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lobalization and women : the impact of industrial development on women's labor in Asia

        서영희 Ewha Womans University 1999 국내박사

        RANK : 233247

        지난 30년 동안 아시아는 획기적인 성장을 이룩했고 이것은 전세계 경제에 커다란 공헌 뿐만이 아니라 노동력 부문에 있어서 여성참여의 커다란 증가로 이어져왔다. 여성들에게 보다 많은 노동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성장이 여성진보에 관한 긍정적인 연관성을 갖는다고 가정되기도 하지만, 결과들에 관한 현실은 복합적이다. 이 연구는 동남 아시아 그리고 동아시아의 선별된 역동적인 경제체제에 있어 여성들의 노동에 관한, 특히 산업영역에 있어서 그들의 역할을 고려하면서 세계화의 영향을 분석하는 시도이다. 이것은 발전과정 기간동안에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물론 노동시장에서의 여성들의 지위가 향상되었는지에 관한 평가를 위한 것이다. 노동력 참여 비율, 임금차 그리고 업무의 분리는 남성의 지위와 상대적인 취업여성의 지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평가기준들이다. 성차와 발전 (GAD) 이론으로 구성된 태국과 한국의 사례 분석은 아시아에서 여성과 발전에 관한 주요한 경향과 문제들을 강조하기 위해 제시된다. 이 사례들은 여성들이 공식적인 노동시장에 참가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얻기는 하였지만 그들의 지위는 남성들의 지위보다 하위에 머물러왔다는 것을 예시한다. 부상하는 하나의 주요한 문제는 '고용의 여성화'이다. 취업여성들은 단지 몇 개의 분야에만 그리고 그것들 가운데, 미숙련 또는 반숙련으로 분류되는 좁은 범위의 업무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여성들의 수입은 국가발전의 수준과는 관계없이 남성들의 수입과 비교하여 낮다. 이와같은 성차이의 이데올로기 (gender ideology) 는 부정적으로 여성들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대한 요인으로 인식된다. 사실상 이 연구는 이러한 비경제적인 요인들이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궁극적으로 남성들과의 평등을 성취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이 연구에는 여성노동과 관련된 경제적 구조조정의 충격에 관한 하나의 중요한 논의가 포함된다. 남성들과 비교하여 여성들은 불균형적인 구조조정의 대가를 감수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아시아 국가들의 재정위기를 고려해보면 이 결과는 노동에 관한 중대한 함축된 의미들을 갖는다. 재정위기의 위협은 노동시장 참여에 의해 그들이 아주 힘들게 성취한 결과들을 역진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들이 제정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아시아 경제에 있어서 노동시장에서 발견되는 불평등을 다루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결정적이라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만일 경제발전이 궁극적으로 여성의 지위를 개선하고 공평함과 평등으로 이끄는 것이라면 그때 정부는 발전정책을 설정함에 있어서 성차에 민감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는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보다 많은 여성들을 개입시켜야 한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정부는 여성문제를 국가발전 목표에 통합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past three decades, Asia has achieved phenomenal growth, which has led to a great increase in women's entry into the labor force as well as the growing contribution to the global economy. While it is assumed that by providing greater working opportunities to women, economic growth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women's advancement, the reality in outcomes is quite mixe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women's labor in selected dynamic economies in Southeast and East Asia, looking in particular at their role in the industrial sector. It is to assess whether women's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s been elevated du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wage differentials and occupational segregation are some key measures examined to determine working women's position relative to men's position. Framed by the Gender and Development (GAD) theory, case analysis of Thailand and South Korea are presented to highlight major trends and issues in regard to women and development. The cases illustrate that while women have gained from joining the formal labor market, their position has remained inferior to men's position. A major issue that emerges is the "feminization of employment" Working women are concentrated in only a few sectors and within them in a narrow range of occupations, which are categorized as low-skilled or semi-skilled. Also, women's earnings have been low compared to men,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country's development. Thus, gender ideology seems to be a force negatively affecting women's position. In fact, the study suggests that such non-economic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 on women'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se factors could determine whether women will achieve equality with men in the long-run. The study includes an important discussion on the impact of economic restructuring on women's labor. It finds that compared to men, women bear disproportionately the costs of restructuring. In light of the current Asian financial crisis, this finding has critical implications for labor. Effective measures need to be established to aid women, since the financial crisis is threatening to reverse some of the hard-earned gains women have made by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In study concludes that the strong role of government is crucial in order to deal with inequalities found in the labor market in the Asian economies. If economic development is to improve women's status and lead to equity and equality in the long run, then governments need to be gender-sensitive in formulating development policies. Also, they should involve more women in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short, governments need to integrate women's issues with national developmental goals.

      • (An) analysis of factors limiting rural women's engagement in agripreneurship in Cameroon : case study the rural areas of Nkolbisong, Farmacy, Mkomou and Mbankomo

        Kendemeh, Peaceful Meng Ewha Womans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3247

        농업 분야는 카메룬의 시골 여성들의 취업률이 높은 분야이다. 하지만 카메룬의 여성들이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있음에도 그들의 빈곤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시골 여성의 10%에 해당하는 여성들만이 농업 생산과 마케팅과 관련된 농업 기업가 정신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시골 여성들이 농업 기업가 정신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를 조사하고 Famassi, Nkolbisson, Mbankomo, Ngoumou를 포함하는 야운데시 근방의 사례를 토대로 여성가족역량강화부와 농업부, 농촌 개발과 NGO의 이해 관계자들의 관점을 조사할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도구로는 설문지 및 반 구조적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농촌 여성은 토지와 자본, 정보, 기업가 정신, 그리고 노동과 같은 생산요소와 농장 투입물 및 시장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GO 관점에 따르면 카메룬의 여성에 대한 차별적 전통 관행이 농촌 여성이 생산 요소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고 이러한 결과에 따라 농업가 정신에 참여하는 것 또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MINADER와 MINPROFF의 관점에서 볼 때, 젠더는 아직 정부에서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그러나 농촌 여성이 농업에 종사하는 것을 제한하는 요인이 있음에도 본 연구는 농업 기업가 정신에 참여하도록 농촌 여성을 장려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시골 여성에게 경제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기업가 정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골 여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 그리고 농장 투입물 분배뿐 아니라 현대식 농법의해 가능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남성과 종교 및 전통 당국과의 감성 프로그램을 조직하는 것에 의해 위와 같은 결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미 설립되어 있는 여성 농업인과 농촌 여성의 동기 부여를 멘토링을 촉진하고 경험에 대한 공유를 촉진하는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주요 보직에 더욱 많은 여성을 배치하고 여성의 관심사를 대표하고 동시에 성에 민감한 법과 정책을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시골 여성이 농업 기업가 정신에 참여하는 것이 그들의 경제력에 도움이 되고 빈곤에서 벗어나 농촌 지역 인구의 생계를 해결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다시 말해 시골 지역의 빈곤을 줄이는 것은 카메룬의 국가 발전을 더욱 촉진시킬 것이며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따라 남녀 평등을 달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Agriculture remains the highest employer of Cameroon’s population especially for rural women. Despite rural women’s massive participation in agriculture in Cameroon, there is still continuous high incidents of poverty among the rural women in Cameroon. Just 10% of the rural women in the country engage in agripreneursip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which is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agricultural inputs and products. Using qualitative methods of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limiting rural women from engaging in agripreneurship from the rural women’s and stakeholder’s (Ministry of Women’s empowerment and the famil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and NGOs) perspectives with case studies of rural areas around the city of Yaoundé (Famassi, Nkolbisson, Mbankomo and Ngoumou).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as data collection t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rural women have limited access to factors of production (Land, capital, Information, entrepreneurship and labor), farm inputs and markets. The study also contends that from NGO’s perspective, the discriminatory traditional practices against women in Cameroon play a vital role in limiting rural women from accessing factors of production and therefore limiting them from engaging in agripreeneurship. From MINADER and MINPROFF’s perspective, Gender is yet to be effectively mainstreamed at all levels of government. Despite the factors that limit rural women from engaging in agripreneurship, the study reveals that rural women can be encouraged to engage in agripeneurship. This is done by organizing sensitizations programs with men, religious and traditional authorities on the negative impacts of these practices on the wome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ural women’s economic empowerment, effective communication of training programs to the rural women on entrepreneurship training, trainings on modern farming methods as well as distribution of farm inputs. Also creation of platforms to facilitate mentorship and enhance experience sharing by already established female agripreneurs and rural women motivation. Lastly,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women in decisions making positions so that they can represents the interest of the women and make gender sensitive laws and policies. This study shows that encouraging rural women to engage in agripeneurship will empower them economically, reduce poverty and improve the livelihood of the population in the rural areas. Reducing poverty in rural areas will further Cameroon’s national development and will also help achieve gender equality in line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A) study on socio-economic empowerment of female workers in Myanmar's garment industry

        Thinn Thiri Su Ewha Womans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3247

        Empowerment, the sovereignty of women and the advancement of their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is a highly significant matter in itself (UNFPA 1994).Kabeer (2000) claimed that the majority of women workers in garment factories expressed positive impacts because they got improvement compared to previous life before employment. Then again, these garment firms as market strategies of the neoliberal policies would ignore rights of labor and citizen including the minimum for all costs, wages and welfares, and taxes to investors or capitalists in order to give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profits for doing business in their countries (Yimprasert and Hveem 2005). Despite the aforementioned contradictions, the number of women workers newly entering into the garment industry gets increased not only in Myanmar but also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5, Huynh 2017). Hence, the present study thinks of studying the impact of employment in the garment industry on individual female workers that could shed some light on our understanding of driving factors for women to work in this industry. Myanmar garment sector was considered as the case study to investigate this inquiry at a micro-level. Moreover, this research is worked by formulating Kabeer's conceptualization of empowerment framework and this framework identically assures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Myanmar garment industry empowered female labors. Finally, the result shows that they obtained the job opportunities, financial independence, and freedom actions such as better livelihood patterns, getting involved in decision-making, power over expenditure. 역량 강화, 즉 여성의 자주성과 그들의 사회∙경제적 여건의 발전은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UNFPA 1994). 커비어(2000)는 봉제공장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대부분이 고용 전보다 고용 후 삶이 개선되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신자유주의 정책과 맞물려 봉제공장은 노동자들과 국민의 인권을 침해하며 최저임금, 부적절한 복리후생, 투자자들과 자본가들을 위한 세금 감면과 같은 마케팅 전략을 통해 투자유치 및 지원 혜택을 제공한다는 비판도 있다. 앞서 언급한 모순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봉제공장에 새롭게 고용되는 미얀마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 여성 노동자들의 수는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5, Huynh 2017). 본 연구는 봉제공장 고용이 개개의 여성 노동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며 여성 노동자들을 봉제산업으로 내몰게 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미얀마 봉제산업 분야를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커비어의 역량 강화 구조를 개념화하여 봉제산업이 여성 노동자들의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봉제공장 여성 노동자들이 고용의 기회, 재무적 독립, 그리고 소비지출 의사결정을 비롯한 더 나은 생계유지의 기회와 같은 행동의 자유를 획득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 Labor migration and empowerment of left-behind wives : a case study of Kaski, Nepal

        Poudel, Sirjana Ewha Womans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3247

        Male domination societies when a large proportion of male population has been absent overseas for employment, this has led to be empowerment of women in private decision making in the family and also public decision making in social organizations. Most of the previous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male absenteeism and access of remittance empowers left-behind women due to the shift of the traditionally male-dominated role and access of resources from the husband to the hand of the left-behind women, This thesis examines in what extend male labour migration empower left-behind women in terms of family deci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in Nepal. The findings show that male absenteeism is only contributed in a very limited way to the empowerment women. Aligned with previous literature, the roles of the women have increased in daily household activities such as decision on children education, selection of health facilities, purchase of household stuff, has increased substantially. However, they have not empowered to take the major household decision, specifically on purchase of land and build house, which demands huge financial investment. Such important decisions are still in domain of their husband from the distance (abroad) or by in-laws through the proxy.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women are more forbidden instead empowered because of the lack of time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household workload.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male absenteeism has only increased the burden of household workload to the left-behind women rather empowering them for participation in major decision and events. This research also finds that the empowerment of women in household, as well as social activities, depends on the individual capabilities of women, such as educational qualifications rather than the husband’s migration status, which directs policymakers to formulate policies and programs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women in society. 남성 지배적 사회에서 많은 남성들이 해외로 취업하게 되면 이에 따라 가족을 위해서는 개인 차원의 결정, 그리고 사회를 위해 공적인 차원의 의사결정을 통해 권력을 갖게 된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전통적인 남성 중심적 역할이 변화되고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여성에게 넘어가기 때문에 남성들의 부재와 남성들이 벌어온 돈이 여성에게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남성이주노동으로 인해 본국에 남겨진 여성에게 가족 결정권과 사회 참여와 같은 권한이 주어지며 여성들의 세력이 확장된 네팔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남성의 부재가 지극히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여성에게 권한을 부여했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했다. 선행 연구와 해당 연구의 공통점은 아이들의 교육이나 건강 편의시설, 혹은 가정용품 구매 등을 결정하는 일상적인 부분에서 이전보다 더 많은 권한이 부여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땅을 매매하거나 집을 짓는 것과 같은 중대한 경제적 결정권에 대한 권한은 여성에게 부여되지 않았다. 이러한 중대한 결정권은 멀리 떨어져 있는 남편에게 맡기거나 남편의 가족에게 위임되어 있었다. 사회 참여의 관점에서 볼 때, 늘어난 가사 노동으로 인해 시간이 부족해진 여성들의 세력은 확장되기 보다는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해당 연구는 남성의 부재는 남겨진 여성들에게 가사 노동에 대한 부담감만 더할 뿐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가정에서의 권한은 남성의 이주와 같은 부재 상황이 아니라 교육과 같은 여성의 개인적인 능력에 달려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여성들의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earblossoms, protestants, and politics : women's education, missionaries, and the state in late 19th century Korea

        박은혜 Ewha Womans University 1999 국내박사

        RANK : 233247

        본 논문은 19세기 말 미국 선교사들과 한국 정부가 공통된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한국에서 여성들을 위한 교육기관을 개발하게 된 점을 논증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선교 기관들의 신학적 강조점들이 한국에 교육 기관들을 설립하려는 선교사들의 관점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규명하는 김성건 (1997)의 이론 및 국가능력의 절대적인 요소들, 즉 내재성과 (embeddedness) 자율성을 (autonomy) 특징으로하는 피터 에반즈 (Peter Evans 1995) 의 이론에 바탕을 두었다. 특히 現代化를 선도하려던 한국 정부의 노력과 병원이나 서구식 학교를 통하여 기독교를 소개 하고자 했던 미국 선교사들의 전략이 일치 했던 것을 고찰한다. 19세기 말 한국 정부는 내부적으로는 파벌주의로 인한 당쟁으로 근대화하려는 노력을 수행할 능력이 없었거나 결여 되어있었으며 외부적으로는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의해 수난을 당했다. 그러므로 정부는 그 당시 남성들을 위한 서구식 교육과 함께 여성 교육의 설립을 위한 선교사들의 시도를 받아들이기로 하였다. 19세기 초, 한국에 체류한 선교사들은 한국 정부의 강력한 반 기독교 정책으로 인해 학교, 병원등과 같은 기관 설립에 의존 하였다. 감리교 선교사들의 경우 교육 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예수의 복음에 크게 기여 할 것 이라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한국 정부가 국내외 난제들로 인해 여성교육을 위한 노력을 하지 못하던 상황하에서 선교사들의 출현은 그러한 기관들의 설립을 촉진시켰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between American missionar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schools for women in Korea.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derived from Sung-Gun Kim's (1997) theory on how the theological emphases of Christian missions organizations affects their view of institution-building in Korea, and Peter Evans' (1995) model ofcharacteristics crucial to the capacity of the state, namely "embeddedness" and "autonomy." In particular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interes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ushering in "modernization" coincided with the strategy of American missionaries to introduce Christianity through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and Western style schools. The court in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indered by factionalism from within, and beleaguered by Western and Eastern powers from without, lacked the capacity to carry out a full-scale modernization effort. Thus, they accepted the initiatives of the missionaries for the establishment of women's education, along with Western style education for men. The missionaries that came to Korea relied on institution building, primarily due to the prevailing anti-Christia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case of the Methodist missionaries, institution building was also viewed as a vital expression of the gospel of Jesus. In conclusion, the presence of missionaries facilitated the creation of women's educational facilities in Korea at a time when the complex internal and external difficulties of the Korean state prevented the state from undertaking such a task.

      • Gender and development approach : application for women entreprenuership development in SMIs

        이주영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 1998 국내석사

        RANK : 233247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WID (Women in Development) 접근법과 GAD (Gender and Development) 접근법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과거의 경제 개발 정책과 여성 개발 정책을 비판하고, 나아가 GAD 접근법을 바탕을 해서 중소기업에서의 여성기업가개발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 지 검토하는 것이다. WID 와 GAD 의 비교에 있어서 이 글에서는 먼저 WID 접근법에서 GAD 접근법으로 변천하게 되는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보게 된다. WID 접근법은 처음으로 여성들의 현실과 발전에 있어서의 그들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WID의 지나친 여성 강조 성향은 남성과 구분 짓는 여성만의 구획화 (sectorization)를 낳았다. 뿐만 아니라, 여성을 수동적이고 주변적인 대상으로 보는 WID의 전제는 여성들이 적극적인 주체로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리하여 학계와 발전 기구에서 여성 발전을 위해 일하는 학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WID의 한계점을 깨닫고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던 중 GAD접근법에 도달하게 된다. 발전 과정에서의 성 (gender) 불평등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GAD접근법은 다면적이고 총체적이며 실질적이다. 또한 구획화 보다는 협력과 통합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GAD접근법은 밑으로부터의 풀뿌리 대중 운동이나 동원을 강조한다. 따라서, GAD 접근법을 토대로 ‘발전’의개념은 토론과 참여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향상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 개념은 과거의 경제 발전 정책의 반성을 거쳐 등장하게된 ‘지속 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 과 깊은 연관이 있다. 대규모의 중앙 집중적인 산업화를 주장하던 정책 입안자들은 과거 발전 정책의 통화 침투효과 (trickle-down effect)의 한계를 인정해왔다. 이는 곧, 개발정책 뿐만 아니라 여성 정책에 있어서 변화를 의미하고, 그 변화는 상의하달 (上意下達) 식이 아닌 하의상달 (下意上達) 식의 일반 대중의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전과정에서의 여성들의 참여의 기회가 GAD 접근법과 중소기업개발 (SMID) 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밑으로부터의 풀뿌리 대중운동이나 하의상달식의 대중 참여의 특징으로 인해증가하게 되었다. 경제, 사회 발전에서의 중소기업의 중요성과 중소기업개발의 긍정적인 측면은 정부와 정책 입안자들이 여성중소기업가개발 증진에 관심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성에 근거한 불평등과 여성에 대한 속박으로 인해 개발도상국의 많은 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지지 못한 채 빈곤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GAD접근법을 바탕으로 한 정책 개발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GAD접근법이 여성기업가개발정책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의 활동을 소개한다. This thesis, by comparing Women in Development (WID) approach and Gender and Development (GAD) Approach, aims to discuss how past approaches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o women development can be criticized and how wome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small and medium-industries (SMIs) can be accomplished, using the GAD approach as its foundation. In comparing WID and GAD,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hift from the WID to the GAD. The WID approach was very meaningful in highlighting the situation of women and significant role women play in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its overemphasis on women resulted in sectorization of women. Also, its limited premise of women as passive and marginal subjects restricted women´s potential to become active agents. Considering the limits of the WID, those who worked for women´s development in development agencies and academia came to explore other kinds of approaches. Thus, the GAD approach arose. In terms of dealing with gender inequalit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GAD approach is multi-dimensional, holistic and substantial. The approach focuses on cooperation and integration rather than sectorization.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rassroots level mobilization. Hence, the concept of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GAD approach can be vied as a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etterment of individuals and of society as a whole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This notion of development can be equivalent to tha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appeared the contemplating the past development policies. Policy makes who used to insist on large-scale, centralized industrialization have acknowledged the limit of “trickle-down” effects. In other words, there in a shift in the approach to development as well as to women, specifically the emergence of bottom-up mobiliz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AD and small and medium-scale industry development (SMID) of bottom-up or grassroots level mobilization, women came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play as active participants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SMIs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positive aspects of SMID are powerful enough to persuade government and policy makers to promote wome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SMIs. However, due to the gender-based problems and constraints against women, many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in acute poverty, far from having any chance to run their own firms. Here, the GAD approach can be fully engaged. In order to see how the GAD approach can be adapted to wome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distinctive activities of UNIDO.

      • Violence against women in Latin America : analysis of femicide in Ecuador

        Valenzuela Trivino, Gilda Martina Ewha Womans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3247

        In Ecuador, violence against women is a problem entrenched in the country's social practices and the patriarchal structure. This violence manifests itself in different ways. Femicide (the death of women for gender reasons), is the most extreme form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country's criminal legislation was amended in 2014 to include the classification of femicide in its regulations and thus visualize a phenomenon that was being ignored. However, the inclusion of this crime in the law has been only the first step. Without a proper judicial structure and gender training, there is no guarantee that judicial processes and women's rights will be properly respected and enforced. By reviewing the judicial expedients of recorded cases of deaths of women on the basis of gender in Ecuador between 2015 and 2018, the current situation of femicide in the country could be characterized, identifying the prevalence of women’s deaths perpetrated by their intimate partners. In the same way, the review of the judicial process carried out in cases in which the judges changed the denomination of femicide of the crime to that of murder or general homicide, suppressing the gender name in the crime. This demonstrates the need for deep training in a gender focus for the Ecuadorian Judicial System. 여성 대상 폭력 범죄는 에콰도르의 사회적 관습과 가부장제적 구조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 이 폭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는데, 그 중에서도 여성살해는 가장 극단적인 방법으로 간주 된다. 에콰도르의 형법은 2014년 법개정을 통해 여성살해를 포함시켰고, 이는 이전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현상을 가시화 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법 개정을 통해 항목을 포함시킨 것은 겨우 첫 걸음을 뗀 것에 불과하다. 적절한 사법 제도의 구축과 젠더 교육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여성의 권리가 사법절차를 통해 보호 받고 존중될 것이라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젠더적 원인으로 사망한 여성들의 재판 속기록을 살펴봄으로써 친밀한 파트너에 의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여성살해를 진단하고, 현 에콰도르의 여성살해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재판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판사가 여성살해를 일반 살인이나 일반 연쇄살인으로 변경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에콰도르의 사법제도에 소속된 공무원들에게 성인지 교육을 제공해야 할 중요성과 필요성을 증명한다.

      • Voting for women candidates in village election : a case study of Aileu and Ermera municipalities, Timor-Leste in 2016

        Wati De Sousa, Francisca Susila Ewha Womans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3247

        Splitting from Indonesia in 1999, then becoming an independent state in 2002, Timor-Leste emerged as a new democratic state that follows best practices of modern states spread out across the globe. Engaging women’s in politic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considerable values that every nation-state shares nowadays. Timor-Leste as being part of international communities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ts society to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democratic values. However, efforts to increase the number of women participation in politics still remain a big question in Timor-Leste’s society. The question comes from variations of women’s representation between national and local election level, as well as variations among the local elections. Considering, the number of national women representation seems to be more stable compared to the presentation of villages women participation, and the different achievement of women who elected in the local elections,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respond the causalities. By employing descriptive analysis on the selected data from direct interview and other literature, this research found that some legal discrimination stipulated on electorate law contributed to shaping variation of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either national or local level. Moreover, Non-Government Organization (NGOs) as expected to be an agent of effective transformation, did not provide maximal incentives to help achieved women’s participation in local politics. This research also recognized the impact of others variables such as economy incapacity, level of education, patriarchal values, and media coverage of discourse of gender inequality in Timor-Leste’s political life. Thus, this research is likely to suggest the revision of electoral laws, likewise strengthen networks, women organization and donors to improve women’s engagement in politics not only with quantity but also quality. 1999년 인도네시아에서 분리되어 2002년 독립 국가가 된 동티모르는 세계 전역에 퍼져있는 근대 국가의 모범 사례를 따르는 새로운 민주 국가로 부상했다. 여성을 정치 및 기타 공공 기관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은 최근 모든 국가 간 공유하는 긍정적인 가치이다. 티모르 - 레스 티 (Timor-Leste)는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 사회의 민주적 가치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 사회를 발전시키는 과정 중이다. 그러나 정치 참여 여성의 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티모르 - 레스 티 사회에서 큰 문제로 남아있다. 이 문제는 전국 선거 수준과 지방 선거 수준 사이의 여성 대표의 변화뿐만 아니라 지방 선거 간의 다양성에서도 비롯된다. 본 연구는 국가를 대표하는 여성의 수가 농촌 지역의 여성 참여에 비해 안정적이고 지역 선거를 통해 선출된 여성의 성취도가 다르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연구는 다른 문헌 및 인터뷰를 통해 선별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선거법에 규정 된 일부 법적 차별이 국가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여성 정치적 변이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이는 효과적인 변화의 대리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NGO’s 는 여성들이 지역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최대한의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못했음을 나타냈다. 더불어 경제 불능, 교육 수준, 가부장적 가치, 언론 취재 등과 같은 다른 변수들이 티모르 - 레스테 (Timor-Leste)의 정치 생활에서 남녀 불평등에 대한 담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거법의 개정을 제안하고 네트워크, 여성 조직 및 기부자를 강화하여 여성의 정치 참여를 양적인 면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해본다.

      • Women entrepreneurs' booster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business incubators on women entrepreneurship in Egypt

        Elyamany, Angy Mohamed Lotfy Mohamed Ewha Womans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3247

        이집트투데이(2019)를 통한 월드뱅크(World Bank) 중동ᆞ북아프리카 지역 부사장가 “이집트는 극도로 빠르지만 잘 개혁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진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 하였다. 이후, 이 발언을 토대로 이집트의 개혁 수준을 지속가능하고, 최대 수준으로 보장하기 위해 Development wheel에서의 여성 참여가 요구되어왔다. 또한, 여성 기업가를 격려하고 지원하는 것은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방법이며 (Balasundaram, Absar, and Akhter 2010), 이는 경제성장을 신장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인구를 다각화하고 소득 평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발 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고, 경제적 유연성과 탄력성을 결과로 얻을 수 있다(IMF 2018). 하지만 이집트는 창업 지원 시스템 안에서 여성 기업가들로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상당수의 여성 참여를 잃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들은 기업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 시키는 것은 여성 기업가들의 역량을 강화 하고 여성 기업가들에게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여 여성사업가 정신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잠재적 여성 기업가들은 기업가로서의 삶 동안 수 많은 도전들과 장벽들을 맞닥뜨린다. 여성 기업가들에게는 재정적 접근이 더 어렵기 때문에 그들의 기업은 결국 부트스트랩 형태의 기업이 된다. 이는 여성 기업가들의 사업 성장에 제약을 주며 마케팅에 필요한 자금을 얻을 기회를 빼앗고 상품 품질을 떨어뜨린다 (Kenton 2019). 여성의 이동성 한계, 사회적 활동 제한, 그리고 비즈니스 능력의 부족은 여성 기업가로 하여금 기업가로서 기회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박탈 당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여성 사업가들은 남성 사업가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경쟁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더 많은 준비와 비즈니스 능력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창업보육시설이 여성 기업가들에게 눈에 띄는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며 여성 기업가 정신에 보다 더 효율적인 점을 시사한다. 이는 여성과 남성 기업가들의 기술적 성별 격차를 좁혀주고, 여성기업가들의 사회경제적 신분을 남성 기업가들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참가 후 여성 기업가들은 더 많은 권한을 갖게 되었다. 이들은 높은 자신감과 자부심을 갖게 되었고, 경제적으로 더욱 자립했으며, 가정에서도 전보다 많은 발언권을 갖게 되었고, 전보다 더 자기대행(self-ageny)을 하며, 객관적으로 보다 좋은 기회 그리고 더 뛰어난 기술 수준과 생활 수준을 갖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 기업가들은 자신들의 가족들과 다른 여성 기업가들, 그리고 기업가정신 생태계에 보다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Since “Egypt has been reforming extremely fast and well so that there is a need to keep that momentum going”, as said by the World Bank’s vice president in the MENA region (Egypt Today 2019), the engagement of women in the development wheel is required to ensure sustainability and the efficient use of Egypt’s full capacity. Moreover, encouraging and supporting women entrepreneurship is the device of women’s economic empowerment (Balasundaram, Absar, and Akhter 2010) that boosts economic growth as well as it leads to improved development outcomes by increasing diversification and income equality in the workforce and consequently results in more economic flexibility and resilience (IMF 2018). However, Egypt could be dropping out an enormous portion of women’s contribution with the non-concentration on the women’s specific needs in the incubation system/ that is a key player in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and is the heart of the women entrepreneurship and empowerment that can facilitate and eliminate female entrepreneurs’ challenges. As potential female entrepreneurs encounter a number of challenges and barriers during the course of their entrepreneurship lifecycle. It is harder for them to access finance and end up being bootstrappers, which can constrain their business growth, deprive the fund for adequate marketing, and even weaken the bootstrapped product quality (Kenton 2019). Female’s lack of mobility, lack of networking abilities, and lack of business skills deprive them from accessing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dditionally, female entrepreneurs need more preparation and business skills development in order to be able to compete on the same footing as male entrepreneu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es that business incubators have more significant impact and are more efficient on women entrepreneurship; as it narrows the gender gap of skills among female and male entrepreneurs; and enhances the female entrepreneurs socioeconomic status in more efficient way than for male entrepreneurs. Women entrepreneurs after joining the incubation program, they become more empowered. They gain more self-confidence and higher self-esteem, more financial independence, more voice in the household, more self-agency, get subjected to greater opportunities, and get better skills and living standards. As well as they have greater spillover over their families, other female entrepreneurs, and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