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경북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염철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이 글은 한국 대학에서 교양 교육 과정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다. 최근 외국 대학은 물론이거니와 국내 주요 대학들 역시 교양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경북대학교를 비롯한 상당수의 대학에서 표면적으로는 교양 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그에 어울리는 제도나 인적, 물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경북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첫째, 교양 교육 과정 개편 논의의 주체, 둘째, 교양 교육 과정 개편 시기, 셋째, 교양 교육 기관의 위상, 넷째, 교양 교과목 개설 주체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교양 교육을 전담하기 위해 설립한 기초교육원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초교육원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초 교육원산하에 지속적이고 심층적으로 교양 교육을 연구할 수 있는 '기초 교육 연구소'와 같은 연구 기관을 설립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a view to show various kinds of problems arising in operating liberal education course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and suggest the corrective measures for them. In recent years, all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s well as a number of leading universities in other countr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beral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neither practical support, such as human or material resources, nor an appropriate system for it in many domestic universities, includ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hich admit the importance of liberal education only outwardly. To improve this situation, the exist problems were analyzed and the ways of the improvement were searched in the cas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the paper. Four major issues were analyzed in priority in the paper: 1. the main agent of the argument for liberal education course reorganization, 2. the moment to reorganize liberal education course, 3. the status of institute of liberal education, 4. the main agent in establishing liberal arts. The result was that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which was established to take charge of liberal education had the structural faults, which didn't allow it to carry out its own role.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hat diverse institutional support be guaranteed to make sure of the independence of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It must be also considered that the institutions like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to do in-depth and continuous research on liberal education.

      • 융복합 교육 시대에 기초교양교육의 내실화와 제역할 모색

        이희용(Lee HeeYong)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오늘날 대학에서 기초교양교육은 토양과 뿌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떠맡고 있다. 이를 위해 기초교양교육은 많은 노력을 통해 진화를 거듭하고 있고, 급기야는 학부대학에서 융합 교육이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온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노력을 통해 기초교양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확산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공교육을 위한 기초교양교육만으로는 정보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은 여러 지식분야에 걸친 복합적인 것들로 이를 총체적으로 조망하는 능력과 통찰을 제공할 수 없다는 새로운 인식으로 인해 대학들은 융복합 교육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기초교양분야에서도 융합 교과목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 교과목은 지식을 스스로 창출하고 응용해야 하는 지식산업사회에서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등을 길러주고, 나아가 종합적 사유를 함양시켜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작금의 융복합 교육을 받아들여야만 하는 대학의 현실에서 기초교양교육의 내실화의 필요성을 한 번 되짚어 보고, 기초교양교육에서 무엇을 어떤방식으로 실행하는 것이 사회적 요구뿐만 아니라 우리 대학 현실의 사태에 부합하는가를 점검해볼 시기에 와있다. 융복합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기 위해서 기초교양교육은 교육 수요자들의 관심과 현실적 수용능력에 맞춰서 기초교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해야하는 내실화 요구에 직면해 있다. 본 소고에서 필자는 기초교양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할 기초교양과목으로 '논리와 사고, 비판적 책읽기,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를 연계시킬 수 있는 'LRW 융합적 글쓰기' 교과목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 교과목은 교육 수요자의 요구와 융복합 교육을 위한 기초교양교육의 내실화 요구에 충분히 부합할 수 있을 것이다. 'LRW 융합적 글쓰기'에서 논증력, 비판적 사고력 그리고 문제 해결적 창의력이 배양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LRW 융합적 글쓰기'는 '전공 연계형 글쓰기', '범교과 글쓰기', 그리고 'PWR 글쓰기'와는 다른 것이다. 이 세 가지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의 배양과 전공 연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와 달리 'LRW 융합적 글쓰기'는 논증 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기초로 사태에 맞는 문제 해결력을 함양시키고, 더 나아가 전공 심화 교육과 전인적 교육을 위한 기초능력 형성을 목표로 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seeking the advancement of a basic liberal education and its role in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ime. Today, a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which takes on not only task to form the base for a major education, but also must develop the basic curriculum corresponding to the convergent and integral education, must reflect its role again and find its advancement appropriating a demand of our society and a actual situation of our university. in order to dissolve the points in question the convergent and integral education and carry out its role without impropriety should fulfil the basic liberal education a demand for the advancement that it should develop and carry out basic liberal education programs adjusting a concern of the educational consumers and their real receiving capacity. In this article submits a proposal a writer 'LRW Convergent Writing' (Logic-Reading-Writing Convergent Writing) as the basic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basic liberal education. It is a academical writing that ties 'logic and thinking', 'critical reading', and 'professional writing' as a gradational and systematic subject. This subject can match enough up the demand of the educational consumers as well as one for the advancement of the basic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corresponding to the convergent and integral education. Through this 'LRW Convergent Writing' can the educational consumers foster the professional capacities in basic dimension such as the argumental capacity, the critical, and creativity for the solving problem. In this sense, it is differentiated with 'the Writing linked major', 'the all subject Writing', and 'PWR Writing' that are applied already in a basic liberal education. This three writing models focuses on linking the critical capacity and the capacity solving problem with the major education. Differently from that, 'LRW Convergent Writing' aims to teach first of all the argumental capacity and the critical, and to foster 'the capacity solving problem' suited to the subject matter on the base of both, and further form the basic capacity for the deepen of the major education and the whole-person education.

      • 대학 교양 역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김한종(Kim Han-Jong)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역사를 편성하는 데는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역사교육을 둘러싼 환경의 문제이다. 인문학과 인문교육의 위기, 2000년대 들어 계속되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역사분쟁, 중 고등학교 역사교육의 약화와 대학 입학생들 간의 역사지식의 차이, 대학 교양 역사과목의 다양화와 전문화 등은 교양 역사교육을 둘러싼 주된 환경들이다. 대학의 교양교육이나 역사교육의 목적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서도 교양역사과목의 방향이 달라진다. 대학의 교양교육을 바라보는 데는 지식인으로 사회에 살아가는데 필요한 교양을 갖추게 하는 것이라는 관점과 전공교육을 위한 기초지식의 습득이라는 관점이 있었다. 비판적 사고와 사회인식에 중점을 두는 견해도 있었다. 민족정체성이나 민족적 자부심의 함양, 관심이나 흥미의 충족은 한국사회에서 강조되어 왔던 역사교육의 목적이었다. 새로운 교양 한국사교육은 이러한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학생들이 자기 나름의 역사관이나 역사인식을 가지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둘 때, 대학의 교양 역사는 지역사나 국가사를 개괄적으로 다루는 과목, 시대나 분야,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심화과목, 역사를 전달하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 과목,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 과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We should considerate several problems for organizing history course as liberal subject at university. At first, there are environmental problems concerning to history education-the crisis of humanities and humanities education, continuing conflict between East Asian nations brought about from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history, getting weakness of history teaching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he difference of history knowledg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subjects. Next,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would effect history teaching as liberal education subject at university. There are some opinions for the purpose of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which one is to get students prepare cultural knowledge for entering the society, and the other is to help students acquire basic knowledge for studying their own expertise. Some ones argue history education emphasized on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social consciousness.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self-esteem have been considered as main aims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Such problems should be critically examined for organizing Korean history courses as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and university student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form their own historical perspectives and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discussing above, we would consider to open classes such as general history of Korea or local district, history

      • 피곤한 정보사회,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인문학의 방향

        서향숙(Seo, Hyang Suk)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7

        미래학자 앨빈토플러가 인류역사 발전의 과정을 3단계 혁명의 과정으로 지적했듯이 우리는 제3의 물결, 정보화 사회의 환경에서 후기 산업자본주의와 맞물려 넘쳐나는 정보산업에 포획되어 훈육되고 있다. 이젠 과잉정보의 스펙터클한 사회에서 피곤한 축적물들을 어떤식으로 배출할 것인지에 대해 지혜를 모아야할 시기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대안을 필자는 대학에서 교양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그 역할에서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의 논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의 환경문제에 대한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은 교육에 있다. 그리고 환경교육은 미래의 인간생존과 연관이 있다. 둘째, 기존의 환경교육은 근대 과학의 패러다임(방법론적 개체론)을 따르고 있으며 그것이 지금의 환경문제의 근원적인 원인이다. 셋째, 지금은 현대 물리학에 기초하는 패러다임, 즉 방법론적인 전체론에 의거한 환경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넷째, 방법론적 전체론에 의거한 적절한 환경교육이 바로 존 밀러가 제안한 홀리스틱 교육이다. 다섯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철학적으로는 영원의 철학을, 심리학적으로는 초개인 심리학을, 사회적으로는 산업사회의 분절과 분열의 시각을 넘어서는 공동체의 상호작용에 근간을 두고 있다. 여섯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유기적 전일론이 아닌 유기적 전체론의 입장이기에 인간과 환경 간의 호혜적 연관성과 관계성을 중시하는 내용을 가지며,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인문학의 연계적 해법을 통해 자연 친화적인 문명 조성을 교육의 목적으로 한다. 일곱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생태-정의의 이념에 기반하여 생태적 감성을 중심으로 생태적 이성, 생태적 영성의 균형을 교육의 원리로 한다. 따라서 여덟째, 대학에서의 환경교육은 스펙터클한 사회에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을 주어야 하고 환경 문제가 심각한 지금의 정보화 사회에서 홀리스틱 환경교육이 그 대안이다. 대학에서 교양 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산업자본주의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 소비중심의 시각적 과잉유혹과 노출로부터 벗어나 몸을 쓰는 촉각적 감수성 교육을 통해 창조적 관심을 함양시킬 수있는 생태적정보사회의 주인이될 수 있도록 비판의식과 철학을 제공해야한다. 왜냐하면 지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환경문제에 대한 자각을 통한 의식전환은 교육을 통해 성숙되어질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 대학에서 한자교육,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 중앙대 한자(한문) 교과목 중심으로

        신현규(Shin Hyun-Gyu)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한자 교육을 하려면 교육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교육하지 않고 성과를 바란다면 존재의 의미가 상실한다. 바로 한자 관련 교과목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한자 교육의 운영이 된다는 점을 잊어져서 안 된다. 다른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졸업인증제처럼 중앙대에서도 '한자능력인증'으로 '브랜드(Brand)화'를 제안한다. 또한 상용한자 1,800자를 지정한자로 정하고, 교내인증 시험은 '한자능력인증시험'으로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교외인증 한자시험은 현재 국가공인한자단체 10개 모두를 대상으로 삼는 것이 합리적이다. 물론 취득 급수로 2급 이상으로 정하여 국가공인 자격 수준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한자 졸업인증제를 관리하기 위한 중심 기관이 있어야 한다. 바로 중앙대 한자교육의 운영은 교양학부대학 부설 '한자교육센터(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enter, CEC)'가 있어야 한다. 이 교육센터가 중앙대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자교육 콘트롤 센터 역할을 해야 한다. 주요 업무는 한자 인증제 관리 및 검증, 한자 인증 시험 출제 및 감독, 그리고 채점까지 포함한다. 또한 한자 교과목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교과목 및 매뉴얼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요한 업무라고 할 수 있는 강의 평가에 따라 우수한 강사진의 인력풀 확보와 강의 모니터링을 통한 끊임없는 강의안 개발이 전제되어야 한다. 덧붙여서 긴요하게 중심으로 삼아야 하는 것이 바로 한자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즉 학습관리시스템이다. 이것은 온라인으로 학생들의 성적과 진도, 출석 등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이다. 학습관리시스템의 구축을 전제로 한자 콘텐츠 문제은행DB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학교 본부에서는 지속적이면 지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한자교육의 투자는 한자 교육의 우수한 여러 결과물로 증명해야 한다.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to enhance education. Without the presence of educational achievement, if you want to lose the meaning. Subjects directly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o be the premise that the opera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forget it. Conducted at other universities and in CAU(ChungAang University) as a graduate certification 'Chinese characters skills certification' as Brand Change is proposed. In addition to Chinese characters 1,800 qualifier, school exam 'Chinese characters skills exam' should be conducted. And the suburbs now a 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ion exam Chinese characters for both groups are targeting 10 is reasonable. To get the water as well as Level 2 or higher should be the level of a na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 should be. The Chinese characters for managing graduate certification must have a central institution. Chinese characters directly CAU Faculty of Liberal Arts education annex of the operations 'CEC(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enter)' should be. The training center to target all students CAU education should serve as the control center. The main task management and verification of certification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certification test questions and the coach, and includes up to score. In addition, through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Chinese characters Course curriculum and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man. And that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task based on an evaluation of teaching make excellent teachers and teaching through monitoring of the Manpower-pool and Teaching lesson plans continuing development is a prerequisite. We need to critically addition to the center right Chinese characters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i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s an online student's grades and progress, attendance, and for managing system. Subject to the Chinese characters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built in the question bank DB would like to proceed. If what this great school for the Division's continued support is necessary and this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educational investment should prove superior to multiple deliverable.

      • 기초융합과목으로서의 신화강의의 주요 기능과 활용방안

        장영란(Chang Young-Ran)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현대 사회는 근대의 분과 학문의 개별화되고 파편화된 전문 지식만으로는 현대인의 다양한 지적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그리하여 기존의 분과 학문들의 전문지식이 다양한 방식으로 융합되고 통합되어야만 현대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지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교양교육의 주요 목표와 관련해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학제 간의 융합적 사고를 훈련시킬 수 있는 텍스트의 하나로서 그리스 신화를 교양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키고 활용할 것인가를 살펴볼 것이다. 첫째, 교양 교육의 목표와 관련하여 신화 강의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가장 '좋은 삶'이나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을 훈련시키는 것과 관련 있다. 신화강의는 가장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학적기반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현대 사회의 특징과 관련하여 기초융합과목으로서의 신화 강의의 필요성을 다루어 볼 것이다. 먼저 신화가 문학, 예술, 종교, 철학, 역사, 인류학, 고고학, 정치학 등의 학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후 어떻게 신화가 융합학문의 원천 자료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는가를 분석해 볼 것이다. 셋째, 교양교육으로서 신화 강의를 개설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사례를 다루어 볼 것이다. 신화 강의는 크게 '입문/개론', '주제/분야', '심화/적용' 강의 등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제안될 것이다. 넷째, 교양교육의 일환으로서 신화교육의 특성과 주요 원리들을 크게 '이성과 감성'의 원리와 '상상과 추론'의 원리 및 '동일과 차이'의 원리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 This essay is aimed at examining how to use mythology course as a general education. It can be developed the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which require at contemporary society. First, I investigate what kind of role does mythology course play in general education. It is related to practice the ability proper to human being to lead the good life or the happy life. The mythology course is played a important role in order to provide intellectual foundation which we need to live the most humane life. Second, it is dealt with the need of mythology course as basic interdisciplinary subject concerning to the characters of contemporary society. I analyze how mythology can be functioned adequately as a original source material after considering how it is related to literature, religion, philosophy, history, art, archaeology, anthropology, politics etc. Third, it is presented some syllabuses and instances to use when we try to open the mythology course as a general education. Mythology course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hree kind of curriculum, 'introductive/general', 'subject/field', 'advanced/applied'. Fourth, it is divided main characters and principles of mythology course into 'rationality(logos) and sensitivity(pathos)', 'imagination and inference', and 'similarity and difference'.

      • <논리와 사고>교육 현황 분석과 교육 내실화 방안 모색

        서민규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5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육은 대학생의 학습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교육의 한 축이다. 그것은 고차적 또는 종합적 사고력을 증진하여 결과적으로는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과가 일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논리적 분석능력, 비판적 평가력, 합리적 대안제시와 문제해결력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초역량 강화를 위해 <논리와 사고>가 담당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국내의 대표적인 평가 기준들(K-CESA와 TOCT)을 근거로 제시한다. 그리고 현재 중앙대 교양학부대학에서 진행 중인 <논리와 사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공통교양인 『논리와 사고』가 재학생들의 기초역량을 강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교과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현재 중앙대에서 진행 중인 <논리와 사고> 교육을 고차적 또는 종합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기초교육의 사례로 제시하고 교과의 내용과 형식을 분석한다. 고차적 또는 종합적 사고력 교육이라는 취지와 함께, <논리와 사고>는 기존의 ‘논리학’에서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육’으로 이행해 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양자를 절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논리와 사고>를 크게 논리적 추론영역(LR)과 비판적 사고영역(CT)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이 논리적 분석력, 비판적 평가력, 합리적 대안제시 및 문재해결력 증진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교과의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된 <논리와 사고> 교육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의 내용을심화하고 교수방법론을 개발하는 문제도 개선사항으로 지적할 수 있겠지만, 특히 <논리와 사고> 교육의 전공/계열별 다각화가 요구된다. 이는 전공 학습능력 또는 직업능력 향상이라는 기초교육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 될 것이다. Education of logic and/or critical thinking plays a substantial role as basic general education to strengthen college students' study competency. It aims to promote higher-oder or integral thinking ability and in its result to help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The general contents of logic and/or critical thinking courses cover logical analysis, critical evalu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parts, and thus they are coincident with its educational aim. In this paper, <Logic and Thinking>, the mandatory course of Chung-Ang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program, is under review as an example of the basic general education at issue. In addition to serve as higher-oder or integral thinking education, <Logic and Thinking> should compromise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traditional 'logic' course and the new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us <Logic and Thinking> consists of Logical Reasoning(LR) and Critical Thinking(CT) parts largely, and it is systematized to realize logical analysis, critical evalu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elements in its subordinate areas. Analyzing the outcomes of <Logic and Thinking> education so far, what is exceedingly needed to improve its educational role is to diversify its forms and contents to conform with the study areas of the students who take the course.

      • 예술계 전공 학생을 위한 독서 지도 방안

        홍달오(Hong, Dal-Oh)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7

        이 글의 목적은 예술 계열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독서 교육에 있어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독서 지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에 있다. 현재 각 대학에서는 독서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교양 교육 프로그램 내에 독서 과목을 개설, 혹은 증설하고 있다. 대학 내의 독서 지도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독서 지도 교육 방안의 구체적 커리큘럼은 확보되지 않았고, 또한 계열별 지도 방안 역시 마련되지 못한 형편이다. 이는 독서 지도에 대한 전문적인 교재가 드문 현실을 보아도 확인된다. 예술 계열 전공생들이 독서 활동에 동기 부여를 하여 스스로 책을 찾아 읽고, 나아가 독서 자체에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으로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기법을 제시하고, 그 적용 방안을 강구하여 보고자 한다. 스토리텔링 교육 기법이란 교과 내용을 서사적(敍事的)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 는 것을 말한다. 예술적 감수성이 풍부한 예술 계열 전공 학생들에게는, 단편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나열하는 것보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야기 구조로 재편하여 제공하는 것이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스토리텔링과 읽기 교육 내용을 결합한다면 예술 전공 학생의 읽기 흥미도 향상과 독서 습관의 형성에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eek a plan using storytelling techniques when providing students majoring in art with a liberal arts reading guid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ading guide. Reading is an activity that is an essential premise when doing assignments, in thesis writing, exploring knowledge, etc. There can be no excep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art. One can recognize its importance when looking at the numerous artistic ideas inspired by reading. According to a surve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ding activities of art students are weak compared to students majoring in other subjects. In this article, specific storytelling techniques were used and entries for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class held in the first week using the text ‘Hairless Monkeys’, covered in one of the popular liberal arts courses, the ‘reading and discussion’ course at Chung-Ang University, were presented. Darwin is the originator of the theory of evolution. But the theory has not completed in one morning, but it was rather born through an extremely difficult process. Therefore, it contains Darwin"s ideas, as enriched over a few decades and uses very rich storytelling elements in and out of the text. In this study, those elements were connected organically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many of Darwin’s ideas Darwin to the students through the narrative technique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