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 가톨릭 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현철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anger management status and the method of solution. First, what is it like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 and the feelings of anger? Second, what are the anger releasing methods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117 students in Gwangju Semina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115 answer sheets out of total collected ones are used for the study. The materials collected for the study a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12.0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differences. These are the results proven through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subject 1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catholic seminary students' feeling of anger is and what the expression of their anger is. First,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the feeling of anger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are intending to be priests control their anger emotions well. It shows that seminary students have a passion to be models in communities by following Christ's teaching; seeing the world through God's eyes. Secon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tudents' anger emotions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eminary students appear to express their angers properly. It shows that because seminary students have been well trained in every area such as sexuality, personality, moral characters, intellectual characters and spiritual characters with special education, they express their angers in positive ways rather negative ways with care and warm perspectives toward the world and neighbours. The subject 2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seminary students release their angers. First, as the result of general examination of the way that seminary students use to release their angers, the students appear to use various ways of releasing their angers. They especially release their anger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situations and to let others understand them and to be empathetic. Second, by studying the religious aspect of how they release their angers, most of the students control their angers through conversation with fellow seminary students, eucharist adoration and prayers. The students who have the specific mission to be priests try to handle their high emot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Go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ese as follows. Seminary students experience var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anger.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and given attention to in which situation they experience angers and how they express them. There is a need to have the right education that angers which students feel is not necessarily negative. Since most of seminary student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high emotions, angers, hot-tempers, harsh words and cussword as sins, it requires concrete efforts to have right and healthy lives through spiritual life, communicative life and sacramental life. It is necessary to help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even original sins in the traditional church teaching. However beyond the perception of anger, it is necessary to teach that anger is from God and it is a natural emotion.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which seminary students can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in their spiritual and religious lives can be created. Lastly not only the spiritual counselling but also psychological counselling is needed. Most o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solve their anger problems through spiritual level. It is needed to have a system with specialized counselors to support and counsel them with daily unstable emotions such as depressions, anxiety, low self-esteem, jealousy and so on. 본 연구는 가톨릭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와 분노를 해소하는 방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방법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1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15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한 빈도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를 3가지 하위 변수(공격적분노정서, 소극적분노정서, 주장적분노정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사제직을 희망하는 신학생들이 대부분 자신의 분노정서를 잘 다스리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이웃과 형제를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타의 모범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표현을 3가지 하위 변수(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신학생들이 자신의 분노 표현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신학교의 특수한 교육을 통해서 성, 인성, 덕성, 지성, 영성 등 모든 분야를 통해 양성되어지고 있기에 이웃과 형제들에게 자신의 감정 표출이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며 세상과 이웃을 보다 따뜻한 시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 방법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일반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신학생들은 분노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대화라는 창구를 통해 자신의 처지를 밝히고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마음을 통해서 분노를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종교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분노를 해소함이 있어 동료 신학생과의 대화, 성체조배, 기도를 통해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사제직이라는 특수한 사명의식을 지닌 신학생들이 자신의 격해진 감정을 타인이 아닌 하느님과의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학생들은 신학교 안에서 분노를 비롯하여 여러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신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분노를 경험하며, 표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조사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또한 신학생들이 느끼는 분노라는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만은 아님을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겠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은 격한 감정, 화, 욱하는 성격, 거친 발언, 욕설 등을 죄로 보려는 경향이 많기에 영성생활, 공동체생활, 성사생활을 통해서 올바르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신학생들이 분노를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분노를 칠죄종의 하나라는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서 벗어나 분노가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이며,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임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하여 신학생들이 신앙생활과 영성생활 속에서 분노를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노해소를 위해 영적인 상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상담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신앙적인 차원에서 분노를 해소하려는 경향이 많기에 전문적인 심리상담사를 통해서 분노 감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느낄 수 있는 우울, 불안, 자존감, 시기, 질투 등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도 상담해주고 지원해주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광주지역 가톨릭 도입과정과 노안 본당의 역사 : 노안 본당 100년사
김경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s for the 100th in 2008. However,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No-ahn parish, and even the existing data are actually disappearing due to the inadequate stora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related to No-ahn parish has been brought up consistently in the diocese. A review on the history of No-ahn parish is an examination of the primary images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beyond simply revealing the historical facts of a parish itself. Because No-ahn parish is where the archdiocese of Gwang-ju strengthened itself basing on developing into the present condition and it is a local foundation that could make diocese into the present position. Economic and educational situation of No-ahn was poor because it locates geographically in the suburb of Na-ju and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s a primary industry. Contrary to the this poor situation, the fact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were sown and reared this evangelical local community gives us a meaningful message. Not only that, but how they maintained a religious belief in various historical circumstances over 100 years gives a high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s of No-ahn paris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maintained since Jo-seon diocese periods till the jurisdiction was trans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Dae-gu archdiocese, and once again belonged into the archdiocese of Gwang-ju, as like No-ahn Parish experienced and encountered chang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econdly, the No-ahn paris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nd vacancy of a parish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maintained faith, even when the number of inhabitants decreased due to the farm-abandonment phenomenon in 70~80’s. This fact that the No-ahn parish affrontedmany historical changes would be historically valuable. Thirdly, as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Catholicism in Gwang-ju area, they pave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it once was a barren wilderness of catholicity, to be expanded as today. Fourthly, they are maintaining the existence as an extraordinary catholic village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and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of belief in the diocese. Fifthly, the edifice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auditorium-typed Western catholic architecture among church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a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Catholic church around Gwang-ju in the reg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uations of Jeollanam-do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until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difficulties how the priests went through in evangelizin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will research efforts how No-ahn parish made to spread the Gospel around the regional community through education projects, and how No-ahn parish is maintaining evangelical commun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living today. And this thesis also tries to get a useful for those whom live today. Specially, in regards to the founding year of the parish, this study will investigate Father Noh Jacob’s argument that the parish was established in 1895, and tries to insist that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in 1908 by criticizing his argument providing truth worthy data. However, in spite of the trial to collect all related materials on No-ahn parish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I, personally, hope and pray for being supplemented through studies by church and the academic sphere in the future.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본당이다. 그러나 노안 본당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만한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보관 미숙으로 소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노안 본당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교구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노안 본당의 역사를 조명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본당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광주대교구 초기의 모습들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광주대교구가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그 초석을 닦은 곳이기 때문이다. 노안은 지리적으로 나주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교육적 상황이 열악했다. 그런 곳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은 그 자체로 많은 교훈을 준다. 그 뿐 아니라 100년이 넘는 시간을 지내면서 여러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도 신앙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노안 본당이 가진 역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구 시절에 설립되어 유지해오다가 대구교구가 설립되면서 관할이 이관되었고 최종적으로 광주교구 소속이 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의 변화를 온 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1908년에 설립된 노안 본당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때에는 주임신부가 공석인 상황을 겪었으며 70~80년대 이농현상이 심화되어 교세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역사적 변화를 온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광주지역에 천주교가 전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천주교 신앙의 불모지였던 전라남도 지역의 교세가 오늘날처럼 확장될 수 있었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광주교구의 보기 드문 교우촌으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구 내에서 신앙의 모범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성당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성당 중 강당형 서양 성당건축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당이라 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광주인근 지역에 처음 생긴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노안 본당이 생기기까지 전라남도의 상황과 설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후의 교세 확장과정과 제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 때에 겪었던 사제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노안 본당이 펼쳤던 교육사업들을 통해 지역사회를 복음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바를 살펴보고, 노안 본당이 마을 공동동체와 어떻게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어가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별히 본당 설립년도와 관련하여 1895년에 본당이 설립되었다는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해 근거 자료들을 비판하고 반박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노안본당이 1908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을 진행하기 위해 노안 본당과 관련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려고 노력했으나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후에 교회와 학계에서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노인사목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를 중심으로
이국환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최근 통계청은 우리나라가 2030년이면 65살 인구가 전체 인구의 23.1%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이렇듯 노인인구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는데 207년 65세 노인인구는 34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급성장은 사회 내의 심각한 노인문제를 야기했다. 이러한 우리 사회는 노인인구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제도가 아직 적절한 수준으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그 동안 노인에 대한 부양과 노인복지를 주로 담당해오던 가족의 기능도 점차 약회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중앙정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서 법의 일부를 개정하고 보완하였지만 노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볼 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공공부문의 복지활동 이외에도 비영리단체들이 제공하는 민간부분에서 복지활동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민간부문에서 복지활동을 담당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비영리단체는 바로 종교단체라고 하겠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톨릭교회는 체계적인 교회조직을 가지고 있기에 타종교단체보다 더욱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이 기대된다. 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노인들이 주체적인 삶과 안정된 삶의 환경 안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교회의 통합적 노인사목의 신학적 근거와 실천적 당위성의 마련을 위해 노인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노인문제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성경 상에 나타난 노인에 대한 개념은 현대 사회에서 노인을 무능하고 퇴보하는 존재라고 보는 부정적 인식과는 달리,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노인은 공경과 존경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전통적 보상 개념으로 볼 때, 장수는 하느님의 축복으로 여겨졌다. 또한 나이가 많은 사람은 인생과 지혜의 스승이며 동시에 신앙의 전달자였다. 마지막으로 노년은 삶에 완성을 가져다주는 시기이며, 하느님 은총의 징표로 간주되었다. 또한「사목헌장」,「가정 공동체」,「사회적 관심」,「평신도 그리스도인」 등 가톨릭교회의 교도권 문헌에서도 성경상의 노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 노인사목과 노인을 위한 신앙적 차원의 복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평신도 그리스도인」을 통해 고통과 외로움을 당하는 노인들이 교회와 사회 안에서 올바른 진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과 노인 자신들이 하느님의 구원사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가톨릭교회의 노인에 대한 이해와 통합적 노인사목의 필요성 그리고 서울대교구 노인사목부가 노인들이 가톨릭교회에 바라고 있는 노인사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앞으로 노인사목의 활성화를 위한 가톨릭교회의 역할을 신앙적, 복지적, 교육·문화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신앙적 측면에서는 노인들이 이 사회를 살아가면서 세상과 이웃으로부터 소외받지 않도록 하며 영원한 생명이신 하느님 안에서 영적인 갈증을 해소하고 행복과 평화로운 마음을 찾을 수 있도록 교회가 배려하는 노인 신앙교육을 제시하였다. 특히 노인들을 위한 교리교육과 죽음 준비교육을 통해 노인 자신이 지니고 있는 하느님의 은총을 발견하고, 자신의 삶과 죽음을 하느님의 은총 안에서 희망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노인 신자들에게 전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복지적 측면에 대한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현재 가톨릭교회 내의 사회복지 체계인 교구와 본당 그리고 가톨릭 기관·시설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교구 차원에서는 노인복지센터 설립의 확대와 노인그룹홈, 가톨릭 실버하우스의 건립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통합적 노인사목의 활성화를 위한 본당의 역할로는 재가노인과 노인요양원, 실버타운 등에 거주하는 노인신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과 본당 내의 서비스 전달체계의 확립을 제언하였다. 교육·문화적 측면에서는 노인대학의 활성화와 노인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사목적 배려인 노인자원봉사를 제시하였다. 특히 노인 자원봉사활동은 양방향성과 치료성, 자조성이라는 세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도 많은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 본당 안에서 노인신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영역을 개발하여 노인들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생산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교회가 노인들에게 노년의 의미와 존엄성을 다시금 회복시킬 수 있다면 그것은 노인을 위한 복음화이며 동시에 삶의 희망을 되찾아 줄 수 있는 길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교회가 노인들을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사목적 배려를 통해 통합적인 노인사목의 노력을 기울인다면, 현재 노인들이 삶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행복한 노년으로 이끌어 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ounced that we will go into the society of an advanced age, so the 65-old will amount to 23% of all population in 2030.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 as of 2000, the old exceeded 340million. this rapid growth of the old made serious the old problem in society. But in spite increasing the old, social welfare for them is not yet improved properly in our society, and that the function of family charged the old welfare and support tends to be decreased. so central government tried to make a partial amendment of law, but it is in fact insufficient to solve the old problems.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welfare work of public section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erve, it is required to be served for the welfare work of civil section by a nonprofit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as the good condition to be charged is religious group. Among them, as the Catholic church has the systematic organization, so it is expected to work effectively than any other religious group.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role of Catholic church for the old to prepare religious basis and practical making a case for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of church to enable old people to live in the environment of subjective and stable life The concept of old people in Bible, unlike negative recognition in present society which regard old people as incapable existence,, considers old people positively. In particular, the old was the target for respect and admiration. And as considered with traditional compensative concept in Israel, longevity was the master of life and wisdom, and simultaneously messenger of religion. At last, the senescence was regarded as the period which bring the completion into the life, and as the sign of the grace of God. Additionally, literature of Catholic church such as「Gaudium et Spes」,「Familiaris Consortio」,「Sollicitudo rei Socialis」,「Christifideles Laici」, and so on describes that old people's pastoral and religious welfare for the aged must be done together with upright recognition of the senescence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aged on Bible. Particularly, in「Christifideles Laici」, Pope John Paul Ⅱ emphasized that we must help old people who suffer pain loneliness find upright position in church and society, and consider that old people themselv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lief of God. Nest, this study suggested the orientation of the role of Catholic church to revitalize old people's pastoral by dividing into religious, welfare, educational and cultural side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old peoples the necessity of the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and the result of survey of what old people want Catholic church to do for old people's pastoral. First on the side of religion, this study suggested religious education for the aged that church considers to help old people not to be neglected from the society and neighbor, to solve spiritual thirst in God who is the eternal life, and to find peaceful. Particularly, church must send the viewpoint of old believer that can find the grace of god which old people themselves have with dogmatic education and education to prepare their death, and see their own life and death as a hope in grace of God. And on the side of welfar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church by dividing in diocese, parish church, Catholic organization and facilities which are social welfare system within Catholic churc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arish must expand the establishment of old people's welfare center, and establish old people's group home and Catholic silver house. And for the role of parish church to revitalize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astoral consideration for the aged staying at home, and old believers staying in nursing home and silver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delivery system within parish church. On the side of education and culture, this study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of old people's college, and the voluntary of old people which the aged can be a subject. In particular, old people's voluntary activity has three characteristics, two-way, treatment and self-dependence, and also it has many effects on individual and social side, so church must consider to enable old people to live their own life subjectively and productively by developing voluntary territory which old believers can participate in. If a church can make old people restore meaning and dignity of senescence, it is to preach the gospel to them, and simultaneously it can be a way that can regain the hope of life. If a church makes an effort for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with various programs and pastoral consideration for old people, it can slove difficulties that old people currently have undergone in their life, and in conclusion, it lead their life to happy senescence.
사제 양성에 대한 영성신학적 고찰 :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을 중심으로
정일준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catholic priestly formation and provide an outlook on its future. It is a spiritual research method in practical theology, which examines the values needed for priestly formation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nd suggests an ideal direction. Based on its history, we study specifically how the priests have been trained in the universal church and local churches. In addition to this, we study the ministry and spirituality of Father Antoine Chevrier, and, based on this study, go on to suggest a direction for priestly formation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riestly formation in the universal church was intensively discussed at the Council of Trent a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priest training process before the Council of Trent was not a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s today. Therefore, many priests, not well educated, were dispatched to the public. This situation caused numerous problem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es, thus the Council of Trent was held for reforming the Church. The Council of Trent, with its focus on reforming the Church,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oper priestly formation and from this point on, interest and effort started to increase. Discussion on Priestly formation began in earnest 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Since then, ‘Honest Poverty’, ‘Service’ and ‘Devotion’ have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Council in a large number of catholic literature. The spirit of priestly formation in the universal church has been see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one of the local churches.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church, theology students were sent to seminaries in foreign countries and received commissioned education to be Korean native priests because Korea was a mission frontier where Christians were persecuted. Since the theological seminary was founded in the country, priestly formation in the country has been going above and beyond producing Korean native priests, with its focus now on producing universal priests equipped with ‘Honest Poverty’, ‘Service’ and ‘Devotion’. Finally, the Korean church inherited and followed the spirit of the universal church, the spirit of becoming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and has firmly established the main value of priestly form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fe and spirituality of Blessed Father Antoine Chevrier (1826 - 1879) who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for Spirituality of the Prado, stand as a good example of ‘Honest Poverty’ and ‘Devotion’, the important factors of priestly formation. Father Chevrier’s ministry was completely based on following Jesus Christ. He was deeply touched by Jesus Christ’s complete self-emptiness and poverty, and his faith began on Christmas, 1856. And he defined the whole life of Jesus as the spirituality of ‘Manger’, ‘Calvaria’ and ‘Tabernacle’. Father Chevrier matched ‘Manger’ with ‘a priest being poor with Him’, ‘Calvaria’ with ‘Priest to be a priest being crucified with Him’, and ‘Tabernacle’ with ‘a priest being eaten as Him in the Eucharist’. Based on these three spiritualities, he encouraged fellow priests and taught theological students, and contributed to making them righteous priests who fully follow Jesus Christ as his true disciples. His spirituality stands as a great example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who are being trained to be priests and for the priests who serve the people of God in the Korean church today. If the spirituality of Father Chevrier is actively applied to the process of priestly formation i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current Korean church, it will help the priests practically live a life of service and devotion as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본 연구는 가톨릭 사제 양성의 역사를 살피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는 실천 신학을 따르는 영성 연구 방법으로, 한국 교회의 사제 양성에 필요한 가치를 성찰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보편교회와 지역교회의 사제 양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슈브리에 신부의 활동과 영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의 사제 양성 방향을 제시한다. 보편교회의 사제 양성은 트리엔트 공의회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의 사제 양성은 오늘날처럼 종합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했다. 그래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사제들이 세상에 파견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결국 교회의 내부와 외부에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교회의 쇄신을 목적으로 트리엔트 공의회가 개최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사제들의 쇄신을 위한 올바른 사제 양성에 주의를 기울였고, 이를 기점으로 사제 양성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부터 사제 양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시작으로 다수의 교회문헌에서 사제 양성에 있어서 공의회의 정신을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를 ‘청빈’, ‘봉사’, ‘헌신’으로 보았다. 보편교회의 사제 양성에 대한 정신은 지역교회인 한국교회의 역사에서도 나타난다. 초기 한국교회의 사제 양성은 ‘선교지역’이라는 특성과 ‘박해’라는 특수한 요인으로 외국 사제 양성 기관에 신학생을 위탁하여 방인(邦人)사제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후 국내에 신학교가 설립되면서, 사제 양성의 방향은 방인사제를 양성하는 차원을 넘어서, ‘사랑, 봉사, 헌신’을 갖춘 보편적 사제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비로소 한국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보편교회의 정신을 계승하고 따르며, 사제 양성에 토대가 되는 주요 가치를 확고히 설정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프라도 영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Antoine Chevrier, 1826 - 1879) 신부의 삶과 영성은 사제 양성에 중요한 요소인 ‘청빈’과 ‘헌신’의 본보기가 된다. 슈브리에 신부의 사명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름’ 그 자체에 있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철저한 자기 비움과 가난함에 큰 감동을 느끼며 1856년 성탄절에 ‘회심’하게 되었고, 이후 예수님의 전 생애를 ‘구유, 갈바리아, 감실’의 영성으로 정리하였다. 슈브리에 신부는 ‘구유, 갈바리아, 감실’을 각각 ‘청빈한 사제, 못 박히는 사제, 빵이 되는 사제’의 모습으로 연결 지었다. 그리고 3가지 영성을 바탕으로 동료 사제들을 격려하고 신학생들을 가르치며, ‘참다운 제자’로서 예수님을 온전히 따르는 올바른 사제 양성에 이바지하였다. 이러한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은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사제로 양성되고 있는 신학생들과 하느님 백성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제들에게 큰 모범이 될 수 있다.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을 오늘날 한국교회 신학교의 사제 양성 과정에 적극 활용한다면, 사제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로서 봉사와 헌신의 삶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가톨릭 청년들에 대한 신앙 실태 조사 연구 : 전주교구 가톨릭 청년을 중심으로
송현석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교회가 가톨릭 청년들의 신앙 성숙을 위해 어떤 도움을 줘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청년기의 중요성과 청년기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실질적으로 가톨릭 청년들의 신앙 실태와 원의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와 다른 선행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가톨릭 청년을 위한 사목적 대안들을 제공해 보았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 문제, 연구의 범위 및 한계를 기술함으로써 본연구의 전체적인 방향성과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장으로 청년기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들을 토대로 청년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시도하였고, 청년기에 이루어져야할 “성숙한 신앙 생활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방법 부분으로 청년들의 신앙 생활 실태와 청년들이 교회에 원하는 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선택한 설문 조사의 대상, 조사 내용, 자료 수집 및 자료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분석 부분으로 최종적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앙 생활 실태를 다음의 8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조사 대상에 대한 1) 일반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일반 종교적 특성 3) 기도 생활 4) 단체 활동 5) 교육 프로그램 6) 전례 생활 7) 신앙 생활 전반 8) 교회 인식. 제 5장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부분으로서 본 연구자가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핵심적 결과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맥락에서 각 부분별 실태, 문제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6장은 요약 및 결론 부분으로서 먼저,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을 하였고, 이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청년 신앙 성숙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인 제언을 하면서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또한 차후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ealistic issues that rise during maturity of faith while adolescence and seek the solution through specific support. Through various theories, we can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and its importance in one’s life, also through survey, I am going to find real base of adolescence real conditions and their intention of the faith. Finally with the result of above tests and theories, I am trying to analyze and compare with other preceding studies to suggest alternative plan for pastoral adolescence. First, chapter 1 offers necessity, purpose, problem, rang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to show basic direction where it should be heading to. The chapter 2 tries to introduce psychological theories behind adolescence and lead them to right direction using those theories, as well as emphasize on importance of education for matured religious life. Chapter 3 describes objects and contents of survey, what adolescence truly wants from the church, and explains basic conditions of data and how they are collected. Chapter 4 is based on analyzing the results. Categorized into 8 sections that apply the subject’s religious life, which follows; The object about 1) Characteristic of social demography, 2) Characteristic of general religion, 3) Life of pray, 4) Group activity, 5) Educational Program, 6) Ritual Life, 7) The whole faithful life, 8) Church recognition. Chapter 5 discusses about pros and cons of the issues and the right direction to solve problem. Chapter 6 describes the abstract and its conclusion. It summarized the whole thesis first, then conclude totally, base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actical proposal about scheme for the maturity of faith to young people. Moreover, I suggest more effective and proposal for the future studies to 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