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한국어 교과 교사 자격 연수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홍성인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교육부에서는 공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교과’ 교육을 위해 2012년 “다문화 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2013년에는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도 발간하였다. 이는 전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71.8%에 해당되는 7,989개교에 다문화학생이 1명 이상 재학하고 있기 때문에 공교육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 학생은 크게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상황과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그들을 담당할 교사에게는 어떤 교과보다 전문성이 필요하다.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한국어 교사에게 교육부에서 권유하고 있는 연수는 한국어 교과 관련 연수도 아니고, 자격 관련 연수도 아닌 ‘다문화 교육 직무 연수’이다. 이렇듯 교육부는 한국어 교과 교사 육성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교육기관에 2013년부터 신설된 정식 교과목인 “한국어 교과”를 담당하게 될 ‘한국어 교과’ 교사 육성에 대해 논의하려고 한다. 한국어 교과 교사 육성 방법은 세 가지가 있는데, 전문성과 신속성을 고려하여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 자격 연수”를 통한 육성 방법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한국어 교과’ 교사 자격 연수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과’의 학습 대상인 다문화 학생의 언어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KSL : Korean as a Second Language) 교과 담당 교사를 위한 기존 연수의 교육과정과 한국어(KFL :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과’ 교사 자격 연수 교육과정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2015년 현재 ‘한국어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하여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 심화, 전문 과정의 3단계로 ‘한국어 교과’ 교사 자격 연수를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기초과정은 “직무 연수”로써 30시간의 원격 연수로 구성하였는데, 연수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모든 교사이다. 심화과정은 “자격 연수”로써 원격 교육 20시간 + 집합 교육 40시간으로 구성하였는데, 연수 대상은 학교 현장에서 직접 다문화 학생들과 접하며 실제 ‘한국어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다. 전문 과정은 “수석 교사 자격 연수”로써 60시간의 집합 연수로 구성하였는데, 연수 대상은 심화과정을 이수한 교사들이다. 연수 목표는 일선 학교 현장에서 ‘한국어 교과’ 수석 교사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전문가 육성이다. 또 하나의 제안으로 ‘한국어 교과’ 교사와 한국어 교원의 연계 문제를 고려하여, ‘한국어 교과’ 교사의 한국어 교원 자격 취득 방안과 한국어 교원의 ‘한국어 교과’ 교사 자격 취득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KFL과 KSL을 아우르는 한국어 교사 육성을 위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2015년 현재까지도 다문화 교육에 방점이 찍혀 있는 ‘한국어 교과’를 담당하는 현직 교사를 위한 연수의 무게 중심을 한국어 교육으로 옮기기 위한 연구이다. 둘째, 한국어 교과 교사 육성을 위한 단계별 교사 자격 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제안이다. 셋째, ‘한국어 교과’ 교사 자격 연수와 한국어 교원 자격의 연계 방안에 대한 제안은 한국어 교육의 양대 축을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발전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의 모색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A study of curriculum design method for the ‘Korean subject’ teacher license training Hong, Sung In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advanced multicultural stud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 who is in public school and introduc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2. It published a book, standard Korean language, as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 in 2013.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s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re are more than 7,989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in school equivalent to 71.8% of the whole schools in the country. The multicultural studen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the other i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KFL) That is why a teacher should have specific teaching skills more than other subjects.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ommends Korean teachers not Korean related subject training, license related training but multicultural educational functional train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ndifferent attitude in promot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deal with the bring up KSL teacher who i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from 2013. There are three ways to train KSL teacher. It will study some training methods to promote KSL teacher through teacher license training considering speciality and rapidness. The following are the study of curriculum design for the teacher license training of KSL teacher. Firstly, to find out the verbal circumstance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Korean language subject. Secondly, to derive suggestion for the design of KSL teacher license training analysing the curriculum between KSL and KFL. Thirdly, to research and finalize the demand of teachers who stay in the job and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subject in 2015 by deep interview. According to the study, the curriculum for KSL teacher license training is designed into three steps: basic, intensive, and specific course. Basic course consists of on-line training for 30 hours as a functional training. All the teachers can join the this course. Intensive course consists of on-line training for 20 hours including off the job training for 40 hours as a functional training. The trainee will be teacher who teaches really multicultural student in school. Specific course makes up off the job training for 60 hours as a head teacher license training and the trainee must finish the intensive course. The aim of this course to promot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expert who can perform the role of head teacher in the field of schools. Look for a cue about obtaining the Korean teacher license for a Korean subject teacher and Korean subject teacher license for Korean teacher considering link with Korean subject teacher and Korean teacher. To check out the possibility how the KSL teacher obtain the license of KFL and on the contrary to this situation.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KSL and KFL. This study has following meanings to put KFL and KSL. First, research to move KSL teacher training which mark with a dot into Korean education. Second, suggestion about each step's KSL teacher license training curriculum for the promoting of Korean subject teacher. Third, idea that connect the link possibility between KSL and KFL has some meanings to develope the two great fields in Korean education with the better complementary relationship. ※ Key words : Korean subject, Korean teacher, Korean teacher license, teacher license training, Korean teacher training, teacher training curriculum

      • 재문화화를 통한 문화정체성 형성 내러티브 탐구 : 재 이탈리아 한국계 입양인을 중심으로

        김미성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이탈리아 내 한국계 입양인들이 성인이 된 이후 한국문화를 학습하고 경험하는 재문화화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문화정체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청소년으로 성장 중이거나 향후 이탈리아에 입양될 한국계 입양인들이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지원과 교육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landinin과 Connelly (2000)이 제시한 다섯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 절차를 계획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질적 면담으로, 이탈리아에 거주하는 한국계 성인 입양인 여섯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3월과 4월 사이에 일대일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면담은 녹음 후 빠짐없이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5단계 순환 과정을 따랐다. 전체 자료를 내용에 따라 단락별로 구분한 뒤 각 단락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코드를 부여하는 1차 코딩을 진행한 후, 본문을 삭제하고 코드만 남긴 다음에 다시 한 번 비슷한 내용끼리 분류하고 재배열하는 2차 코딩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총 5개 주제와 20개의 범주를 확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는 재문화화 과정 이전과 재문화화 과정, 재문화화 과정 이후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전 ‘입양 이후 성장 과정 중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은 ‘입양인으로서의 나’, ‘한국인으로서의 나’ 그리고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이 입양되었다는 사실과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았으며,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과 놀림을 당했다고 한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어릴 때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두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전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 동기’는 ‘뿌리 찾기’,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영향’ 그리고 ‘정부 및 교육 기관의 지원’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뿌리 찾기는 친부모 찾기, 떠나 온 나라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 한국계 이탈리아인들과의 만남 시도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영향으로는 우연히 만난 한국인, 학교에서 만난 한국인, 입양인 친구의 권유, 교포 소녀와의 만남으로 구분되었다. 정부 및 교육 기관의 지원 범주는 무료 고국 방문 프로그램 이용, 국내 대학 한국어 연수 시 입양인 학비 감면, 이탈리아 현지 한국대사관의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중 ‘이탈리아 내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은 ‘이탈리아 내 한국인들과의 교류’, ‘이탈리아 내 한국계 입양인들과의 교류’, ‘이탈리아 내에서 경험한 한국문화’ 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한국인들과 있으면 편안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또한 입양인들과 같이 있으면 갈등과 긴장감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결국 ‘입양’이라는 경험을 공유하는 가족과 같은 관계라고 하였다. 이탈리아에서 경험한 한국문화는 한국식당 가기, 한국드라마, 영화 보기, 음악 듣기 등이었으며 한국의 정치, 경제, 시사 문제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중 ‘한국에서의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은 ‘친숙한 느낌’, ‘일상생활 경험’, ‘학교생활 경험’, ‘사회 문화적 어려움’, 마지막으로 ‘입양인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 및 태도’의 5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에서의 생활 중 한국문화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친숙한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사회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며 한국의 입양문화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섯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후 ‘개인적 변화와 문화정체성’ 은 ‘한국인에 대한 이해’, ‘개인적 변화’, ‘문화정체성’, ‘입양에 대한 생각’, ‘한국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에 대한 의견’,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의 5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된 것에 대해 만족하며, 자신감과 자기에 대한 더 확신하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였다. 문화정체성은 Baden 외(2012)가 제시한 5가지 문화정체성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중문화정체성과 복합문화정체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입양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인 의견이었는데 반대하는 주된 이유는 문화 차이와 인종 차별이었다. 한국문화와 한국어 교육에 대해서도 모두 필요하다고 하였다. 앞으로의 계획은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거나 입양인들을 돕는 일, 그리고 아이와 함께 한국에 가고 싶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탈리아의 한국계 입양인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을 위한 지원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먼저, 이탈리아 현지에서는 한국대사관의 주도 하에 이탈리아인 양부모들과 자녀에게 한국인 사회와의 교류 기회를 제공할 것, 이탈리아 입양기관에 한국문화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전문 교사를 파견, 지원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 내에서 한국정부의 지원으로는 해외입양인들을 위한 1:1 상담 지원, 다양한 문화 교육·교류 프로그램 제공, 장학금 혜택과 숙소지원을 제안하였다. 또한, 양부모와 아이를 위한 한국문화 교재 개발이 절실하며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주제는 다름에 대한 가치, 자신의 입양 배경, 친부모 이해 등 정체성 탐구에 도움을 되는 주제들이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입양인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입양인들의 문화정체성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identity established by reculturation of Korean Italian adoptees after adulthood. The study will help proposing education plans and support programs to develop native cultural identity for young adoptees in Italy who were adopted after 2008 and for prospective adoptees from Korea.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existing studies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were examined. Furthemore,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for this study were briefly described. In chapter 2, the main ideas which com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methodology were examined. To begin with, cultural identity, reculturation, and relevant theories were explored. After that,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one of several methods used in a qualitative research,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procedure and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in five stages by Clandinin & Connelly (2000). The participants included six adult Korean Italian adoptees.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performed three times per person between March and April 2017.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oded for the analysis process. In chapter 4,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describe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recuturation. The first stage (before reculturation) was categorized into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after adoption” and “motivation to study or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 and the second stage (during reculturation) into “study or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in Italy” and “study or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in Korea”, and the third stage (after reculturation) into “individual development and cultural identity after studying and experiencing the Korean culture”, that formed total five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Each subject, again, was classified into three to four categories. The researcher examined in detail the significations of each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stages and subjects. Furthermore, the course of support programs and education plans to develop the native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 Italian adoptees was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talian adoptees, and in that the study suggested a support program and an education plan required to develop the birth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talian adoptees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 비원어민 교원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지침서 개발 연구 : 홍콩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이재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it. The Majority of Korean learners in Hong Kong, with general purpose, are driven to acquire the cultural aspect through the language. Therefore, the ability of Korean teachers to integrate language-culture into language instruction has a great impact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pursuit of stud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Korean teachers to be equipped with knowledge in Korean language-culture and an ability to comprehend the culture as well as to have language proficiency. This draws attention to the increasing number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their difficulty in teaching Korean language-culture and practical solutions to improve i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non-native teachers' cultural education and proposes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This paper introduces Past research, Needs analysis, Existing guidebooks analysis as follows; Chapter 1 observes past studies in non-native Korean teachers, cultural education proficiency of Korean teachers, and a teachers' guide, which leads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culture guide. Chapter 2 examines the role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and their unique features. In addition, the role of development of the teachers' guide is emphasiz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shows an in-depth case-study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and illustrates through a survey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 Chapter 4 analyzes existing guidebooks for Korean culture in 8 subsections; Contents Guidance, Introduction, Presentation of Culture Education Materials, Presentation of Culture Explanation Materials, Cultural Activities,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Comparative culture education and Assessment. Chapter 5 proposes a guideline for non-native Korea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existing guidebooks (Chapter 3, 5, respectively). Chapter 6 consolidates the analysis and makes a proposal for an improvement of a teachers' guide. This research show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guidebooks for Korean teachers in numbers of research, and the language-culture guide is limited to native Korean teachers, rather than non-native ones. Further studies and research to develop guidelines to meet the needs of those who are in the education field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문화예술인 협동조합의 과제와 전망 : 경상북도 문화예술인 협동조합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박희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협동조합의 역사적 전개에서 나타난 사실은, 이념 지향적인 협동조합 운동은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이념이 분명하지 않지만, 경제적 약자들의 경제적 공동이익을 증진하는 목표로 활동하는 협동조합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 협동조합기본법(2012년)은 도입 당시부터 협동조합의 가치와 의미를 중심으로 대중에 소개되었다. 협동조합의 정체성과 운영원리를 알리는 데 상대적으로 소홀했기 때문에, 지자체의 견인효과와 지원사업이 맞물려 협동조합의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법 제정 10년이 지난 현재까지 협동조합은 다양한 오해와 싸우고 있다. 문화예술 협동조합은 일반 시장경제 영역의 조직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술분야는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며 예술 활동 자체가 사회적인 측면을 가지고, 작품을 공동으로 만드는 동인제 전통에 따라 인적요소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인적 결합을 바탕으로하는 협동조합의 형태가 적합하다는 막연한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그러나 협동조합이 결사체면서 기업체라는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심층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또 조합원이 소유자이자 이용자로, 이중적 지위를 가진다는 사실과, 이것이 협동조합을 다른 조직과 구별하는 특징이라는 점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더욱이 협동조합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며 공동사업 형태로 실천된다. 이러한 복합적 층위에서 앞으로의 문화예술 협동조합은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우선, 문화예술 분야 협동조합을 기업체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협동조합은 조합원을 경제주체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 협동조합도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사업체로 규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협동조합은 문화예술 현장의 여러 문제에 기반하여 운영모델을 탐색해야 한다. 협동조합은 모순적 환경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선구자들에 의해 탄생하고 발전해 왔다. 따라서 다양한 시각으로 문제를 점검하고 창의적인 대안으로 문제에 접근할 때 협동조합의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 셋째, 문화예술 협동조합의 사업 영역이 확장될 필요가 있다. 그간 협동조합은 문화예술 단체의 연장선에서 고려되었다. 하지만 사업적 관점에서 협동조합은 더 많은 영역에서 기능할 수 있다. 협동조합은 예술의 생산 주체를 넘어, 생산과 전달 효능이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 생태계를 조성하고, 콘텐츠를 기획하며 나아가 예술가를 육성하고 창작과 유통 환경을 지원하며 관객을 발굴하는 등의 확장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협동조합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협동조합이 기대했던 문화적·예술적 환경 구축 성과에 대한 구체적 성과가 부족하다는 데 출발해, 문화예술 협동조합의 운영 특성을 분석하고 운영 과제를 제시하는 데까지 이르고자 했다. 그 가운데 풀리지 않는 숙제가 발견되었고 그럴수록 협동조합이라는 본질에 더 다가가 문화예술 협동조합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다뤄보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남은 숙제는 다음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이후의 과제는 연구자 뿐 아니라 문화예술 현장에서 협동조합을 통해 답을 찾고자 하는 ‘선구자’들의 노력에서 확인되어야 한다.

      • 민화를 활용한 한국 관념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동물 소재 민화를 중심으로-

        박동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 예술인 민화를 활용하여 한국의 관념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교수 및 학습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언어 교육의 목표를 언어 지식 습득을 넘어선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라고 보았을 때 관념문화의 이해를 통한 목표 언어 공동체에 내제된 지식과 가치 및 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념문화는 추상적이며 이해하기 힘들다는 특성으로 인해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의 관념문화 교육에 민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민화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소재로 한 전통 미술인 동시에 전 세계 사람들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정서를 담고 있다. 또한 문자나 음성과 같은 언어적 표현 방식이 아닌 비언어적 표현 방식인 시각을 통해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한국의 관념문화를 대표하는 동물인 호랑이를 주제로 하는 민화를 활용하여 관념문화의 하위 영역인 신앙, 가치관, 사상, 민족성, 정서를 교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본 연구는 한국 관념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알아보았으며, 문화 교육의 자료로서 민화가 가지는 가치를 조명함으로서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3장에서 본 연구는 호랑이를 주제로 하는 민화 속에 담긴 관념문화의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관념문화의 요소를 대표하는 20편의 민화를 선정하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장에서 본 연구는 앞서 분석한 내용들을 근거로 호랑이를 주제로 하는 민화를 활용한 관념문화 교육의 모형을 설계하고 수업의 교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비언어적 매체라는 민화의 특성을 한국 관념문화를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의 근거를 밝혔으며,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과 교안을 구체화시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educate Korean ideological culture using Folk painting(Minhwa), which are traditional Korean art. When the goal of language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yond language knowledge acquisi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inherent in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through understanding of ideological culture. However, despite this importance, ideological culture has been negle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e to its abstract and elus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use Folk Painting in Korean ideological culture education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Folk Painting are traditional art based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also contain universal emotions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can sympathize with and enjoy.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burden on learners could be reduced because information was delivered through perspective, a non-verbal expression method, not a verbal expression method such as text or voice. Based on these point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of educating faith, values, ideas, ethnicity, and emotions, which are sub-areas of ideological culture, by using Folk Painting on the theme of tigers. In Chapter Ⅱ,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conceptual - 71 -culture education, and showed the necessity of research by highlighting the value of Folk Painting as a material for 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Ⅲ,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of ideological culture contained in Folk Painting with the theme of tigers, and selected 20 Folk Paintings representing the elements of each ideological culture so that they could be used for education. In Chapter Ⅳ,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is study designed a model of conceptual culture education using Folk Painting based on tiger themes and prepared a teaching plan for the class. Through the above process, this study revealed the basis fo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 as a non-verbal medium for education, and presented the contents and teaching plan of educatio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 아랍어권 유학생의 학업 및 문화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민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A Narrative Inquiry into Arab Students’ Adaption of Studies and Acculturation in Korea. Park, Minil Dep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xperience of study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mong Arab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their acculturation, and thereby exploring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and education of the students to help them. In chapter 1, the purposes,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are briefly described. Furthermore, by reviewing prior researches related to adaptation in study and acculturation exploration of foreign student learners, This research confirm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and review the prior study of Korean learners who are Arabic native speakers to reveal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narrative exploration. In chapter 2, the main idea which compo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methodology was examined. To begin with, self-identity, expressive writing and relevant theories were explored. After that,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one of several methods used in a qualitative research,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procedure and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explained. This research established its procedure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in five stages by Clandinin & Connelly(2000). The participants are seven Arab region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carried out for about two months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and the recording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This material was analyzed following the analysis process of the first coding and the second coding(categorization). In chapter 4,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presented in chapter 3 were described. The transcribed material acquired from interviews with all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under 20 categories and 69 codes. This research examined in detail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here according to each theme and the categories under it and interpreted the meanings of such experiences. Furthermore, based on the cultural difficulties Arab region students face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d on Arab region students studying in Korea, who were seldom discussed in studies on foreign students in the nation, and examined in detail the difficulties they have faced in Korea and their accultura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program and education plan for Arab region students studying in Korea.

      •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미술 활용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 김홍도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

        안성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화를 다루고는 있지만 대부분 일상 문화나 한류에 국한되어 있어서 전통 미술과 같은 예술을 접목시키는 한국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논지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 방식에 익숙한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 교육에 있어서 미술 활용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미술 활용 사례들을 분석하여 한국 문화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언어ㆍ문화 교육에서 민속문화적인 이미지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한 Robert Galisson의 이론과 상호문화교육이 토대가 되었다. 프랑스어 교육의 미술 활용 사례는 세계적인 프랑스어 교육 기관인 알리앙스 프랑세즈의 교재와 프랑스어 국제 교육 방송인 TV5Monde 사이트의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알리앙스 프랑세즈의 교재 ÉDITO에서는 미술뿐만 아니라 사진, 만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실제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TV5Monde 사이트의 교육 프로그램도 마네와 같이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외국 작가의 작품들도 활용하여 상호문화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을 구현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홍도의 풍속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을 제안하였다. 김홍도의 『단원 풍속도첩』 중 한국 문화 교육에서 의식주 문화, 여가 문화, 교육 문화와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풍속화들로 선별하였다. 그 중, 교육 문화와 관련된 「서당」, 「활쏘기」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수업은 상호문화교육의 구성 원칙들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제적인 교육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이 중시되는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 교육에서 전통 예술을 접목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미술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deals with Korean culture, but it is mainly limited to everyday culture and the Korean Wave.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for the need of cultural education that uses art including traditional art. This study particularly intended to consider the strategy of using ar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rancophone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culture and art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where art was used in the education of French as a foreign language to apply them to Korean culture classes. The theory of Robert Galisson, who focu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ethnographic culture images i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becam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or the cases of using art in French-language education, the learning materials of Alliances Françaises, the worldwide French-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V5Monde site, the international French-language education broadcasting channel, were examined mainly. As a result, ÉDITO, the learning materials of Alliances Françaises, was making the best of actual materials in various fields of arts, including not only fine art but also photography and cartoon. The education programs of TV5Monde site also referred to the works of painters that represent France, such as Manet, and the works of foreign artists, embodying the education that can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ed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for francophone learner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analysis. From 『Danwon Pungsokdocheop (Album of Danwon’s Genre Paintings) (Danwon is Kim Hong-do’s pen name)』 by Kim Hong-do, the genre paintings that can be used in Korean culture education, concerning the food, clothing, and housing culture, leisure culture, and education culture, were selected. Among them, this study proposed a strategy of using 「Seodang (Village School)」 and 「Hwalssogi (Archery)」, which are related with education cultur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constituting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applied to the class.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it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at uses traditional art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learners from francophone regions where the emphasis is laid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considered a strategy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art.

      • 재일동포 아동 대상 한·일 역사문화 교육 항목 선정 및 교육 방안 연구 : - 교류와 갈등을 중심으로 -

        김민선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article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Korea-Japan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lives of Korean students living in Japan. It is to prepare a plan to assist them grow into a knowledgeable global talents with balanced perspective. By diving the culture into exchanges and conflicts, studying them in an appropriate order, both Korea and Japan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exchanges and conflicts had been repeated.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in Japan, they often do not eliminate effective educational needs. In the case of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Korea and Japan, Korean students in Japan experienced confusion due to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interviews with experts and questionnaires exemplified these difference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these issues, this article must first grasp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for children. It should also educate the historical culture of conflict and exchange in an appropriate manner so that Korea and Japan can recognize that they developed into each other through mutual cooperation, and that they have been at odds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Chapter 1. To clarify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article and presents research methods. Furthermore, the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of this article were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It was found that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needs to be balanced considering their local lives. Chapter 2. Analyz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Japanese elementary schools, and Hangul schools by limi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rms and scope of children's learners. Chapter 3. We analyzed the contents of history and culture related to Korea and Japan through textbooks and study sit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scope analyzed in Chapter 2, after analyzing the textbook, five experts at the Korean language school were interviewed and 56 parents of the Korean language school were surveyed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site. Chapter 4. Item screening was conducted. First, 52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related to Korea and Japan were extracted through textbook analysis. Seven items were presented separately, showing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Korea and Japan. Seco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experts, we prepared five criterias for screening items and categorized them into items of exchange and conflict for effective presentation. Items that were presented were categorized as exchange and conflict to experts at Hangeul School and derived 17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Thirdly, 17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were finally verified. In the parent survey, 16 final items were derived by adding and excluding items. After completing item selection, item arrangement was carried out. First, related historical culture is summarized as the main theme. The small themes were arranged so that the historical culture of exchange and conflict were presented in the appropriate order, then the historical culture is arranged from modern to ancient. Chapter 5. Prepared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based on the textbook composition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It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review. Based on the Doing History, a concrete educational model has been prepared that starts with the daily lives of child learners and moves around the world. Based on the educational model, two educational plans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Joseon News Agency were drawn up. Through this kind of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we look forward to Korean children in Japan who have grown into global talent and are active around the world.

      • 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텔레비전 파일럿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이주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언어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에 대비되는 말로서 ‘문화 중심 또는 문화 기반의 언어 통합’교육을 전제로 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대중성과 시각성의 장점을 가진 텔레비전이라는 매체 속에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단순히 텔레비전의 광고나 드라마, K-POP 등을 활용한 교육이 아닌 텔레비전 자체가 하나의 온전한 한국어 교육 과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제작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미디어 교육 측면과 한국어 교육 측면에 따라 분석한 후 장단점을 고려하여 교육 방송의 역할과 한국어 교육 원리에 근거한 교육 과정을 통해 시범적인 방송인 파일럿 프로그램을 설계한 것이다.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한국어 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EBS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결혼여성이민자나 다문화 가정의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프로그램은 증가하는 반면,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학습자, 그 중에서도 문화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는 초급 중후반 학습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진다면 텔레비전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 뿐 아니라 제작된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로도 번역이 되어 공급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과 연구 방법, 기대 효과를 가지고 문화 교육 교재 및 텔레비전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 필요한 문화 항목은 생활문화, 제도문화, 예술문화를 주된 항목으로 언어문화와 한국의 개관에 대한 부분으로 드러났다. 교육 과정은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따랐으며, 방송에서 자막 활용을 극대화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도록 파일럿 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텔레비전이라는 매체가 가진 영상적인 장점을 취해 한국어 교육 원리를 적용한 ‘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 모델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검색어 : 한국 문화, 한국어 교육,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설계, 문화 항목, 한류, 문화 기반, 미디어 교육, 문화 중심 언어 통합 교육. 언어문화. This study purposes to realize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focused or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ion’, which has the opposite meaning from ‘language integration by focusing on language’, on the media, television, that has the advantages of popularity and vitality. This is not an education that uses simple advertisements, drama series, and K-POP, but makes television itself to play a role of a complet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designed a pilot program, which is the trial program,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ole of an education broadcasting and Korean education theory by considering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fter analyzing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programs until now in both aspects of media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From EBS Korean education programs, which had been emerged as a leader of the Korean education even from the foreign language area, increased its number of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learn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program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who takes much ratio in the cultural education. If such program is made, it would increase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hrough the television and also would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it to various countries as translating into their languages accord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nd television education programs with above purpose, studying method, and expectations, the major cultural items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appeared to be living culture, system culture, and art culture as parts of language culture and an overview of Korea. The curriculum followed the general Korean education courses, and prepared the pilot plan to have the visual effect by maximizing the subtitles during the broadcasting.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means in proposing the ‘culture-based Korean education’ model that applied the Korean education theory with the visual advantage that the media, television, has. Key words: Korean culture, Korean education,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 design, cultural item, Korean wave, culture-based, media education,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language culture.

      • 초등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 문식성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김은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contents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Korean learners. Literacy is like an organism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and its meaning has been extended according to cultural and social needs. Multicultural literacy means the ability to critically recogniz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respect diversity and solve problems. Through various existing discussions, multicultural literacy began the study in the sense that it was necessary to learn both functional and critical literacy in a compromise.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learn this, literature-based education with basic literacy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empathy and aestheticity was provided as an alternative. Not only does literature contain elementary Korean learners’ basic ability to use Korean language and advanced language, but it is also enough to become a tool to broaden their knowledge of themselves by assimilating and empathizing with characters in literature and accepting other cultures critically. A total of 235 literary works from native and foreign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selected for research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Korean learners, and prior to analyzing them, the standards for achievement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1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reviewed to establish understanding and standards for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In addition, core contents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were extract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became the framework for selecting ‘per achievement criteria’ for functional literacy and ‘by content subject’ including categories of self-identity,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nd is meaningful in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Korean learners. In addition, a model of actual class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es was proposed and examples that could be applied in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were proposed. The literary works at home and abroad contained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were studied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and level of learners by grade, and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ore contents and standards of multicultural literacy. It is expected that the selected contents of education through these courses will be used in education using literature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is likely to hav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learners as the level of education is divided by grade through various analysis processes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refore, the ability to provide education at the learner’s level is required at the discretion of the teacher.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failure to derive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multicultural literacy of learners through the stage of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written guid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raining content as a follow-up study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with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which we would like to leave as a future task. Keywords : Multicultural literacy, Elementary Korean learners, Literacy works,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Achievement criteria, Content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