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규모 오피스텔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중요도 분석 : 서울시 동북, 서북, 서남, 동남생활권 거주자를 중심으로

        박미정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Officetel is defined as a business facility in the Building Act, but it is legally recognized as a residential facility by the term of the Housing Act. Due to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there are some inconsistencies in land using, landscaping, and the tax system. Sometimes, it leads to deterioration of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facilities in commercial areas. There are arguments tha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residential functions from the Officetel and avoid construction of residential Officetel buildings in commercial areas. However, Officetel can play important role by being used as a suitable facility for both residential and business purposes. It could be a solution for lack of small-sized housings for rapidly increasing single-person or two-person households and be an alternative to the necessity of the personal business facility due to increasing number of small business start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tract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 of Officetel, 2) to compare list of factors in different physical, geographical or functional settings, 3) to analyze the priority of factors suitable for users’ needs. The spatial and content rag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Yangcheon-gu, which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ffice and residential Officetel area, and 3 other similar provinces of Songbuk-gu, Eunpyeong-gu, and Gangdong-gu were selected as geographical region. And Small-scale Officetel buildings were limited to be more than 100 units, less than 60 square meters, and built after 2010. 1:1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55 people in each province, and a total of 220 people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analyzed with AHP after attaining idle survey respondents with less than 10% in terms of consistency. General factor of survey showed that Offcetels were used for 69.1% of residence and for 30.9% of residence and work. It means that Officetel should add more function on resid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Officetel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location environment', 'internal environment', and 'common environment' were indicated as significant factor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factors of Officetel.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of the lower level of the ‘location environment' for 100% residential users among general, regional, and functional factors were in order of ‘conveni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essibility of facility', and 'location area'. And Other users were 'accessibility of facility', ‘convenience of the surrounding’, and 'location area' in order of significance. There were somewhat differences, but accessibility of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Officetel location, were analyzed as two main factors. It is indicated that residential facilities located in the commercial area were preferred when small-scale Officetels to be supplied. Third, it was found that ‘living environment’, sub-hierarchy of 'internal environ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nd in details of security / crime prevention, natural lighting / ventilation, and noise isolation were sub-factors. In the case of residential + business users, in order of ‘floor plan’ and ‘living environment’ were important. To maintain and complement the liv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housing function by strengthening the legal building standards when supplying the Officetel with the purpose of supplying the small houses of the government. Fourth, factors under 'common and convenient environment' were differed over characteristics of each usages. In the case of small-scaled Officetel, there were opinions that it is highly possible to measure the "common and convenience environment" when charging usage fees and establishing transparent management expenses. Fifth, ‘accessibility’ per business purpose and ‘living environment’ per residential purpos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when factors sorted per func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y the proper amenities to Officetel considering purpose of use and identifying users for each regio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Officetel is suitable for utilizing both functions of residence and work. Restructuring the legal definition of Officetel and reinforcing the construction and legal standards by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re needed. Also It is necessary to assist the function of the small-scale Officetel by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such as charging usage fees and standardized management fees. 오피스텔은 건축법에서는 업무시설로 규정되어 있으면서 주택법에서는 준주택의 용어 신설로 주거시설로 법적으로 인정하였다. 일각에서는 오피스텔의 주요 용도에 대해 토지이용계획 체계와의 충돌, 조세제도의 혼란야기, 상업지역에 주거시설의 건설로 쾌적한 주거환경의 침해로 오피스텔에서 주거기능을 분리하고 상업지역에서의 주거용 오피스텔 건축을 지양해야 한다는 등의 부정정인 시각이 있다. 그러나 오피스텔은 주거와 업무의 적합한 시설물로 사용되고 있고, 주거용으로 사용할 경우의 시설 및 환경요인에 대한 일부 보완만으로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1~2인 가구에 대한 정부의 소형주거 문제의 해결 및 1인 창조기업의 확대로 인한 개인용 업무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대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오피스텔의 주요기능인 업무와 주거에 대해 정책 및 법적검토, 입지적 환경특성 분석 및 실거주자 중심의 인터뷰 및 설문을 통한 사용상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업무와 주거 기능에서 지역별, 기능별 다양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중요도 분석을 통해 실 기능과 업무 활동에서 사용자 요구에 적합한 오피스텔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활용 목적에 부합하는 복합용도로서의 오피스텔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업무용과 주거용 오피스텔의 지역적 입지특성과 오피스의 지역적 입지특성을 가진 양천구를 기준 대상지로 통계청 인구총조사에서 양천구와 총인구수가 비슷한 성북구, 은평구, 강동구 서울외곽 4개의 행정구 소재의 2010년 이후 준공, 100세대 이상, 60㎡의 소규모 오피스텔을 연구 대상 건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별 55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관성 비율이 10% 이하인 유휴 부수를 확보하여 AHP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오피스텔은 주거용 69.1%와 주거 및 업무용도 사용이 30.9%로 주거 및 복합용도의 기능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별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중요도분석 및 우선순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오피스텔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특성에 관계없이 ‘입지환경’,‘내부환경’,‘공동편의환경’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입지환경’의 하위계층의 중요요인으로 일반적 특성, 지역별, 용도별 특성 중 주거100% 사용자의 경우‘주변환경의 편리성’,시설의 접근성‘입지지역’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용도별 사용자는 ‘시설의 접근성’,‘주변환경의 편리성’,‘입지지역’순으로 분석되었다.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오피스텔 입지특성인 시설의 접근성 및 주변환경의 편리성이 중요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소규모 오피스텔의 공급 시 상업지역의 주거시설의 선호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내부환경’ 하위계층의 중요요인으로 ‘생활환경’의 세부항목인 안전방범, 채광환기, 소음의 차단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거+업무용 사용자의 경우만 ‘단위유닛‘,’생활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환경‘을 유지 및 보완을 위해 정부의 소형주택 공급을 목적으로 한 오피스텔 공급시, 법적 건축기준 강화 등으로 주거기능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용도별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공동·편의 환경’은 용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규모 오피스텔의 경우 사용시설별 이용요금 부과 및 투명한 관리비 책정이 가능할 경우‘공동·편의환경‘ 활용성이 높다는 의견 등이 있었다. 넷째, 용도별 사용에 따라 오피스텔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중요요인이 다르게 분석되었다. 이용용도의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별 사용자의 필요 용도에 맞는 오피스텔의 적정 시설 공급이 필요하다. 위의 분석결과 오피스텔은 주거와 업무 두가지 기능의 활용에 적합한 시설물로 오피스텔의 물리적 환경구성 요인의 용도별, 지역적 요구조간에 맞는 적정 시설물의 확충 등을 위한 법적 개선 및 제도 보완 등이 필요함을 뒷받침하고 있다.

      • 노후 공동주택 증축형 리모델링의 사업성 평가요소 중요도 분석

        박동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apartment buildings that were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from the 1970s to the 1980s have been well over 30 years, which is the requirement term of years for reconstruction, different kinds of problems have been occurring because of aging. As a result, new social demands for high-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s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need for maintenance and renovation of residential facilities have been gradually raised. Accordingly, the government enacted the apartment remodeling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2001 through revising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and since then, many of the regulations have been eas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modeling of apartment buildings. The agreement rate for establishing the union was relaxed to two-thirds in 2006, the term of years for remodeling was shortened to 15 years in 2007, the extension range for apartments with an exclusive area of less than 85㎡ was expanded to 40%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was also allowed in 2012. Despite various policies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ncourage remodeling, a lot of apartment complexes inevitably experience difficulties because they don't know how to evaluate the business feasibility of the remodeling project at the initial stage. Since the direction of remodel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complex,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various aspects to determine the business feasibility. For instance, even if the conditions such as the current floor area ratio and the surrounding market price of the complex to be remodeled appear suitable in terms of business feasibility, the area may have restrictions on remodeling relaxation due to the district unit plan or vertical expansion due to height restriction laws. In such case, it may not b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ject. Therefore, in this study, I intended to derive locational, techn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evaluation indicators of remodeling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indicator through the survey with experts to present standards for project feasibility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technical indicator, economic indicator, and locational indicator, and five sub-indicators of technical indicator among the top 10 indicators were analyzed to be the most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transaction price of the project district and the surrounding market price, which is the sub-indicators of the economic indicator, turned out to be relatively less important.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대량 공급된 아파트가 재건축 연한인 30년을 훌쩍 넘기면서 노후화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질의 주거환경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요구가 증가 하고 있고, 주거시설에 대한 유지관리 및 개보수의 필요성이 점차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01년 「건축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처음으로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를 법제화 했고, 이후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2006년, 조합설립동의율을 3분의 2로 완화했고, 2007년, 리모델링 연한을 15년으로 단축하였으며, 2012년에는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의 증축범위를 40%로 확대하고 가구수 증가도 허용하였다. 리모델링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파트 단지들은 초기 단계에서 리모델링 사업의 사업성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몰라 불가피하게 어려움을 겪는다. 기존 단지의 조건에 따라 리모델링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업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리모델링 대상 단지의 용적률, 주변 시세 등의 여건이 사업성에 적합해 보여도, 지구단위계획으로 인해 리모델링에 제약이 있거나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법으로 인해 수직증축에 제약이 있다면, 프로젝트 수행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에 대한 입지적,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와의 설문조사를 통해 각 지표별 중요성과 우선 순위를 분석하여 사업 타당성 검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술적 지표, 경제적 지표, 입지적 지표의 순서로 중요성을 보였으며, 상위 10개 지표 중 기술적 지표의 하위 지표 5개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경제적 지표의 하위 지표인 해당 사업지 거래시세와 주변 시세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공간의 환경특성이 랜드마크의 인지와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도시공간의 환경특성이 공간인지와 공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인간의 공간인지와 공간행태 및 도시공간의 환경특성에 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도시공간의 환경특성은 물리적 환경요인과 공간적 환경요인으로 구분된다. 공간인지의 결과로 형성된 심적 지도는 도시공간의 명료성에 의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심적 지도는 길찾기와 같은 공간행태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영향의 관계를 가설로 제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본 논문에서는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의 상업시설 밀집지역중 명동, 인사동, 압구정동, 강남역주변을 대상으로 물리적·공간적 환경요인을 조사한 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환경요인으로는 도로의 폭, 보차분리의 정도, 편의시설의 개수, 차량출입구의 개수, 보행장애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공간적 환경요인으로는 공간구문분석에 의한 전체통합도 및 국부통합도, 공간연결도, 공간통제도, 전체심도, 국부심도와 isovist분석에 의한 Isovist Area, Circularity, 최대가시반경을 측정하였다.설문은 개인적 길찾기 소양과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특성, 그리고 길찾기 특성을 조사하였다. 개인적 길찾기 소양은 평소의 길찾기 능력과 대상지에 대한 방문빈도, 익숙도, 길안내 능력을 측정하였고,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특성은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정도와 인지영역, 인지밀도를 측정하였다. 길찾기 특성은 길찾기 용이도와 길찾기 수행에서의 경로선택을 측정하였다.측정된 자료의 분석에는 분산분석과 회귀분석 및 구조모델분석을 이용하였다.분석결과 명동과 인사동의 경우 압구정동과 강남역보다 물리적·공간적 환경요인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길찾기 용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는 물리적 환경요인보다 공간적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개인적 길찾기 소양은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능력에 (+)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특성은 길찾기 용이도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공간인지에 있어서 지역적 랜드마크가 갖는 중요성이 증명되었다. 길찾기 용이도는 경로선택에 있어서 국부통합도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을수록 공간적 환경요인, 특히 국부통합도에 의존적인 성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부통합도와 전체통합도의 상관성이 약한 경우 길찾기에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다.이상의 결과에 따라 도시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도시공간의 명료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간적 환경요인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특히 공간적 환경요인 중 국부통합도가 전체통합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도록 도시공간을 조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또한 토지이용계획의 수립시 공공시설에 대한 인지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 전체통합도와 최대가시반경이 높은 곳에 공공시설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urban environment on the spatial cognition and behavior of an individual. As a starting point, prior literature reviews were examined to organize the concepts of human spatial cognition and behavior in an urban environment. Through research we decided to divide the urban environment into two categories, a physical and a spatial environment. Mental maps were defined by the creation of spatial cognition and came under the influenc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rough the intelligibility of the urban space. Consequently, these mental maps influence human spatial behaviors such as our path finding abilities. These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re hypothesized and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es.To complete an empirical analysis, physical and spatial environments were surveye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veral commercialized districts of Seoul. These districts included the following: Myeong-dong, Insa-dong, Apgujeong-dong, and areas in close proximity with Gangnam Subway st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es: width of street, condition of the pedestrian road, quant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quantity of automotive entrances, and quantity of obstacles in the pedestrian road. Data collected from the spatial environment includes: the global/local integration, connectivity, control, depth of the space syntax and measure of the isovist area, circulation and maximum radial factor in the Isovist variable.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by the individual’s innate path-finding ability and cognition of the landmark. The innate path-finding ability refers to the individual’s ability to find paths combined with the individual’s frequency of visit, familiarity, and their ability to guide through a particular place or area.Cognition of landmark is a measure of the cognition frequency of the landmark, the area and density of cognition. Path-finding characteristics refer to the performance and ease of the individual’s choice of route. This data is analyzed through ANOVA,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s.The analysis revealed that Myeong-dong and Insa-dong portrayed characteristics of a lower level physical and spatial environment compared to Apgujeong-dong and areas surrounding Gangnam Subway Station. These differences in environment influenced the individual’s path-finding ease. In addi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dividual’s cognition of landmark was influenced more by the spatial rather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model revealed that the individual’s innate path-finding ability creates a positive influence in regards to the cognition of landmarks. Furthermore, the cognition of landmarks creates a positive influence in our path-finding easiness.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local landmark in regards to our spatial cognition was verified.On the contra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th-finding ability within local integration creates a negative influence. This is due to the dependence on local integration when faced with path-finding difficulty. Hence, a weak relationship between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creates path-finding obstacles or disabilities.In applying these results in city planning, a preference to the spatial environment must be given to enhance the intelligibility of the urban space. In particular, the urban space should be organized to strengthen the local and global integration in a spati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land use planning, to enhance the cognition effect, public facilities should be placed strategically to foster a high level of global integration and to achieve the maximum radial factor.

      •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분석 : 제1종지구단위계획 법적용 전후 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종두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Korea, the apartment hous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both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o account for the majority of nation''s entire houses. However, since the apartment houses have increased mostly in terms of quantity, such aspects as comfortable living or environmental-friendly life have been overlooked and as a result, the living environment of our apartment complexes is very poor in most cases. In particular, the small-scale apartment complexes have not been developed by private capitals in a systematic way, and thus, their living environment is poorer. On the other hand, as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gan to be highlighted as important social issues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Law for Plan and Use of the National Land early in 2000 to designate the first-rate unit plan zones. Hence, those development project exceeding a certain scale in such zones should be subject to examination of their environmental aspect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s on the outdoor space for the residental complexes, assuming that the effects would be more important for outdoor spaces rather than indoor ones.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each 5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in an area of Namyangju city designated as the first-rate unit plan zone. For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the zone, the researcher selected 3 sectors (18 assessment points) - ''land use'', ''traffic'' and ''ecology'' - out of 9 sectors (4 areas) examined jointly by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Ministry of Environment for accredit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the 3 sectors were selected because they were concei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first-rate unit plan zones. Thus, the researcher assessed each 5 sample complexes quantitatively from April through May, 2007 in reference to the data published by Housing Urban Institute of Korea Housing Corporation about the environmental-friendliness of the sample complexes.The results of assessing the environmental-friendliness of the outdoor spaces for the sample residential complexes, it was found that the 5 outdoor spaces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built after designation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 scored 37.8 points out of 100 points on average in ''land use'', ''traffic'' and ''ecology'' sectors, while the 5 outdoor spaces before the designation scored 20.4 on average. Namely, it was found that the zoning had affected the outdoor environments positively.Second, in the sector of ''land use'', the form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38.9 on average,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11.4. In the sector of ''traffic'', the form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67.5,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59, and in the sector of ''ecology'', the former group scored 23.4,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13.26. Namely, the outdoor space environment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had improved between 1.14 and 3.41 times after designation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Third, in the sector of ''land use'', the outdoor spaces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after designation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 scored higher in terms of floor ratios, systematic super-planning, community center and facilities and intra-complex special promenades, but did not score high in terms of ecological site value,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natural resources, protection of sunshine rights and networked promenades. In contrast, the outdoor spaces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before the designation of the zone scored more or less in terms of community center and facilities, but scored lower in terms of ecological site value,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natural resources, floor ratio, systematic super-planning, protection of the sunshine rights, intra-complex promenades and networked promenades.Fourth, in the sector of ''traffic'' the form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higher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the public traffic means and ultra-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high in ultra-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shorter distances between downtown and suburban town or between suburban towns, and scored some points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the public traffic means, intra-complex bicycle parking and routes.Fifth, in the sector of ''ecology'', the former outdoor spaces scored some points in terms of connected green axes, green space ratio, artificial green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qua biotope and soil biotope, but scored low in the other sub-categories of ecology, and scored zero particularly in use of the surface soil.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low in terms of green space ratio and artificial green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cored zero in the other sub-categories. Merely, the green space ratio could not well be assessed because of the dual legal standards depending on the scale of unit houses. So, if such differences should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appropriately, the scores would have been adjusted.Sixth, the current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buildings rates the buildings as super-excellent or excellent, but such a system has encouraged developers to focus on the points allowing for higher scores with less cost or techniques, while neglecting the points for relatively lower scores but requiring higher costs and techniques.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adjust the assessment points and their weights so that each assessment point would have the lowest ceiling refusing the accreditation, while giving separate incentives to accredited apartment buildings. 우리나라 공동주택 중 아파트는 양적, 질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전체 주택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거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위주의 공급은 주거단지의 쾌적성이나 친환경적인 부분을 등한시하여 열악한 주거환경을 양산케 하였고, 특히 민간부분의 소규모 단지는 신도시나 택지개발지구의 단지에 비해 체계적이지 못하게 개발되면서 열악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최근에 환경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계획의 수단으로 2000년초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 체계를 정비하여 도시지역에서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 시 사전환경성검토에 의한 제1종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단지의 내부공간 보다는 외부공간에 연관성이 큰 제1종지구단위계획이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에 미친 영향을 평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남양주시 도시지역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 전·후의 민간개발단지 각각 5개단지를 선정하여 2002년 건설교통부와 환경부가 공동시행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4개 전문분야의 9개 평가부문중 제1종지구단위계획과 연관성이 있는 외부공간에 해당하는 ‘토지이용’ 부문과 ‘교통’ 부문, ‘생태환경’ 부문의 3개 부문 18개 평가지표를 활용하였고, 평가는 국가인증 친환경건축물 평가기관 중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 전·후의 각각 5개단지를 2007년 4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정량적인 평가를 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토지이용‘ 부문과 ’교통‘ 부문, 생태환경??부문의 합계 평균점수(100점 환산점수)는 37.8점이고,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20.4점으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 외부공간의 환경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평가부문별 평가결과에서‘토지이용‘ 부문에서는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평균점수(100점 환산점수)는 38.9점이고,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가 11.4점으로 나타났으며, ’교통‘ 부문에서는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67.5점이며,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59점으로,??생태환경??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23.4점이며,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13.26점이다. 따라서 각 평가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단지가 수립이전단지보다 1.14~3.41배에 가까운 점수를 획득하여 외부공간의 환경수준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셋째‘토지이용??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는 용적률, 체계적 상위계획 수립여부, 커뮤니티센터 및 시설계획여부, 단지내 보행자 전용도로조성여부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에 기존대지의 생태학적가치, 기존자연자원 보존율, 일조권간섭방지대책의 타당성, 외부보행자전용도로 네트워크연계여부 등의 항목에서는 전혀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또한 수립이전 단지는 커뮤니티센터 및 시설계획여부 항목에서는 일부 점수를 획득하였으나,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 기존자연자원보존율, 용적율, 체계적 상위계획수립여부, 일조권간섭방지대책의 타당성, 단지 내 보행자전용도로 조성여부, 외부보행자전용도로 네트워크연계여부 등의 항목에서는 거의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넷째 ‘교통’ 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는 대중교통의 근접성, 초고속정보통신설비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수립이전 단지는 초고속정보 통신설비의 수준, 도시중심 및 지역중심과 단지중심간의 거리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대중교통에서의 근접성, 단지내 자전거보관소 및 자전거도로 설치여부 등의 항목에서 일부점수를 획득하였다.다섯째‘생태환경??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는 연계된 녹지축조성, 녹지공간률,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녹화기법 적용여부, 수생비오톱조성, 육생비오톱조성 등의 항목에서 점수를 획득하였으나 이중에 녹지공간률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의 취득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토재활용율 항목에서는 전혀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또한 수립이전 5개단지에서는 녹지공간률과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녹화기법 적용여부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고, 그 외의 항목에서는 전혀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단 녹지공간률은 주택평형 규모에 따라 이원적으로 적용되는 법적기준의 차이로 인하여 실제 녹지율에 상응하는 평가점수를 받지 못하였고 이를 반영할 경우 이 평가항목의 점수가 조정될 것으로 판단된다.여섯째 현행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에서 친환경성 인증등급 결정시 전체획득 점수의 합계를 기준으로 최우수, 우수 등급으로 인증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기술적으로나 비용면에서 쉽게 점수획득이 가능한 평가부문의 평가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비용이 많이 들거나 기술적인 어려움이 예상되는 평가부문의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적용을 등한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평가부문의 평가항목별 일정기준점수를 정하여 그 점수 이상을 획득하지 못하면 등급인증을 불허하고, 또한 등급 인증시 별도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에 대한 제도개선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22.9kV 주상변압기의 정량적 고장분석

        박병하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배전선로에 설치 된 22.9[kV] 주상변압기의 정량적 고장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매년 증가하는 전력소비와 도시과밀화 현상, 더불어 사용자로 부터의 서비스 향상에 대한 요구와 양질의 전기를 사용하려는 수용가의 증가로 배전선로에서 주상변압기의 고장 및 사고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과 이에 따른 파급효과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배전용 변압기의 손실은 전체 배전계통 손실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장 원인 중 1차권선 층간단락 고장이 74[%]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배전용 주상변압기 사고 원인을 추출하였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첫째, 제조시 생산자의 부주의 또는 취급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고장발생은 전체의 40[%]를 차지하여 세심한 취급을 요한다. 둘째, 주상변압기의 단락강도 특성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바니시 함침시 공정상의 과실이 20[%]로 나타나 충분한 건조시간과 진공조건을 요구한다. 셋째, 원가절감에 의한 설계와 신뢰도 저하부품 사용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16[%]로 나타나 작업자의 과실요인을 감안한 설계 및 품질보증부품 사용이 요구된다. 넷째, 사용자에 의한 과실 등 기타 요인의 경우가 24[%]로 나타나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increase the power usage and overcrowded cities, it is requested the high quality and stable electric power supply. However, if faults and accidents for power transformer should be happened, it causes heavy economic damage. Therefore a scheme for improvement are required. In this paper, a quantitative faults analysis for 22.9[kV] pole-transformers in Distribution Line was performed. The loss of distributing transformers occupied more than 30[%] in whole distribution lines and the failure factor of primary winding layer short circuit is 74[%]. From this study, a improvementa1 scheme was proposed through extraction of the main factor for faults and accidents of distribution transform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 to be sensitively treated because the failure is 40[%] for manufacturing process and miss treatment. Second, it is requested sufficient dry-time and vacuum condition when varnish impregnated to improve break of strength causing process error about 20[%]. Third, if defective parts and the design use for cost reduction the failure is about 16[%]. The guarantee parts and design which is adjusted maker failure, both of them should be requested. Fourth, user negligence and others need to be careful causing reduce the failure 24[%].

      • 노인보호구역 내 보행환경요소 중요도 분석 : 서울시 노인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이정훈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has purposes that it focused on the senior citizen, divided awareness level of silver-zone for users (who are over 65 years old) of the public senior welfare center, which is set as silver-zone in Seoul and components of pedestrian environments in silver-zone into a pedestrian protection facility and a vehicle deceleration facility (vehicle calming facility), and analyzed importance of each facility. This study selected four senior welfare centers, as research subjects, in Jongno-gu, Yongsan-gu, Gangbuk-gu, and Seodaemun-gu, in which aged society already came due to aging population, and it surveyed their users, who are over 65 years old. As results of reviewing prior studies related to factor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s, this study divided measurement categories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nto two categories of pedestrian protection facility and vehicle deceleration facility (vehicle calming facility), and it deduced 10 subcategories. It surveyed people at the four public senior welfare centers, set as silver-zone, and it conducted importance factors by utiliz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results of the analysis, importance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facility is much higher than the vehicle deceleration facility. Among elements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facility, there are pedestrian light, crosswalk, securing sidewalk, roadside barriers (bollard), and simple median barriers in order of importance. Among elements of the vehicle deceleration facility, there are red light camera, speed control hump, hump-shaped crosswalk, pavement marking (colored pavement), and traffic safety signs in order of importance. Finally, the awareness level of silver-zone is very low, compared to the other safety zones, and a lot of people answered that silver-zone should be needed. As results of analyzing overall importance on the subcategories of pedestrian environments, the pedestrian light is the most important, which is a pedestrian protection facility. It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and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people, who are weak pedestrian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silver-zone from a viewpoint of general driv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보행약자 중 고령자에 중점을 두고 서울시 내에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시·구립 노인종합복지 회관 이용자(65세이상 고령자)의 노인 보호구역의 인지도와 노인보호구역내 보행환경 구성 요소를 보행자 보호 시설과 차량감속 유도시설(차량 정온화 시설)로 구분하고 각 시설 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고령사회에 진입한 서울시 종로구, 용산구, 강북구 ,서대문구 소재 노인종합복지회관 4곳을 대상지로 하였으며, 이곳 시설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보행환경 요소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보행환경요소 측정 항목을 보행자 보호시설과 차량 감속유도 시설(차량정온화시설) 2개의 요소로 구분하였고, 10개의 세부요소를 돌출하였다.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시·구립 노인종합복지회관 4곳에서 설문을 실시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보호시설이 차량감속유도시설보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보행자 보호시설 요인 중에는 보행자 신호등, 횡단보도, 보도확보, 방호 울타리(볼라드), 간이 중앙 분리대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차량감속유도시설 요인의 중에는 단속 카메라, 과속 방지턱, 험프형 횡단보도, 노면표시(유색포장), 교통안전표지판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보호구역 인지도는 다른 보호구역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고. 노인보호구역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답이 많았다. 세부 보행환경요소에 대한 종합 중요도 분석결과에서는 보행자 보호시설인 보행자 신호등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보행 약자인 고령자의 보행안전과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시설로 나타났으며, 향후 노인보호구역에 대한 일반인 운전자의 입장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새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장신구 제작을 중심으로-

        강호정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의 삶은 탄생의 순간부터 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가족, 친구, 동료, 사회적인 모임이나 단체에 소속되어 본인이 원하던 원하지 않던 사회의 일원으로 긴 삶을 살아간다. 이 사회적인 인간관계 속에서 우리는 즐거움, 슬픔, 분노, 기쁨과 같은 여러가지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인생이란 여정을 걷고 있다. 또한 자신들이 속한 사회, 가정, 단체 등에서 많은 책임과 의무에 이끌려 자아에 의해 때론 타인에 의해 주어진 환경의 틀에 갇혀서 길들여지고 그것을 당연한 숙명처럼 받아들이면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보람되고 행복도 느끼겠지만 누구나 한번 씩 책임과 의무라는 족쇄에서 벗어나 맘껏 자유를 꿈꾼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한 일원으로써 이와 같은 삶의 지루함이나 속박에서의 일탈을 꿈꾸고 자유에 대한 욕망을 갈구하고 희망이라는 날개 짓을 염원하기도 한다. 새는 하늘을 날 수 있는 동물로써 예로부터 인간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리고 생김새가 가녀리고 연약한 존재로 새의 이미지가 다채로운 모습으로 표현하기에 충분하고 인간의 욕망을 대신해 줄 수 있는 매개체로 복잡한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기에 충분한 소재라고 판단된다. 본인이 연구하는 작품은 새의 모티브를 전제로 비상과 희망이라는 상징성을 벗어나서 비상을 꿈꾸는 인간의 생활모습 즉, 언제나 반복되는 일상, 가족에 일에 때론 국가에 대한 책임과 의무에 힘들어 하고 숙명처럼 살아가는 우리들의 일상생활을 표현하고자 한다. 또 그 속에서 작으나마 나의 존재를 표현하고 그곳이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고 작은 어울림 속에서의 조화도 있으며, 책임과 의무를 다하여 이루어낸 보람과 자부심도 있고, 인간관계에서의 사랑과 정이라는 따스함도 표현하였다. 작품에서의 중심은 인간이다. 인간을 새의 형상을 통하여 표현하여 인간의 삶을 비추어 재조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새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보다는 새가 가진 유선형을 강조하여 간결하고 단순화시켜서 조형적 요소와 특징을 강조하여 금속의 차갑고 딱딱한 소재를 부드럽고 따스함을 전달하는데 목적을 두고 때론 어우러지게 때론 숨어 버리게 때론 튀어나오게 포근하게 감싸 안긴 듯 표현하여 새를 통해 삶의 형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앞으로의 작업 방향과 삶에 있어서 자아성찰과 자아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고뇌하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자아를 완성하고 성숙되어 삶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본인을 포함한 많은 이들에게 인식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의 실증적 분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최병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District Unit Plan originated from the failure of the previous urban design and its detailed plan to produce substantial institutional effects, with the purpose of leading the reasonable development of land, considering local conditions, under the motto, 'Development after Planning'. Despite its positive purpose and intentions, the plan causes a few problems during execution. As a means to manage private development, the district unit plan gave most of the landowners a negative impression, due to its regulatory characteristics.Hence, ever since the district unit plan settled down, there has been a desperate need for a practical improvement plan for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district unit plan and the propriety of the application of major plan components, through actual data and exampl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find problems with the actual application of control elements of the district unit plan to make effective use of land and improve the urban landscape. Also, it suggests how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joint development and offering incentives.This study explored disagreements and problems between public servants, who set up the district unit plan by themselves, and architects or construction employers, who are forced to accept the decided district unit plan. As well, it involved a questionnaire ab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ontrol elements of the plan, incentives according to the elements, the expected effects and matters to improve, targeting 148 public servants and 237 architects and construction employers, so that, by taking their opinions and requests into account, it tried to help set up and adjust the district unit plan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As a result, regarding the necessity of the control elements, although both the public servants and the employ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for urban management, such as promot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functions, because the plan goes between urban and construction plans, they had very different reasons for the necessity of individual elements. Public servants, although they take the control elements into consideration mainly in public aspects, felt that these elements would encourage excessive regulation in private development and restrict creativity and diversity.The survey results implied that both public servants and architects, construction employers were aware of the need for control elements in the district unit plan, but there are still several problems with the effectiveness of the district unit plan. Thus, solutions to improve the district unit plan and regulations and offer practical incentives are in desperate need. Furthermore, general standards are usually forced upon while there is hardly full understanding of the concerned districts during decision-making an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directions are still unclear. Subsequently, there appear such issues as distortion or arbitrary changes of the initial purpose or intentions of the plan for certain districts. Not only that,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lo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mars the essence of the plan. Such problems raise the necessity to prioritize deliberate discussions and agreement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to prepare how to omit unnecessary procedures or put them on hold, while planning according to the set direction.Besides, with the found problems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study looked into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plan for joint development and incentiv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actual examples. To begin with, regarding joint development, the study targeted offices in Seoul to come up with the aforementioned plan, centering upon the results of changes in the former urban plan committee related to joint development. It found that 639 bills have been submitted to the committee to change joint development since 2001, and 488 of them, 76%, were passed while 24% rejected. Additionally, 22 Seoul offices out of 25 were brought up at the committee deliberation about changes and 60% of them, 18, were passed.This implied that, aside from the intention of joint development while self-governing districts set up the district unit plan, building permits were granted through the deliberation on changes in the plan at the committee. Hence, plans for joint development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put control through deeper analysis, to make liberal joint development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the proper scale of development and the maximum limit. To minimize the low-income or landlocked lots within a district, considering the access of cars, joint development is actively recommended.In order to investigate how much incentives of the floor space index (FSI) affect in building permits, by complying with the control elements,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missible FSI and the FSI applied in granting actual building permits.For the analysis, the ratio of permissible FSI, given by observing the control elements, to the actually applied FSI had to be quantitatively measured. Thus, the study calculated (FSI Standard FSI) / (Permissible FSI Standard FSI) × 100 as an incentive application ratio 'a'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Among 630 building permits within the target area of the district unit plan since 2002 regarding the offices in Seoul, 41.1% had less than 10% of the FSI incentive ratio 'a' (%) and 67.0% had less than 60% of the ratio.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SI in most of the building permits could not reach the permissible FSI through incentives, which, given according to control elements, were thus no longer advantageous.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mount and effectiveness of incentives, given by complying with control elements. Also,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district unit plan, incentives per control element need to be drastically increased and diversified in a realistic way.In closing, when it comes to setting up and operating the current district unit plan, there are limitations in systematizing sales of lots by creating institutional devices to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the execution process and by appraising economic factors, while focusing upon FSI incentive-based management to activate joint development. Therefore, to force the practice of the district unit plan, asan improvement solu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control elements of the district unit plan, there are two ways: either purchase certain lots in the public sector and decide an urban plan, which will oblige the neighboring landowners to purchase the lot; or those willing to develop the land ask for the sales of the land. Thu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s reduction in the existing urban district or undefined lots, certain regulations need to be sustained, while preparing for standards for tax favors for those complying with the control elements and amending legal systems to maximize economic profits of FSI, to speak for residents' demand. Additionally, to help the urban areas evenly develop,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understand and improve their mutual relationship. 지구단위계획은 기존의 도시설계와 상세계획이 제도적 실효를 얻지 못한데서 태동되었으며 도시개발에 대한 관리수단으로서의 선계획·후개발이라는 취지하에 지역적 여건을 고려하여 토지의 합리적인 개발을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목적과 취지에도 불구하고 지구단위계획은 그 시행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민간개발에 대한 관리수단으로서의 지구단위계획은 그 규제적 성격으로 인해 대다수의 토지소유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하였다.따라서 지구단위계획제도의 정착이후 오늘날까지 지구단위계획이 운영되어오면서 제기되는 문제점 및 주요 계획요소 적용의 적정성에 대하여 실증적 자료 및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한 실제적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이용의 효율화 및 도시미관증진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의 실제적 적용사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제어요소로서 공동개발과 인센티브제공의 실효성 제고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을 직접 수립하는 공무원과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결정에 따라 수용해야 하는 건축주, 건축사들 사이에 인식차이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들의 요구와 의견을 수렴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바람직한 방향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및 개선하고자 공무원 148명, 건축사 및 건축주 237명을 대상으로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의 중요도 및 필요성, 제어요소에 따른 인센티브 사항, 지구단위계획에 따른 기대효과 및 기타 개선사항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지구단위계획의 제어요소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공무원, 건축사, 건축주 모두가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의 중간적 계획으로서 도시의 환경 및 기능의 증진 등 도시관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각 제어요소별 필요성 및 불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서로 상이한 차이를 두고 있었다. 계획을 수립하는 공무원의 입장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의 제어요소가 공공적 측면에서 중점을 두고 계획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민간개발에 있어서는 과도한 규제나 건축계획의 창의성 및 다양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이는 공무원, 건축사, 건축주 모두가 지구단위계획의 제어요소를 통한 도시관리계획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인식은 하고 있으나, 계획제도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구단위계획의 계획내용 및 규제요소 등에 대한 계획내용의 개선 및 실제적인 인센티브 부여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계획결정과정에서 해당 구역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하고 개발 및 관리에 대한 방향의 설정이 명확하지 못한 가운데 일반적 기준만을 강요함에 따라, 당초 구역의 계획 취지 및 목적이 결정과정에서 변경, 왜곡되는 문제점을 지적되고 있으며 복잡한 행정절차 등에 따른 계획결정의 장기화 등으로 계획의 본질이 흐려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역 또는 지구의 계획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렇게 설정된 계획방향에 따라 일관되게 계획을 수립해 나가면서 계획상 필요 없는 절차는 과감하게 생략하거나 의제처리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이러한 지구단위계획의 개선 및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계획수립가가 필요하지만 현재 순환보직제에 따라 서울시의 지구단위계획담당 공무원의 지구단위계획과 관련한 업무경력으로는 3년 미만인 담당자가 81%나 차지하여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지구단위계획은 일반 도시계획규제와 달리 내용이 복잡하여 전문성이 제고될 필요가 있으므로 전문직과 같은 직제의 개방과 함께 전문 인력의 교육이 요구된다.이러한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 도출과 함께 지구단위계획요소 중 공동개발 및 인센티브적용에 있어서 실제적 적용사례의 실증적 분석을 통해 그 실효성 및 개선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공동개발에 있어서 서울시 각 구청을 대상으로 공동개발 관련 구도시계획위원회 변경에 대한 결과를 중심으로 그 실효성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2년 이후 공동개발을 변경하고자 구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된 총 심의건수 639건으로 그중 488건이 가결되어, 평균 76%가 가결되었으며 24%가 부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서울시 25개 구청 중에서 조사대상인 22개 구청 중 18개 구청이 구도시계획위원회 공동개발관련 변경심의에 상정하여 가결된 비율이 60%이상이었다. 이는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지구단위계획 수립시 공동개발의 의도와는 다르게 도시계획위원회 지구단위계획 변경심의를 거쳐 건축허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구단위계획수립시 공동개발 계획은 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하여 제어 할 것이며, 그 구역의 적정개발규모 및 최대개발규모내에서 자유로운 공동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구역내 영세필지나 맹지형 필지의 최소화 및 차량 진출입을 고려한 필요에 따른 공동개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권장이 필요하다.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의 제어요소의 준수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가 실제적으로 건축허가시 얼마나 부여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건축허가시 적용한 용적률과 허용용적률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 준수에 따라 주어지는 용적률 인센티브의 최대치인 허용용적률과 실제로 건축허가시 적용된 용적률의 비율을 계량화하기 위해서 (용적률 - 기준용적률) / (허용용적률 - 기준용적률) × 100을 인센티브 적용 비율 a로 설정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서울시 각 구청의 경우 2002년 이후 지구단위계획구역내 건축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총630건 중에서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인센티브 비율 a(%) 가 10 % 이하인 경우가 41.1% 이고,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인센티브 비율 a(%) 가 60 % 이하인 경우가 67.0% 인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사례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분의 건축허가시 용적률이 인센티브 부여에 따른 허용용적률에 도달하지 못하고, 제어요소에 따른 인센티브부여는 그 매력이 상실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구단위계획 수립시 제어요소 준수에 따른 인센티브항목의 현실성 및 그 양에 있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지구단위계획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요소별 인센티브량을 과감히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인센티브의 적용항목에 대한 실질적인 다양화가 요구된다.결론적으로 현재의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및 운영에 있어서 공동개발을 적극적 유인하기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중심의 운영은 지구단위계획 실시단계부터 동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그에 따른 경제적 요소를 감정평가 등을 통해 필지 상호간의 매매가 가능토록 제도화하는 데는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의 실효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구단위계획구역의 강제적 실천을 위해서는 공공부문에서 특정필지의 경우, 우선 도시계획 결정 및 매수 후, 인접필지 소유자에게 의무적 매입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도입하거나, 개발의지가 있는 자가 일정 필지의 매도청구를 통한 개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 시가지의 소규모화 및 필지의 부정형 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필수적인 규제를 하면서도 그 제어요소의 준수에 대한 세제혜택의 기준안 마련, 용적률의 경제적 이익 극대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통해 주민의 욕구를 근본적으로 대체하고 도시환경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공공과 민간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의 이해 및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