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율적 운영 방안 : 공간 자산화 사례를 중심으로

        석나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 공간 자산화 사례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공간 자산화 과정에서 복합문화커뮤 니티공간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 였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며, 지속 가능한 지역 사회의 이익을 보장하는 공간 자산화의 운영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우선,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 자산화의 핵심 개념, 유형, 그리고 전반적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 자산화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어 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공간 자산화를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의 배 경과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운영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운영 효과와 한계는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의 느티나무도서관과 서울 마포구의 해빗투게더협동조 합 ‘모두의 놀이터’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두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핵심 이해 관계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인터뷰는 2023년 10월부터 2 024년 6월까지 연구자가 직접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의미 있 는 진술을 범주화하고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간 자산화의 배경으로는 둥지 내몰림 방지, 연대 공간의 형성, 자아실현 욕구 등의 동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인간 중심의 공간, 개방적인 공간, 지 역 커뮤니티 활동 중심의 공간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공간 자산화가 지역 주민들 간의 연대감을 강화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운영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수용, 다목 적 공간의 조성, 그리고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노력이 핵심 특성으로 도출되었 다. 이러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은 주민들에게 풍부한 문화적 경험과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운영의 효과와 한계에 대한 분석 결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과 자발적 운영이 필수적임이 드러났 다. 그러나 재정적 어려움과 공간적 제약이 지속적인 운영의 한계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부문화의 활성화, 정부의 재정적 지원 및 정책적 지원의 필 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과적인 운영 을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주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장치의 강화, 공동체 연대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의 확대,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 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발굴 및 지원, 그리고 기부문화 활성화 및 정부 지원의 필 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 자산화를 통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의 지속 가능성과 공공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 으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공간 자산화,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지역 커뮤니티, 커뮤니티 활성화, 효율적 운영 방안

      • 재문화화를 통한 문화정체성 형성 내러티브 탐구 : 재 이탈리아 한국계 입양인을 중심으로

        김미성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이탈리아 내 한국계 입양인들이 성인이 된 이후 한국문화를 학습하고 경험하는 재문화화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문화정체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청소년으로 성장 중이거나 향후 이탈리아에 입양될 한국계 입양인들이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지원과 교육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landinin과 Connelly (2000)이 제시한 다섯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 절차를 계획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질적 면담으로, 이탈리아에 거주하는 한국계 성인 입양인 여섯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3월과 4월 사이에 일대일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면담은 녹음 후 빠짐없이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5단계 순환 과정을 따랐다. 전체 자료를 내용에 따라 단락별로 구분한 뒤 각 단락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코드를 부여하는 1차 코딩을 진행한 후, 본문을 삭제하고 코드만 남긴 다음에 다시 한 번 비슷한 내용끼리 분류하고 재배열하는 2차 코딩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총 5개 주제와 20개의 범주를 확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는 재문화화 과정 이전과 재문화화 과정, 재문화화 과정 이후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전 ‘입양 이후 성장 과정 중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은 ‘입양인으로서의 나’, ‘한국인으로서의 나’ 그리고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이 입양되었다는 사실과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았으며,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과 놀림을 당했다고 한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어릴 때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두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전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 동기’는 ‘뿌리 찾기’,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영향’ 그리고 ‘정부 및 교육 기관의 지원’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뿌리 찾기는 친부모 찾기, 떠나 온 나라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 한국계 이탈리아인들과의 만남 시도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영향으로는 우연히 만난 한국인, 학교에서 만난 한국인, 입양인 친구의 권유, 교포 소녀와의 만남으로 구분되었다. 정부 및 교육 기관의 지원 범주는 무료 고국 방문 프로그램 이용, 국내 대학 한국어 연수 시 입양인 학비 감면, 이탈리아 현지 한국대사관의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중 ‘이탈리아 내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은 ‘이탈리아 내 한국인들과의 교류’, ‘이탈리아 내 한국계 입양인들과의 교류’, ‘이탈리아 내에서 경험한 한국문화’ 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한국인들과 있으면 편안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또한 입양인들과 같이 있으면 갈등과 긴장감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결국 ‘입양’이라는 경험을 공유하는 가족과 같은 관계라고 하였다. 이탈리아에서 경험한 한국문화는 한국식당 가기, 한국드라마, 영화 보기, 음악 듣기 등이었으며 한국의 정치, 경제, 시사 문제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중 ‘한국에서의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은 ‘친숙한 느낌’, ‘일상생활 경험’, ‘학교생활 경험’, ‘사회 문화적 어려움’, 마지막으로 ‘입양인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 및 태도’의 5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에서의 생활 중 한국문화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친숙한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사회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며 한국의 입양문화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섯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후 ‘개인적 변화와 문화정체성’ 은 ‘한국인에 대한 이해’, ‘개인적 변화’, ‘문화정체성’, ‘입양에 대한 생각’, ‘한국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에 대한 의견’,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의 5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된 것에 대해 만족하며, 자신감과 자기에 대한 더 확신하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였다. 문화정체성은 Baden 외(2012)가 제시한 5가지 문화정체성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중문화정체성과 복합문화정체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입양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인 의견이었는데 반대하는 주된 이유는 문화 차이와 인종 차별이었다. 한국문화와 한국어 교육에 대해서도 모두 필요하다고 하였다. 앞으로의 계획은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거나 입양인들을 돕는 일, 그리고 아이와 함께 한국에 가고 싶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탈리아의 한국계 입양인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을 위한 지원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먼저, 이탈리아 현지에서는 한국대사관의 주도 하에 이탈리아인 양부모들과 자녀에게 한국인 사회와의 교류 기회를 제공할 것, 이탈리아 입양기관에 한국문화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전문 교사를 파견, 지원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 내에서 한국정부의 지원으로는 해외입양인들을 위한 1:1 상담 지원, 다양한 문화 교육·교류 프로그램 제공, 장학금 혜택과 숙소지원을 제안하였다. 또한, 양부모와 아이를 위한 한국문화 교재 개발이 절실하며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주제는 다름에 대한 가치, 자신의 입양 배경, 친부모 이해 등 정체성 탐구에 도움을 되는 주제들이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입양인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입양인들의 문화정체성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identity established by reculturation of Korean Italian adoptees after adulthood. The study will help proposing education plans and support programs to develop native cultural identity for young adoptees in Italy who were adopted after 2008 and for prospective adoptees from Korea.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existing studies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were examined. Furthemore,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for this study were briefly described. In chapter 2, the main ideas which com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methodology were examined. To begin with, cultural identity, reculturation, and relevant theories were explored. After that,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one of several methods used in a qualitative research,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procedure and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in five stages by Clandinin & Connelly (2000). The participants included six adult Korean Italian adoptees.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performed three times per person between March and April 2017.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oded for the analysis process. In chapter 4,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describe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recuturation. The first stage (before reculturation) was categorized into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after adoption” and “motivation to study or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 and the second stage (during reculturation) into “study or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in Italy” and “study or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in Korea”, and the third stage (after reculturation) into “individual development and cultural identity after studying and experiencing the Korean culture”, that formed total five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Each subject, again, was classified into three to four categories. The researcher examined in detail the significations of each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stages and subjects. Furthermore, the course of support programs and education plans to develop the native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 Italian adoptees was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talian adoptees, and in that the study suggested a support program and an education plan required to develop the birth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talian adoptees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 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텔레비전 파일럿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이주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언어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에 대비되는 말로서 ‘문화 중심 또는 문화 기반의 언어 통합’교육을 전제로 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대중성과 시각성의 장점을 가진 텔레비전이라는 매체 속에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단순히 텔레비전의 광고나 드라마, K-POP 등을 활용한 교육이 아닌 텔레비전 자체가 하나의 온전한 한국어 교육 과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제작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미디어 교육 측면과 한국어 교육 측면에 따라 분석한 후 장단점을 고려하여 교육 방송의 역할과 한국어 교육 원리에 근거한 교육 과정을 통해 시범적인 방송인 파일럿 프로그램을 설계한 것이다.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한국어 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EBS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결혼여성이민자나 다문화 가정의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프로그램은 증가하는 반면,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학습자, 그 중에서도 문화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는 초급 중후반 학습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진다면 텔레비전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 뿐 아니라 제작된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로도 번역이 되어 공급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과 연구 방법, 기대 효과를 가지고 문화 교육 교재 및 텔레비전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 필요한 문화 항목은 생활문화, 제도문화, 예술문화를 주된 항목으로 언어문화와 한국의 개관에 대한 부분으로 드러났다. 교육 과정은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따랐으며, 방송에서 자막 활용을 극대화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도록 파일럿 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텔레비전이라는 매체가 가진 영상적인 장점을 취해 한국어 교육 원리를 적용한 ‘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 모델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검색어 : 한국 문화, 한국어 교육,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설계, 문화 항목, 한류, 문화 기반, 미디어 교육, 문화 중심 언어 통합 교육. 언어문화. This study purposes to realize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focused or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ion’, which has the opposite meaning from ‘language integration by focusing on language’, on the media, television, that has the advantages of popularity and vitality. This is not an education that uses simple advertisements, drama series, and K-POP, but makes television itself to play a role of a complet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designed a pilot program, which is the trial program,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ole of an education broadcasting and Korean education theory by considering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fter analyzing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programs until now in both aspects of media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From EBS Korean education programs, which had been emerged as a leader of the Korean education even from the foreign language area, increased its number of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learn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program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who takes much ratio in the cultural education. If such program is made, it would increase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hrough the television and also would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it to various countries as translating into their languages accord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nd television education programs with above purpose, studying method, and expectations, the major cultural items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appeared to be living culture, system culture, and art culture as parts of language culture and an overview of Korea. The curriculum followed the general Korean education courses, and prepared the pilot plan to have the visual effect by maximizing the subtitles during the broadcasting.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means in proposing the ‘culture-based Korean education’ model that applied the Korean education theory with the visual advantage that the media, television, has. Key words: Korean culture, Korean education,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 design, cultural item, Korean wave, culture-based, media education,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language culture.

      • 재일동포 아동 대상 한·일 역사문화 교육 항목 선정 및 교육 방안 연구 : - 교류와 갈등을 중심으로 -

        김민선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article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Korea-Japan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lives of Korean students living in Japan. It is to prepare a plan to assist them grow into a knowledgeable global talents with balanced perspective. By diving the culture into exchanges and conflicts, studying them in an appropriate order, both Korea and Japan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exchanges and conflicts had been repeated.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in Japan, they often do not eliminate effective educational needs. In the case of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Korea and Japan, Korean students in Japan experienced confusion due to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interviews with experts and questionnaires exemplified these difference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these issues, this article must first grasp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for children. It should also educate the historical culture of conflict and exchange in an appropriate manner so that Korea and Japan can recognize that they developed into each other through mutual cooperation, and that they have been at odds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Chapter 1. To clarify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article and presents research methods. Furthermore, the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of this article were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It was found that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needs to be balanced considering their local lives. Chapter 2. Analyz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Japanese elementary schools, and Hangul schools by limi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rms and scope of children's learners. Chapter 3. We analyzed the contents of history and culture related to Korea and Japan through textbooks and study sit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scope analyzed in Chapter 2, after analyzing the textbook, five experts at the Korean language school were interviewed and 56 parents of the Korean language school were surveyed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site. Chapter 4. Item screening was conducted. First, 52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related to Korea and Japan were extracted through textbook analysis. Seven items were presented separately, showing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Korea and Japan. Seco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experts, we prepared five criterias for screening items and categorized them into items of exchange and conflict for effective presentation. Items that were presented were categorized as exchange and conflict to experts at Hangeul School and derived 17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Thirdly, 17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were finally verified. In the parent survey, 16 final items were derived by adding and excluding items. After completing item selection, item arrangement was carried out. First, related historical culture is summarized as the main theme. The small themes were arranged so that the historical culture of exchange and conflict were presented in the appropriate order, then the historical culture is arranged from modern to ancient. Chapter 5. Prepared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based on the textbook composition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It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review. Based on the Doing History, a concrete educational model has been prepared that starts with the daily lives of child learners and moves around the world. Based on the educational model, two educational plans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Joseon News Agency were drawn up. Through this kind of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we look forward to Korean children in Japan who have grown into global talent and are active around the world.

      •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미술 활용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 김홍도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

        안성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화를 다루고는 있지만 대부분 일상 문화나 한류에 국한되어 있어서 전통 미술과 같은 예술을 접목시키는 한국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논지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 방식에 익숙한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 교육에 있어서 미술 활용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미술 활용 사례들을 분석하여 한국 문화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언어ㆍ문화 교육에서 민속문화적인 이미지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한 Robert Galisson의 이론과 상호문화교육이 토대가 되었다. 프랑스어 교육의 미술 활용 사례는 세계적인 프랑스어 교육 기관인 알리앙스 프랑세즈의 교재와 프랑스어 국제 교육 방송인 TV5Monde 사이트의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알리앙스 프랑세즈의 교재 ÉDITO에서는 미술뿐만 아니라 사진, 만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실제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TV5Monde 사이트의 교육 프로그램도 마네와 같이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외국 작가의 작품들도 활용하여 상호문화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을 구현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홍도의 풍속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을 제안하였다. 김홍도의 『단원 풍속도첩』 중 한국 문화 교육에서 의식주 문화, 여가 문화, 교육 문화와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풍속화들로 선별하였다. 그 중, 교육 문화와 관련된 「서당」, 「활쏘기」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수업은 상호문화교육의 구성 원칙들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제적인 교육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이 중시되는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 교육에서 전통 예술을 접목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미술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deals with Korean culture, but it is mainly limited to everyday culture and the Korean Wave.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for the need of cultural education that uses art including traditional art. This study particularly intended to consider the strategy of using ar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rancophone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culture and art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where art was used in the education of French as a foreign language to apply them to Korean culture classes. The theory of Robert Galisson, who focu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ethnographic culture images i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becam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or the cases of using art in French-language education, the learning materials of Alliances Françaises, the worldwide French-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V5Monde site, the international French-language education broadcasting channel, were examined mainly. As a result, ÉDITO, the learning materials of Alliances Françaises, was making the best of actual materials in various fields of arts, including not only fine art but also photography and cartoon. The education programs of TV5Monde site also referred to the works of painters that represent France, such as Manet, and the works of foreign artists, embodying the education that can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ed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for francophone learner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analysis. From 『Danwon Pungsokdocheop (Album of Danwon’s Genre Paintings) (Danwon is Kim Hong-do’s pen name)』 by Kim Hong-do, the genre paintings that can be used in Korean culture education, concerning the food, clothing, and housing culture, leisure culture, and education culture, were selected. Among them, this study proposed a strategy of using 「Seodang (Village School)」 and 「Hwalssogi (Archery)」, which are related with education cultur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constituting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applied to the class.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it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at uses traditional art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learners from francophone regions where the emphasis is laid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considered a strategy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art.

      • 한국의 세계유산을 활용한 언어와 역사문화 통합수업 방안 연구 : -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

        양수미(Yang, Sumi)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lesson plan that integrates Korean language and Historical Culture by using Korea's UNESCO World Heritage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utilizing Korean Historical Culture and World Heritage, prepared theoretical grounds for designing a lesson plan, and presented a lesson model for Japanese learners. Currently, Korean dramas, movies and K-pop music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in Japan. This popularity and interest are expected to lead to more people learning Korean, and the number of Japanese lear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in the future. Despite this interest in popular culture,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are not being conducted properl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not much importance of cultural learning in teaching materials, and it is mainly a fragmented structure centered on texts, and is used only one-time or as supplementary materials in class. Also, the cultural education of most teaching materials was focused on Advanced Level textbooks. Korea and Japan are neighbors who have influenced each other a lot in their long history. However, there is a historic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has worsened since the 2018 Supreme Court ruling on victims of forced labor and Japan’s imposing of export restrictions on Korea in 2019. Thes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histori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prevent Korea and Japan from advancing toward peace and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method that integrates Korean language and Historical Culture by utilizing Korea's World Heritage site, which has universal recognition. This study examined four key components with which Japanese learners interact; Intercultural Education and World Heritage, a survey of what Japanese learners want to gain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utilizing World Heritage, World Heritage site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and piloting an educational plan. Firs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eme-Based Model, and World Heritage. Th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Japanese learners to design a model class that integrates language and Historical Culture using Korea's World Heritage sites.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ed that most Japanese learners learn Korean through the ‘Korean Wave’, such as dramas, movies, and music, particularly, K-pop. The purpose of learning becomes further expanded by traveling to Korea and other interest in Koreans. Many learners also recognize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Korean Historical Culture in order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hope that learning about Korean history will help them understand Korean culture. Third, twelve World Heritage si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Japanese learners. This study set the scope and difficulty of language skills to the intermediate level 4, looked at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ducation which can be obtained in class, designed the syllabus in the first semester, and designed the actual class model under the theme of Andong Hahoe Village. Fourth, based on the completed education plan, pilot classe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of Institute A. After the pilot clas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class using World Heri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ubject of historical Culture was selected as a World Heritage topic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 in the educational field where Korean is taught, and a specific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nd classes were actually conducted.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number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 class was limited in size, so the opinions of various learners were not heard in this study. It is regrettable that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references only, although advice from Korean and Japanese history experts was inevitable in order to build a more professional class plan. If a follow-up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advice and supervision of historical experts from both Korea and Japan will be added. If so, it is expected that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lasses that combine Korean language and historical culture will be conducted. Key Words: Historical Culture, World Heritage, Intercultural Education, Theme-Based Model, Japanese Learners, Integrated Instruction

      •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의 문화적 활용 방안 연구 : - 요코하마 리빙랩 사례를 중심으로 -

        김경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코로나 팬데믹,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후위기와 공동체 붕괴 등 현대 사회는 점점 더 복잡하고 불확실한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혁신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의 효과적인 수단이자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리빙랩(Living Lab)’에 대한 문화적 접근이다. 리빙랩은 일상생활의 현장에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대안을 구현해 나간다.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활동 사례를 문화적인 분류체계에 의하여 분석해 보고,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요소를 찾아 리빙랩을 문화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찾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위해 일본 요코하마의 리빙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코하마는 ‘리빙랩을 통한 시민 중심의 마을 만들기’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다양한 주체와의 공동창조를 지향한다. 요코하마의 리빙랩은 지역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초고령사회 대응, SDGs 이행 수단, 포용적 산업혁신 전략 등의 관점에서 전개되고 있다. 현재 요코하마의 각 지역에서는 각자가 발견한 문제를 가지고 각각의 상황에 맞춰 리빙랩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요코하마에서 실시되고 있는 각 지역의 리빙랩 프로그램들을 문화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기 위해 문화경제, 문화복지,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활동의 네 가지 분류체계를 사용하였다. 첫째, 문화경제 분야에 있어서는 로컬 상품 개발과 사회적 경제의 실행을 들 수 있다. 둘째, 문화복지 분야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헬스케어와 같은 복지, 소외 계층의 돌봄을 위한 사례들을 포함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학교와 연계하여 실시되고 있는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다양한 연령층을 중심으로 지역 커뮤니티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 문화예술교육이 있다. 마지막 문화예술활동 분야에 있어서는 지역의 다양한 축제와 지역민의 창작활동을 돕는 예술 체험, 생활문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요코하마 리빙랩 프로그램의 문화적 분류와 분석을 통해 얻은 것을 기초하여 리빙랩의 문화적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지역의 리빙랩 활동가 9인과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리빙랩을 주제로 리빙랩에 대한 경험, 리빙랩에 대한 문화적 접근, 앞으로의 활동 방향에 대해 질문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답변의 내용 및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가지고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의 문화적 활용 방안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첫 번째 문화경제적 측면에서의 활용은 지역 자원의 활용을 통한 문화 경제의 실현과 지역 순환이 일어나는 생산과 소비 구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두 번째 문화복지적 측면에서의 활용은 문화 환경 개선을 통한 지역 주민의 문화생활 활성화와 그동안 지역 활동에 참여가 어려웠던 사람들에게까지도 기회를 확대하여 기회의 균등화를 이뤄나가는 것이다. 세 번째 문화예술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은 개인의 치유와 회복이라는 개인적인 맥락에서는 물론이고 예술의 사회적 실천을 통한 사회 문제의 해결이라는 사회적 맥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 문화예술활동 측면에서의 활용은 모두가 지역에서 편안하게 자기 자신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지역민이 직접 참여하는 다양한 지역 축제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리빙랩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문화적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리빙랩이 문화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다양한 분야로의 리빙랩이 확대되고,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리빙랩 활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로 인하여서 리빙랩과 문화예술이 연결점을 찾고 문화예술이 리빙랩에 있어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학습자의 사회문화 맥락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베트남 학습자의 다문화 맥락을 중심으로

        안혜원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Abstract】 A Study on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Learners -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context of Vietnamese learners - An, Hei Won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using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irst, in chapter 1,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ading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learner’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is revealed the need for a study that examine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2, this study presented the topic of this study – reading education us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irst, reading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was discussed. In addition,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context, where reading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meaning of a text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reconstructing the text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text, the learner constructs the meaning of the text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s through dialogue and consultation with his / her society and culture. Next,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ontext, reading education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learners, and multicultural context of Vietnamese learners in Vietnam.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text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 This study defined 'reading using the social and cultual contexts of learners' as a process of effectively reading texts by deriv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s in order to construct the meaning of the text in the appropriat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order to pres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it examined the features of reading professions and learning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learners and presented reading using the multicultural context of Vietnamese learners in Vietnam. Based on the concept of read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reading, chapter 3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ading and derived four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First, the principle of proper questioning. Second, the principle of knowledge expansion. Third, the principle of subjective awareness. Fourth, the principle of application of text semantic composition. In the design process, the teaching and learning goals are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learner using his / he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read the text, and build the meaning of the tex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hen Dart University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 encountered various texts related to Korean Studies subjects in class, they mentioned the necessity of reading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 There are various media that can utilize multicultural contexts i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mong them, the novel "hen from the yard" and the multicultural concepts of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community" were used. Based on the four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the reading model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s was completed through the planning stage, the diagnosis stage,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 and the evaluation stage. With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 the following steps were suggeste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dentificatio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ett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pplication,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evaluation. In chapter 4,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plan of a teacher who uses the multicultural context of Vietnamese learners by applying the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utilizes the learner'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Using the results of the demonstration cla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urther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demonstration class.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learner's own multicultural context helped their ability to read. An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classroom teaching, and some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appl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Reading texts involves reading together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shape the text. because understanding a text becomes difficult when the context of society and culture which influence the text is not considered sufficiently. However, reading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 can reduce the cognitive burden to understanding the text, and can help the learner become a more active reader while constructing meaning from the text. Therefore, this study devised a method to read texts u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learners. In addition, it suggest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can be utilized in reading education by utiliz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various learners. It is significan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and models was confi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learners after the demonstration class.

      • 비원어민 교원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지침서 개발 연구 : 홍콩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이재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it. The Majority of Korean learners in Hong Kong, with general purpose, are driven to acquire the cultural aspect through the language. Therefore, the ability of Korean teachers to integrate language-culture into language instruction has a great impact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pursuit of stud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Korean teachers to be equipped with knowledge in Korean language-culture and an ability to comprehend the culture as well as to have language proficiency. This draws attention to the increasing number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their difficulty in teaching Korean language-culture and practical solutions to improve i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non-native teachers' cultural education and proposes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This paper introduces Past research, Needs analysis, Existing guidebooks analysis as follows; Chapter 1 observes past studies in non-native Korean teachers, cultural education proficiency of Korean teachers, and a teachers' guide, which leads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culture guide. Chapter 2 examines the role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and their unique features. In addition, the role of development of the teachers' guide is emphasiz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shows an in-depth case-study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and illustrates through a survey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 Chapter 4 analyzes existing guidebooks for Korean culture in 8 subsections; Contents Guidance, Introduction, Presentation of Culture Education Materials, Presentation of Culture Explanation Materials, Cultural Activities,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Comparative culture education and Assessment. Chapter 5 proposes a guideline for non-native Korea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existing guidebooks (Chapter 3, 5, respectively). Chapter 6 consolidates the analysis and makes a proposal for an improvement of a teachers' guide. This research show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guidebooks for Korean teachers in numbers of research, and the language-culture guide is limited to native Korean teachers, rather than non-native ones. Further studies and research to develop guidelines to meet the needs of those who are in the education field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일본인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 언어·문화 통합교육 방안 연구 : 소학교 교사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서희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 methods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as a part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t Japanese elementary schools more effectively. Improving the competency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with regard to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truly understand Korea and develop human resources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for Japanese elementary school learners as per the following discussion points. 1) Understanding current situa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t Japanese elementary schools with regard to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f Japanese public education 2)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under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3) Conducting needs analysis of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nting effectiv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based on it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order to research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which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understanding Korea for Japa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review of literature 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Japa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and a selection of topics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ere discussed. Then I presented a general orientation from the point of the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In Chapter 2, I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Japan, the current situa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Next, I classified the contents of activities for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ubjects. In Chapter 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survey for sel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pics, I selected the contents of integrative education and discussed implication of these needs. In Chapter 4, I presented yearly units and hours of the teach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ve education for Japanese public elementary school learners. I also showed a syllabus and a sample of teaching plans with topics which were preferred by the 6th grade teachers. In Chapter 5, I summarized the study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