS-5oN, 130o–160oE, 0-250m) 양의 수온 이상치 발생 원인 규명을 위해 열수지 분석과 cyclostationary 경험 직교 함수(CSEOF) 분석을 수행하였다. CSEOF 분석 결과로 열대 서태평양 웜풀 상층 수온 자료를 재구성한 결과, 지구온난화 모드(제 1모드)와 저주파 변동 모드(제 2모드)에서는 위와 같은 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았지만 경년 진동 모드(제 3모드)에서 엘니뇨 발생 약 1년 전 양의 수온 이상치를 보였다. 경년 진동 모드에서 양의 수온 이상치가 나타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바람응력, 열수지 분석항들(열 저장률, 표층 순 열속, 그리고 열 이류)을 경년 진동 모드로서 재구성했다. 이로부터 엘니뇨 발생 약 1년 전 서태평양 웜풀 해역 상층 양의 수온 이상치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경년 변동 모드에 의한 동풍과 침강하는 표층 고온수에 의한 열 저장률 증가를 제시할 수 있었다.

      • 한반도 주변 해수 물리적 특성의 장기(1995-2021년) 변화

        김대홍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반도 인근 해역 해수의 물리적 특성은 시공간적으로 크게 변동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기후, 생태, 수산적으로 중요하나, 관련 연구에도 불구하고 해역 간 상호연계된 변동성에 대한 이해는 국지적으로 국한되어 왔다. 특히, 한반도 인근 해역 해수의 물리적 특성이 동해 상층 500 m의 열함량(ocean heat content; OHC) 변동과 어떤 양상으로 연계되어 있는지는 잘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과거 27년 동안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 연 4~6회 수집된 국립해양조사원의 정선해양관측 상층 500 m 수온 및 염분의 비계절 변동 성분 자료를 1년 nested period의 Cyclosta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CSEOF) 모드 분석하여 이러한 연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 변수는 동해 상층 500 m OHC로 선정하였고, 수온 및 염분 분석 결과들을 주 변수 Principal Component Time Series (PCT)에 회귀분석하여 연계된 변동 양상을 조사하였다. 동해 상층 500 m OHC를 약 32% 설명하는 제1모드의 PCT는 전체 기간 동안 증가하는 장기 상승 추세를 보였다. 이와 연계된 수온의 공간 분포는 전 해역 모든 수심에서 계절에 무관한 온난화 추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염분의 공간 분포는 해역과 수심에 따라 고염화 또는 저염화 추세가 나타났다. 특히 가을철에 강하게 나타나는 동해안 수심 150 m 부근 고온고염화 추세와 제주도 남서쪽 상층 30 m 저염화 추세는 울릉도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강한 해수면 높이 상승 추세와 이에 따른 동해안 해역의 시계방향 순환 구조 강화 그리고 동해와 동중국해 해역 바람에 의한 에크만 수송과 연계되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전 세계 해역 중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해역인 한반도 인근 해역 간의 연계된 해수의 물리적 특성 공간 패턴을 확인하고 이러한 공간 패턴의 기인을 제시하였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awat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luctuate significantly in space and time, and understanding them is important for climate, ecology, and fisheries, but despite relevant research,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connected variability between regions has been limited to localized regions. In particular, how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awat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to ocean heat content (OHC) variability in the upper 500 m of the East Sea is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non-seasonal variability components of the upper 500 m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llected four to six times per year in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over the past 27 years, by analyzing the Cyclosta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CSEOF) mode with a one-year nested period. The target variable was selected as the upper 500 m OHC of the East Sea, and the resul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regressed on the target variable Principal Component Time Series (PCT) to investigate the linked fluctuation patterns. The first-mode PCT, which explains about 32% of the upper 500 m OHC in the East Sea, showed an increasing long-term trend over the period. The associated spati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showed a pronounced seasonal warming trend at all depth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alinity showed either an increasing or decreasing salinity trend depending on the region and depth. The high warming and salinification trend near 150 m off the east coast, especially strong in autumn, and the decreasing salinity trend in the upper 30 m southwest of Jeju Island were associated with a strong sea-level rise trend centered on Ulleung Island and a corresponding strengthening of the clockwis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East Sea and Ekman transport by winds in the East Sea and the East China Sea. This study identifies spatial pattern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awater and suggests the origin of these spatial patterns, which are linked to one of the fastest changing regions of the world's oceans, the waters near the Korean Peninsula.

      • Decadal changes in transpor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ep waters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East Sea

        이호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동해 자오면 순환 경로의 주요 길목 중 하나인 독도와 울릉도 사이의 심층 수송 통로인 울릉해저간극에서의 남북 방향 심층 수송량과 심층 해수의 물리적 특성 변화는 동해 전체 자오면 순환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울릉해저간극의 서쪽 해역은 해저지형효과에 의한 심층 순환 경로를 고려했을 때 일분 분지로부터 울릉 분지로 유입하는 심층 수송량의 변화를 살펴보기에 매우 적합한 해역이다. 이 연구에서는 울릉해저간극 서쪽 해역의 1500m부터 2300m 수심 범위에서 심층 해수의 남북 방향 수송량과 일본 분지, 울릉 분지, 울릉해저간극에서 동해 심층 해수의 경계 수심과 물리적 특성의 10년 규모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19년까지 울릉해저간극에서 수집된 아표층 계류 유속 자료와 1993년부터 2019년까지 일본 분지, 울릉 분지, 울릉해저간극에서 수집된 물리적 특성을 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1997년부터 2019년까지의 울릉해저간극 서쪽 해역의 수송량은 2002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울릉해저간극에서 5개의 아표층 계류 유속 자료로 구한 울릉해저간극 서쪽 해역의 심층 수송량과 1997년부터 2019년까지 울릉해저간극의 한 가운데 위치한 EC1 정점에서의 수심 1800m 유속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계산하였다. 울릉해저간극 서쪽 해역을 통해 일본 분지에서 울릉 분지로 수송되는 심층 해수 수송량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수송되는 심층 해수는 심층 해수의 경계 수심인 심해염분최소층과 해저균질층상부수심 변화를 통해 2000년대까지는 심층수로만 구성되어 있던 반면, 2010년대는 중앙수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 분지, 울릉 분지, 울릉해저간극의 심층 온위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로의 증가보다 2000년대에서 2010년대로의 증가가 2배 높아 심층 해수의 온난화가 최근 더욱 가속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심층 해수의 염분은 19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증가한 후 2010년대에 다시 감소하였고, 염분 효과에 의해 2000년대 심층 해수의 밀도는 증가 후 2010년대 다시 감소하였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1500m에서 2300m 수심 범위에서의 심층 순환 강화는 일본 분지에서 울릉 분지로 뿐만 아니라 울릉 분지에서 야마토 분지로, 그리고 야마토 분지에서 일본 분지로까지 강화될 수 있고, 해당 수심 범위에서 심층수의 비율은 감소하고 중앙수의 비율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저층수 생성과는 별개로 중앙수 생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향후 동해 자오면 순환이 저층수 생성에 의한 단일 순환보다는 이중 순환 또는 그 이상의 복잡한 순환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ong-term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ep waters and the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through the Ulleung Interplain Gap (UIG), which is a unique passageway for exchanges in deep waters (>1500 m) between the Japan Basin to Ulleung Basin,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long-term changes in the East Sea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In particular, the western part of the UIG is very suitable for examining the change in the deep water transports from the Japan Basin to the Ulleung Basin considering the path of the deep and abyssal circulation due to the bottom topographic effect. The boundary depth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ep water masses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UIG), the Ulleung Basin, and the Japan Basin, as well as the meridional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from 1500 m to 2300 m, were all examined in this stud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surface moored current meter data collected at the UIG from 1997 to 2019 and hydrographic data collected from the Japan Basin, Ulleung Basin, and the UIG from 1993 to 2019. The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from 1500 m to 2300 m through the western UIG from 1997 to 2019 were obtained by correlating the along-channel current component at 1800 m at EC1 from 1997 to 2019 with the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from 1500 m to 2300 m through the western UIG from November 2002 to April 2004 obtained from five subsurface moored current meter data. The equatorward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from 1500 m to 2300 m through the western UIG continued to increase from the late 1990s to the 2010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deep water transported from 1500 m to 2300 m through the western UIG was composed of the Deep Water until 2000s, but the portion of the Central Water was increasing in the 2010s based on the changes in deep salinity minimum (boundary between CW and DW) and upper boundary homogeneous layer (boundary between DW and BW). Considering that the portion of the CW increases not only in UIG but also in the Japan Basin, it is believed to related to the increase in CW formation and the increase in equatorward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from 1500 m to 2300 m through the western UIG.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relationship with the volume transports of the deep waters from 1500 m to 2300 m through the western UIG through additional studies such as quantitative CW formation estimation. Deep water warming has recently intensified, as evidenced by the potential temperature of the deep waters in the Japan Basin, Ulleung Basin, and the UIG being twice as high from the 2000s to the 2010s as it was from the 1990s to the 2000s. On the other hand, it was established that the potential density of the deep waters increased in the 2000s due to the salinity effect and reduced once more in the 2010s, as well as that the salinity of the deep water increased from the 1990s to the 2000s and decreased again. Not only from the Japan Basin to the Ulleung Basin, but also from the Ulleung Basin to the Yamato Basin and from the Yamato Basin to the Japan Basin, the deep and abyssal circulation can be strengthened from 1500 m to 2300 m form the 1990s to the 2010s, which suggests that the amount of the Deep Water in the depth range may have decreased and the amount of the Central Water may have increased. The fact that CW formation is strengthening independently of BW development further indicates that the future East Sea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may evolve into a double circulation or a more complicated circulation than a single circulation.

      • A study on processes underlying short-term sea level fluctuations affecting estimation of the long-term rate of sea level ris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ith an emphasis on the coastal-trapped waves and tidal waves

        이경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a condition of the accelerating global sea level rise due to climate change, accurate evaluation of long-term rates of sea level rise at a regional scale which often deviates from the global mean, is of increasing importance for prompt response and better adaptation. Due to the complexity among many coastal processes, the accurate estimation of the long-term rate of sea level rise is a difficult task in the coastal regions. In this study, the processes underlying short-term sea level fluctuations affecting the estimation of long-term rates of sea level rise are examined focusing on two processes, namely coastal-trapped waves and tidal wav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here such coastal processes are energetic. The wind-forced coastal trapped wave (CTW) theory often accounts for subtidal (a period band of 3–20 days) sea level fluctuations observed off global coasts with a considerable range of propagation speeds. Here, the propagation speeds of subtidal sea level fluctuations observed at seven coastal tide-gauge st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P) from 1997 to 2017 were compared with phase speeds modeled for 10 segments of realistic bottom topography around the KP and four seasons of density stratification using the wind-forced CTW model. Alongshore variations in the modeled phase speed (2.0–10.0 m s-1, increasing with the bottom depth, shelf width, and vertical density difference)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observed propagation speed (4.7–18.9 m s-1), despite systematic underestimation by 50%, i.e., mean speed of 6.0 vs 11.8 m s-1. This underestimation is discussed considering subtidal sea level fluctuations of non-CTW origin and not incorporated into the CTW model, such as 1) barometric sea level response to atmospheric pressure disturbances and 2) upwelling/downwelling response to local alongshore wind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at subtidal coastal sea level fluctuates around the KP within and beyond CTW dynamics. Satellite altimetry data have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the long-term rate of sea level rise, however, data collected in regions with strong tidal motions often suffer from significant aliasing effects unless they are sufficiently corrected using accurate ocean tide models. Long-term trends estimated from altimetry data are often also considerably affected by regional circulation changes, and by artificial effects arising from inconsistencies between different satellite missions. Here, we focused on two regions with high (>5 mm·yr-1) rates of long-term linear trend in sea level rise (LTSL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P). We addressed the impacts of tidal correction and mission inconsistency in satellite altimetry data, and discussed the potential impacts of circulation changes on LTSLR. Further, we employed eight ocean tide models to correct altimetry data, and validated the results against observations from 13 tide gauge (TG) stations around the KP. We also estimated LTSLR from 1993 to 2019 using annual mean sea level anomalies (SLAs) from two satellite (two-sat) and all 21 satellite (all-sat) missions, with corrections for ocean tides. The TPXO9 model showed the most reasonable spatial LTSLR rate pattern (~3 mm·yr-1), with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TG observations. Particularly, it performed best near the west coast, where the tidal range was the largest and when using two-sat data, because of inconsistencies in all-sat altimetry data. In contrast to the large LTSLR uncertainties deriving from significant tidal correction impacts and mission inconsistencies over the west coast of the KP, the high (~7 mm·yr-1) LTSLR rates predicted off the east coast were robust to ocean tide models and altimetry missions, potentially driven by long-term changes in regional circulation. Our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idal correction and mission inconsistency for improving LTSLR estimations around the KP. They als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regional sea level rise under changing circulation patterns, within and beyond the region. 기후 변화로 인하여 전 지구적으로 해수면이 더 빨리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신속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보다 나은 적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전 지구 평균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지역 규모의 장기적 해수면 상승률에 대해 정확한 평가를 내리는 일은 날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연안 프로세스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특히 연안 지역에서는 장기적인 해수면 상승률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안 프로세스들이 활발한 한반도 주변에서 연안갇힘파와 조석파, 두 과정을 중심으로 한반도 주변 장기 해수면 상승률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단기 해수면 변동 과정에 대해 다루었다. 전 세계 해안에서 관측된 조하 주기 대 (3–20일 주기 대) 해수면 변동은 보통 바람 강제력에 따른 연안갇힘파 이론에 의해 그 전파 속도의 상당한 부분이 설명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에서 2017년 까지 한반도 주변의 7개 연안 조위관측소에서 관측된 조하 주기 대 해수면 변동의 전파 속도(OPS)를, 10개 구간에서 실제 바닥 지형과 4계절 밀도 수직 성층 구조를 대입하여 바람 강제력에 의한 연안갇힘파 모델로부터 모의된 위상 속도(MPS)와 비교하였다. MPS (2.0–10.0 m s-1)는 50% 가량 전체적으로 작게 추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해안선 방향 변동은 바닥 수심, 대륙붕 너비 및 수직 밀도 차이에 따라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OPS (4.7–8.9 m s-1)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MPS의 과소 추정은 1) 대기압 변동에 따른 해수면 정압 반응 및 2) 국지적인 해안선 방향 바람 응력에 대한 용승/하강 반응과 같이, 연안갇힘파 모델에 포함되지 않는 비 연안갇힘파 기원의 조하 주기 대 해수면 변동을 고려하여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한반도 주변 조하 주기 대 해수면 변동이 연안갇힘파 이론뿐만 아니라, 다른 역학들에 의해서도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는 장기적인 해수면 상승률을 추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조석 신호가 강한 해역에서 관측된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는 정확한 해양 조석 모델을 사용하여 제대로 보정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에일리아징 효과로 인해 신뢰도를 보장받기 어렵다. 고도계 자료로부터 추정된 장기 추세는 종종 지역적인 순환의 변화나, 서로 다른 인공위성 임무들 간의 불일치에 기인한 인위적인 효과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에서 5 mm yr-1 이상의 높은 장기 선형 해수면 상승 추세를 보이는 두 해역에 초점을 맞추었다. 인공위성 고도계 데이터의 조석 보정 및 임무 불일치에 기인한 영향들을 다루었으며, 장기 해수면 상승률에 미치는 순환 패턴 변화의 잠재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고도계 자료에서 조석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 8개의 해양 조석 모델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보정 결과를 한반도 주변 13개 조위 관측소 관측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2-위성 (two-sat) 및 전 위성 (all-sat) 임무 기반 인공위성 고도계 궤도 자료에 대해 조석 효과를 보정 후, 각각 연평균 해수면 이상을 구해 이로부터 1993–2019년 기간 동안 장기 해수면 상승률을 추정하였다. TPXO9 모델이 조위 관측소 관측 결과와 비교 하여 가장 작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가장 타당한 장기 해수면 상승률 공간 분포 (~3 mm yr-1)를 보였다. 특히, 조차가 가장 큰 서해안에서 2-위성 기반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 임무 불일치 문제가 있는 전 위성 기반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한반도 서해안에서 추정된 장기 해수면 상승률의 경우 상당한 조석 보정 효과 및 임무 불일치에 기인한 높은 불확실성을 보이는데 비해, 동해 먼바다에서 추정된 높은 장기 해수면 상승률 (~7 mm yr-1)의 경우 여러 조석 모델이나 인공위성 고도계 임무와 관계없이 뚜렷하였으며, 이는 지역 순환 패턴의 장기적인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는 한반도 주변에서 더 나은 장기 해수면 상승률을 추정하기 위해서, 조석 보정 및 인공위성 고도계 임무 간 불일치와 관련된 이슈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본 결과는 지역 안팎으로 변화하는 순환 패턴에 따른 지역 해수면 상승률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큰 의의를 갖는다.

      •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nonlinear internal waves observe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이승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Oceanic nonlinear internal waves (NLIWs), which are closer to the period of buoyancy frequency than the period of inertial frequency, are ubiquitous in the stratified ocean,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 and redistribution of heat, energy, and matter. Turbulent mixing and changes in water structure caused by NLIWs have a profound effect on marine ecosystem disturbance, fishery formation, and refraction/reflection/scattering of underwater acoustic sign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LIWs and their effects,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NLIWs and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of wave property, generation, and propagation. In this study, I propose to develop methods of estimating the propagation speed and direction of NLIWs, to characterize of NLIWs observed from moored and underway observa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during spring 2015, and to discuss their generation and propagation. Propagation speed and direction of NLIWs are important parameters for understanding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waves, and ultimately clarifying regional ocean circulation. However, these parameters cannot be directly measured from in-situ instruments, but can only be estimated from post-processing in situ data. This study is suggested two methods and an optimal approach to estimate the propagation speed and direction of waves using underway and moored observations. The Doppler shift method estimates these parameters from apparent observations concerning a moving ship using the Doppler shift induced by the changing relative distance of the NLIWs from the moving ship. The time lag method estimates the parameters using the distance between two locations of the NLIW observed at different times and the time lag. To optimize the speed and direction of NLIWs, the difference in the propagation direction independently estimated by the two methods needs to be minimized concerning the optimal propagation speed to yield the optimal propagation direction. The methods were applied to two cases observe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May 2015 and August 2018.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are robust, as the range of propagation speeds is comparable to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theoretical propagation speeds estimated using historical hydrographic data, yielding an error of less than 15% for the propagation direction. Because in situ observations of NLIWs are still challenging to collect and propagation speed and direction cannot be directly measured from subsurface instruments, the proposed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pagation speed and direction of NLIWs using common underway and moored measurements is of practical importance, particularly over a broad shelf, such as the northern ECS, where the multi‐directional propagation of multi‐mode NLIWs from multiple sources is often observed. NLIW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circulation, marine biogeochemistry, energetics, underwater acoustics, among others; yet our understa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generation, and propagation are still far from complete in many seas, in particular ECS. This study is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NLIWs observed from moored and underway observation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during spring 2015, and discussed their generation and propagation. The NLIWs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 are characterized with an amplitude ranging from 4 to 16 m, characteristic width ranging from 380 to 600 m, which propagated southwestward with a speed of 0.64–0.72 m/s. Groups of NLIWs were dominantly observed during or a couple of days after the period of spring tides with a time interval 24–96 minutes shorter than the canonical semidiurnal period (12.42 h; M2) in contrast to those found in many other regions with a phase locking to the barotropic semidiurnal tides. The remot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the mode-1 NLIWs from potential generation sites into the experimental area under time-varying stratification support the time interval departed from the semidiurnal period. The results have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turbulent mixing and regional circulation in regions where the shelf is broad and shallow. The NLIWs generated from multiple sources propagate in multiple directions and experience time-varying stratification 해양 비선형 단주기(관성주기보다 부력주기에 더 근접한 주기) 내부파(oceanic nonlinear internal waves)는 전 세계 곳곳의 성층화된 해양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열, 에너지, 물질 수송 및 재분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양 내부파로 인한 난류 혼합과 수층구조의 변동은 해양 생태계 교란, 어장형성 및 수중음향 신호의 굴절/반사/산란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해양 내부파와 해표면 파랑은 상호 작용하여 다양한 환경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와 그 영향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를 관측하고, 그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생성과 그 전파 과정의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 2015년 5월에 현장 관측 승선 조사를 통해 관측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전파 방향과 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관측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특성, 생성, 전파를 규명하였다. 현장 관측 승선 조사에서 수집된 이동형 관측과 계류 관측을 통해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전파 속도와 전파 방향을 추정하였다. 도플러 이동 방법(Doppler Shift method)은 이동하는 선박(관측장비)으로부터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상대적 거리 변화에 의해 유도된 도플러 이동을 사용하여 내부파의 전파 방향을 추정한다. 시간 차이 방법(Time lag method)은 서로 다른 시간에 다른 위치에서 관측된 동일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를 두 위치의 거리와 시간 차이를 사용하여 내부파의 전파 방향을 추정한다. 두 방법으로부터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방향과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해 독립적으로 추정된 전파 방향의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 방법은 2015년 5월과 2018년 8월에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관측된 두 가지 승선 조사 사례에 적용하였다. 추정된 전파 속도는 2015년 5월에는 0.05 m/s 이하의 차이로 이론적 전파속도와 잘 일치하였고, 2018년 8월에는 0.25m/s의 차이를 보이며 이론적 전파속도와 일치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결과는 2006년 결과와 일치하며 이론적 결과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추정한 전파 방향을 인공위성에서 관측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와 비교한 결과 남서향의 전파로 잘 일치하였다. 이 연구는 동중국해 북부해역과 같이 넓은 대륙붕에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전파 속도와 방향을 현장 관측 승선 조사를 통해 추정하는 데 의의가 있다. 2015년 5월 14-28일 기간 동안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수집된 2기의 계류 관측 수온 시계열 자료, 1,064회의 UCTD 및 26회의 표준 CTD 프로파일링 관측 수온과 염분 자료를 분석하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수집된 MODIS 위성 영상과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을 통해 지난 40년간(1980-2019년)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수집한 표준 수심의 수온과 염분 자료를 분석하여, 봄철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 특성을 규명하고 그 생성 및 전파 과정을 토의하였다. 관측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는 4~16 m 의 진폭, 380~600 m 의 특성폭, 0.64~0.72 m/s의 전파 속도로 남서쪽 방향으로 전파하였다.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는 대조기 기간 또는 그 이후 며칠 동안 관측되었고, M2 조석 주기보다 24-96분 짧은 시간 간격으로 관측되었다. 2015년부터 2019년간의 93장의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최소 3개의 잠재적 생성지를 추정하고 내부 조석 힘으로부터 4개의 잠재적 생성지와 비교하였다. 이층 유체를 가정한 KdV 모델에 관측된 봄철 성층 조건을 적용하고, 수심의 함수로 전파속도를 추정하는 경험 모델의 결과와 비교하여 수심과 성층에 따라 증가하는 전파속도를 확인하였다. 이 경험 모델을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 적용하여 잠재적인 4개의 생성 해역으로부터 관측 해역으로의 내부파 전파를 분석한 결과, 후쿠시마 서부에서 생성되어 남서향 전파하며 관측해역에 도달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본 연구는 동중국해 북부해역 봄철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의 특성과 그 생성 및 전파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해수 및 생지화학적 순환, 수직 혼합, 수중 음전달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이 연구는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비선형 단주기 내부파를 처음으로 5월에 관측하여 특성화한 연구이며,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내부파 생성지와 전파를 포함하여 4개의 내부파의 생성지를 밝힌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성령 사역을 통한 타문화권 선교 : -인도 선교를 중심으로-

        김정옥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와사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대교회에 역사했던 초자연적 기적들이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는가? 인도인들은 모든 종교를 인정하는 다원주의적 신앙생활을 하고 있다. 따라서 예수그리스도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증거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필자가 성령 사역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게 된 것은 인도인들이 요구하는 것은 기도를 통해서 치유 받고자 하는 강력한 소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성령 사역을 통해 타문화권 선교를 효과적으로 하고자 함이다. 성령 사역이 많이 나타나는 사도행전에서 베드로, 스데반, 바울의 치유 사역을 고찰하였다. 그들은 치유 사역을 성령의 능력을 받음으로 초자연적 기적을 행하였다. 사도행전에 나타난 교회 성장 및 효과적인 선교 사역은 성령 충만을 받고 성령의 능력으로 행하였다. 따라서 오늘날도 성령의 능력으로 치유사역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맥가브란은 20세기 최고의 선교학자들 중의 한 사람이요, 열정과 비전의 사람이요, 교회 성장 운동의 아버지이다. 그는 1965년 풀러 신학교에 세계선교대학원을 설립하였으며 퍼터 와그너와 찰스 크래프트가 교수로 영입되었다. 필자가 이들 세 명의 선교학자들을 연구하게 된 동기는 모두 선교사의 경험이 있으며 그들은 선교 현장에서 성령 사역을 통해 복음이 잘 전파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맥가브란은 인도 선교사로 32년간 사역했으며 와그너는 볼리비아 선교사로 16년, 크래프트는 나이지리아에서 사역을 하였다. 필자는 남편과 함께 인도에서 교회개척을 하면서 치유사역을 하였으며, 학교 사역을 통해 학원 선교에 힘쓰고 있다.

      • Glacial meltwater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bserved in summer 2020 near and off the Pine Island and Thwaites ice shelves, West Antarctica

        김주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스웨이트 빙하는 기저 용융이 활발해지며 돌발 붕괴로까지 이어지는 경우 해수면 상승을 급가속화 할 우려 때문에 ‘운명의 날 빙하(Doomsday Glacier)’로 불리며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인근의 파인 아일랜드 빙붕(Pine Island Ice Shelf, PIIS) 하부에서 생성된 융빙수가 스웨이트 빙붕(Thwaites Ice Shelf, TIS)과 PIIS 사이에 위치하는 파인 아일랜드만(Pine Island Bay, PIB) 내 소용돌이 순환과 빙붕 하부로의 열 유입 수송량을 변화시켜 기저 용융률을 감소시키는 음의 피드백이 최근 보고됨에 따라 융빙수의 분포 및 그 분포를 지배하는 용융 기작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지연구소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에 승선하여 2020년 여름(1-2월) PIB 내 총 89개 정점에서 Conductivity-Temperature-Depth 및 Lowered-Acoustic-Doppler-Current-Profiler 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융빙수 분포 특성을 제시하고 그 주요 원인을 토의했다. 융빙수의 분율을 계산하기 위해 합성물 추적 방법(Composite tracer method)을 사용하였다(염분-용존 산소, 동계수: -1.8504 ℃, 34.1100 psu, 6.9624 ml/l; 환남극 심층수: 1.3206℃, 34.7750 psu, 4.2430 ml/l; 융빙수: -90.75 ℃, 0 psu, 28.46 ml/l). 융빙수 분포는 등밀도면을 가로지르는 혼합보다는 주로 등밀도면을 따르는 혼합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융빙수 분율은 각각 27.38과 27.50 kg/m3 두 개 등밀도면에서 가장 높은(> 12‰) 값이 나타났다. 파인 아일랜드 만 내의 반경 약 13-16km 규모의 소용돌이 순환에 의해 융빙수 분율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이 해역의 융빙수 분율은 파인 아일랜드 빙붕과 스웨이트 빙붕 모두로부터 기원한 융빙수의 영향을 받는다. 스웨이트 빙붕으로부터 흘러나와 27.50 kg/m3 등밀도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융빙수의 거리에 따른 감소 추세는 그 기울기가 파인 아일랜드의 두 경우보다 더 가파르게 나타났다. 파인 아일랜드 빙붕의 안쪽 부근에서부터 흘러나와 27.50 kg/m3 등밀도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융빙수의 경우는, 파인 아일랜드 빙붕의 바깥쪽 부근에서부터 흘러나와 27.38 kg/m3 등밀도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융빙수의 경우보다 더 작은 기울기를 나타냈다. 융빙수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물리적 기작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위해 다양한 시간 및 공간에 위치하는 융빙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waites Glacier is drawing attention because of the concerns that it will accelerate sea level rise if the basal melting becomes active and leads to an unexpected collapse of the glacier. However, the previous study of negative feedback that the meltwater generated from the nearby Pine Island Ice Shelf (PIIS) changes the ocean circulation of Pine Island Bay (PIB) to reduce the basal melt rate has revealed the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ocean circulation near the ice shelv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governing mechanisms of meltwat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bou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eltwater is investigated with in-situ data collected through Conductivity-Temperature-Depth (CTD) and Lowered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LADCP) from 89 stations in PIB in the summer of 2020 (January-February) aboard the Araon Research vessel of Korean Polar Research Institute. Composite tracer method have used to calculate the meltwater fraction (salinity –dissolved oxygen, Winter Water (WW): -1.8504 ℃, 34.1100 psu, 6.9624 ml/l; modified Circumpolar Deep Water (mCDW): 1.3206℃, 34.7750 psu, 4.2430 ml/l; meltwater (MW): -90.75 ℃, 0 psu, 28.46 ml/l). Meltwater distribution is primarily determined by isopycnal mixing rather than diapycnal mixing. High meltwater fractions are found along two isopycnals of 27.38 and 27.50 kg m-3. Meltwater-driven gyre circulation in PIB affect the meltwater distribution. And meltwater distribution in PIB is affected by the meltwater originating from PIIS and Thwaites Ice Shelf (TIS) both. Meltwater spreading along 27.50 kg m-3 isopycnal from TIS have steepest slope comparing to the two other cases from PIIS. Meltwater spreading along 27.50 kg m-3 isopycnal from inner part or PIIS have small gradient comparing to the trend of meltwater distribution along 27.38 kg m-3 isopycnal from outer part of PIIS. Future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deeply about the coverning physical mechanism on spatial distribution of meltwater by comparing the meltwater distribution in various times and various sea areas.

      • Effects of mesoscale circulation on internal wave enhancement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노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Oceanic internal wave frequency range from inertial frequency to buoyancy frequency are ubiquitous in the stratified rotating ocean. They are mainly generated by wind, tide and current, propagate away from generation site, and ultimately dissipate. The internal wave-driven mixing affects vertical transport of water, heat, and consequently contribute maintain the thermohaline circulation, marine ecosystem, and climate system. Near-inertial internal waves and internal tides are two types of low-frequency internal waves. Their interactions, interaction with mesoscale flow field, and resulting internal waves at higher frequencies beyond the near-inertial and tidal frequencies (continuum frequency waves) have rarely been reported despite its importance on ocean mixing and circulation of energy and materials.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enhancements of continuum frequency waves (CFWs) observ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and discuss causes for the enhanced CFWs in relation to near-inertial waves (NIWs), semidiurnal internal tides (SDITs), mesoscale flow fields, and their interactions (Chapter 2). The NIWs were amplified due to local surface wind forcing, significantly interacting with mesoscale strain via wave capture process. The SDITs were generated in a remote place and propagated into the observational site, largely depending on the mesoscale fields. The observational results suggest that the episodes of CFWs are results of enhanced NIWs or SDITs, or their wave-wave interaction, rather than locally generated lee-waves. In Chapter 2, it is highlighted that the significant impact of mesoscale circulation on the variability of internal waves from near-inertial to buoyancy frequencies through multiple pathways. The NIWs of typhoon origin under varying mesoscale circulation, especially Ulleung Warm Eddy (UWE), are investigated using damped slab model in Chapter 3. Without local passage of typhoon, the wind stress was favorable to generate NIWs since they lasted nearly local inertial period with clockwise rotation during Events 1–3. The extension and shrinking of UW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IW amplification by including or excluding the mooring site within the UWE. The wind-induced NIWs was trapped and effectively enhanced in the region of anticyclonic eddy (negative relative vorticity) due to the lowered effective Coriolis frequency. Intraseasonal (3–100 days) variations of near-inertial kinetic energy at 400m is analyzed using the 21-year-long time-series data from 2000 to 2020. In Chapter 4, considering the impact of mesoscale flows on NIWs, the rate of wind work, relative vorticity, total strain, Okubo-Weiss parameter are composited. Composite analysis reveals that the negative relative vorticity and positive Okubo-Weiss parameter (dominant total strain) imposed by mesoscale flow fields, rather than surface wind forcing, play a decisive role in enhancing NIW kinetic energy at 400 m to a degre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s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 This chapter reveals the NIWs below the surfaced mixed layer are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mesoscale flow fields varying on intraseasonal, interannual, and decadal as well as seasonal time scale. Statistical results on intraseasonal variations of semidiurnal kinetic energy at 400 m is presented in Chapter 5. The variations of semidiurnal kinetic energies are dominant at periods around 14, 28, and 56 days related to fortnight, sidereal month, and mesoscale circulations. When the characteristic slope matches the bottom slope at the northern slope of the Korea Strait, the intraseasonal variations of semidiurnal kinetic energies are higher than those of another period with 95 % significance. The generated SDIT propagates poleward interacting with mesoscale circul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significant impact of mesoscale circulation on the variability of NIWs, SDITs, and CFWs in intraseasonal, interannual, and decadal time scale. 내부파는 바람과 조석에 의해 주로 생성되어, 생성 해역에서부터 다른 해역으로 전파하고 시간이 지나면 점차 소멸한다. 내부파는 소멸 과정에서 난류 혼합을 증폭시키며 해수 혼합에 필요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설명하고, 또 에너지를 재분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부파의 쇄파로 인한 난류 혼합은 열을 비롯한 다른 물질들의 수직 혼합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열염순환, 해양 생태계, 나아가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종류의 장주기 내부파로는 관성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를 가진 준관성주기 내부파와 조석 기원의 내부파인 내부 조석이 있다. 이들의 상호작용, 또는 배경 흐름장(해류 또는 소용돌이)과의 상호작용은 준관성주기와 조석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내부파 혹은 단주기 내부파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들이 해양 혼합과 에너지와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준관성주기 내부파와 내부 조석파로부터 단주기 내부파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한 관측은 많이 보고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 장기간 연속적으로 얻어진 계류 자료를 이용하여 단주기 내부파의 증폭 원인을 규명하고, 준관성주기 내부파와 반일주기 내부 조석파의 비계절 변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 관측된 단주기 내부파(2–10 시간 주기)의 증폭 원인으로 준관성주기 내부파, 반일주기 내부 조석, 중규모 흐름장,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대해 토의하였다. 준관성주기 내부파는 해양 표층에서 국지적인 바람 외력에 의해 생성되며, 중규모 흐름장의 변형률에 비례하여 에너지가 증폭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준관성주기 내부파는 중규모 배경장의 변형률이 상대 와도보다 크게 증가할 때, 중규모 배경정과 비선형 상호 작용하여 에너지가 증폭할 수 있음을 보였다. 반일주기 내부 조석은 관측 위치와 멀리 떨어진 대한해협 북단에서 생성되어 관측 위치로 전파해 오는데, 내부조석의 전파 방향(굴절)은 중규모 흐름장에 좌우된다. 관측된 다섯 번의 단주기 내부파의 증폭은 1) 증폭된 준관성주기 내부파, 2) 증폭된 반일주기 내부조석파, 또는 3) 이들 내부파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의 내부파 증폭으로부터, 동한 난류의 사행 혹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와 같은 중규모 흐름장의 상대와도와 변형률이 준관성주기부터 부력주파수까지 이르는 내부파 증폭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동일 해역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1년 간 얻어진 유속자료로부터 400 m 에서의 준관성주기 운동에너지의 계절내(3–100일 시간 규모) 변동, 경년 변동, 십년 규모 변동을 살펴보았다. 계절내 변동하는 준관성주기 운동에너지는 95% 신뢰수준에서 음의 와도, 중규모 배경장의 양의 변형률, 양의 Okubo-Weiss 조건일 때 그렇지 않은 조건에 비해 약 12배 운동에너지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준관성주기 에너지 증폭은 대부분 2010년대에 나타났는데, 2000년부터 2020년까지 400 m에서 부력 주파수의 증가를 고려할 때 2010년대의 준관성주기 에너지가 2000년대에 비해 약 19 % 감소해야 하는 것과는 상반된다. 이는 2000년대와 2010년대의 동해 남서부 해역의 중규모 배경장에서 기인한 것으로, 실제로 관측 해역 인근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2년 이상 지속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음의 와도를 제공하여 준관성주기 운동에너지가 증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일 해역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1년 간 관측된 반일주기 내부조석 에너지를 살펴본 결과, 대한해협 북단에서 반일주기 내부조석이 생성 조건을 만족할 때 관측 해역 400 m에서의 반일주기 내부조석 에너지가 95% 신뢰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일주기 내부조석 에너지는 14, 28, 56일 주기에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는데, 14일과 28일 주기는 대조-소조 변동 주기와 일치하며, 56일 주기는 중규모 배경장의 변동 주기와 관련이 있다. 생성된 내부조석은 61 %의 확률로 동쪽 굴절을 하며 31 % 확률로 서쪽 굴절하였는데, 이는 대한해협에서 생성된 반일주기 내부 조석파가 중규모 배경장과 상호작용하여 굴절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내부파의 증폭 원인을 규명하고, 준관성주기 내부파, 반일주기 내부 조석파와 중규모 배경장의 상호작용을 계절내 규모뿐만 아니라 경년 및 십년 규모 변동을 장기간 수집된 연속 시계열 자료로부터 규명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밝힌 연구 결과는 중규모 배경장에 의해 증폭된 내부파에서 기인한 혼합이 해양 내 에너지를 재분배하고 자오면 순환이나 해양 내 물질 혼합에 미치는 영향을 계절내 규모, 경년 및 십년 규모 변동으로 살펴보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CONFLICTS OF OVERSEAS SHORT-TERM MISSIONS THROUGH REFLECTING CULTURAL AND RELATIONAL CONFLICTS IN THE BOOK OF ACTS

        박민철 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 초록 및 주제어 한국 교회는 지금까지 전 세계에 단기선교팀을 보내왔고, 그 결과로 지역교회의 부흥과 선교지 확장이 이루어졌지만, 갈등을 통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단기선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또한 단기선교팀의 갈등과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논문 또한 많지 않다. 본 논문은 단기 선교의 갈등이 야기될 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도행전에 나타난 문화적, 그리고 관계적 갈등구조를 통해 어떻게 초대 교회 사도들과 리더들이 이러한 문화적 그리고 관계적 갈등을 극복 했는지에 대해 다룬다. 사도행전은 초대 교회의 선교이야기를 담고 있을 뿐 아니라, 문화적 그리고 관계적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고 선교를 이어 나갔는지 좋은 본보기를 보여준다. 본서에서는 문화적 그리고 관계적 갈등 해결 방법을 고찰한 후 한국교회의 단기선교 갈등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며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한 안양제일교회 단기 선교의 특징과 갈등 극복 사례를 통해 하나님의 선교, 그리고 통전적 선교의 방법을 단기 선교의 갈등을 해결하는 좋은 방법으로 제시한다. 사도행전이 모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없지만, 초대교회 사도들과 선교사들이 갈등을 해결하여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담대하게 전하였던 것처럼 한국 교회가 다시 새롭게 단기 선교의 역사를 이어나갈 것이라 확신한다. 주제어: Conflict, cultural, relational, the Book of Acts, the Missio Dei, a holistic mission

      • 에우세비우스의 콘스탄티누스 찬가

        민들레 한영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에우세비우스의 콘스탄티누스 찬가에 관한 것이다. 흔히 교회사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에우세비우스는 일생 동안 다양한 분야에 걸친 방대한 양의 저술을 남겼다. 특히 그가 남긴 역사서는 너무나 귀중한 것이어서 그의 작품 없이 2-3세기 역사를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할 정도로 교회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에우세비우스의 생애와 그의 작품들을 개관하고, 그의 작품 중에서 아직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콘스탄티누스 찬가」를 번역하여 수록하였다. 아울러 그 내용을 추출하고 재구성하여 이 작품의 틀을 이루고 있는 하나님-로고스-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세 축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콘스탄티누스의 통치 30주년을 기념하는 잔치에서 낭독된 이 작품은 엄밀히 말해 두 개의 작품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1-10장까지가 30주년 축하연회에서 실제로 낭독된 기념사이고, 11-18장은 후대에 로고스론을 첨가한 것이다. 콘스탄티누스 찬가는 에우세비우스의 정치신학이 처음 나타난 작품으로서 역사적 중요성을 갖는다. 이 작품은 우주의 왕이며 세상의 창조자이신 하나님, 그와 함께 세상을 창조하고 아버지의 뜻에 의해 우주를 통치하는 독생자 로고스, 그리고 로고스로부터 지상의 통치권을 위임받아 이 땅을 다스리는 콘스탄티누스 황제로 이어지는 구조가 큰 틀을 이룬다.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과 그의 뜻을 받들어 우주를 다스리시는 로고스, 그리고 로고스의 은총을 받아 이 땅의 거민을 다스리는 유일한 군주가 바로 콘스탄티누스라는 것이 에우세비우스가 펼치는 정치신학의 요체이다. 또한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열리게 된 기독교 제국에 의해 온 세계가 평화를 얻게 되었다는 점을 분명히 나타낸다. 즉 그는 이러한 팍스 로마나가 시편과 이사야서 에 나오는 예언들의 성취라고 여겼다. 제국의 모든 국민들이 하나의 원리와 법의 영향력 아래에서 유일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 그리고 그의 독생자인 로고스를 모든 축복의 근원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콘스탄티누스 황제를 지상의 유일한 통치자로 인정하면서 하나로 연합하는 것, 그것이 바로 에우세비우스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평화의 모습이었다. Eusebio di Cesarea, si denomina il padre della storia ecclesiastica, ha lasciato moltissime scritture a tutta la vita. Specialmente le sue scritture storiche sono pi? importanti, perci? non ? possibile che comporre la storia dello secolo 2-3 senza sue scritture. In questa tesi ho tradotto l?Elogio di Costantino per la prima volta in coreano, e descritto che come Eusebio ha avuto esprimesso Dio-Logos-Costantino. Il Triakontaeterikos Logos, noto anche Laus Constantini(Elogio di Costantino) ? il discorso tenuto da Eusebio per celebrare il Trentennale del regno dell?imperatore Costantino, avvenuto nel 25 luglio 336. ? un testo composto da due discorsi. I capitoli 1-10 celebrano I trent?anni di regno del primo imperatore cristiano, I capitoli 11-18 dimostrano Logos. Elogio di Costantino ? stato definito il primo tratatto di teologia politica dell?impero cristiano. Quest?opera componga una struttura di Dio-Logos-Costantino. Dio ? Il Re di universo e Il Creatore. Logos ? anche il Re, governa l?universo a immagine del Padre. E Costantino governa la terra a immitazione del Logos. Eusebio ha detto chiaramente la teologia alla monarchia divina, assumendo l?impero romano, e ha spiegato l?identificazione della pace messianica con la pax romana. Eusebio ha pensato che la pax romana ? la realizzazione dei Sal 72:8 e Is 2:4. Per Eusebio, la pax romana da Costantino era una pace ide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