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민의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정체성, 애착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형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도시재생에 의해 만들어진 지역의 고유하고 혹은 독특한 이미지(image)가 지역 정체성(identity)을 형성하면서 관광지화 되고 있지만 지역주민과 상인, 관광객 사이의 갈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지화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인 관광영향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지역 주민의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정체성, 지역애착과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국내외 문헌연구와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각 변수에 맞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에 위치한 ‘연트럴파크’를 중심으로 한 연남동과 동교동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을 설정하여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정체성, 애착과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본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들 요인들의 상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첫째, 관광영향인식은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관광지화가 이루어질 때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 문화, 건물, 이미지 등이 주민의 정체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관광영향인식은 경제적 영향이 지역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영향이 클수록 거주하고 싶고 생활하고 싶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정체성과 주민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지역주민이 지역의 정체성을 인식할 때 정체성에 맞는 행위를 하며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을 지각될 때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애착은 주민만족에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거주애착과 생활애착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이 다른 곳보다 살기 좋고 나의 중심이 우리지역이라는 생각과 나의 삶에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주민들이 인지할수록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정체성은 거주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징성에 있어서 우리지역을 대표 할 만 한 상징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관광영향인식은 주민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역 주민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이 증가할수록 피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인 이득 증가, 문화적인 혜택을 더 많이 누릴 수 있다는 인식전달이 필요하다. 연구의 분석결과와 같이 관광영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관광지의 다양한 갈등 요소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주민들이 지역정체성을 인식하고 관광영향인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 내고 지속가능한 관광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 조직 또는 협의체의 구성과 관련 지자체의 정책지원이 필요한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민의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정체성, 지역애착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지를 위한 기초 자료수집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indigenous or unique image of a region, created from urban regeneration, forms a regional identity, the region becomes a tourist attraction causing a crises through the conflict erupting between residents, merchants, and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eal how the perception toward the effects of tourism influences regional identity, community attachment,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order to disclose the causes behi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a region. With a focus on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selected assessment indices appropriate to each variable and surveyed residents living in Yeonnam-dong and Donggyo-dong, centering on ‘Yeontral Park’ in Yeonnam-dong, Mapo-gu in Seou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urthermore, the study set hypotheses and empirically analyzed effects, and, by presenting a research model on how the perception toward the effects of tourism influences regional identity, community attachment,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it cla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First, the perception toward the effects of tourism influences regional identity, with the history, culture, buildings, and images representing a regi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identity for residents when the region becomes a tourist attraction. Second, the perception toward the effects of tourism shows that the economic effect influences community attachment, with a great economic effect leading to a greater desire to reside and live in the region. Third, with regar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dentity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residents behave in a way appropriate to a regional identity when they perceive an identity for the region and they also increase in satisfaction when they perceive a symbolic icon representing the region. Fourth, community attachment influences all factors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ith residential attachment and lifestyle attachment both scoring high. This means residents are satisfied to the point of recognizing their region as better for living than other regions, that my center is our region, and the region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my life. Fifth, regional identity influences residential attachment, and it appears that conferring a symbolism capable of representing our region is important. Sixth, the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it appears that, in order to satisfy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convey the perception that an increase of tourists leads to, not harm, but rather an increase in quality. As demonstrated b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important that residents perceive a regional identity and positively accept a perception toward the tourism impact so as to resolve various elements of conflict that may result from the effects of tourism. Furthermore, the results also imply the need for policy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s and councils centered on residents in order to draw out the active support of residents and create sustainable tourist attractions. It is the hope of the present study that research on how the perception toward the tourism impact on the part of residents influences regional identity, community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as small as it may be, to the collection of basic data which will serve sustainable tourist attractions.

      • 관광영향인식이 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장흥 토요시장 지역주민 참여를 중심으로 -

        김희배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통시장은 지역사회의 사람과 물류와 경제에 활기를 주고 있다. 또한 전통시장은 유통의 중심지이고 인생의 삶과 문화가 교차 하는 문화적 상생의 공간이다. 예로부터 전통시장은 사회적·경제 적·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물류의 현대화와 대규모 물류센터의 등장으로 지방 소도시의 전통시 장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정부에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과 지원책을 실시해 오고 있다. 2008년에 제정된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계획’은 문화관광형 전통시장 특성화의 기틀이 되었다. 이후부터 전통시장은 관광과 쇼핑이 가능한 문화관광자원으로 육성하게 되었다. 전통시장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상인과 지역사회 주민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또한 전통시장 개발에 대한 지지도의 확보, 관광영향인식에 대한 분석과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구심점으로 기능해온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을 현대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사례 연구는 장흥의 토요시장으로 정한다. 따라서 장흥 토요시장의 성공 요인과 관광자원으로서의 매력과 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관광영향과 개발지지도의 관계: 지역애착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반가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의 세기라고 불리는 21세기에 관광 자체는 현재 전 세계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 활동이 되었으며 지역, 나아가 국가의 광고 역할을 한다. 관광은 산업, 과학, 예술 등 인간의 다양한 활동 성과물을 일정한 주제에 따라 종합적으로 기획 전시하여 대중에게 보여주는 행사로, 산업 진흥, 무역 확대, 기술 발전, 국가 간 이해 증진은 물론 생활의 편리와 풍요를 도모하는 종합이벤트이다. 이를 통해 개최국은 자국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고 다른 나라와 교류할 기회라는 점에서 개최도시는 물론 국가 자원으로써 관광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박람회는 목적지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고 새로운 투자의 상업 기회를 늘리며 주민들의 사기와 호감을 높이고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 관광산업의 발전을 추진하는 대형 활동이다. 성공적인 활동은 또한 유형과 무형의 유산을 낳는다(예를 들어 호텔과 숙박 시설의 발전, 더 좋은 인프라 시설과 새로운 편의 시설의 설립, 국제 인지도의 향상). 대형 이벤트가 주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관광 수입, 소득, 취업, 정부 수입과 문화 의식의 증가, 그리고 지역 이미지의 개선을 포함한다. 따라서 박람회 관광개발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은 관광산업 자체뿐만 아니라 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에도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수광시 국제채소박람회 관광영향을 받은 주민을 대상으로 한다. 현지 주민들의 시각에서 출발하여 관광영향이 지역주민의 박람회에 대한 개발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중에서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 탐구하여 박람회 관광 영향 연구 분야의 성과를 풍부하게 하고자 한다. 데이터가 보여준 것에 따르면 긍정적 경제적/사회문화적/환경적 영향과 부정적 환경 영향은 통계적으로 관광개발지지도에 의의 있게 영향을 미친다. 반면 부정적 경제적 영향과 부정적 사회문화적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관광개발의 영향과 관광개발지지도의 영향 관계에 있어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이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지역애착의 두 가지 요소인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은 조절작용을 한다. 사회적 친분은 양자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수광시 지역주민들의 관광영향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지속적인 관광개발지지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지역애착의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에서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한다. In the epoch dubbed the "Cultural Century" — the 21st — tourism has emerged as a pivotal global cultural activity, functioning as a platform for regional and national publicity. Tourism entails the integrated planning and public display of various human achievements spanning industries, science, and the arts, thematically curated. It stands as an integral activity in the revitalization of industries, trade expansion, technological advancement, fostering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he pursuit of convenience and prosperity in daily life. Through this, the host country can proclaim its merits to the world, offering an opportunity for exchange with other nations. From this perspective, it becomes evident that not only is it a resource for the host city, but also for the country,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tourism. Expositions serve as large-scale events aimed at enhancing the positive image of a destination, creating fresh investment opportunities, boosting local morale and goodwill, attra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and stimulating the growth of regional tourism. Successful events yield tangible and intangible legacies (for instance, the development of hotels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establishment of superior infrastructure and new amenities, and heighte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impact of large-scale events on the host region encompasses increased tourism revenues, income, employment, government earnings, cultural awareness, and an improvement in regional image. Thus, researching the sustainability of expo tourism development holds profound significance not only for the tourism industry itself, but also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residents affected by the tourism impact of the International Vegetable Science and Technology Expo of China (Shou Guang) in Shouguang, Shandong Province, China. This study seeks to comprehend the effect of tourism on residents' support for expo development from their perspective and to investigate the modulatory role that regional attachment plays among these residents, thereby enriching the findings in the field of expo tourism impact research. Data reveals that positive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impacts, as well as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degree of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Conversely, negative economic impacts and negative sociocultural impacts do not demonstrate significant validation statistically. Moreover, the analysis on whether regional attachment among local residents exerts a modulato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s of tourism development and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reveals that two elements of regional attachment, namely regional identification and regional dependence, play a modulatory role. Social Acquaintance, however, does not exert a modulatory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e outcomes of this study highlight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tourism on Shouguang community residents directly influence the degree of support for continuous tourism development, with crucial modulatory roles played by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community dependence within community attachment.

      • 지역주민의 관광개발 참여의사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차이 : 내생적 개발 선호 주민을 대상으로

        김도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자치단체나 민간자본에 의해서 진행되는 관광개발이 이루어 질 경우 발생하는 지역주민의 반대를 지양하고, 나아가 해당 지역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 영향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선행연구들에서 보듯이 관광개발이 진행되면 개발로 인한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요인들이 경제, 사회 · 문화, 환경 등 모든 인접환경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들은 지역주민들에게 긍정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되며 각 영향을 인식하는 반응상태에 따라 지역주민들의 참여의사가 적극적으로 혹은 소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 하에 현재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개발 방식이 무엇인가를 내생적과 외생적 관점에서 제시하여 선호하는 개발 방식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해당 영향인식이 적극적 참여의사를 표출하는 지역주민 집단과 소극적 참여의사를 표출한 소극적 참여의사 집단에서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는가를 밝혔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조사 대상지는 2011년까지 동부산권 개발 계획에 의거 총 사업비 1조 4000억원이 투입되는 해운대-송정-대변-일광 지역에서 대변리가 속해있는 기장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측정 항목을 도출하기 위한 예비조사는 10월 7일 조사대상지인 기장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50부를 배포 회수하여 본 조사 척도를 도출하였으며, 본 조사는 10월 8일 기장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총 360부를 배포 회수하였다. 조사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회수된 표본의 유효표본 353부를 다시 비례할당 추출 후 무작위 표본추출(random sampling)하여 총 194부를 대상으로 내생적 개발 방식과 외생적 개발 방식 선호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 도출된 내생적 개발 방식 선호집단 165개의 샘플을 대상으로 연구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에 대한 조사 자료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내생적개발 방식과 외생적개발 방식의 지역주민 선호도 측정에서는 내생적 개발방식을 선호하는 지역주민의 빈도수 165개로 외생적개발 방식을 선호하는 집단 29개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지역주민의 적극적/소극적 참여의사에 따른 관광개발 영향인식 차이에서는 부정적 환경영향 인식과 부정적 사회 · 문화 영향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세 번째, 지역주민의 적극적/소극적 참여의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검증이 되지 않았지만, 관광개발로 인해 긍정적 경제영향이 인식될 경우 지역주민들은 방법에 관계없이 전체적인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광개발을 진행할 때 지역주민들은 기존의 개발 방식의 주축이 되어 온 외생적 개발방식 보다는 내생적 개발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인 지역주민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QOL)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TV나 신문 등의 언론 매체들을 통해 환경이나 지역주민의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표본이 된 내생적 개발 방식을 선호하는 지역주민들은 개인적 편익을 바라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 보다 자신의 생활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적극적 참여를 통해 사태해결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개발을 진행하는 주체 측에서는 내생적 관광개발 방식을 통해 개발을 진행할 경우에는 지역주민과 사회에 미칠 수 있는 경제적 편익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할 것이며, 경제적 편익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개발로 인해 지역사회나 주민에게 미칠 수 있는 관광개발의 부정적 환경영향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광개발이 어떤 지역에 이루어지기 전에 지역주민들에게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환경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개발로 인해 지역사회와 주민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편익을 충분히 홍보한다면, 지역주민의 참여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며, 이로 인해 개발로 인한 개발 주체와 지역주민간의 갈등의 해결은 물론,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 환경을 충분히 고려한 내생적 관광개발이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Endogenous development is a trend for tourism development. The endogenous development is based on local resi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loc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ocal resident's quality of life(QO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dogenous development is local resi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Although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interested in tourism development impact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however, they haven't argue about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who prefer endogenous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n tourism development impact of the local resident's intentions to participate.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at whether the local residents prefer the exogenous development or the endogenous develop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GiJang Gun, Busan City, from Sept. 07 to Sept. 08, 2004 by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Total of 360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host community and then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random sampling method, 195 data were extracted among the collected data. For analyzing the dat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irect-participation cluster and indirect-participation clust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rist of all, most of the local residents (165 persons) prefer endogenous development than the exgenous development (29 persons). So, local governments or enterprise have to adopt endogenous way of development for the local resi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when they are planning tourism development. Secondly, local residents who prefer endogenous development a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ourism development when they perceive negative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aspects. Thus, developers need to consider that the local residents are very sensitive for negative impacts on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aspects. Finally, local resi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when they perceive some positive economics impacts whether they are high involvement persons or not. abstract Therefore, for the future tourism development plans, developers should understand some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toward the host community to reduce prepare for negative impact and try to reduce any conflicts that might occur. Also, developers have to promote any benefits for local residents and host community before they conduct any actions. Then, it would be possible to increase the local resi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s directly and indirectly, as well, to prevent residents' possible counter actions.

      • 사회교환이론에 따른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이 지속적 관광개발 지지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애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문현철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의 고유한 관광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다양한 관광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 관광지인 제주특별자치도는 2000년대 후반부터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와 저가항공의 등장, 국내여행객의 증가 등 다양한 호재가 겹치면서 제 2의 성장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관광개발사업과 같은 지역사업 개발에 있어 해당 사업이 가져다 줄 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태도, 지지도 등은 관광개발에 대한 투자유치와 같은 성공적인 개발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태도는 동전의 양면처럼 개발에 따른 결과와 성과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게 된다. 또한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는 그들이 장소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 즉, 지역애착도에 따라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관광개발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정도와 이에 따른 지속적인 관광개발 지지정도, 그리고 그 속에서 지역주민의 느끼는 지역애착도가 어떠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주도 제주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유효표본을 획득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광영향인식과 지속적 지지의사 간의 영향관계 검증을 통해 경제적 영향인식, 긍/부정적 사회·문화적 영향인식, 긍정적인 환경적 영향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속적 관광개발 지지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인식과 부정적인 환경적 영향인식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관광개발영향에 대한 인식과 지속적인 관광개발 지지의사 간 영향관계에 있어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심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분석결과 지역애착심의 세부요인인 정체성, 의존성, 사회적 친분은 모두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주도 지역주민이 느끼는 관광영향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인식은 지속적인 관광개발 지지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애착도는 이들 사이에서 중요한 조절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관광개발을 추진하려는 기업이나 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은 지역주민의 긍정적 영향인식의 극대화 및 부정적 영향인식의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해야 함을 시사하였으며, 그동안 독립 또는 종속변수로만 주로 활용되어온 지역애착도의 조절변수로써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관광영향인식과 지속적 개발지지 의사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각 영향관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광개발 이해관계자가 참고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제주도 관광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하였다.

      • 관광영향인식 및 태도가 개발유형에 미치는 영향 : 무안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채단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Recently the tourism development is internationally more interested in the certain region or the economy and the society and the ecology which influences to the country. Therefore, the study which is followed by the humans and the society is becoming attractive. Because mostly the places which the inhabitants live are developed as the tour places, the inhabitants are positively and negatively effected from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parts. And these kind of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will surely effect on the coming of tourism development. This study is how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heir attitudes act the type of tourism development, many kinds of business of tourism development such as Mang-woon international airport, the planned cities for business, festival of the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province are being done. According to changing of region situation, I try to study the economical, social-cultur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which the inhabitants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Therefore, I am going to study the type of tourism development which the inhabitants like the best. This study is made of the survey research and the theoret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research contains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he type of tourism development: this is kinds of the review of literature. Moreover, in the survey research, I used twenty-one items about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he reason of attitudes followed by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opinion survey of inhabitants, and I also used fifteen items about the type of tourism development with this, after I conducted the survey about the inhabitants' opinion in Muan with one of the collected material. I analysed the thesis with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1.0 followed by the limited modal. Sp if you read the result, you can get five reasons such as soci-cultural types(positive), soci-cultural types(negative), environmental types(positive), environmental types(negative) from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items. You can get four reasons such as shopping and leisure, history and culture, resorts, experiencing the healthcare food for stamina. I separate three groups: activity of shopping and leisure, type of history and culture, experiencing the healthcare food for stamina. This is followed by reasons of four types of tourism development. You can get followed by small groups which the inhabitants like the best, and eight incomplete human statistics and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he reason of attitudes which is concerned by exchanging analysis (The result conduct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In the small group of incomplete haman statistics except the incomplete reason of level of education, you can get the difference from the incomplete extra reason. Also, in the tourism development I can get positive attitudes from soci-cultural and economical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more highly. I can get negative attitudes from soci-cultural and economical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more highly. In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ypes of development, I can get higher attitudes in environmental negative reason. This is the group which experience the healthcare for stamina. Except this, the inhabitant prefer types of history and culture. Finally, there are some incomplete things of this research. First, I can't say I got all inhabitants' opinion in Muan, because I conducted the survey in two towns which can be a modal. Second,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survey of inhabitants' opinion, item of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he attitudes have less realism and belief, although I got items a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region and the progressing and and the type of development, and also I charged and deleted the unrealistic items which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books and thesis have. <국문초록> 오늘날 경제성장과 더불어 다변화되는 사회현상으로 인해 관광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지역 경제,사회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전략으로 관광산업의 비중이 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관광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관광개발이 특정 지역사회 또는 국가에 미치는 경제, 사회적 그리고 생태학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크게 제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관광개발이 인간을 비롯한 사회전반적인 부문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 따라서 관광개발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인이라는 다양한 인식체계를 가지며, 또한 다양한 지역 내 변수로 인해 변화를 지닐 수 있다고 여겨진다. 지역 주민들이 생활하는 주변지역을 관광지로 개발하기 때문에 이런 여건 및 환경변화 속에 주민들은 경제, 사회문화, 환경 등 광범위한 분야에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되다. 그리고 이런 영향인식 및 태도가 앞으로 진행될 개발 사업에 분명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영향인식 및 태도가 관광개발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써, 연구대상지역인 무안군에 현재 망운국제공항건설, 기업도시 유치, 각종 농산물 향토축제 등을 비롯해 지역발전을 위해 다양한 관광개발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지역여건변화 속에 지역주민들이 생길 수 있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인식 및 긍정적 부정적 태도를 파악하고, 그러므로 주민들이 선호하는 관광개발유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앞으로 진행될 관광개발 방안의 일환으로 활용하고자 하고 무안군 지역주민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고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유도하는 데 보탬이 되며, 특히 지역관광 개발정책 및 다양한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관광영향 인식 및 태도를 비롯해 지역사회의 일반적인 주민의식 상태가 향후 관광개발의 유형을 결정짓는 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문헌연구 및 지역조사를 통해 나타난 다양하게 작용되는 변수로 하여금 작용하는 요인들을 파악해 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문헌연구와 주민의견 조사를 통해 도출한 21개 관광영향인식 및 태도요인 측정항목과 15과 관광개발유형 측정항목을 이용해 무안군에 행정구역상인 2곳 무안읍과 일로읍에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통계패키지 SPSS 11.0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적합도 검증을 통해 관광영향인식 및 태도 항목에 있어서는 사회문화적 긍정 부정, 경제적 긍정 부정 환경적 부정적 영향 등 5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개발유형 항목에 있어서는 쇼핑위락, 역사문화, 레포츠, 보양체험 등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추출된 4개의 관광개발 요인을 세분집단별로 구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결과는 쇼핑위락활동형, 역사문화추구형, 건강보양체험형 등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군집분석에 의한 지역주민이 선호하는 세분집단과 인구통계학적변수가 8개, 관광영향인식 및 태도 요인을 교차분석을 통해 지각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세분집단 간 지각차이 검증에서 학력수준 변수 이외에는 나머지 변수에 대해서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분석결과에 의하면 관광개발에 있어서 무안군 지역주민의 대부분이 관광개발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경제적 영향인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환경적 영향인식에 있어서 부정적인 태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관광영향인식과 개발유형의 관계를 통해 제시된 바에 환경적 부정적 요인만이 건강보양체험형을 선호하고, 그 외 나머지 요인의 경우 역사문화추구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향후 지역의 관광개발의 추진에 지역실정에 알맞은 개발유형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사업 참여와 지역사회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 제시가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환경적 영향에 있어서 선호집단별 인식도를 통해서 관광개발이 환경 분야에서는 편익보다는 비용(지출)의 발생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개발유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주민들과의 대화 창구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관광의 역기능을 고려한 관광개발형태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지역관광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읍단위 2곳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분석결과에 있어서 무안군 전체 주민의 의견을 일반화시키는데 제약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와 주민의견 조사를 통해 도출한 관광영향인식과 관광태도 항목은 국내외연구문헌에 제시된 비현실적인 항목을 수정, 삭제하는 과정에서의 오류도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관광개발유형 항목의 경우는 지역현실과 현재 개발진행 과정 및 형태를 염두에 두고 항목을 추출하였지만 객관성과 신뢰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연구분석의 한계도 지니고 있다.

      • 공정관광의 관광영향지각, 관광태도, 참여만족에 관한 연구 : 이해관계자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박혜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ourism industry has grown quantitatively,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convergence industry that grows local economy and creates high added value. However, the negative impacts of tourism such as conflicts betwee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gentrification have emerged behind the quantitative growth of tourism industry. Fair tourism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negative impacts of tourism. Fair tourism that is also known as responsible tourism is a key concept of sustainable tourism. It is a type of tourism in which the money paid by the tourists can helps the local community, and the rights of local residents are guaranteed. Also all stakeholder in the tourism industry are equal, and they consider fairness that can be negotiated and coordin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n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tourism attitud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takeholder in fair tourism. Based on this, it is designed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solve the negative aspects of tourism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a literature review on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tourism attitud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ere conducted. Base on thi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online and on-site survey targeting stakeholder, that is local residents, tourists, and travel agencies specialize in fair tourism. The questionnaire was set up as a self-administered and an interviewer survey depending on the situation. Sampling was carried out quantitatively using both judgmental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A total of 168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55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the unreliable responses.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i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n perceptions of all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ree dimensions were formed into each variabl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is composed of 6 variables that is positive economic impact, negative economic impact, positive sociocultural impact, negative sociocultural impact, positive environmental impact,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Tourist attitude’ is composed of 2 variables that is cognitive attitude and emotional attitude. ‘Participation satisfaction’ is composed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akeholder in all dimensions respectively. Among the results, local residents groups perceived high as for ‘negative economic impact’ and ‘positive sociocultural impact’ variables compared to tourist and travel agencies groups. Interestingly, while travel agencies perceived high as for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such as ‘the increase in noise pollution’, ‘inducing traffic conges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of a community’ compared to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Also, in most of the questionnaires items of tourism attitud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dimensions, all stakeholder groups showed high average values of 4.0 or higher regardless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is quite meaningful to suggest academic,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fair tourism and sustainable tourism. However, this is an early study of fair tourism that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stakeholder, further studies should be developed to supplement this study.

      • 觀光地 住民의 觀光影響 認識에 關한 硏究 : 西歸浦市를 中心으로

        송양우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주도에서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관광개발이 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간주되면서 대규모 관광개발 계획을 추진중에 있으며, 제주국제자유도시 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됨으로써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자 국제자유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국제적인 관광.휴양도시 ‘서귀포시’는 세계정상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서 중문관광단지가 개발완료 또는 추진 중에 있고, 특히 세계평화의 제전인 2002월드컵축구대회 개최지로서 따뜻한 기후, 수려한 경관, 충분한 숙박시설, 완벽한 경기장 시설 등 동계 전지훈련의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 건축가 상을 받은 ‘가장 아름다운 월드컵경기장’을 찾은 방문객이 만족도에 따른 구전효과로 인해 국내.외 관광인원이 급증(1일 4천명∼7천명)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향후 동계전지 훈련 등 관광자원으로 최대한 활용시 지역경제 활성화 등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라는 특수한 환경적 특성을 가진 지역사회에 있어서 관광지 주민이 관광영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검토해 봄으로써, 진행되어질 관광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관광진흥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관광지 주민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관광지 주민이 느끼는 관광에 대한 인식은 과거의 연구들에서 주를 이루었던 부정적 시각이 이번 조사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시각으로나타났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조사의 연구대상지와 연구기간, 변수의 설정 등에 따른 차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관광개발이 수십년부터 이루어져 오고, 또한 관광에 대해서 가지고 있던 과거 개발단계에서 보여왔던 부정적 의견이 이제는 자신들의 생계수단과 맞물려 있고, 또한 관광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그다지 심각하지 않았다는 데서 온 반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관광지 주민의 관광개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역시 위의 관광영향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들을 반영하여 주듯이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발전을 위해 추가적인 관광개발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전체의82.4%를 차지하였다는 것이 이를 입증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양적인 관광의 발전보다는 환경보호를 전제로 하는 관광개발을 주문함으로서 소위 말하는 ‘지속가능한 관광’, ‘환경친화적인 관광개발’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져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과거 관광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느끼던 관광지 주민의 관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금에 와서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것이고, 이는 추가적인 관광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고용기회를 창출하고, 이를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이루어 관광지 주민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과거의 양적 팽창 위주의 관광개발이 아닌, 환경을 보호하는 지속가능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관광개발을 할 때만이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고, 추가적인 관광개발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관광개발을 위한 지방세 부담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다소많은 것으로 나타나, 관광개발을 시행할 시에는 지방정부에서 주가 되는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민자유치를 통한 관광개발을 하는 것이 지역주민들 간의 대립을 막을 수 있는 대안 중에 하나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ogwipo city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s. The impacts of tourism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tourist and residents in destination place community. Introduction part of this thesis set up problem suggestion, research purpose, research boundary, and research method. In second chapter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set up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ird chapter is positive research. This chapter set up the design of research model, establishment of research hypothesis and investigation design. Fourth chapter is analysis result and interpretation. So, this study is to come out some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residents' perception about tourism impacts from SPSS package program. From the data analysis, the Seogwipo city residents' overall perception of tourism impacts are positive, also, in answer about hereafter tourism development, positive answer is dominant.

      •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이 관광정책 갈등요인과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관광개발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박주영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on policy conflict factors and policy acceptance by analyzing the case of Jeju, where numerous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have sparked controversies and conflicts in recent years. First, this study reviews existing theories on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policy conflict factors, and policy acceptance. The findings of the theoretical review were used to develop a model and hypotheses. Th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which constitute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compariso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and policy acceptance (dependent variable),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on public administration, policy science, and politic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the questions, and reviewed by experts. Then,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improving the validity, appropriateness,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with local residents. The current status of tourism development in Jeju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survey areas. Based on the findings, the Animal Theme Park and the Ora Tourism Complex were selected. Then, in order to finalize the participa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n the two areas, news articles on two development projec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urvey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news article analysis: for the Animal Theme Park, residents of twelve villages (Ri) in Jocheon-eup; for the Ora Tourism Complex, residents in Ora-dong and Ara-dong, which are scheduled for a development project, as well as residents of Samdo1-dong, Samdo2-dong, Yongdam1-dong, Ildo1-dong, Ido1-dong, Yeon-dong, and Nohyeong-dong, who were identified as stakeholders for the development project. The survey consisted of online survey and interviews, and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February 26 to March 17, 2021. A total of 3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313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 five-stage process using SPSS 24 and SmartPLS 3.0. This study tested 28 sub-hypotheses under 6 main hypothes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Hypotheses 1-1 to 1-8)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on political conflict factors, administrative conflict factors, legal and institutional conflict factors, and economic conflict factors.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any of the four groups of policy conflict factors, whereas nega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significantly affected all conflict factors. As such, Hypotheses 1-1 to 1-4 were dismissed, and Hypotheses 1-5 to 1-8 were adopted. Unlike the expectation that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would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licy conflict factors, the findings indicat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finding appears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term “conflict” itself has negative connotations, and respon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s of the benefits of tourism did not associate the benefits with the negative concept(conflict). As for the effect of nega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on policy conflict factors, the perceptions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olitical conflict factors.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residents who are more negative about the effect of tourism industry or development are more likely to think that political factors aris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ourism policies are the most significant causes of conflict. The findings on Hypothesis 2, which addresses the effect of policy conflict factors on policy acceptance, show that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 conflict factors have negative effect on policy accept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acceptance is undermined by unfairness in policy goals and contents, poor response from administrative bodies, lack of trust toward administrative bodies and operators, and conflicts regarding financial compensation or distribution of profits.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do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olicy acceptance is affected by the lack of experts or expert organizations on conflict resolution, or shortcomings of the relevant laws and systems. 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mean values of policy conflict factors, residents do not frequently experience conflicts caused by legal or institutional issues. Nor do they think that there exist great needs for the intervention of conflict resolution experts or organizat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ways to mitigate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 conflicts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in order to improve policy acceptance through conflict resolution. As such, Hypothesis 2 was partially adopted. Hypothesis 3, which consists of Hypotheses 3-1 and 3-2, relate themselves to the effect of positive/nega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on policy acceptance.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whereas negative perceptions negatively affected policy acceptance. The path coefficients of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were measured at 0.569 and 0.277, respectively. Th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ing positive perceptions may be a more effective way to increase policy acceptance than lowering negative perceptions. By testing Hypotheses 1 to 3,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whether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 conflict factors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policy acceptance. The findings support the mediating effect of administrative conflict factors between negative perceptions and policy acceptance. Then, the mediating effect of administrative conflict factors were analyzed in further details. The theoretical review and reliability analysis supported the categorization of negative perceptions into negative perceptions on economic impact, socio-cultural impact, and environmental impac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policy acceptance and negative perceptions on each category. The finding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administrative conflict factors between negative perceptions on environmental impact and policy acceptance.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of administrative bodies and project operators, and transparent publication of the relevant information for policy acceptance of local residents with negative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Hypothesis 4 was tested to examine the regulation effect of external factors between policy conflict factors and policy acceptance. Among the four types of conflict factors, the external effects had regulation effect only on administrative conflict factors. The findings prove that the roles of the media and the press, interventions by NGOs, and public hearings and briefing sessions may make difference in the policy acceptance of residents who think that conflicts are caused by administrative factors. Hypothesis 5 tested how the effect on policy conflict factors and policy acceptance varies depending on residents’ opinions regarding local tourism development, including whether they are for or against tourism development, or how much they think tourism development is needed in their areas. First, a comparison of mean values found differences across all facto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spondents were for or against development. Among the factors affected by respondents’ opinions, only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for and against tourism development. As for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need for development, different mean values were reported between the group who thinks that development is highly needed, and the group who thinks that the need for development is low.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conflict factors and policy acceptance were only found with administrative factors. Lastly, Hypothesis 6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si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differences in positive/nega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perceptions of conflict factors, policy acceptance, and external factor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whether residents were born and raised in the development areas; whether residents reside in the development areas; whether residents rely on the tourism industry for their income; and whether residents own real estates in the development areas. Differences in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political conflict factor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 residents were born and raised in the development areas. Perceptional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erms of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legal and institutional conflict factors, and economic conflict facto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sidents reside in the development areas.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all facto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sidents rely on tourism businesses for their income, with greater differences observed in the mean values of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policy acceptance.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reliance on the tourism industry reported higher values for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policy acceptance. A group with a lower level of reliance on the tourism industry reported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policy conflict factors. The residents’ ownership of real properties in the development area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across all factors, with a comparison of mean values showing minimal differences. However, owners of real properties in the areas report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positiv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a lower level of negative perceptions. The findings are related to the spillover effect of tourism development. Unlike the development of not-in-my-front-yard facilities, tourism development tends to create expectations that it will raise land and house prices in the area by boosting commerce and attracting move-ins in the areas. To summarize,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amined under Hypothesis 6, resident status in the development areas and reliance on the tourism industry cre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residents reported different values for some factor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born and raised in the area, or moved in from other areas. In a democratic society, as its members try to build a local community where diversity co-exists with pursuit of individual interests, conflicts inevitably arise from conflicting values and goal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new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policy conflict factors, and policy acceptance, under the assumption that difference in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development may cause conflicts among them. In order to ensure systemic and continuous control of conflicts regarding tourism development and raise the level of policy acceptance, it is not enough to merely identify the causes and levels of those confli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offers findings that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orts to improve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systematically identify conflict factors, and improve policy acceptance. When addressing conflicts, focus should be on how to manage them rather than avoidanc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hel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nsolidate its drive for timely management of conflicts regarding tourism development, while ensuring that a stable conflict management system secures its place in the province.

      •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애착과 관광정책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성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향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의 기대감 관점에서 관광영향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지역애착과 관광정책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광영향 인식, 삶의 만족, 지역애착 및 관광정책 신뢰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강원도 18개 시군 주민들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관광정책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강원도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인과관계 분석 이전 단계로서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전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가 모두 0.7이상, 분산추출지수가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수렴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모두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가장 핵심적 분석인 인과관계 분석결과 독립변수의 경제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영향력은 경제적 영향(0.112), 사회문화적 영향(0.300), 환경적 영향(0.101)로 강원도 주민들이 관광개발 등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이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적 의의는 강원특별자치도 제도 자체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이해도 제고, 사회문화적 영향을 고려한 관광정책의 변화 가능성 공감대 형성과 정책 신뢰도 확보, 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지역사회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특별자치도 제도 아래에서 환경규제와 관광개발에 대한 담론 형성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과제는 추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들의 관광영향 인식 관련 기대감이 충족되었는가에 대한 후속연구,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조사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핵심 집단 인터뷰(FGI) 기법, 전문가 토의 등의 보완적 방법의 활용, 횡단적 연구방법 사용에 따른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단적 데이터의 구축과 분석 활용, 개인 인식에 근거한 분석수준에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분석수준을 지역공동체 또는 지역사회로 확대한 다수준적 접근을 통한 연구 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