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조직변화에 대한 제도주의적 연구 : 전문, 특수 대학원 설립에 대한 사건사 분석, 1981~2004

        김도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교 조직이 환경의 영향을 받아 전문, 특수 대학원을 설립하고, 또 그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주의 입장에서 조직은 제도 환경을 반영하고 정당성을 얻기 위해 제도 환경 속의 다른 조직과 경쟁하고 동형화 되어 간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81-2004년 사이의 161개 대학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제, 정보, 사회 복지 대학원을 도입하는 양상을 통해 제도 환경의 규범적 영향력과 이를 통한 모방적 동형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제도적 환경의 영향력은 국제, 정보 대학원은 담론이나 정책이 도입률을 높였고, 경쟁이 보다 치열한 사립 대학교일수록 이들 대학원의 도입률이 높았다. 그러나 사회 복지 대학원의 경우는 담론, 정책, 국사립의 여부보다는 다른 요인이 도입률의 증가를 가져왔다. 대학원의 특징과 관련 있는 대학들의 종교재단 관련성이 사회 복지 대학원을 도입하는 규범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방의 측면에서 각 대학원들은 모두 타조직을 모방하여 대학원을 설립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 정보 대학원의 경우 상위집단 보다는 동위집단을 모방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대체로 상위권 대학에서 도입률이 높았다. 그러나 사회 복지 대학원의 경우 동위, 상위 집단의 모방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지위에 따른 도입률의 변화는 알 수 없었다.

      •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김유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 number of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is increas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are also gradually growing to satisfy the new demands from Korean education society. The majority members of GSE students are current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 bo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 courses.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these GSE students are being altered dramatically since the subject areas in their education field are diversified and also subdivided into small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 information use behavior of GSE students and suggest more effective reference service system to fulfill their needs. This study examined four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level studies and their devotion to the course works. The second factor was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SE and their core job description. The third factor was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of GSE students betwee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The fourth factor was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ow well they utilize the library based on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To understand GS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this study researched preliminary studies on similar areas. It also accomplish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tudents, who have used the library previously, started from November 20 to 30, 2016. The surveys from 146 GS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make sure the research result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the primary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teaching classes, and numerous studies emphasize that th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ty all the time.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analyze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study, the nature of elementary level teaching,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needs, and the library use behavior. The survey results were led to verify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based on student’s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job requirements. Thesis results were also utilized to quantify the differences. The findings that a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ly, most of the GSE students ar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value the studies on teaching and guidance methods the most. They often seek for teaching materials or informa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se are mostly found in online communities, seminars/professional development sessions, and the commercial websites that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Secondly, the difficulties o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by not knowing the sources and the extra accessing fees for using certain materials.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using scholarly websites rather than visiting the library; however, higher they value the graduate course works, more often they utilized the library services. Thirdly, the main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library or the library website were either their busy work schedules or being aware of other convenient ways to access the scholarly website through external sources. Librarian’s assistance was often considered unnecessary as students felt confident enough to achieve the informatio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their demands on a greater collection of major books in the library. Fourthly, the number of library visits is relevant to the number of accessing the library website and attending the library’s user educations. It is also shown that the successful library user education changes students’ point of views on librarians and their performances, and it improves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ir library experi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ed that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develop better library reference service system to support GSE studen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s as teachers and students. It will also give the library society a significant chance to support the reform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at they have yet to achieve. 전문직의 양성과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대학원의 설립과 함께 우리나라 교직 분야에서도 시대 변화와 사회 요구에 맞추어 교육전문대학원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교육전문대학원의 구성 학생은 현직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위 과정은 석사와 박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추구 방식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다변화와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주제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학업추구 목적과 학업·직무의 비중 정도를 조사하고 둘째, 초등교사의 주요직무와 직무관련 정보의 필요도와 정보의 출처를 분석하며 셋째, 교사와 대학원생으로서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를 구분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소속 도서관의 이용 정도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도서관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육전문대학원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알아보고 정보이용행태 이론을 기반으로 대학원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보이용행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성향과 정보이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우선 탐색으로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2016년 11월20일부터 10일간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임의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서 설문조사의 문항개발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예비연구의 객관적 검증과 일반적 적용을 위하여 교육전문대학원생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정보이용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은 교과수업이며 일반 교사의 특성을 함께하는 초등교사의 주요 직무는 학생지도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사의 전문적 역량은 지속적으로 신장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통해 학업추구 목적과 초등교직의 특성, 정보추구 목적과 정보의 필요도, 도서관 이용정도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경력,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의 차이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하고 도서관 이용정도의 빈도를 바탕으로 항목간의 관련성과 도서관 만족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대부분인 교육전문대학원생은 교사의 가르침과 지도방법에 대한 학업을 가장 높게 추구하며 직무분야에서는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직무관련 정보는 교과학습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지만 교과학습과 학생생활지도와 학교·학급경영 정보도 많이 필요로 하고 있었고 관련 정보는 온라인 교사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며 다음으로 동료 및 전문가와 세미나·연수자료,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교육웹정보에도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보수집의 어려운 점은 정보소재의 파악과 유료정보에 대한 부담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원 학업정보는 외부학술사이트를 선호하며 도서관 정보이용과 방문은 매우 저조하였으나 학업의 비중을 높게 추구할수록 도서관 이용정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도서관 방문과 홈페이지 접속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바쁜 일과와 외부접속으로 전자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자신의 정보활용 능력과 주변의 지인을 통해 도서관 사서의 도움 없이도 정보이용에 큰 문제가 없으며 도서관에 대한 희망사항은 전공도서의 확충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도서관 방문빈도는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자교육 수강과 관련이 있으며 이용자교육의 수강은 사서의 만족도로 이어지고 사서의 만족도는 도서관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전문성과 학위취득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보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교육전문대학원생은 물론 나아가 초등교육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정보화 시대의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 연구

        강정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보건 의료 분야도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예외 일 수 없다. 단적으로, 보건 의료 전문인 양성 과정 또한 그렇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을 위해서는 현 교과 과정의 평가와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학과 학부 교과 과정과 대학원 교과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부 교과 과정에서는 전공 교과목에 대한 유용성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0년 10월 27일부터 11월 13일 까지 우편 설문과 그룹 설문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전수는 170명이었으며 응답은 100명이었다. 이외에 1983년도 이후에 학부 과정 개설 교과목 자료와 국내외 대학 개설 교과목 및 교수님 서면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행정학 관련 학과의 교육 목표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보건의료현장에서 건강을 관리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자연과학 지식의 관련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섭렵한 인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2. 학부과정 전공 교과목의 유용성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과목이 보건의료 현장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정보화 시대에 알맞게 교과 과정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3. 대학원 과정의 전공 교과목은 국내외 타 대학원과 비교하여 그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시대에 보건행정학 전공 이수자들이 종사해야 할 분야로는 ‘보건교육자 및 연구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학과 차원의 중점 분야 선택하고 장기 발전 계획을 설립, 추진한다. 2. 전공 교과목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필수 과목의 폭을 넓힌다. 3. 컴퓨터 교과목을 확대하여 그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4. 각 교과목의 문제점을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개선한다. 5. 대학원 교과목을 늘려서 다양한 세부 분야를 연구하도록 독려한다. 위와 같은 개선 방안은 교과 과정을 다양한 측면 즉, 학습 시설 및 장비와 기타 교육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교과목 및 설문 조사 위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Society of Information Age is influenced by interchang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related digital. Fields of health care cannot be excluded from this current.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improve curriculum in th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analysis has two par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curriculum. Data was used in this various ways for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tility of subjects wi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gistering and graduates fro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Yonsei university in two ways: mailing and grouping survey. The number surveyed was 170 and 100 of them was used. At same time, curriculum related Health Administra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was collect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ducational goal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s modified properly. 2. Utility of major subjects is preferable but respondents answered that curriculum must be improved. 3. Curriculum of graduate courses have a slender number of major subjects relatively to those of other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It will be required to set plans for improving utility of current curriculum as follows: 1. It must be established and driven long-term development plan 2.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select out major subjects. 3. Subjects related computing must be increased and used in practically. 4. Problems found from each subjects must be improved. 5. Increasing to various major subjects in undergraduate courses curriculum will encourage to students in studying major fields in detail.

      •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다중정체성 구성 및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성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정체성 구성 및 갈등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여 이들에 대한 상담적 돌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이론적인 분석 틀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 방법론에 해당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정체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겪는 역할갈등 경험, 정서적 감정에 관한 경험,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요구 등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네 가지 연구주제, 즉 역할 갈등 및 균형, 정체성 구성, 갈등 및 협상, 심리적 특성, 그리고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이 정체성 구성 및 갈등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정체성 경험 자체에 주목한 연구는 해외에서 소수 발견되었지만 국내에서 이 주제를 독립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정체성 구성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정체성 구성, 갈등 및 협상과 이에 따른 심리적 및 정서적 문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분석의 틀로서 ‘동기화된 다중정체성 모형(Model of Motivated Multiple Identities: MMMI)’을 구성하였다. 이는 한 개인의 정체성이 개인적 정체성을 비롯한 다른 사회적 정체성들로 다중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정체성의 정의 및 재연의 과정에 정체성 동기와 개인의 ‘의미-만들기 역량’이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Abes et al.(2007)이 제안한 재개념화된 정체성의 다중적 차원 모델(Reconceptualized Model of Multiple Dimensions of Identity: R-MMDI)에 Vignoles(2011)이 제시한 여섯 가지 정체성 동기, 즉 자존감 동기, 차별성 동기, 연속성 동기, 의미 동기, 유능감 동기, 그리고 소속 동기의 개념을 결합한 것이다. 다중정체성 구성 과정 속에서 개인이 맞닥뜨릴 수 있는 정체성 차원의 어려움은 크게 정체성 내 결핍과 정체성 간 갈등으로 나뉠 수 있다. 정체성 내 결핍은 개인이 전념하는 단일 정체성 차원에서 정체성 동기가 충족되지 않을 때 일어나며, 정체성 간 갈등은 두 개 이상의 정체성들이 각각의 정의 또는 재연의 차원에서 대립하거나 충돌하는 구도 속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의 다중정체성 구성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여성주의 목회신학방법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질적 연구 방법론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을 활용하였다. 질적 연구는 예비연구와 본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예비연구는 총 7명의 연구참여자로 구성되었고 예비연구 면담 내용 분석을 통해 대학원 정체성 갈등과 구성 과정이 가장 잘 드러나는 내러티브를 보고한 A, B, 그리고 C 총 3명의 본 연구 참여자를 최종 선정하였다. A, B, C는 다른 예비연구 참여자들에 비해 자녀의 나이가 상대적으로 어렸고 그들과 달리 대학원 학업병행 중에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하였는데, 이러한 점에서 대학원 학업과 육아를 병행하는 과정에서의 정체성 갈등 및 구성 경험이 더 현저할 것으로 보았다.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에 드러나는 구체적인 정체성의 갈등양상과 구성방식은 개인적 정체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동시에 공통점도 발견되었다. 이들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들 모두에게는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계속해서 전문가 정체성 차원으로 발달시키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었으나 모성 정체성의 도입 속에서 이러한 욕구가 위기에 처하는 경험을 했다.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로서의 다중정체성의 구성에 위협이 되는 요인에는 내면화된 이상적 모성 역할에 대한 정의, 엄마로서 대학원생 정체성을 갖는 것에 대한 사회적 또는 개인적인 부정적 인식, 모성 정체성 중심으로 다중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적 또는 물리적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대학원생 정체성을 빈약하게 구성함에 따라 경험하는 낮은 유능감, 두 정체성 중 어느 것도 완벽하게 구성하지 못한다는 데 따른 낮은 자존감과 소속감 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정체성의 갈등과 위협 속에서도 이 위기의 한계에 머무르기보다는 전문가로서 성장하기 위한 시도를 이어나갔다. 이와 같은 시도를 촉진하는 요인에는 외부 대상들로부터의 대학원생 정체성 구성을 지지받고 인정받는 경험, 스스로 자신의 전문가 정체성 구성에 대한 소명의식을 가지며 인정하는 경험, 정체성 갈등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함으로써 개인적 정체성 및 사회적 정체성들에 대해 재정의하는 과정 등이 있었다.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들에 대한 정체성 구성 과정 내 갈등에 대한 해결방안의 방향은 밀러-맥르모어(B. J. Miller-McLemore)가 제시한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의 네 가지 기능인, 저항, 힘의 부여, 양육, 그리고 해방을 토대로 한 라시테(K. Lassiter)의 ‘인정(recognition)’의 여성주의 목회신학을 근거로 하여 제시하였다. 라시테는 정신분석학자 제시카 벤자민의 ‘인정 이론(theory of recognition)’을 통해 개인이 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지배-종속 관계 내 심리적 역동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계 구조 내 역동에 변화를 주어 해방으로 나아갈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한다. 이와 같은 인정의 여성주의 목회신학의 방향을 따라 본 연구는 이들에 대한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상담 및 코칭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상담적 접근은 다중정체성에 전념하여 재연을 시도하는 과정 속에서 어려움에 봉착하여 정체성 내 결핍의 위기 및 다중정체성 간의 갈등을 경험하는 이들에 대한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엄마들의 대학원생으로서의 정체성의 사회적인 지위 및 의미가 불확실할 뿐만 아니라 ‘이기적’ 또는 ‘비생산적’인 것으로 비춰지는 가운데, 이들의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가 문제-포화적(problem-saturated)으로 구성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의 이야기치료적 접근을 도입하였다. 코칭적 접근은 이들이 다중정체성에 전념하고 이를 재연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들의 다중정체성 갈등 내용 뿐 아니라 구성 변화 과정의 경험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상담 및 코칭적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상담학 대학원생 연구참여자들로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상담학 전공이기 때문에 자신의 다중정체성 구성 경험 속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과정과 현상에 대해 풍부한 이야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다른 전공의 대학원생일 경우 정체성 구성 방식이나 갈등 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전공 대학원 학업병행 엄마들의 정체성 구성 경험 역시 향후 연구에서 탐구함으로써 이들과의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unseling care for graduate school student mothers by exploring identity conflicts and construction experiences through narrative inquiry methods. To this en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n graduate student mothers were reviewed and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was presented, and based on this framework, their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narrative inquiry method. As to the existing studies on the identity of graduate school mothers, there were studies on role conflict experiences, emotional experiences, and demands for social support. In this study, these four research topics, namely, role conflict and balance, identity construction, conflict and negotiation, emotional emotion, and the need for social support, were considered to result from identity construction and conflict. A small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the identity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 mothers were found overseas, but no studies dealing with this topic independently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identity construction, conflict, and negoti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chool student mothers and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ccordingl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graduate school student mothers. This study constructed the ’Model of Motivated Multiple Identities(MMMI)’ as a framework for theoretical analysis. This is based on the view that an individual's identity is composed of self-identity located at the core and other social identities, and that identity motivation and meaning-making capacity influence the process of defining and enacting this identitie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ultiple-identity, the difficulties that individuals confron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eficiencies within identity and conflicts between identities. It was understood that deficiency in identity occurs when identity motivation is not satisfied in a single identity dimension to which an individual is committed, and that conflict between identities occurs in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identities conflict in terms of definition or reenactment dimension respectively. In order to explore the multiple-identity construction and conflict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 mothers, this study used the narrative inquiry ,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ism feminist pastoral theology methodology. Qualitative research was divided into a preliminary research and a main study. The preliminary study consisted of 7 participants, and the main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3 participants A, B, and C, who reported narratives that best revealed graduate school student mother’s identity conflict and construction process. A, B, and C had children relatively younger than other preliminary study participants, and unlike them, they conceived and gave birth to children during graduate school studies, which made the identity conflict and construction experience more salient. The conflict patterns and ways of constructing specific identities revealed in the narratives of the three study participant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identity and external background context, and at the same time, commonalities were also found. All of these graduate school student mothers had a desire and wish to continue to develop their occupational identity to the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but they experienced this desire in crisis amid the adopting a mother identity. Factors threatening the construction of multiple identity as a mother include the definition of an internalized ideal maternal role, social or personal negative perception of having a graduate student identity as a mother, poor ability due to time or material resource constraints. However, at the same time, despite these identity conflicts and threats, they continued their attempts to grow as an expert rather than staying at the limits of this crisis. Factors that facilitate this attempt include the experience of being supported and recognized by others, the experience of self-assurance and acknowledging with a sense of calling for one's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process of redefining personal and social identity by constructing new meanings. A significance of the study relies on suggesting a direction of solutions to the conflict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ultiple identities for graduate school student mothers. The direction of solutions is based on four functions(resistance, empowerment, nurturing, liberation) of feminist pastoral theology presented by B. J. Miller-McLemore and K. Lassiter’s feminist pastoral theology of recognition. Based on J. Benjamin’s psychoanalytic theory of recognition, K. Lassiter explains the psychological dynamics within the dominance-subordinate relationship which can b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identity, and explores the points where a person can move on to the liberation. Following this perspective, the study suggested a more specific counseling and coaching strategy that can provide care for them. The counseling approach was presented as a strategy for those who face difficulties in attempting enactment by making committment to multiple identities and experiencing deficiency in identity and conflict between multiple identities. Since mothers' social status and perceived meaning related to graduate students are uncertain as well as considered ‘selfish’ or ‘unproductive’, a post-modernist perspective of narrative therapy was introduced, noting that their stories about themselves could consist of problem-saturated narrative. The coaching approach was introduced as a strategy to promote the process of enacting multiple identities. Finally,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that it consists only of participants in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major. Since they majored in counseling, the study had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lore rich narratives about psychological processes and phenomena occurring in their multiple-identity construction experience, but graduate students mothers in other majors may have different experience in terms of its content. Therefore, the experience of graduate school mothers' who are in other majors in constructing multiple-identity can be explored in depth in future studies.

      • 대학캠퍼스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만족도 분석 :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주변의 경우

        김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 비교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건축물관리대장과 지적도를 기준으로 시설이용특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연구대상지를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대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통계적인 방법으로써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두 대상지의 시설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반주거지역으로써 주 용도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공동주택(연립주택), 근린생활시설, 복합시설, 기타 등으로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주변지역의 주 용도에서 다가구용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의 비율이 홍익대학교에 비해 낮게 나타난 반면, 근린생활시설과 복합시설의 비율은 연세대학교 주변이 홍익대학교 주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을 볼 때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상2층, 지하1층, 지상3층, 지상4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홍익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에서는,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하1층, 지상2층, 지상3층, 지상4층, 지상5층, 지상6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최고층은 지상6층인데 비해 홍익대학교 주변의 경우는 지상8층까지 이루어져, 지하철과의 연계가 개발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론된다. 두 대학 모두 최하층과 최상층은 근린생활시설로 이용되는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세대학교 주변의 이용자들은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함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가이미지보다 연세대학교의 특성을 느끼는 것이 연세대학교주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홍익대학교 주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주변 이미지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시설로의 접근시 편리함과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를 포함한 전체만족도의 경우에는 연세대학교보다 홍익대학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학생보다는 비 학생이 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서는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성과 대학주변거리로서의 청결성,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 대학가 이미지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대학가 이미지’가 대학가의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near Yonsei University campus and Hongik University campus. As for the data, Building-Management-Register and acreage map near Yonsei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ages in two sites. To obtain a sample for the survey study, users who dwell in two sites were selected. For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wo university campuses, the T-test was us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were analyzed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esent facilities using conditions in two sites shows that the main conditions used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 are Individual housings consisting of one residence (often called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villa, community facility, multiplex facility, and more. The percentages for the results are very similar among the seven forms.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the rates of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and villa, were measured lower than in the case of Hongik University. However, the rates of the community facility and multiplex facil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were higher than that of Hongik University. The resulting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building stories in Yonsei University shows that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2F, B1, 3F, 4F, while in Hongik University,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B1, 2F, 3F, 4F, 5F, 6F. The Highest story in Yonsei University is 6F. On the other hand, 8F is the highest story in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subway system had influenced the development in this case. Both Universities have similarities in using the highest and lowest story as a community facility.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convenience of reaching University facilities had grea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Yonsei Univers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Yonsei University itself had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more than that of image of campus. On the other hand, although convenience, open space, and aesthetic space also did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Hongik University,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was the image of campus. I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Yonsei University ranks higher than Hongik University.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ose who were not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Convenience, cleanliness, open space, aesthetic space, and image of campus influenced the total satisfaction levels.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appearance or image of a campus was a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현황

        임유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xamine the educational status of graduate schools in dental hygiene, and seek to systemize the operation plan. Methods: The operation status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dental hygiene open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net data collection. In addi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ned subjects, it was analyzed through the ADHA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s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Dental Hygien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admission to the Korean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and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creased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department's opening, and it was operated stably.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in Korea, research skills can be improved and the ability to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 can be developed. However, the lack of curriculum such as leadership and professional collaboration can be a limit to fostering talented people with various abiliti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subjects in each field will be opened to expand the options of graduate students and foster various tal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us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achieve academic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through 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status and setting of human resources and core competencies. 치위생학 대학원이 2007년 최초로 개설된 후 15년간 운영되고 있다. 대학원 학위과정은 해당 학문분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학문의 연계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교육의 표준화는 치위생학 학문체계를 확립해나갈 수 있는 기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운영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치위생학 대학원 교육현황을 고찰하고, 운영방안의 체계화를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 교육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에 개설되어있는 치위생학 대학원을 대상으로 운영현황과 교육과정을 설문지와 인터넷 자료 수집을 통해 조사하였다. 운영현황으로는 전공 개설 현황과 입학자격, 졸업요건, 입학생 및 졸업생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으로는 각 대학원의 개설과목 명, 과목 수, 실습과목 운영과 같은 내용을 조사하였다. 또한 개설과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체계와 미국치과위생사협회에서 제안하는 ADHA Graduate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es 분류를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 과정의 입학 지원자와 입학자 수, 재적생 수는 학과 개설 초반에 비해 그 수가 증가하였으며, 안정적이게 운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위취득자의 경우도 석사학위의 경우 2012년도 이후, 박사학위의 경우 2017년 이후부터 꾸준하게 학위취득자를 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학자격과 졸업요건을 미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미국은 1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요구하는 입학조건 혹은 실습 및 인턴십 과목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두는 등 임상능력을 비교적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 졸업요건에 학술지 투고에 대한 조건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을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체계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연구치위생 관련 교과목이 31.77% , 임상치위생 관련 교과목이 27.76%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치위생 관련 교과목은 8.70%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ADHA Graduate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es 분류에 따라 한국 치위생학 일반대학원 교과목 분류하였을 때, 학문과 연구 분야(33.11%)와 보건정책과 인력정책에 관련한 교과목(26.76%)이 가장 많았다. 반면 리더쉽 분야(2.68%)와 전문직 간 협업과 통합돌봄 분야(4.35%)에 대한 개설이 미비했다. 이는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통해 연구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적인 치과위생사로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리더쉽과 전문직 간 협업과 같이 치과위생사의 전문직화에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의 부족은 여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분야의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해 대학원 재적생들의 선택권을 넓히고, 다양한 인재를 양성하길 기대한다. 한국의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현황을 살펴본 결과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대학원의 통일된 교육목표와 교육수준을 설정한다면, 더욱더 체계화된 질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위생학 대학원의 운영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지속적인 운영현황 파악과 인재상 및 핵심역량 설정 등을 통하여 치위생학의 학문적 발전을 이루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교육대학원 전문화 방향에 관한 연구

        김성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개설을 위한 현행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현행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성격을 규명하고,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요건과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개설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요건은 무엇인가? 넷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할 교육전문대학원의 장기발전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7개 대학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는 조경원 외(2000)의 「교육전문박사(Ed.D) 학위과정 모델개발 방안 연구」의 질문을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별 빈도(frequency)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은 현직교원과 교육관련직 종사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제안되었고, 현재 다섯 가지의 개발모형이 제시되었다. 둘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지정도는 높지 않았다.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필요성에는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이 개설될 교육대학원이 기존의 교육대학원과 차별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전문화'와 '전임교수 확보'가 우선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행·재정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영역은 전임교수 확보 부문이었고, 현장연구프로젝트 지원확대 와 신규교육과정 개발지원 등이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교육프로그램은 '변화하는 세계와 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육연구방법론', '교수학습방법 개발 프로그램'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범계학부와 일반대학원, 교육전문대학원간의 관계정립은 각 대학의 실정에 따라 다양성과 차별성을 갖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교육대학원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사범계학부와의 긴밀한 연계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과 일반대학원의 교육학전공 석·박사과정을 통합한 교육전문대학원 체제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고 그 토대 위에 교육학전문박사(Ed.D) 학위과정을 설치한다. 장기적으로는 일반대학원의 교육학전공 석·박사과정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통합함으로써 단일의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를 구축하도록 한다. The establishment of the Doctor of Education(Ed.D) degree is an impending issue. The Ed.D is a professional degree intended for practitioners who desire advanced academic preparation at the doctoral level and who are pursuing professional care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irections in professionaliz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for opening the Ed.D. The specific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at are the backgrounds that the Ed.D should be appeared? Second, how many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e functions of the Ed.D? Third, what are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GSE for launching the Ed.D? Finally, what are the long-term plans of th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PGSE) for opening the Ed.D?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documents and surve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was suggested that school teachers and professionals concerned in education upgrade their specialities by the Ed.D. Recently, five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establishing the Ed.D. Second, half of the graduate students have never heard of the Ed.D. However,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Ed.D. Third, it was very import ant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provide professional curricula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Ed.D. Finally, opening the Ed.D, the individual GS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its own situations seriously.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the GSE to advertise the Ed.D,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to design professional curricula. The executives of the GSE need to take time to think about its differences from the other GSEs, and make an effort to reinforce it s strength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should build the supporting systems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Ed.D. The GSE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upgrading the teachers abilities, but also in retraining the professionals concerned in education. For enhancing its competency and running successful programs, the GSE needs to open the Ed.D in the form of integrate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PGSE).

      • BK21과 NURI 사업의 성과평가 연구 : 내생성 통제방법을 중심으로

        박경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BK21과 NURI 사업의 성과분석을 시도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하고 BK21과 NURI 사업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재정지원 주체인 정부에게는 양대 사업의 성과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사업운영 주체인 대학에게는 연구와 인력양성(재학생 유지)을 중심으로 조직성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먼저 BK21과 NURI 사업의 성과분석을 시도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양대 사업의 성과준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 설정을 위해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추정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양대 사업의 성과준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BK21 사업의 경우 1999년, 2002년, 2005년 3개년에 걸쳐 대학별 연구성과, 인력양성(재학생 유지) 성과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함께 구축하였다. NURI 사업의 경우에도 2004년, 2005년, 2006년 3개년에 걸쳐 대학별 인력양성(재학생 유지) 성과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함께 구축하였다.그리고 분석방법으로 BK21과 NURI 사업의 선정시 관찰할 수 없는 특성(unobservable characteristic)으로 인한 자기선택을 고려하기 위해, 횡단자료 분석에서는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와 IMR(inverse Mill's ratio)을 활용한 2단계최소자승(two stage least square) 추정법을 적용하였다. 패널자료 분석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개체효과(individual effect)를 고유한 값(intercept term)으로 포착하는 고정효과와 개체간에 차이가 어떤 분포(distribution)로부터 임의적(randomly)으로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시점이 다른 동일 개체의 관찰치들간의 관련성을 고려하는 임의효과 방법을 적용하였다.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BK21 사업은 BK21 참여대학을 과학기술, 인문사회, 특화분야에 핵심, 신규분야로 확대한 경우를 제외하면 전체적인 횡단 및 패널자료 분석에서 전임교원 1인당 논문편수 및 논문인용수 등과 같은 성과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양적인 측면은 물론이고 질적인 측면에서도 대학의 연구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둘째, BK21 사업은 제적 학생수를 패널자료로 분석한 경우를 제외하면 BK21 참여대학을 과학기술, 인문사회, 특화분야로 설정한 횡단자료 분석에서 그 성과가 상충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BK21 참여대학에 상기 3개 분야와 더불어 핵심과 신규분야를 포함한 경우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여 재학생 유지로 평가한 인력양성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셋째, NURI 사업은 전체 대학교의 경우 NURI 참여대학이 미참여대학에 비해 오히려 대학별 제적 학생수와 재학생 제적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소재 대학교 및 전문대학의 경우에도 재학생 유지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나 인력양성 성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넷째, BK21 사업의 연구성과는 지원 기간과 금액이 상대적으로 큰 인문사회, 과학기술, 특화분야에 참여한 대학원에서 뚜렷하게 나타나 정부가 재정지원을 통해 고등교육기관의 연구성과를 향상시키려 한다면 여러 고등교육기관에 분산해서 지원하기 보다는 제한된 재원을 소수의 대학에 집중·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다섯째, 전임교원 1인당 대학원생수가 늘어날수록 대학원의 연구성과가 향상되고 재학생 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원이 연구와 재학생 유지 등과 같은 조직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정규모 이상의 대학원생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여섯째, 전임교원 가운데 박사학위 소지자수는 대학원 연구성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임교원 1인당 주당 수업시간수로 평가한 강의부담과 연구성과간의 분석결과는 다소 상충되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원이 연구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임교원의 박사학위 소지비율을 확대하고 Graves 외(1982), Fox(1992) 그리고 Porter와 Toutkoushian(2006)의 주장처럼 이들이 연구시간의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일곱째, 지원자 대비 입학자수로 파악한 입학 가능성과 재학생 대비 졸업자수로 평가한 졸업 가능성이 높은 대학원이 재학생 유지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대학원생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지원자 대비 입학자수를 관리하고 졸업사정을 까다롭게 하는 경우 재학생 이탈이 심화될 수 있음으로 재학생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원은 입학과 졸업이 용이하도록 정책을 추진할 개연성이 높다.여덟째, 설립연한은 대학원을 대상으로 한 BK21 사업에서 연구성과와 재학생 유지에 부정적이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교 및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한 NURI 사업에서는 설립연한이 오래될수록 재학생 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설립연한은 재학생 유지와 같은 동일한 준거에서조차 평가대상이 달라짐에 따라 그 영향력이 상이하다.아홉째,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는 그 규모가 늘어날수록 재학생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대학교가 재학생의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교수-학생간의 관계, 교우관계와 같은 학내의 인간적 친밀도를 포함해 재학생의 소속감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열째,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전문대학의 경우 특정 한 해에만 재학생 제적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대학교의 경우에는 오히려 재학생 제적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재정지원 노력은 재학생 유지에 영향을 주지 못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열한째, 전문대학은 입학정원 대비 기타 입학자수가 전반적으로 재학생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학생충원을 위해 확대한 외국소재 학교 출신자, 성인학습자 등과 같은 기타 입학자의 중도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교졸업자, 재수생 등과 같은 학령기 입학자를 모집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김다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fter determining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main function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investigating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establishment of curriculum subjects. The data of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was collected and reclassifi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standar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diversified fie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aterial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rrent sit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e information regard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not precisely provided. Second, even though there is a field regarding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statutes of university by each graduate schoo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sistent curriculum either through proposing a reference point with precise division or through mutual exchanges among graduation schools of education. Third, man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rms of number of subjects imparted by each graduate school. It is possible that higher number of subjects can be helpful for obtainment of divers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check if the established subjects are properly operated in effect. Also, it is required for universities with fewer subjects to reconsider if the subject distribution is sufficiently distributed to prepare the students to be qualifie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ome universities without a proper establishment of necessary subjects emphasized by curriculum of department of Music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2009,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bituation in daily lives and appreciation of music. Considering th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in charge of turning out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is fundamental to establish curriculum bearing the real education field in mind. Fifth,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curriculum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unity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number of subjects and field division in 11 universities, it is essential to propose a precise central reference standard even though all subjects are not identical among the universities. Last, based on the inquiry into the establishment condition of curriculum over 5 semesters of 11 graduate schools, it turned out that no university had established all the subjects as determined in the curriculum program.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graduate students and prospective applicants with exact information on established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some extent for preparing concrete standards and system of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future and contributes to providing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diverse and deeper knowledge for creating a better music education future.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 주요기능을 규명해보고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설치현황을 조사한 후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학교별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현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운영 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고, 추후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편성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교육과정 기준에 맞게 재분류하고 범주화 하여 다양한 영역으로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과부에서 제시한 <교원양성기관의 현황>자료 중 교육대학원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았다. 교육대학원에 대한 자료나 정보가 더욱 세밀히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부에서 제시한 영역이 있긴 하나, 교육과정이 각 대학원별 학칙 규정에 준하여 개설되어 있어서 교육과정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학교별 교과목에 차이가 컸다. 각 대학원 마다 교육과정의 전공필수, 전공선택, 기본이수과목,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의 영역구분이 재정립되어야할 것이다. 정확히 구분될 수 있는 기준점이 제시되거나 교육대학원 간의 상호교류를 통해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각 대학원간 과목수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과목수가 많은 것이 다양한 지식 습득에 좋을 것이나 개설된 과목이 실질적으로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며, 과목수가 적은 학교는 중등교원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에 대한 충분한 과목 배분이 이루어졌는지 제고해야할 것이다. 넷째,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 생활화, 감상 영역을 위한 과목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학교가 있었다. 교육대학원은 중등교원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교육현실에서 실제로 교육을 하게 되는 것을 염두 하여 과목설정을 해야 한다. 다섯째,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11개 학교의 교육과정 편제, 과목 수, 영역 구분이 통일성이 없으므로 모든 과목이 동일하진 않더라도 중심이 되는 정확한 기준점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11개 대학원의 5학기 동안의 개설현황을 알아보았는데, 교육과정표에 설정한 과목이 모두 개설된 학교가 한 학교도 없었다. 물론 학교의 상황과 원생 수, 교수진에 따라 과목이 학교별로 개설되긴 하나 원생 또는 입학희망자 에게 개설과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홈페이지 및 각종 요람에 제시한 교육과정 설정에 대한 업데이트를 하거나 설정해놓은 교육과정에 맞게 교과목을 개설해야한다. 교육대학원은 특수대학원의 한 부분에 속해있기 때문에 교육대학원만을 위한 법적 근거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학교별로 교육과정 기준을 자체적으로 세우므로 많은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본 연구가 작은 시작점이 되어서 후에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체계가 마련되어 원생들이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하고 깊은 지식을 습득하여 더 나은 음악교육의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해 본다.

      • 국책창업대학원의 교육 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선택확신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진학동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홍종득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책창업대학원의 교육 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선택확신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진학동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평생직장 개념으로 별 걱정 없이 생활하던 근로자가 정리해고 등의 이유로 전혀 경험이나 전문성없이 무작정 서비스업종 창업에 나서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청년층도 취업의 어려움을 심각하게 겪고 있어 창업을 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이들 창업자들의 실패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인 성공을 증진하기위해서 상당수 대학에 창업전공 학위과정이 개설되었고,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확산될것으로 예상된다. 창업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시간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창업교육 커리큘럼들이 필요충분한 정도의 내용을 담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질적으로 모두 훌륭한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대학들이 창업관련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와 제공자인 학교 및 학과 등의 여건을 충분히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될 지침의 제시가 필요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전문가 양성과 기업가정신 확산을 위해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확보한 신규 (예비) 창업자에게 창업에 필요한 정보와 실무적인 지식 등 현장중심의 창업교육을 실시하고자 1차로 2004년에 전국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수도권(호서대, 중앙대), 영남권(경남과기대), 호남권(예원예술대), 충청권(한밭대) 등 전국 5개 대학을 지정하여 최초의 국책창업대학원 5곳이 탄생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차로 2014년에 새로이 전국 5개 대학을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2017년 현재 10개 대학에 창업학 석사과정이상의 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새로이 지정된 국민대, 계명대, 부산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 5개를 포함하여 10개 국책창업대학원의 현황을 소개하고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창업대학원의 우선 과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진로선택확신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서비스품질에서는 유형성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신뢰성, 확신성, 응답공감성의 순으로 나왔다. 교육만족도에서는 수업운영, 졸업 및 진로, 교육과정, 교육여건의 순으로 나왔다. 교육만족도에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왔으나 교육과정이나 여건 등 기술적, 물리적 측면에서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진로선택확신에서는 평균 3.66으로 ‘보통이다’와 ‘그렇다’의 중간정도로 나왔고, 그에 앞서 창업대학원 진학동기에서는 내적동기는 평균 4.01, 외적동기는 평균 3.66으로 내적동기가 외적동기보다 높게 나왔다. 둘째, 교육 서비스품질이 상승하면 창업대학원 학생들이 진로선택확신이 직접적으로 상승하기도 하지만 교육만족도를 상승시켜 진로선택확신을 상승시키기도 한다.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교육만족도가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의 순으로 나왔다. 셋째, 교육 서비스품질이 상승하면 교육만족도를 경유하여 진로선택확신을 유의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총효과 중 교육만족도를 경유한 간접효과의 비중이 66.47%로 매우 높게 나와 교육만족도가 창업대학원 진학 학생들의 진로선택확신에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내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내적동기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다섯째, 외적 진학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외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력이 외적동기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핵심주제어 : 창업대학원, 교육 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학동기, 진로선택확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