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춘천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디지털리터러시 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유순녀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711

        As digital-info society gains force, capability to at one's will adapt digital technology in daily life is necessary to approach various information, and way of human's living is being changed with these digital appearance, and this means that Digital Literacy is becoming basic competence for living as human. Further, with realizing e-government civil service whose duty is to provide service for administrative users also are not excluded from demand of these digital literacy, and through enhancement of this capability administrative service will be raised up at the same time.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has been studied with this background, the competence of digital literacy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 of civil service, and has intended to research plans for enhancing civil service's capability of digital literacy.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civil service working for Chuncheon city's local educational bureau,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ave been object of this research, and theoretical study through thesis, transactions of learned society, newspapers, internet data has been performed for theoretical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Survey has been operated using existing developed checklist of digital literacy for more substantiated study. Element analysis to examine credibility and pertinence for the measuring result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has been operated, and to find out digital literacy capability of research objec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12.0 program have been performed. Generalizing existing several researches, it can be defined that digital literacy is capability to produce inform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positively applying after critically analyzing it, and to create desirable digital society using acquired and examined information and sharing produced knowledge with other people. With various established digital literacy concept this research has arranged kinds of literacy included in digital literacy and competences related to it and component elements needed in each capability. And without stopping to theoretically arrange index depending on capability and simple arrangement of digital literacy, this research intended to check digital literacy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civil service with substantial questions. To sum up existing several researches, it can be defined that digital literacy is capability to produce inform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positively applying after critically analyzing it, and to create desirable digital society using acquired and examined information and sharing produced knowledge with other people. To measure capability of digital literacy, established standard checklist of digital literacy by Kim Minha(2002) has been used, analysis of questions element was operated to examine pertinence of measured results for object of this research. As a result the number of questions in checklist that were 113 at first developing was reduced to 83 questions, and it again divided into 8 elements, so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divided digital literacy capability's components like following. First info-tech capability is composed with 3 elements of the first element(computer H/W, S/W, basic internet using capability), 4th element(problem solving capability on computer and Windows), 8th element(presentation capability). Secondly, info-applying capability is composed with 3 elements of 2nd element(info-search, applying, evaluation), 5th element(recognition capability of info-necessity). Lastly, info-sharing capability is composed with 2 elements of 3rd element(info-sharing and info-ethic recognition capabilities) and 6th element(community technology applying capability). Centered with personal characters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capability level of digital literacy of Chuncheon city's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civil service has been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in case of men, basic running capability for computer, H/W, S/W, and internet is low compared with women. Upon class of position, in case of 6 degree of administration, it showed that basic running capability of computer H/W, S/W, internet, 2nd element, 5th element, 6th element and 8th element were all low compared with 8 degree of administration, and this is the result felt necessary of enhancement of 6 degree of administration's digital literacy capability. Especially 8th element(presentation using capability) and 2nd element(info-search apply-evaluate capability) showed less than 3.0 to be urgent of education for part related. And in case of technical service 8th element showed lower capability in 8th element(presentation using capability) than 8 degree of administration. Upon age of in their 50s, element of 1st, 2nd, 3rd, 5th, 6th, 8th all showed low value compared with ones in their 20s. This appears to show result related to age of 6 degree of administrative were mostly in their 50s all relating that 6 degree of administration showed low value compared with 8 degree of administration clarified above except 3rd element. In case of under high school graduate upon scholastic ability, element of 1st, 3rd, 5th, 6th showed lower level than college graduate. In case of 1st element upon internet using experience, it showed that experienced ones under 5 years of internet using was lower than ones over 5 years, and in 4th and 5th element, ones with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showed low compared with ones with more than 9 years. With base of above results, the plan for increasing level of digital literacy of Chuncheon city's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civil service is first to open license acquiring classes and apply existing or being operated educational lectures. And secondly, to apply info-orientation contests. Thirdly, it will be to open research meetings for form various info-oriented mind and induce them to listen lectures related by themselves. 디지털정보사회가 대두되면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을 자유자재로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디지털의 등장으로 인간의 삶의 양식이 바뀌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리터러시(Digital Literacy)가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능력이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전자정부의 구현과 함께 행정수요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의무가 있는 공무원 역시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의 요구에서 예외일 수는 없으며, 이러한 능력 향상을 통해 행정서비스 또한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알아보고, 공무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여, 공무원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춘천시 지역교육청, 초등학교, 중학교에 근무하는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위해 논문, 학회지, 연구보고서, 신문,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좀더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기존에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측정결과에 대해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 대상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spss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One-way ANOVA (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여러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획득한 검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산된 지식을 타인과 공유하면서 바람직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포함되는 리터러시의 종류와 그에 해당하는 능력들을 정리하고, 각 능력에서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정리를 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단순한 개념 정리 및 능력에 따른 지표를 이론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문항으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여러 연구를 종합해 보면,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이러한 활동으로 획득한 검증된 정보를 통해 생산된 지식을 타인과 공유하면서 바람직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김민하(2002)의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 표본을 대상으로 측정된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문항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최초 개발 당시 113개의 문항이였던 체크리스트의 수는 83개의 문항으로 줄어들었으며, 8개의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디지털리터러시 능력 구성요소를 구분하였다. 첫째, 정보 기술 능력은 제1요인(컴퓨터 H/W· S/W· 인터넷 기본 조작 능력), 제4요인(컴퓨터 및 윈도우 문제해결능력), 제8요인( 프리젠테이션 사용능력)의 3개요인으로 구성되었고, 둘째, 정보 활용 능력은 제2요인(정보 검색·활용·평가), 제5요인(정보필요성인식능력), 제7요인(FTP 활용 및 정보검색시 의견교환 능력)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정보공유능력은 제3요인(정보 공유 및 정보 윤리 인식 능력)과 제6요인(커뮤니티 기술 활용 능력)의 2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춘천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수준을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 정보기술능력 중 컴퓨터 HW·SW·인터넷 기본 조작 능력과 프리젠테이션 사용 능력이 여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는 행정 6급의 경우 컴퓨터 HW·SW·인터넷 기본 조작 능력, 제2요인, 제5요인, 제6요인, 제8요인이 모두 행정8급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리직에 해당하는 행정6급이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수준 향상이 절실하다고 느껴지는 결과이다. 특히 제8요인(프리젠테이션 사용능력)과 제2요인(정보검색활용평가능력)은 3.0이하의 수준을 보여 해당 부분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 또한 기능직의 경우도 제8요인(프리젠테이션 사용 능력)이 행정8급보다 낮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의 경우 제1요인, 제2요인, 제3요인, 제5요인, 제6요인, 제8요인이 모두 20대와 비교해 낮은 값을 보였다. 이는 위에서 먼저 밝힌 직급별 분석 결과 행정6급이 행정 8급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인 요인들에 제3요인을 제외하고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행정6급의 연령대가 대부분 5O대인 것과 연관되는 결과로 보여진다. 학력별로는 고졸이하의 경우 제1요인, 제3인, 제5요인, 제6요인이 대졸의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인터넷 사용경력별로는 제1요인의 경우 인터넷 사용경력 5년 미만 경력자가 5년 이상 경력자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제4요인과 제5요인은 5년 미만 경력자가 9년 이상 경력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춘천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은 첫째, 정보화 자격증 취득반 개설 및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교육 강좌의 활용이다. 둘째, 정보화 경진대회의 활용 방법이다. 셋째, 각종 정보화 마인드 형성을 위한 연찬회 개최 및 해당 강좌를 자율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 학교조직효율화 진단모형 개발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교육청 소속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영진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공교육활성화(또는 공교육정상화)는 사교육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방안으로 1974년 01.28 정부정책으로 ‘각종행사에 학생 동원 금지 지침(국무총리 지시)’를 필두로 시작된 교원행정업무경감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여러 정책에도 불구하고 공교육활성화를 위한 교원행정업무경감의 효과는 미비하였다는 것은 기존의 여러 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학교의 조직과 관련된 변화가 선행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학교조직효율화는 경기도교육청에서 2010년 10월 28일 발표한 ‘교원 행정업무경감 2단계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학교조직을 수업중심의 교수학습조직과 교무행정조직으로 이원화 하되, 수업혁신 중심으로 개편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학교는 교원, 교육행정?일반 공무원, 교육실무직원(행정실무사, 조리종사원, 사서 등등) 등 다양한 구성원으로 조직된, 일반적인 조직과는 이원화 또는 학교 특성에 따라 3원화 된 조직체계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인 조직변화를 가져오지 못했기 때문에 교원행정업무경감의 실효적인 성과를 얻을 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공교육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원행정업무경감이 이루어져야하고 교원행정업무정상화를 위해서는 학교조직효율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다시 바꾸어 보면 학교조직효율화가 이루어져야 교원행정업무경감이 되고 이것이 바로 공교육활성화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앨빈 토플러는 그의 저서인 부의 미래에서 진정한 전환(transformation)에 대하여 기업이나 공공조직에서 조직의 주요기능, 기술, 금융구조, 문화, 사람과 조직 차원의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김종웅 역, 2006). 본 연구는 2011년부터 학교조직효율화 및 교무행정전담팀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의 시범학교 우수사례의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 학교조직이론, 조직진단, 조직개편, 조직설계, 교원행정업무경감에 대한 이론적 배경, 교원행정업무에 대한 정책고찰과 선행연구, 경기도교육청의 학교조직효율화·교원행정업무경감·교무행정전담팀 관련 시범운영 우수 사례학교 135개의 사례를 토대로 분석하여 네 가지 측면과 4대 전환요소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구조적 측면으로 제1전환요소인 공간적 전환 둘째는 직무적 측면으로 제2전환요소인 직무?인적자원의 전환 셋째는 제도적 측면으로 제3전환요소인 의사결정체계의 전환 넷째는 행태적 측면인 제4전환요소인 학교문화의 전환을 통하여 실효적인, 실제적인 교원행정업무경감으로 나타나는 것을 경기도교육청 사례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4대 전환요소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교조직효율화가 교원행정업무경감에 어떤 효과를 주었는지, 그리고 객관적이고도 과학적인 정량화분석과 학교조직효율화를 위한 교무행정 전담팀 모델(지원체제구축)이 절실하다. 따라서 연구결과는 교원행정업무경감(교원업무정상화)를 위하여 학교조직효율화의 선행이 중요하다는 것과 이를 위한 4대전환요소의 혁신적인 전환(변화)과 학교조직효율화에 따른 교원행정업무경감에 대한 과학적인 정량화 분석 모델, 학교조직효율화 도입 후 ‘교무·일반 행정전담팀’ 모델을 제시하여 보다 개선된 교육환경에서 교사들이 좋은 수업과 수업연구에 집중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학교구성원 간 갈등을 줄이는 계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신뢰와 협력으로 모두가 더불어 행복한 학교가 되길 바라며 아울러 학교조직효율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s a part of the 'Two-step plan for reducing administrative task for the teachers' that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on October 28th, 2010,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a policy to separate the school organization into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organization and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organization and to reorganize it focusing on the class reform. Since innovative change in organization was not achieved despite the fact that school is a dualized organiz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organizations and is organized with variety of members such as teachers, general civil servants, and administrative employees, it can be said that reducing administrative task for the teachers did not bring about effective resul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the excellent cases of model school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at are carrying out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 and teams in charge for school administration,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In order to do so, school organization theory, organization diagnosis of the current school, reorganization that can recognize the problems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establish strategies, designing the organization to achieve the desirable educational purpose, theoretical background for reducing administrative task for the teachers, consideration of policies regarding teacher's administrative tasks and the preceding studies, and 135 excellent cases of model school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garding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reducing administrative task for the teachers·teams in charge of school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and then categorized into four aspects and four transformation factors. First is the structural aspect and the 1st transformation factor which is spatial transformation, Second is task-related aspect and the 2nd transformation factor which is effective transformation of task and human resource, Third is systematical aspect and the 3rd transformation factor which is transformation of decision making system, and the fourth is behavioral aspect and the 4th transformation factor which is transformation of school culture. Four of them are important factor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s and they play important role in reducing administrative task for the teachers.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direction so that teachers could feel the changes at the schools by presenting innovative transformation of school organizations, analysis method regarding reducing administrative task for the teachers, and the model of team in charge of school administration and to let them know that precedents of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s are important. The purposes of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 are to assist teachers to concentrate in class and in preparation for class, to provide momentum for the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to reduce conflicts, and to achieve vitalization of public school based on trust and cooperation. This study hopes to serve as a momentum for initiation of various studies by providing new perspective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school organization.

      • 地籍境界整備對象地의 效率的 管理方案에 관한 硏究 : 春川市의 事例를 中心으로

        洪鍾允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지적경계정비대상지는 넓게는 지적공부와 실제상황이나 현지의 토지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모든 경우를 뜻하지만 좁게는 토지경계 현황과 지적도면의 등록사항이 일치하지 않는 필지가 집단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대상지역을 의미한다. 그 동안 지적경계정비대상지의 필요성과 당위성 및 추진방안에 관해서는 주로 지적학계와 실무계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왔고,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차례 연구가 진행되거나 학술회의에서 다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미 1990년대 중반 정부에서도 지적재조사사업추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지적경계정비대상지 정리차원을 넘어선 지적재조사에 대한 시도도 있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적경계정비대상지를 해소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으나 지역여건과 다양한 발생 유형, 법규상 명확한 처리절차와 면적증감에 따른 구체적인 처리규정이 없어 전국적으로 많은 양의 지적경계정비대상지가 정리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적경계정비대상지를 정 리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될 재산권분쟁과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막대할 것은 분명하지만, 이 문제 때문에 위험천만한 지적측량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적은 20세기 초반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것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그 동안 경계정비대상지의 급증, 지적공부의 훼손과 마멸의 심화, 현지경계와 지적도상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발생 등 오늘날의 토지관리에 많은 문제점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정확한 지적도를 작성하고 지적측량을 현대화하며 지적자료의 정보화를 완성함으로써 해결되어야 할 것인데, 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지적재조사를 추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면적인 지적재조사를 추진할 수가 없다면 지적경계정비사업을 점차적으로 확대하여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지적제도를 현실적으로 개선하기위한 방법으로 지적경계정비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측면에서 단기적으로는 현재의 지적법을 보완하고 장기적으로 지적경계정비사업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행정적 측면에서는 지적경계정비대상지를 정리하는 인력의 육성과, 확실한 지적경계정비대상지의 조사를 위한 행정기법의 발굴, 소요예산의 확보와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가 있어야 한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다시 경계정비대상지가 발생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최신기술의 적용과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지적경계정비대상지의 해소로 인하여 첫째 효율적인 토지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적공부를 작성하여 토지정책 수립 및 집행의 과학화ㆍ효율화를 추진할 수 있다. 둘째 지적제도개선과 행정서비스개선으로 귀중한 국민의 토지 소유권을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토지경계 분쟁해소로 국민의 재산권 행사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게 되며 셋째 지적공부의 공신력을 제고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정확한 과세와 민원해소로 주민신뢰도를 향상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국민편의 위주의 지적행정 구현하며 지적정보의 정확도 향상으로 토지정보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목적 지적제도를 구축할 수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 지적제도는 약 100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지적제도가 국가의 행정과 국민의 편의에 기여한 공로는 막대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급속히 변화하는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적공부를 사용하는 국민들은 지적제도가 주는 불편을 더 이상 인내하고 지내기보다 지적공부의 정확도 향상과 제도개선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정부의 행정서비스는 국민의 편익을 목표로 하는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지적행정역시 국민의 입장에서 지적제도를 재조명 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비록 지적이 안고 있는 모든 문제들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적재조사 사업이 정책적인 판단으로 지적경계정비지의 우선 정리라는 형태로 추진되고 있지만 국가의 강력한 의지와 후원으로 지적경계정비대상지의 조사 정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부각시킴으로서 지적재조사사업의 조기 시행에 대한 국민적인 요구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 敎育行政職 公務員의 職務滿足과 組織沒入의 決定要因에 관한 硏究 : 江原道敎育廳 소속 敎育行政職 公務員을 중심으로

        김종범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quality of education is largely reliant on the role performance of government worker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as well as that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re is a desperate cry for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s.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s, public official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should be encouraged to boost their job satisfaction to stir up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government worker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and the determinants of the two factors in an attempt to seek ways of bolster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aising their job satisfaction. A theoretical study was implemented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a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as well by taking a surve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2 civil serva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in five different regions, including Chooncheon, Wonju, Hongcheon, Cheolwon and Hwacheon, which were under the umbrella of the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332 government workers in the selected areas, the answer sheets from 212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 response rate stood at 64.8 percent. As for data handl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 were utilized. In regard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nvolving gender, the men and women respectively numbered 97 and 115, which respectively accounted for 45.8 percent and 54.2 percent. By age, the respondents who were in their 20s, 30s and 40s respectively numbered 19, 117, and 45, which represented 9.0, 55.2 and 21.2 percent respectively. Those in their 50s and up numbered 31, which accounted for 14.6 percent. By position, the ninth-, eighth-, seventh- and sixth- grade officers respectively numbered 33, 59, 63 and 53, which accounted for 15.6, 7.8, 29.7 and 25.0 percent respectively. The fifth-grade and higher-ranking officials numbered four, which represented 19. perc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s what would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public officials were pay, personnel administration, welfare/working environments, performance(reward), educational training, communication, job in char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involv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had the larges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s a determinant of it was job in charge,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oncerning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 charge exercised the most influence on job in charge,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rformance(reward). In conclusion, job in charge exert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 worker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Likewis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closest correlation to job in charge. Therefore it could be predicted that stronger satisfaction with job in charge is likely to lead to higher job satisfaction and bet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Besid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determin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and communication, which were far more important than reward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that were generally considered to affect the two factors a lo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s urgently required to expedite accurate job standardization for government worker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s, since there isn't yet any definite and systematic job division for those officers who have to take care of duties related to nearly every part of school administration without any clear distinction. Lately, each school tries to cut down on teacher workload to stimulate the dedication of teachers to teaching from diverse angles. However, there are few effort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s of public official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To take the qua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s to another level, the reality of every school should precisely be grasped to ensure successful policy setting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ose government workers. Educational adminstration is one of typical services that largely depend on human resources. To guarantee a supply of quality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s in response to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a perfect factor analysis should primarily be conducted to pinpoint what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ivil serva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who are human resources. In the future, more ex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by selecting a larger range of population and utilizing different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methods. An in-depth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more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sideration of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s.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 만큼이나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중요한 것은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 시켜 조직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켜 조직몰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문헌에 의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에 의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대상은 강원도교육청 소속 5개 지역(춘천, 원주, 홍천, 철원, 화천)에 근무하고 있는 교육행정직 공무원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32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통계처리 응답수는 212부로 회수율은 64.8%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기술통계분석, t-검증, F-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과제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의 분석대상은 212명이고, 성별로 보면 남성이 45.8%(97명), 여성이 54.2%(115명)를 차지하였고,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가 9.0%(19명), 30대 55.2%(117명), 40대 21.2%(45명), 50대 이상이 14.6%(31명)로 3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직급별로 보면, 9급 공무원이 15.6%(33명), 8급이 7.8%(59명), 7급이 29.7%(63명), 6급이 25.0%(53명), 5급 이상이 1.9%(4명)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수, 인사, 복지 및 근무환경, 성과(보상), 교육훈련, 의사소통, 담당업무, 인간관계, 발전가능성 등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상호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으로 독립변수(보수, 인사, 복지후생 및 근무환경, 성과(보상), 교육훈련, 의사소통, 담당업무, 인간관계, 발전가능성) 가운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담당업무이고, 다음은 인간관계, 의사소통 측면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몰입의 결정요인 분석 결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담당업무로 나타났고, 다음은 인간관계, 성과(보상) 측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담당업무이고 조직몰입 또한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담당업무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담당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조직몰입도 또한 높아질 개연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의 주요 결정요인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쉬운 보수나 인사보다는 직장동료나 상사와의 인간관계, 의사소통 요인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행정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 향상 방안으로 제시하면, 학교 현장에서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담당업무가 체계적으로 분장되어 있지 않고 학교행정 전반에 걸쳐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업무 표준화 설계 구축을 통해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 대책 수립이 긴요하다. 한편 최근 단위 학교 교육현장에서는 교원에 대한 학생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교원업무 경감 방안들은 다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에 대한 업무환경 개선책들은 소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행정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위 교육현장의 현실을 정확히 판단하여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교육행정은 특성상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전형적인 인적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이 시대가 원하는 양질의 교육행정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인적 자원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충분한 요인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서는 조사대상 모집단(母集團)의 범위를 확대하고, 조사방법에 있어서도 면접법(面接法)과 관찰법(觀察法)등의 병행 사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조직 환경 변화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변수를 좀 더 많이 찾아내어 심층적인 분석을 통한 조사 연구가 되어야 바람직 할 것이다.

      •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박가영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onflicts in school organization in a bid to seek ways of getting rid of the conflicts. It's ultimately meant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a sound and ideal school climate in which school members involving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would find it rewarding to work and take prid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level of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2. What factors affect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3. What are a way of eliminating their conflicts and the possibility of conflict resolu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0 school members who included 200 teachers and 120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65 respondents who involved 161 teachers and 104 officers were analyzed. A SPSS 12.0K(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as employ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causes and level of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officers, and all the three selected factors that included the law/institution, schoo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eared to trigger or aggravate their conflicts, as both groups viewed the three factors as conflict-provoking. As for the degree of conflicts, there were lots of frequent conflicts between the two groups. It justifi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that attempted to find a clue about conflicts management and brought up the need for the creation of a healthier school organization. Second, concerning perception of the causes of conflicts by demo- graphic characteristics, the conflict factors were more recognized among those who were female, who were younger, whose career was shorter, who we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and who held a lower posi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t indicated that the beginning teachers felt more conflicts to which they weren't yet accustomed, and that those who worked longer were better adjusted to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At the same time, it implied tha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who could be called a minority felt left out while they worked with teachers who were the majority. As school is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education for the sake of students, leaving interpersonal conflicts alone without trying to resolve them might pose a threat to students, since students who must be the best beneficiaries of school education might be the worst victims of the conflicts. Third, as a result of making a regression analysis to grasp the causes and level of the conflicts, the teachers conside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exert an influence on the conflicts. The officers viewed that as influential as well, but the latter found school management to be less influential than the former did. Therefore the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officers seemed to be most attribu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ough that might be affected by the law/institution and school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interpersonal programs is required to ease their conflicts to create a more harmonious and peaceful community, and both groups should accept each other as a partner who seeks after the same object of education. Fourth, as for how to eliminate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offic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considered to have a strong impact on the resolution of conflicts, and they had less expectations for the law or institution as a means to ease the conflicts. They felt that an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ight be effective at removing the conflicts, and they also found it advisable to improve school management in that regard. As to the possibility of conflicts resolution, both groups believed that it would be possible, and the teachers deemed it more possible than the officers. The officers suffered more conflicts than the teachers, but the former had less expectations for the resolution of conflicts, which indicated the urgent need for some countermeasures. In the future, how to eliminate their conflicts should carefully be studied, and the necessity of conflict resolution should fully be recognized. 본 연구는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실태를 파악하고, 실제 갈등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 분석을 토대로 실질적인 갈등해소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교조직의 중추적 구성원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보람과 긍지를 느낄 수 있는 건강하고 바람직한 학교조직 풍토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해소 방안 및 가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교육청 산하 초·중등 교사 200명과 교육행정직 공무원 12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교사 161명과 교육행정직 공무원 104명 총 265명의 설문지를 최종 통계 처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요인 및 수준에 관한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법·제도 요인, 학교경영 요인, 인간관계 요인 이렇게 세가지 요인 모두 갈등을 유발 또는 심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측이 갈등 유발 요인으로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결과이다.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 수준 정도를 묻는 문항을 통하여 현재 학교 조직내 두 집단간의 갈등이 상당한 수준이고, 빈번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 조직내의 갈등 관리 방안을 찾아 건강한 조직을 만드는 필요성을 제기한 본 연구가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근거로 볼 수 있다. 둘째, 갈등요인에 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나이가 어릴수록,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교사보다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직위(급)이 낮을수록 갈등요인에 관한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임 발령자들이 처음 경험하는 학교 조직의 갈등을 더 크게 느끼고, 근무연수가 길어질수록 조직내 갈등에 적응해 가고 있다는 결과이다. 그리고 소수집단에 해당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다수 집단의 교사들과 한 조직 내에서 근무하는 과정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는 근거로 볼 수 있다. 학교는 학생들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집단이므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갈등에 적응해 나가게 되면 결국은 최대의 수혜자가 되어야 하는 학생이 최대의 피해자가 될 수 있으므로 위험한 행위이다. 셋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요인과 수준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교사는 인간관계 요인이 갈등 영향력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도 인간관계 요인이 갈등 영향력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학교경영 요인에 대한 갈등 영향력이 약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은 학교 조직내의 시스템 상에서 발생하는 법·제도적인 갈등 요인이나 학교 경영면의 갈등 요인도 존재하나 인간관계 요인이 가장 큰 갈등 요인으로 작용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화합을 위한 인간 관리 프로그램 등의 적용을 통해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 모두 교육의 목표를 추구하는 동료라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 해소 방안에 대한 분석 결과 갈등해소에 미치는 영향력이 강하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인간관계면이었고, 법·제도면의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낮게 나타났다. 인간관계면의 개선이 갈등 해소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평가했고, 학교 경영면의 개선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 해소 가능성에 대한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지만, 교사가 교육행정직 공무원 보다 갈등 해소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경우 교사보다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으나, 반면 갈등 해소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앞으로 갈등 해소 요인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검토와 갈등문제 해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환경오염 정보 수집을 위한 이동통신 전화기의 활용방안

        정선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국제적으로 스톡홀름 선언, 쿄토의정서 등, 오염물질에 대한 관리‧규제방식의 선진화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총량관리, 배출부담금, 배출권거래제 등 새로운 제도도 모색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환경관리 방식이 사회적 효율성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정책의 집행과정을 지원하는 적절한 감시체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 전화기의 환경오염 관련 諸정보 수집 및 전송 단말장치 활용 상의 유리한 점을 살펴보고 이의 실적용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이동통신 전화기를 환경오염 정보 수집에 활용함에 있어서는, 위치정보 획득, 고속의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 그리고 임의의 프로그램을 탑재, 운용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이미 상당부분 마련, 검증되어 있어 환경오염 정보 수집 단말기로의 활용에 있어 매우 적절하다. 미래 세대로부터 빌려온 환경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심각한 훼손 없이 보전하여 물려주는 일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의 의무이다. 이동통신 전화기의 환경오염 위반상황 감시‧적발에의 활용은 직접적인 성과나 효용 이외에도 환경에 대한 주인정신의 강화가 바람직한 문화형성으로 이어져 그 어떤 정책개발이나 시설투자보다도 큰 의미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ernationally, there are new demands for improving of the polluta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to the advanced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 such as Stockholm Declaration, Kyoto Protocol, etc. Thereby new pollutant management system have been sought, such a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mission charge system, Emission trading system and so forth. But, in order that these system may take a social efficiency, an appropriate monitoring system should be forth beforehand. In this study, several useful factors have been look around and the realizable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in the practical using of PCS Phone to a data terminal equipment as a monitor or telecommunication device in the various pollution situation. the using of PCS Phone for the data acquisition device in the area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very supposed to be reasonable, because the key technologi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nd tested commercially, in the phase of gathering of a location data from the phone, delivering of the data in reliable high speed, and installing and operating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 in mobile condition. It is an obligation of our own in present generation that make use of the borrowed environment resources suitably and return to the future generation soundly. The using of PCS Phone for a monitoring and exposing of the environmental violation is not only significant to obtain a short term result or effect directly, but also meaningful to make good culture from the host mind of our environment indirectly. And this long term effect means more ultimate to us than any other state measure or facility investment.

      • 교육행정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영향요인 분석

        채정주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강원도 교육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직무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직무스트레스와 영향요인에 관한 기존연구 및 관련 보고서 등의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는 실증적 조사방법을 사용하고, 실제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강원도교육청 소속 교육행정공무원 중 원주, 춘천, 양구, 철원, 화천 5개 시·군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6급 이하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72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설문 문항들 중에 본 연구의 목적과 맞는 문항들을 발췌하고 수정하여 활용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통계분석시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각의 척도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직무스트레스 변수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조절변수 및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도 교육행정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2.75로 어느 정도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은 업무과중, 역할갈등, 조직관련, 역할모호, 직무관련, 승진, 보수 7개 요인으로 재구성되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수준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중, 역할갈등, 조직관련, 역할모호, 직무관련, 승진, 보수 7개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개 변수 모두 직무스트레스와 정적인 방향으로 각 변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각 변수들 가운데 업무과중이 직무스트레스와 가장 상관성이 높고, 직무관련성이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만 살펴보았을 때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업무과중, 역할모호, 조직관련 요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역할갈등, 직무관련, 승진, 보수 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에 조절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업무과중이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고, 다음은 역할모호성, 조직관련, 승진 순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역할갈등, 직무관련, 보수 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강원도 교육행정 공무원은 여러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과중 요인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업무 과중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조직구성원간의 적절한 업무량의 배분과 개인 역량에 맞는 업무량 배정이 이루어져야하며, 수평적 업무증대, 업무량 개선을 위한 순환보직 등의 방법을 통해 업무과중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책적으로는 교육행정직 정원의 증가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tress among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job stress in Gangwon Province. Literature involving earlier studies and reports on job stress and relevant influential factors was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make an experimental resear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ublic officials of six-grade or lower who we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s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of five urban and rural regions such as Wonju, Chooncheon, Yanggu, Cheolwon and Hwacheon in Gangwon province. After a survey was implemented, the answer sheets from 172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that modified existing job stressor and job stress questionnaires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2.0K(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a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utiliz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was utilized to check into each scale's characteristics, and t-test and F-test were employed to grasp the relationship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by using regulating and independent variables to determine the impact of job str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got a mean of 2.75 on job stress, which showed that they suffered job stress to some extent. And seven job stressors were selected, which involved heavy workload, role conflicts, organization, role ambiguity, job, promotion and pa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bout links between the job stressors and the level of job stress, job stress was correlated to all the seven job stressors including heavy workload, role conflicts, organization, role ambiguity, job, promotion and pay. All the seven variabl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tress, as there was a tendency that higher scores in each variable led to more job stress. Out of the variables, heavy workload was most correlated to job stress, and job had the smallest correlation to that. Whe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heavy workload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job stress, followed by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 when onl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aken into account. And the other factors that involved role ambiguity, job, promotion and pa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job stress. Whe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regulating variables on the independent variable, heavy workload exercised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stress, followed by role ambiguity, organization and promotion. The other factors that included role conflicts, job and pay didn't affect job str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out of the job stressors, heavy workload put the most job stress 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in Gangwon Province. In order to relieve job stress triggered by heavy workload, every school member should be responsible for an appropriate amount of workload in view of his or her capabilities, and every personnel should hold positions by turns so that they could not have heavy stress with workload. Besides, it's required to take an institutional measure to increase the number limit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 정보소외지역의 주민정보화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평창군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숙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Korea has achieved the visible accomplishments of world-best outcome in information field with the contribution of government's national-wide continuous promotion on information. According to E-government evaluation of 2010 released not long ago by UN, Korea has come first in E-government index preparation and online participation index. Korea has confirmed its international status as an information developed country more. However the information gap regarding information between people is widening 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advanced and developed, this leads to not only the quantitative difference but also quality difference so it interferes social integration by lowering income and the quality of life, decreasing in participation in society or deepening gap in income between people. Especially due to the social and financial reason, rural areas where many of information vulnerable population and information marginalized group live tend to widen the gap as information is developed.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ggest alternatives to decrease the gap by preparing for a plan for make the information education which is held in Pyongchang gun currently active in order to increase the local people's satisfaction towards their lif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urpose of information education, needs, method and limit of the study in the introduction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information education of local people in Pyongchang gun as information neglected area considering geographic and social features in Pyongchang gun. Based on the outcomes of information education exercised in Pyongchang gun from 2000 to present, 2010 and results of accumulated survey, we have investigate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for local people and the barrier factors which caused information education not activated. We could figure out education institute-centered curriculum organization, insufficient system for students and education system and difficulties in finding instructors. Firstl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need to try according to its status in order to securebudget for information education and establish proper directions for education policy. Secondly differentiated education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rganization by institutes has to be exercised. Thirdly the education which is organized for a small group, each village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has to be practiced and fourthly, continuous business and education for instructor training has to be performed as it is difficult to secure instructorsconsidering rural geographic point. Lastly no matter what constant attention and practical support for information neglected people have to be performed in order to activate information education and careful consideration by budget exercise and education institute for information neglected people is necessary.

      • 구글 위성지도로 구현한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 : 강원도 지역 山城을 중심으로

        이민철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대표적인 고지도인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를 구글 위성지도에 표현해 보고, 현재 구축된 과거 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과거에는 있었지만 현재에는 전해지지 않는 역사자원(지리정보)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서 사라져 가는 우리의 역사를 역사 지리정보 데이터로 구축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대동여지도가 철저한 고증과 답사를 통해 완성된 고지도의 최고봉으로 평가받고 있기는 하지만 과거의 지리정보만 담고 있을뿐 현대지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한눈에 알아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과연 어떻게 해야 비교가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많이 고민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연구의 방법으로 선택한 것이 고서 또는 역사복원자료 등의 고증자료를 통해 대동여지도에 표현된 지리정보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이것을 최근 대중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구글 위성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적 범위를 강원도로 설정하고, 대동여지도상에 담겨 있는 여러 가지 지리정보중 산성(山城)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략한 연구단계로는, 우선 대동여지도상에 있는 강원도 지역의 산성을 찾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고, 선행연구자료를 통해 각 산성에 대한 위치정보를 파악하였으며, 구글 위성지도상에 산성에 대한 상세 소개가 가능하도록 각 산성에 대한 상세 설명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구글 위성지도에 정확한 위치정보와 상세 설명자료를 입력하여 '구글-대동여지도 산성 맵'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동여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구글 위성지도 등의 현대지도에 표현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다양한 주제를 담은 지도의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대동여지도 테마지도를 구축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든지, 연구를 토대로 우리 역사 복원사업을 펼쳐 이를 테마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구축된다면 대동여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14항목 22종의 각 기호별로 주제도를 만들어 역사테마 관광지도를 제작하여 대중들에게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게 되어 사라져 가는 우리 역사를 친근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대동여지도 뿐만 아니라 훨씬 이전의 정보가 담긴 고지도 등 우리나라 역사가 담긴 史料를 토대로 활용한다면 다양한 지도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mong the typical old map geographic information of Daedongyeo-jido represented by google satellite maps and Currently there was it in the past when I compared with data regarding historic geography information established, but watches what the historical resources which aren't handed down in now are For getting a foundation to establish our history to historical geography information data that I disappeared. Daedongyeo-jido valued on the highest sticks of the high ground duty that a map was finished through tho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surveys, but it is very true to have been worried whether or not comparison is about for it to be possible if I do as expected historic geography information only how as I am difficult for I am sweet, and I help whether or not there is the present age, and recognizing at first sight what kind of difference there is. Therefore, it is to mark whether or not there is the google satellite maps that what it selected in ways of study was expressed to accompaniment space duty through old book or historical restoration data etc. historical investigation data, and it grasps correct position information regarding geography information, and is uesed as this to recent Daedongyeo-jido very much to duties. This study set up local enemy range to Kangwon province, and I targeted mountain fortress under the various geography information that I was in to accompaniment space duties. I looked up acidity local simple a study step, Kangwon province in preferential Daedongyeo-jido, and I digitized it, and I did it, and I grasped position information regarding each acidity through the preceding study data, and detailed introduction regarding acidity collected detailed explanation data regarding each mountain fortress to duties whether or not there was a google satellite maps so that it was possible. I am marked to accompaniment space duty, and an expression becomes possible to a duty whether or not there is a google satellite maps, and prospective so that it is possible. For example, it isn't accompaniment, and a gauge I infuse study by a foundation, and I open a historical restoration business, and to be able to do early theme tourist attractions anger even if I provide Web service may become whether or not there is the theme as it establishes a duty. If this is established, I am marked to accompaniment space duty, and I make a thematic map by each symbols of 22 kinds of 14 items, and I make a historical theme sightseeing resort duty, and I infuse it that service of a back to provide is consisted, and I disappeared, and the public may feel intimately history. In the future and it isn't accompaniment, and besides, various mapping will be possible if I utilize the historical data. which were in our country historian such as the high ground do which more former information was in by a foundation.

      • 미디어교육 현황과 실제 및 과제 : 강원지역에서의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고수정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실제 및 과제 - 강원지역에서의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 고수정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언론정보 전공 2007년부터 강원도 지역에서 미디어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는 그동안 체험한 다양한 미디어교육의 개별사례를 공유하고, 미디어교육을 수행함에 있어서 도출되는 과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자가 실제 수행한 미디어교육을 연구하기에 앞서, 미디어교육의 개념과 그동안 한국에서 미디어교육 환경이 변해 온 과정과 현황을 연구할 필요가 있었는데 주로는 미디어센터 설립과 운영을 중심으로 미디어교육 지원기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미디어교육은 가. 미디어능력을 획득하고, 나. 인간이 소외되거나 왜곡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주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의식 배양과 실천을 촉구하는 한편, 다. 다양성을 관용하는 평화의 문화를 실천하는 인간을 양성해 내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1970년대 종교계를 통한 초기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활동은 사회적으로 민주화 요구가 거세짐에 따라 비판적 미디어 수용을 위한 사회 운동적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 발전해 오다가 2000년대 들어 미디어센터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2014년 12월 현재 전국에는 35개의 지역미디어센터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또한 제도적 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그동안 국회에 제출된 법안을 간략히 검토하고 강원지역 미디어교육의 현황도 살펴보았다. 강원도에서는 현재 5개의 미디어센터가 설립·운영되고 있는데, 강원지역 최초의 미디어센터인 춘천MBC시청자미디어센터는 공적자금의 투입이나 춘천MBC의 지원 없이 운영되어 오다가 현재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 있다. 반면 강원시청자미디어센터가 2014년 개관하기도 했다. 2007년부터 연구자가 수행한 미디어교육의 실제는 진행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정리와 교육대상별 미디어교육, 교육공간별 미디어교육, 교육기간별 미디어교육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모든 교육에 있어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소통’이다. 교육을 기획하거나 관리하는 주체와의 소통, 교육담당자 간의 소통, 교육담당자와 교육생들 간의 소통 등 어떤 것도 소홀히 할 수 없다. 특히 평가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교육생들의 평가를 기록해두기를 권장한다. 군 미디어교육과 학교 미디어교육 등 비교적 닫힌 공간에서의 교육은 군 장교나 교사 등 교육을 관리하는 주체들의 역할이 중대한데, 충실히 관리하되 교육프로그램의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미디어교육담당자에게 자율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쉬는 시간을 할애한 군 미디어교육은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면 공식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학교 미디어교육은 학생들에 앞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미디어교육기간은 너무 짧지 않아야 하며, 특히 장애인 미디어교육은 장애특성에 따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불가피하게 짧은 기간 동안 교육을 진행할 경우 단순한 영상제작교육이 아니라 미디어교육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미디어교육 아카이브’나 ‘강사양성프로그램’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전국의 미디어센터와 사회단체들의 네트워크를 설립하고 관리할 통합적 조직이 필요하지만 사회적 공감대형성이 미약하고, 미디어교육의 위상이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지역별, 기관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네트워크를 설립하고,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디어의 역기능만을 강조하는 태도와 특정 부처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법제로는 미디어교육을 제도화할 수 없고, 법 제도화에 앞서 각 지원기관들이 강사처우를 개선하고 ‘미디어교육 아카이브’와 ‘강사양성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Status and virtuality of Media Education, and challenges - Focusing on participant observation in Gangwon Province - Soojung Goh Department of communication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 Public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researchers began the study of individual cases in order to share experiences been a variety of media education and started a stud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is obtained in carrying out the training media, is doing media education in Kangwon Province in 2007. Before the study, researchers conducted a real media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and the whole process of media education environment changed in the meantime, Korea. Mainly looked at the center of a media training institution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media center. Research, media education is. Obtaining a media capability, and b. The man is alienated culture or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recover the communication does not distort calls for action, everything. Human practice of tolerance, diversity and culture of peace Research, media education is. Obtaining a Medienkompetenz, and b. In order to restore order of communications, human is not neglected or distorted we urge the consciousness of the culture and practice of independent communication, and c. Researchers summarized to pay to train humans to practice a culture of peace that tolerate the diversity. Activities related to early media education through religious in the 1970s, has developed a strong social movement nature strip for critical media accepted, depending on the load requirements of the democratization of social castration, and has become active in the media center in stepping 2000s. Media centers Founded in December 2014 the country now has 35 regional media center, has been operating. In addition,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 brief review of the bill was submitted to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Assembly and also looked at the status of Gangwon Province Media Education. In Gangwon Province currently has five media center has been established operations. Chuncheon MBC Community media center, Gangwon Province's first media center, has been operating without the injection of public funds or financial support of Chuncheon MBC in the meantime, and then the current existence in the precarious situation facing. Gangwon Community media center was also opened in 2014. Since 2007, virtuality of Media Education researchers performed, was categorized as a brief summary of the progress, as Media Education by space or target or perio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communication in all Media Education. We can not neglect anything, communication with educational planners or managers, communication between educators, communication between the educators and the learner, etc.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evaluation, and recommend to keep a note of the assessment of learner. Education in a relatively closed space such as Media Education in military and Media Education in schools, very important the role of principal to manage educational army officer and teacher. They Shall be obliged to manage education, at the same time for media educators need to ensure the autonomy is to enable a flexibl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n Media Education in military spending a break, If the importance of media education recogniz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formal training program. In Media Education in school, believe that the education is an urgent need to target teachers than students. Period of Media Education should not be too short. Specially particular Media Education for the disabled needs to have sufficient educational time according to the attributes disorders. Inevitably, if educational planners continue train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y should be considered to be serve as a Media Education, not just a video production training. In order to be operating properly, 'the archive of Media Education' and 'program to train the Media Educator', the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an integrated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manage a nationwide network of media cent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But in situations where social consensus is weak, and the status of the Media Education does not take its place in society, it would be desir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towards establishing and strengthening an integrated network based on the regional network and the institutional network. Attitudes that only emphasizes the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include and legislation that reflects the interests of certain ministries, Media Education can not be institutionalized. Each supporting institution, should t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the instructor, and actually run a 'archive of Media Education' and 'programs to train media educators' before pushing the law institutionaliz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