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이시원,이경애,정지윤,문대영,김경태,왕유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Hall & Hord(2006)의 관심단계설문지 총35개 문항을 발명교육의 맥락에 맞도록 조정한 설문지를 적용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규강좌를 통한 발명교육은 무관심한 ‘비사용자’ 단계의 예비교사를 발명교육의 새로운 진입 단계인 ‘초기 사용자’ 단계로 전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발명교육의 지속적인 발전과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이 결과들을 교육과정 및 관련 정책 수립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교육 유형이 초등학생 학습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이유나,이상수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혁신연구 Vol.22 No.2

        Our education systems rely on private education more than necessary.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private education are dominant in the society but there is no systematic approach to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we rely on the private education is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There can be many reasons for the private education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but study skill can be one of the reasons. The study tried to find useful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types on the study skills. The study randomly selected 3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iagnosed their study skill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ivate education affects on the study skills. The students who took the private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scores in every five sub-categories of the study skills: self-managing, instruction participating, task solving, test-ta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Second, the types of private education affect on the study skills. The most affecting type of private education was paper-based self studying and then cyber learning,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institution are the next order of influence.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study skills. The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private education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redesign learning contents by themselves and do self-regulated learning therefore enhance study skills. Therefore we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same opportunity systematically in public education system so that they can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the assistance of private education. 우리나라는 사교육에 필요 이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보다는 비판적인 시각만이 팽배해 있는 실정이다. 사교육에 의존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업성취도의 향상일 것이다. 사교육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그 중 하나로 학습기술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 여부에 따라 학습기술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학습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유형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공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 시내 소재의 초등학교 5개교 5, 6학년 316명을 학교 급지에 따라 무작위로 선정하여 사교육 수강 여부, 수강하는 사교육 유형, 그리고 학습기술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교육이 학습기술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기술의 하위요소인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시험 치기 그리고 정보처리 5개 영역 전부에서 사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사교육이 모든 학습기술 하위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유형인 사이버학습, 학습지, 개인과외, 학원 모두 학습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유형은 학습지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사이버학습, 개인과외, 학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기술을 구성하는 하위요소에 따라 사교육 유형의 영향도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이 상대적으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공교육 형태와는 달리 스스로 학습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자기조절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기술의 발달을 유도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교육에서도 수업과정에서 각 과목마다 수업내용과 통합하여 다양한 수업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자기조절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지도를 해 줄 수 있다면 사교육이 가진 학업성취도 향상 요인들을 공교육에서 보충해 줌으로써 학업성취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강이화(Kang Ewh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국외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대학교육의 혁신사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 이에 주제 관련 문헌을 질적자료로 보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Walsh & Downe(2004)의 질적 메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은 4차 산업혁명과 교육 관련 총 200여 편의 초록과 목차 리뷰 후 초점 문헌인 단행본 9종, 정책 보고서 16종, 학술지 논문 31종이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대학교육 관련 교육정책과 대학사례를 살펴본 결과, 정부는 재정지원 사업으로, 개별 대학들은 그 사업에 맞추어 교과목 개편, 교수방법, 교육 환경 구축으로 대응하고 있다. 둘째, 국외 주요국의 대응 사례 분석 결과, 정부 정책 대응의 공통적인 방향성은 미래 핵심기술 산업화 중심 대학교육이었고, 개별 대학의 대응 양태는 학제적 교육과정, 학생 개별화 관리 시스템, 실험적 다원화 체제를 보였다. 셋째, 국내외 논의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4차 산업혁명이 ‘핵심 동인’이며, ‘이중적 현상’으로 ‘대응 요구’ 과제로 작용하여 ‘인재 양성 방안’을 내놓게 만드는 구조였다. 차이점은 해외 주요 국가들의 대응이 포괄성과 연계성이 강한 반면 우리나라는 일원화 및 개별성을 보인다는 점이었다. 결론: 이에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대학교육 대응 정책과 노력 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계와 포괄의 권한을 갖는 기구를 재설정할 것과 나누어져 있는 예산 및 지원 기관의 스코프를 점검하고 중장기적이며 균형 있는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y education. Method: A meta-analysis of Walsh and Downe(2004) was us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literature and cases. After the Review of over 200 literature, were 9 Books, 16 policy reports, and 31 papers analyzed intensively.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government responded with governmental university aid, and universities responded with reforming curriculum and rebuilding educational environments. seconds, the common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in foreign countries was the core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y education, and Individual universities attempte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dividualized student management system, experimental pluralization system.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o reset the organizations that have the authority of linking and to check the scope of the budget and projects.

      • KCI등재후보

        뉴스 기사를 통해 본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쟁점과 과제

        김소영,강신원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news articles about an introduc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s and engineering tracks, and the issues handled seriously; and then to discuss what the problems are according to it. The issues raised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lack of education recipient’s attention regarding curriculum revision, (b)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c) confusion caused by repeated curriculum revisions, (c) demand for revision both on the curriculum and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d) the press’ passiveness about governmental policy. The integrated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addressed regarding the issues as follows: (a) the curriculum was revised based on various opinions from different fields and identifying pedagogical needs accurately. (b) th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which would be able to allow students to achieve a various and macroscopic problem solving viewpoint. (c) A prototype of the new curriculum should be pre-implemented and evaluated thoroughly. (d) Along with the curriculum revisi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test and related system should be addressed more. (e) The news medias should develop their news articles based on well-specialized knowledge about the integrated curriculum so that partens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receive more useful and accurate information. 본 연구는 2014년에 발표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을 발표한 시점에 보도한 뉴 스를 통하여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의 주요 내용 중 어떠한 내용이 뉴스 보도를 통하여 알려졌으며 중요하게 다루어진 쟁점과 과제를 논의 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제기되고 있는 쟁점으로 첫째,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교육 수요자의 무관심, 둘째, 교과서의 국정화 논란, 셋째,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혼란, 넷째, 교육과정 개정과 수능의 동반 개편 요구, 마지 막으로 국가 정책에 대한 언론의 소극적 태도이다. 쟁점에 대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의 견 수렴과 정확한 요구 조사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양하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는 학습 경험을 포함하는 교과서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을 실 행한 이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적용․평가를 해야 한다. 넷째, 수능이나 대입 제도에 대한 적극적 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있어서 뉴스의 태도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추어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와 다양한 의견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쟁점과 과제에 대한 논의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 정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둔다.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임지현(Lim, Ji-Hyun),금미정(Geum, Mi-Jeong),이경화(Lee, Kyeong-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양성교육과정의 이수 교과목에 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교사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부산시 소재 유치원의 교사를 대상으로 현행 유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의 전공 및 교직과목의 중요도와 개선 사항에 대해 평정형, 순위형 및 개방형 문항으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300명의 응답자 자료를 양적,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전공과목을 교직과목에 비해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 중에서는 ‘유아안전교육’, ‘유아관찰 및 실습’, ‘영유아발달과 교육’, ‘유아놀이지도’, ‘유아교육과정’ 등의 과목을, 그리고 교직과목에서는 ‘학교현장실습’과 ‘생활지도 및 상담’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성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해서는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실습운영의 표준화, 유아교사의 교직관 및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의 증설, 교직과목 축소 및 유아교육 현장성을 반영한 교직과목의 운영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후속 과제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the rating scale, ranked type, and open-ended items on the importance of subjects i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was conducted to 30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The data wa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generally perceived their major subjects as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ing subjects. the respondents perceived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 , observation in the educational setting ,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education , play guidance 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major subjects. Additionally they recognized that practicum in kindergarten and guidance and counseling a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teaching subjects. Finally, the respondents suggested improvement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period of educational practicum, standardization of the practicum, the increase of subjects concerning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the reduction of the teaching subjects, and the reflection of educational setting in teaching subject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 aimed at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and children’s play and practic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중등 국어교사 교육 및 재교육 과정의 현황과 과제 : 국립대학 사범대학․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임주탁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6 No.-

        이 글은 중등교육과정의 국어 교과가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그 위상을 재정립해 나가야 한다는 전제에서 중등학교 교원을 양성하는 사범대학의 교육과정과, 중등학교 교사를 재교육하는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교과 교육’이 강조되면서 화법, 독서, 작문의 이론적 내용이 교과과정의 일부로 자리하면서 국어학, 국문학 관련 교과목으로 채워졌던 교과과정에 상당한 변화가 있기는 하였어도, 현재의 두 교육과정은 통합 교과로서의 국어 교과를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국어 교사를 양성하고 재교육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다. 중등 교육과정의 6개 영역과 관련한 학문 분야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교과목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 통합적인 사고 과정을 기르고 또 학생들에게 그러한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는 교과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어 교과가 중등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능력을 실질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교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이 두 교육과정을 혁신하는 것이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과제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 글이 국어 교과의 정체성과 국어 교사 양성의 목적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에 계기를 마련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부산지역 과학관의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지역과학관 활성화 방안 연구

        조민아,한국인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科學敎育硏究 Vol.30 No.-

        본 연구는 지역 과학관이 지역사회의 과학교육과 과학 대중화에 유의미하게 부응하고 있는지를 부산 지역 과학관 실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과학관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과학교육의 진흥이라는 일관되고 광범위한 목적으로 과학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접근성이 낮아 지역적 특성을 살린 소규모 특성화 과학관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과학관의 전시 공간이 부족하고 전시물에 대한 평면적 전시가 많아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기법의 활용과 체험 위주의 전시형태로의 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다양성과 일반 시민을 위한 과학 강연 및 강좌 부족하며,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아 과학교육 목표 달성이 비효율적이므로 관람대상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연계된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넷째, 과학관의 인력 구조면에서 교육연구직의 비중이 적고 자원봉사자의 활용도가 낮으므로 다양한 법적 · 제도적 정비를 통해 진문 인력 양성과 과학적 소양인 및 외부 인력자원의 활용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사이버 과학관 운영에 있어 진시자료에 대한 평면적인 자료 제시 뿐 아니라 과학관 전시 및 연구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양방향적이고 과학 학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이버 과학관을 확충 · 운영해야 한다.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ction plans for activating the local science museum through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cience museums in Busan area. The research was done to know the local museums are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First, most of local science museums are managed with the old-fashioned and vague goal of the promotion of science education. Besides, the accessibility is very low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he transportation. So the small-scale specific science museum which has regional character needs to be expanded. Second, the space for exhibition is not enough and mostly there are plane displays not solid one. It should be designed to have high utilization of the place and children can have experiences with the displays in that place. Third, generally the local science museums are shortage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and science class for the public. They don't connect with school education very well for that reason they have few achievements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y should lead the participants of the public to the science and develop the various and interest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th, the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at the science museums is less educated professional staff and worse use of volunteers through various legal and systemical consolidation it should carry out educating professional staffs and best use of volunteers. Firth, to manage the cyber-science museum, not only exhibiting plane data but also computerizing data it should operate the cyber-science museums for improving the science learning ability opportunity.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강현구,김경린,류재규,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부산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mber와 Leung(2009)이 개발한 도구를 교육대학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으며, 완성된 검사도구는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함양될 수 있는 개인적 소양에 대한 인식(8항목, 16문항)과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9항목,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한 개인적 소양 함양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중요성이 높은 만큼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서의 커리큘럼 개선을 통해 교사로서의 소양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사례 분석에 기반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의 시사점 탐색

        이경진(Lee, Kyung-Jin),최나영(Choi, Na-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들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다른 대학들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탐색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부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충실하게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국내 8개 대학을 선정하여 홈페이지와 대학알리미에 공개 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례 대학들은 핵심역량에 기초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틀을 설계하였다. 둘째, 사례 대학들은 비교과 전용 온라인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성취나 성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성과 관리의 측면이 두드러졌다. 넷째, 핵심역량이나 학년에 따른 단계별 심화 설계 방식을 비교과 교육과정에도 적용하거나, 교내 소수 집단을 위한 맞춤형 비교과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편성, 운영에 있어 핵심역량과 비교과 교육과정의 명확한 연관성, 온라인 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데이터 기반 교육의 질 관리, 위계와 연속성을 고려한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교육평가의 관점 전환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um through case analysis, and exploring implications that other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Method: We selected eigh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hich are recognized for their excellen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released on their website. Results: First, case universities have designed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extra-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Second, they have operated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dedicated to the extra-curriculum. Third, the educational evaluation of the extra-curriculum was more prominent in the aspect of performance management. Fourth, the stepwise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core competencies or grade level was applied to the extra-curriculum. Conclusion: We suggest a clear link between the extra-curriculum and core competencies, evidence-based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online system, curriculum design that reflects sequence and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 부산교육대학교의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최관경 釜山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8 學生指導硏究 Vol.18 No.-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ideal, goals and objective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PNUE) newly.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Firstly, theoretical research included the documentary review and analysis. The materials applied were the books, periodicals and research articles on educational aims. In addition, The handbooks published from 132 domestic universit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Secondly, the relevancy of elements of PNUE educational aims was mokified and refined by 6 expert panels. Thirdly, a comparative study of concepts represented by such cognates as "objectives", "goals" and "ideals"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re are essential differences among them the terms(objectives, goals and ideals) can be mutually appropriate depending on contexts. It is noted, however, that unprincipled indiscriminate use of, such terms may lead to the mistake, for instance, of identifying the attainment of mere curricular objectives with that of educational goals and ideals.In fine, the new educational aims of PNUE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Motto : To make a contribution for the nation and humankind with love and wisdom. 2) Ideal : Love, Wisdom and Service. 3) Goal : To educate students to be qualifi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adership and a sense of duty under the educational ideal of the university. 4) Objectives : ① To cultivate loving educators who are virtuous, patriotic and gumanitarian.           ② To educate students to be good citizens.           ③ To provide student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④ To develop student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ursuit of truth and academics.           ⑤ To educate students to do their best for self-growht and self-realization as educators.           ⑥ To educate students to develop strong beliefs and a committment toward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