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펙트럼 쉐어링을 위한 게임이론 기반의 안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확장에 관한 연구

        최예진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면서 고도화된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주파수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제한된 주파수 자원 환경에서 효율적인 주파수 공유를 가능하게 하도록 스펙트럼 쉐어링 기술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스펙트럼의 관리 방식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스펙트럼 공유자들이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반 스펙트럼 쉐어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면 기존의 중앙 집중형 시스템보다 더욱 다양한 사용자들의 참여와 많은 주파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동적 수익 및 비용을 평가하고 관리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자원의 증가와 일반 사용자의 스펙트럼 공유를 유도하기 위한 문제를 게임 이론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였다. 게임 이론을 적용하여 스펙트럼 쉐어링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 사용자들의 협력을 끌어내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협력하는 사람들에게만 협력하고, 협력하지 않으면 동일하게 협력하지 않는 Tif for Tat (TFT) 전략을 적용하였다. 일정 비율 이상의 TFT 전략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들이 공유 전략을 지속해서 변경하도록 한다면, 기존의 중앙집중식 방법보다 스펙트럼 쉐어링을 55.1% 이상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슈링클스 장신구 연구

        최예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물은 소통의 매개체이다. 우리는 떨어지는 낙엽을 보며 쓸쓸한 감정을 느끼기도 하지만 만개한 식물을 통해 행복한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그중에서 꽃은 함축적인 의미를 전달해주는 대상이다. 생일이나 결혼식과 같은 기념일을 축하하는 뜻으로 선물하기도 하며, 누군가의 슬픔을 위로하는 추모의 의미로 전달되기도 한다. 정서적인 안정과 위안을 주는 꽃은 끊임없이 생성되고 소멸하는 순환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보이지 않는 움직임까지 상상하게 하여 예술적 영감을 얻기에 무궁무진하다. 꽃은 한 곳에 자리를 잡아 주어진 환경에 맞춰 성장하고 생존하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개화(開花)는 ‘꽃이 피다’라는 뜻이므로 물, 햇빛, 영양 등 많은 조건을 충족한 후에 시작되기에 꽃의 생명력이 극대화된 시기이다. 만개한 꽃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끊임없는 생명 운동의 결과물이며, 이를 통해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우리는 꽃에서 드러나는 생동감으로 인해 행복함, 심리적인 치유, 안정감 등을 느낀다. 연구자는 개화한 꽃에서 발견되는 유기적인 형태와 색채를 재구성해 생명력을 이미지화하여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려고 한다. 슈링클스(Shrinkles)는 색연필을 비롯한 다양한 채색 도구를 이용하여 종이처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플라스틱이다. 열에 의해 크기 변화가 일어나는 이 재료는 최대 1/7까지 수축되며, 그려진 그림은 줄어드는 정도에 따라 더욱 섬세하고 정교하게 변한다. 슈링클스는 수축하면서 유동적인 입체 형태로 변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측 불허성과 우연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슈링클스는 우리나라에서 장신구로 활용된 사례가 거의 없다. 하지만 가변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파손될 위험성이 적으며 매우 가벼워 장신구로 제작했을 때 큰 장점이 된다. 유동적인 형태를 보이는 슈링클스는 꽃에서 나타나는 곡선과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이다. 꽃잎의 유기적인 선은 역동적인 힘과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명체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변형된 슈링클스의 비정형적인 형태는 생명 운동이 느껴지며 곡선이 강한 꽃잎과 유사하다. 연구작품은 총 12점의 브로치로 이루어져 있다.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형태가 결정되는 슈링클스의 우연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꽃의 생명력을 이미지화하였다. Plants are a medium of communication. We feel lonely looking at falling leaves, while feeling happy when we see plants in full bloom. Among them, flowers are the object that conveys implicit meaning. Flowers are sometimes presented to celebrate anniversaries including birthdays or weddings, and also delivered to comfort someone's sorrow. Flowers that provide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visually show the process of a cycle of constant creation and extinction. In addition, it is limitless for us to get artistic inspiration from flowers by imagining even invisible movements. Settled in one place, flowers exert strong vitality to grow and survive according to a given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flowering period is a time when the vitality of flowers is maximized in full bloom after satisfying many conditions such as water, sunlight and nutrition. Flowers in full bloom are the moment when they externally emit formativeness such as structural features of the shape and various colors. In other words, it is the result of the constant movement of life occurring inside, through which we can feel the vital power. We can feel happy and receive heal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due to the vitality from flowers. The researcher tries to induce emotional responses by reconstructing organic shapes and colors found in blooming flowers to make image of life force. Shrinkles is a plastic on which pictures can be drawn like paper using a variety of coloring tools, including colored pencils. Shrinkles decrease up to 1/7th with changing properties by heat, and the drawn picture is depicted more delicately and elaborate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shrinkage. This material, which begins with a flat surface, changes its shape into a fluid solid through the process of shrinking,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unpredictability and contingency in this process. The organic lines of petals signify the dynamic force and movement of life occurring inside. The changed form is similar to petals with strong curves, and life activity can be felt in the form of modified Shrinkles. Shrinkles has been rarely used as Jewellery material in Korea. However, it has good flexibility and excellent durability with little risk of damage. Moreover, it is very light and has a great advantage when manufactured as ornaments for the body. This material, which shows a contrasting shape before and after shrinkage, is effective in expressing the form and color of the curve of flowers. The research works consist of a total of 12 brooches. The vitality of flowers was imaged by using the accidental effect of Shrinkles, whose shape is instantly determined by heat.

      •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연구

        최예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분석하여 각자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국적의 화자들 사이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적 교류에 필수적인 문화적 배경, 공손함, 속어 등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 중에서 한국어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어법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범주이다. 대부분의 서양 언어권 국가들은 경어법이 문법 범주에 나타나지 않지만, 상호 작용적 의사소통을 위한 공손 표현 활용은 적용이 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영어, 불어, 일본어, 중국어 등의 공손 표현과 관련된 연구는 많았지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언어를 선택하여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문법을 형태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의 공손 표현과의 대조 분석을 실행할 때 주목해야 할 문법적 요소들을 이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어서 공손의 개념과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어의 공손 표현은 규범적인 성향이 강한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은 전략적인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대조 분석은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를 토대로 삼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어휘 층위와 화용 층위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활용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의 공손 표현과의 비교를 통해 서로의 공통점 혹은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by comparing them.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peak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ey must have knowledge of the cultural background, politeness, etc. for social interaction. Among these various elements, the politeness in Korean, which is a high percentage of the language, is a category tha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access. The study is very important as the usage of polite expression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does not appear in the grammar category of most part of Western countries. Also,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ncerning polite expressions in English, French, Japanese, and Chinese, but no studies on polite expressions in Brazilian Portuguese were found; so it was selected as an analysis target of this paper. First of all, the grammar of the Portuguese in Brazil was simplified by dividing it into form and syntactic aspects.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grammatical factors that should be noted when performing a contrast analysis with the Korean language's polite expressions. Then,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polit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While Korean politeness was more prescriptive,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was more strategic.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to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was conducted based on the grammar hierarchy, vocabulary and chemistry levels. As a result, the vocabulary and chemistry layers showed a high frequency of using Brazilian Portuguese polite expressions, and a comparison with Korean polite expressions was made to identif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them.

      • 궐련형 전자 담배 폐기물의 열분해를 통한 화학 공급 원료 생산

        최예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열중량분석(TG)과 열분해-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Py-GCMS)를 이용하여 담뱃잎(TL), 폴리유산(PLA)필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필터로 이루어진 궐련형 전자 담배 (EHT) 폐기물의 열분해에 대해 연구하였다. 흡연 후 얻어지는 폐 EHT의 열분해 특성은 EHT의 열분해 특성과 비슷하였다. 순수 및 폐 TL과 순수 및 폐 CA의 최대 분해 온도(Tmax)는 EHT 성분의 분해 온도와 비슷했으나 그을림으로 인해 폐 PLA의 Tmax는 PLA보다 다소 높았다. PLA와 CA의 Tmax는 열분해 중간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TL과 혼합열분해 되었을 때 낮아졌다. 폐 EHT 성분의 비등온 열분해에 대한 활성화에너지 값은 EHT 성분 활성화에너지 값 보다 높았다. Py-GC/MS 분석 결과 TL에서 니코틴과 리모넨, PLA에서 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 CA에서 아세트산과 트리아세틴 등의 화학원료들이 EHT의 단순 열분해 과정을 통해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L, PLA, CA들의 혼합열분해시 반응중간체의 상호 작용으로 락타이드의 생성량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yrolysis of waste electronically heated tobacco (EHT), consisting of tobacco leaves (TL), a poly-lactic acid (PLA) filter, and a cellulose acetate (CA) filter, was investigated using thermogravimetric (TG) and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GC/MS) analysis. The pyrolytic properties of waste EHT obtained after smoking were comparable to those of fresh EHT. Although the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s (Tmax) of waste TL and CA were similar to those of fresh EHT components, the Tmax of waste PLA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resh PLA due to smoldering. The Tmax of PLA and CA were lowered when they were co-pyrolyzed with TL due to interactions between pyrolysis intermediates.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ies for the non-isothermal pyrolysis of waste EHT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sh EHT components. Py-GC/MS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onsiderable amounts of chemical feedstocks, such as nicotine and limonene from TL, caprolactone and lactide from PLA, and acetic acid and triacetin from CA, can be recovered by simple pyrolysis of EHT. Co-pyrolysis of TL, PLA, and CA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amount of lactide was much larger than the calculated value, suggesting its synergistic formation.

      • 소똥구리(Gymnopleurus mopsus)의 기초생태 및 월동특성

        최예진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국내 발견기록이 없어 현재 지역절멸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소똥구리의 국내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자료 및 월동특성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똥구리의 복원을 위한 모개체군을 몽골에서 도입하기 위한 절차와 실내사육을 위한 사육법, 월동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서술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ecological data and data on winter characteristics for domestic restoration of endangered wildlife II-class cattle dung beetles, which are currently presumed to have been destroyed in the region due to lack of domestic discovery records since the 1970s. In this paper, the procedure for introducing the Mogaegi group for the restoration of cow dung beetles in Mongolia, the breeding method for indoor breeding, and the research results on wintering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 Innervation in Women with Uterine Myoma and Adenomyosis

        최예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s: To determine if NF is expressed in the endometrium and in the lesions of myomas and adenomyosis, and to determine if this expression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NF in the endometrium. Methods : Histologic sections were prepared from hysterectomies performed on women with adenomyosis, uterine myoma, and carcinoma in situ of the uterine cervix. Full-thickness uterine paraffin blocks, which included the endometrium and myometrium histologic sections,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antibodies for monoclonal mouse antihuman neurofilament (NF) protein. Results : NF-positive cells were shown in the endometrium and the myometrium of the patients with myomas and adenomyosis, although such results could not be statistically verifie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xistence of NF-positive cells and menstrual pain/phases, but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xistence of NF-positive cells in the functional layer of the endometrium and the existence of NF-positive cells in lesions of myomas and adenomyosi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NF-positive cells in myoma and adenomyosis might play a role in pathogenesis and disease-related pains. It should be further studied if NF-positive cells in the endometrium and the lesions of myomas and adenomyosis could play a role in pathogenesis and disease-related pain. 목적: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이 있는 여성의 병변에서 신경필라멘트(NF)의 발현여부와 이 발현이 자궁내막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및 자궁경부 상피내암으로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여성들의 조직 절편을 바탕으로 진행 하였다. 자궁내막과 근육층의 조직 절편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의 자궁 파라핀 블록을 단클론 생쥐 항인간 신경필라멘트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었다. 결과: 신경 필라멘트 양성 세포가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환자의 자궁내막과 자궁근육 층에서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못했다. 신경필라멘트 양성 세포의 존재와 월경통이나 월경기간의 상관성은 없었지만, 신경 필라멘트 양성 세포가 자궁내막층의 기능층에 존재 하는지 여부는 신경필라멘트 양성 세포의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병변에서의 존재 여부와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에서 신경필라멘트 양성세포가 병인과 질병과 관련된 통증에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자궁내막 그리고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병변에서 신경필라멘트 세포가 병인과 질병과 관련된 통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태양광 패널 청소를 위한 접이식 로봇팔 설계 및 제어 연구

        최예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로봇팔이 부착된 드론으로 태양광 패널을 청소하는 작업을 제시한다. 새똥의 군집화는 K-Means와 Self-Organizing Map(SOM)을 사용하였고 청소 시간을 계산하여 성능을 비교했다. 클러스터를 감지한 후 로봇팔이 청소 작업을 수행하였다. 로봇팔은 드론 크기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GUI는 카메라 이미지를 기반으로 X-Y테이블에 부착된 접이식 로봇팔을 구동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로봇팔이 부착된 드론을 이용해 태양광 패널 청소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진행했다. In this thesis, the cleaning task of the solar panel by a drone with a robot arm is presented. For clustering of birds droppings, K-Means and Self-Organizing Map were used and their performances were compared by calculating the cleaning time. After detection of clusters, the robot arm performed a cleaning task. The robot arm was designed to be a foldable structure to overcome the size limitations. GUI was developed to drive the robot arm attached to the X-Y table based on the camera image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feasibility of cleaning a solar panel by using a drone with an arm.

      • 한국어 교재의 음운 현상 교육 내용 연구 : 대학 통합 교재를 중심으로

        최예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학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 음운 현상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교재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음운 현상에 관한 교육 내용에 대해 제언함으로써 한국어 교재 내의 음운 현상 교육 내용 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한국어는 음운 현상에 의해 표기와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학습자가 제대로 된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한국어 통합 교재는 자모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음운 현상은 독립된 교육 영역으로서 다루고 있지 않거나 개별 어휘를 통해 학습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게 되면서 이 연구를 시작하였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음운 현상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대상 선정의 문제, 제시 순서의 문제, 용어 사용의 문제, 발음 표기의 문제’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특히 대상 선정의 문제의 경우 기존의 논의들에서 다루어졌던 교육 대상에서 더욱 확장하여 대상을 선정하거나 기존의 논의들에서 선정하였던 교육 대상들 중 일부는 그것의 교육 내용을 더욱 확대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제시 순서의 경우에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면서, 한국어의 특수성,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음운론적 제약, 음운 현상 설명 시의 복잡성, 개별 음운 현상들 사이의 연관성 등을 기준으로 하여 순서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한국어 교재 속의 음운 현상 교육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출판된 통합 교재인지, 음운 현상 교육 내용을 개별적으로 다루고 있는지의 두 가지 기준을 통해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 『(new) 서강 한국어』, 『서울대 한국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상의 4종의 교재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교육 대상을 선정하고 있는지, 교육 대상에 대한 설명이나 예시는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4종의 교재들은 교육 대상을 각각 다르게 선정하고 있었다. 『한국어』의 경우 다른 교재에 비해 선정한 교육 대상의 수가 적었으며, 『재미있는 한국어』의 경우 다른 교재들보다 모국어 화자의 실제 발음과 관련된 교육 대상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 외에도 교재들에서의 음운 현상 교육 대상들의 제시 순서나 용어의 사용 양상, 발음 표기 방법 등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4장에서는 교재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음운 현상 교육 내용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야 한다고 했던 음운 현상들 중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교재에서도 대부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고 있었다. 대체로 동일한 음운 현상은 교재들 역시 유사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나, 같은 음운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교재마다 설명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 제시 순서 측면에서, 통합 교재는 말하기나 읽기 영역에서 사용되었던 지문과의 연관성을 토대로 음운 현상 교육 대상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고, 그것에 따라 제시 순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론적인 입장에서의 제시 순서와 실제 교재의 제시 순서를 단순하게 비교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통합 교재일지라도 개별 음운 현상들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심화 반복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문법 용어 측면에서는 문법 용어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 것인지와 관련하여 교재를 분석해 보았다. 문법 용어를 사용할 때는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일상적인 어휘를 사용해야 하며, 설명어를 중심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고, 한국어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발음 표기 측면에서는 평파열음화를 교육할 때를 제외하고는 모든 교재가 음운 현상으로 인해 표기와 달라진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운 현상은 학습자들이 한글을 학습하고 난 이후에 교육되므로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발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 미세플라스틱 프리 빛 차단용 무기 복합 입자의 합성

        최예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부가 태양광에 노출될 때 홍반, 화상, 주름과 같은 광 노화 현상과 더 나아가 피부암 등 다양한 부작용과 질병이 나타날 수 있다. 태양광 중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은 멜라닌 형성과 콜라겐 합성 저하 등 피부 노화와 DNA 손상을 일으켜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광의 44 %를 차지하는 가시광선 중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블루라이트 영역은 피부 속 카로티노이드의 저하를 유발하고, 활성 산소 (Reactive oxigen species, ROS)를 생성하여 세포 기능장애, 세포 노화 및 종양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을 지연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한편 태양광의 41 %를 차지하는 적외선 영역은 피부 속 깊게 침투하여 노화를 유발하는 유전자로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를 유도해 피부 속 콜라겐을 분해하고 주름을 유발한다. 더욱이 자외선과 근적외선이 함께 피부에 조사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주름의 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자외선뿐만 아니라 블루라이트, 근적외선 영역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빛 차단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미세 플라스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지 않은 빛 차단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무기 복합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특정 파장 영역의 빛 차단에 최적화된 크기의 복합 입자를 개발하였다. 대부분의 입자는 입자의 크기 혹은 기하학적 구조가 다르면 차단할 수 있는 빛의 파장이 변화한다. 따라서 복합 입자를 개발하기에 앞서 SiO2 단일 입자를 합성하여 자외선과 블루라이트,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SiO2 단일 입자는 sol-gel 방법으로 합성하였고 이 때 반응 속도 제어를 통해 입자의 크기를 조절했다. 또한 합성 중 입자의 응집 방지를 위해 고분자 안정제를 사용했다. 무기 복합 입자는 복합 입자의 합성 중 입자의 응집 방지와 무기입자의 분산도를 확보하기 위해 고분자 안정제를 사용했다. 먼저 금 나노입자 (Au NPs)가 도입된 Au@SiO2 복합 입자를 합성했다. 금 나노입자 고유의 LSPR현상 제어를 통해 광 특성을 조절하였다. 합성한 Au@SiO2 복합 입자는 소량의 금 나노입자를 사용하였음에도 분홍색을 띄었고 기능성 조색원료의 활용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아울러 상용화된 빛 차단 소재인 TiO2@Al(OH)3 무기 입자를 사용하여 TiO2@Al(OH)3@SiO2 복합 입자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TiO2@Al(OH)3@SiO2 복합 입자는 TiO2@Al(OH)3 입자에 비해 물에서 높은 분산도를 나타냈다. 또한 복합 입자로 합성한 경우, TiO2@Al(OH)3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동일한 빛 차단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TiO2@Al(OH)3 양을 대폭 낮출 수 있었다. 또한 크기가 서로 다른 입자의 단순 혼합에 따른 광 특성의 변화를 관찰했다. 일부 조합의 혼합에서 빛 차단 성능과 산란 성능이 소폭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적절한 크기의 입자 조합으로 특정 영역의 빛 차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광 노화를 유발하는 자외선과 블루라이트,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최적화된 크기를 확인하였고, 빛 차단 성능을 가지는 무기입자를 도입한 복합소재를 개발하였다. 입자의 크기 조절만으로 특정 파장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빛 차단 소재의 합성 방법을 개발하였다.

      • 20, 30대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편의점으로부터 “혜자스럽다”, “편퇴족”, “얼리어먹터” 등의 신조어가 발생하는 등 편의점 식품이 주목받고 있다. 1인가구의 등장,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인해 편의점 PB식품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층 중에서도 취업난과 경쟁풍토 속에서 살아가는 20, 30대 젊은 세대가 편의점에서 끼니를 떼우는 등 편의점 PB식품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데 이들은 편의를 추구하는 동시에 건강이나 영양을 생각하는 등 모순적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편의점 식품을 소비하는 사람들의 건강 및 영양적인 측면에 대한 우려가 논의된다. 하지만 젊은 세대가 식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항상 편의성과 경제성뿐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어떠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나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20, 30대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유형화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각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다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집단 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에 대한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20, 30대 소비자의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연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한 결과 ‘편의추구형’, ‘탐식형’, ‘새로움추구형’, ‘무관심형’의 총 4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건강추구, 미식추구, 음식탐험, 요리도전, 편의추구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별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간편성, 음식의 질, 그리고 위생이라는 선택속성에서 유의미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 그리고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집단에서는 탐식형과 새로움추구형, PB식품 선택속성에서는 간편성, 경제성, 음식의 맛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 30대 편의점 PB식품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편의추구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됨을 의미한다. 또한 간편성, 경제성, 음식의 맛이라는 선택속성이 다른 특성보다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보다 편리함, 저렴함, 맛 등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향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선택속성에 따른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특징을 편의점 PB식품소비 및 사회적 배경과 결부시켜 해석했으며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함의하는 바에 대해 논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Convenience PB(Private Brand) food is highly recognized that neologism regarding convenience store such as “Hyeja(Sufficient amount)” has come up.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shrinkage of consumption have also made convenience PB food more popular. Consumers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are leading the actual consumption of convenience PB food since they are the ones living the competitive era of employment difficulties and spending their money on convenience store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in 20s, 30s are segmented with FRL measure and how the segmented groups and convenience PB food selection attributes influence convenience PB food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02 consumers who are in their 20, 30’s and have bought convenience store PB food at least once in the last one year. After checking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each scale,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Post-Hoc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4 clusters named as “Convenience seeking”, “Voracity”, “Adventurer”, and “Not Interested” are distributed by FRL scale. Second, three convenience store PB food selection attributes, “Convenience”, “Quality of food”, and “Sanitary”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 clusters. Third, “Voracity” group, “Adventurer” group, “Convenience”, “Price”, and “Taste” had significant effect on convenience store PB food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ho are in 20s and 30s could be distributed into diverse groups regarding FRL. It also demonstrates that FRL and convenience store PB food selection attribute have more influence on convenience store PB food satisfaction tha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segmented convenience store PB food consumers in their 20s, 30s with FRL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regarding social circumstances. It also has a signification trying to explain the effect of each group and convenience store PB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convenience PB food satisfaction reflecting soci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