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의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홍후조(Hoo-Jo H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0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는 다교과 분산이수를 개선해 소교과 집중이수를 겨냥하여 수업, 학습, 과제, 시험에서 개선을 가져오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집중이수는 어느 학교급에서, 어떤 교과목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언명 없이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묻혀서, 학교별로 매년 다른 불안정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해당 교과목은 공통필수가 아니라 선택교과목으로 지위가 격하되었으며, 학교의 시행착오와 혼란이 예측된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라는 이름으로 맡겨두어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보다, 오히려 해당 학교급, 해당 교과목, 교과목들의 조합, 개선 순서와 시기 등을 분명하게 정해주어서 집중이수의 도입을 통해 본래 기대했던 교육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취하는 것이 더 낫다는 입장에서 옹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이수를 해야 할 학교급은 중학교이며, 도덕, 음악, 미술, 기술ㆍ가정, 선택과목을 그 대상으로 하되, 기술ㆍ가정은 6학기에 걸쳐 이수하던 것을 4학기에, 나머지는 2개 학기에, 선택과목은 각각 1개 학기에 이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았다. 개설 조합은 음악-미술-선택과, 도덕-기술ㆍ가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 후속조치로써 필요한 교원 수급 조정, 담임교사 배정, 교과서 제작, 가르치지 않는 학년과 학기에 대한 대책, 고입 연합고사 개편 등을 다루었다.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learning, and tests throughout the introduction of condensed courses rather than scattered on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laborated standards of the level of schools and subjects, in the name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schools suffered from numerous trial and errors, confusion, and a waste of time. Because of the fact that each school was likely to change its curriculum every year, some of the required target subjects were appointed to become elective courses.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curriculum will improve with taking follow-up measures consisting of clear-cut directions about school levels, target subjects, combination of subjects, and serial order of offering courses etc. The condensed lesson plan in this paper focuses on middle school subjects such as moral education, music, fine arts, vocational technology and other electives. Offering a combination of music-art-electives and moral education-vocational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Among the subjects, vocational technology which is originally earmarked for six semesters would be better completed in four semesters. Other subjects should be taught in two semesters and the elective studies are recommended to be finished in one. In addition, the necessary complementary measures such as the prediction of the demanded classroom teachers, altered time schedule, text book editing and the reformation of the high-school entrance exam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학습자 집단의 요구분석을 위한 영역과 항목 설정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2

        교육과정을 개선할 때 학년이 높아질수록 진로 선택이 가까워질수록 학습자들의 교육과정적 요구, 즉 적절한 학습기회 제공에 대한 요구는 더 중요해진다. 그러나 실상은 주로 정치사회적 요구나, 성인들의 사회적 요구가 일시적으로 파악·반영되는데 반해, 학습자의 요구는 체계적으로 파악·반영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초·중등학교 학습자들의 요구에 관한 정보를 왜, 무엇을,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를 시론적으로 밝혀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현재 학업에서 선호도, 자신감, 이해도, 장차 학업 및 직업 진로 계획을 중심으로 조사항목을 설정하였고, 그 선행 사례를 정리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요구조사할 학습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학생, 진학계 고교생, 직업계 고교생의 4개로 나누고, 영역은 총론,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하며, 각각의 유지와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는 항목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학습자 요구는 달라질 수 있지만 다년간 꾸준히 개인적·집단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축적하면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초·중등학교에서는 NEIS나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Edupot)을 통해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다른 집단의 요구와 절충하여 반영함으로써 국가교육과정기준은 학습자존중 교육과정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It gets more important to identify students` needs regarding school curriculum as students grows up. School curriculum, which means offer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realizing students` potentiality, should be tailored to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plan. However socio-political ideology and opinion leaders` views had been represented excessively in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comparing with students` needs and views. This article address how to identify students` needs and put the results of needs survey into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Thu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roblems of discovering and selecting questionnaire items, through NEIS or Edupot in Korea, to find out the curricular needs of learners who enrolled in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ith the justification of each items students needs were selected surrounding educational expectation, academic plan, career plan, school choice, course choice, course preference, course difficulty, etc.. Long term and systemic survey of students curricular needs shall brings forth coherent trends and patterns of change for a number of years to students-honored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고교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임유나 ( Yoo Na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2

        문·이과 통합으로 국가교육과정과 대입시를 개선하는 과제가 진행되고 있으나, 그 기본적인 방향이나 구체적인 방안은 불분명하고 불확정적이다. 본 연구는 문·이과 통합과 관련된 문제, 쟁점, 과제를 살펴보고, 장기적으로 고교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맥락 속에서 문·이과 통합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고교 교사와 교육과정 관련자를 중심으로 문·이과 통합과 관련한 이해 정도, 문제 인식, 개선 방향 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은 바람직하고 개발 가능하지만 유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대표성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고, 고교는 전체 계열과 과정의 공통에서 점차 진로별 학습기회를 보장하는 쪽으로 이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고교 교사들은 사회과의 잡다한 과목 분화, 과학과의 4균분 등과 같은 관행을 유지하려는 성향을 보이고 있으나, 다른 교육 관련 인사들은 문·이과 통합을 계기로 이런 적폐를 해소하는 쪽을 선호하였다. 특히 문·이과 통합의 대표적인 교과인 사회과와 과학과에서의 통합방식, 이수방식, 대입시 반영 등에 대한 의견은 향후 교육과정 개정이나 교육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의견 조사 결과를 포함하여 고교 수준에서 통합의 영역과 정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위한 교과교육과정기준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과목 수준에서 문·이과 통합이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 것인지, 사회과와 과학과 각각의 통합방식, 이수방식, 대입시 반영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안내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문·이과 통합과 진로별 교육과정의 균형과 조화를 통한 고교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blems, issues, and subjects related to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nd tried to find long-term improvement in the academic high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inions of high school teachers and those concerned with curriculum,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s deemed desirable and developable, but it is hard to have a representative nature to revise curriculum. Many offered the opinion that the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gradually guarantee career-based learning opportunities in terms of all subjects and that these should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firmed the integrated areas and degrees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propos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criteria. It also offered a comprehensive guide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the level of the subjects, an integrated way of teaching social studies and science, proposed a way of completing the curriculum, and showed how to reflect learning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Finally the study explored possibl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curriculum featuring the ultimat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nd career-based curriculum.

      • KCI등재

        헌법 제31조 1항의 비판과 개정 방향

        홍후조 ( Hoo Jo Hong ),권혜정 ( Hye Jeong Kwon ) 대한교육법학회 2013 敎育 法學 硏究 Vol.25 No.2

        추상성, 하위법 제정 및 해석 근거, 사회 각 분야의 기본 방향 지시성을 가진 헌법의 교육관련 조항인 제31조는 국가의 교육 이념, 방향, 제도, 실시, 과정, 결과의 평가 및 개선 등에서 가장 근본적인 교육가치관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의무교육, 대학교육, 평생교육에 대한 언명은 있지만, 취학전 교육과 진로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고교교육에 대한 언명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는 형용모순으로서 의무교육도 그 이상의 교육도 제대로 지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교육관련 하위법의 분석, 교육의 이념과 목적, 각종 교육제도의 기능, 학습자의 발달단계, 배우는 교육과정의 특성, 사회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헌법 제31조 1항은 초·중학교의무교육에 대해 “모든 국민은 어떠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초·기본교육을 의무·무상으로 균등하게 받을 권리를 가진다.”로, 고교 이후 진로교육에 대해서는 3항 이후 추가 조항으로 “모든 국민은 각 사람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알맞게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제안하였다.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Article 31 in connection with education-related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contains basic interpretation and rational abstraction about sub-laws, society, direction, system, implementation, course,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in each field. Is this Article 31, there are compulsory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But there are lacked of course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pre-school education. Everyone has the right to education equall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In this section 1, the biggest problem according to the education is rised to ranks, when students are educated by ability, Students` abilities can not be guaranteed in high school and college. Compulsory, gratuitous, common, and basic education require appropriate changes to that section. And then we focus on high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study that is required from different direction of course in a different education. Now it is lacked the course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in Constitution. Basic and fundamental education is the right to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in everyone. And deepening, speci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be educated with the modest standards. In this study, there are based on analysis of education from sub-laws, purpose and philosophy of education, functions of various education systems, developmental stage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s, and needs of society.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All citizen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have the right equally to compulsory and gratuitous education. And then, the additional terms and conditions of Section 3 or later should be recommended, Everyone has the right to education as appropriate standards according to their courses and vocational aptitudes.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자기주도학습과 인성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홍후조(Hong Hoo-Jo),백혜조(Baik Hei-Jo),고영희(Ko Young-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자기주도학습과 인성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현재 학교교육의 심각한 문제인 ‘학력 과잉경쟁과 사교육’, ‘학교폭력’, ‘청소년의 왕따와 자살’을 줄일 수 있는 보다 나은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교육은 개인간 학력경쟁보다 공동체내 사회협동을 기조로, 교과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협동학습을, 생활교육에서 인성교육과 함께 사회성교육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of better school education to decrease current issues such as ‘excessive competitions due to college entrance exam,’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s’ outcast and suicide” by reviewing the sid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ersonal character education that school education focuses 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direction that school education requires social cooperation other than academic competition among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other than self-directed learning, and social education o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5

          중앙집권적 국가교육과정기준을 가진 나라에서는 그것이 전국의 교육 내용?활동?경험 제공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무엇으로 채우고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국가교육과정 기준은 그것이 담을 내용과 그 내용을 빚어내는 개정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현행 교육과정의 개정 방식을 다룬 것이다.<BR>  개정은 그 대상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개정 범위는 전면개정과 부분수정, 개정 방식은 동시개정과 순차개정으로 나뉜다. 이 글에서는 질 높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 동시개정 방식을 폐기하고 순차개정 방식을 개발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 개선 방안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관련 법규 미비 해소를 통한 각 주체의 권한과 역할을 분명히 규정할 필요, 세계화시대의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역할 재정립, 교육과정 총론에 의한 교과 교육과정 종합 비교 장치(도구/단계) 도입 등을 논하였다. 이들 네 가지는 국가교육과정기준의 크고 작은 변화를 통한 질 개선을 함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긴요한 일들이다.   How to make a nation"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NCS) including its basic framework and content is very critical in the nation which has a 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because it makes an every effect on educational objectives, textbook content, instructio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student"s learning, and evaluation all over the whole country. Almost all educational contents, activities and experiences come from and are based on the NCS.<BR>  This paper deals with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NCS improvement under the changed circumstances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Korean NCS has overly regulated and controlled local and school curricula without leaving any room for their autonomy, however paid little attention on national and global educational problems and issues such as economic competitions among global markets, global understanding and transaction, cultural conflicts among civilizations, etc.<BR>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Korean NSC has heavily relied on the total and simultaneous revision of all elements and phases of the curriculum in every revision projects, which brought forth irrational framework, principles and guidelines. This paper discussed on the issues of legal regulations about curriculum revision and moderation and management of subject-matter curricula by the General Guidelines.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참고서가 필요 없는’, ‘확장된’ 교과서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홍후조(Hoo-Jo Hong),백혜조(Hei-jo Baik),임혜진(Hye ji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18대 대통령선거에서 한나라당 박근혜 후보의 공약으로 제안된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상(像)을 규명하고, 그것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것으로 인해 교육에서는 어떤 변화를 겪을 것인가를 탐색해본 연구이다. 학습자 입장에서 더 나은 교과서를 구안해보고, 교과서 출판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공약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전통적인 탐구형 교과서 본문 + 참고서의 보완 자료 + 문제집의 양질의 문항”이 합본된 형태라고 보았다. 현재 교과서는 세 가지 특성을 아주 부분적으로 구현하는 어정쩡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좋은 교과서상’에 비추어보면 공약이 제시하는 교과서상은 그 부분집합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교과서의 기능과 모양이 확장되더라도 본래 수업용 교재가 가진 특성 과 기능인 교과교육과정기준의 반영, 교과별 특성 반영,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 협동학습 중심 수업의 길잡이 역할 수행, 학생의 탐구심 호기심 집중력 등의 유발 등을 약화시킬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 즉, 공약이 제시하는 교과서상은 전통적인 교과서 본문을 탐구형으로 유지함으로써 수업에서 교사의 창의적 개입을 막아서는 안 될 것임을 지적하였다. 공약의 교과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강조된 교과서이다. 그러므로 학생의 학습에서 예습,복습, 보충 심화, 숙제 및 정보 제공 기능 등 길잡이 노릇을 하는 참고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종 시험에 대비하되 정보 기억과 정답 확인 차원의 선택형 문항을 넘어 미래지향적인 서술형 논술형 수행평가를 지향하는 시험대비용이어야 할 것을 권고하였다. 끝으로, 이런 새로운 교과서를 제작 보급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교과서 집필 및 편집의 제작 기간 연장, 새로운 집필지침, 두꺼워지는 교과서를 현재 별도 제작의 보완교재가 아닌 시계열적 분책, 디지털 교과서에 의한 보완, 가격의 인상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age of textbook that does not need supplementary materials that Park Geun Hye, Hannara’s Candidate of Presidential Election proposed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and estimate changes that educational field will experience with new textbook. First of all, the presidential election’s pledges were analyzed to identify it. It was found that the comprehensive textbook would integrate ‘Main body of traditional investigative textbook + Supplementary materials in reference books + Good quality questions in workbooks”. When summarizing the images of good textbook, it was found that the textbook proposed by the pledge would be a subset of ‘good textbook’. Although functions and form of textbook may be expanded, it is not necessary to weaken the reflection of curriculum standards which is the original characteristic and the function of textbook, reflection of subject characteristics, facilit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role to guide classes and stimulation of will to explore, curiosity and concentration of students. In other words, the textbook proposed by the pledge commented that creative intervention of teachers should not be interfered in classes by maintaining the body of textbook as investigative one. Additionally, it recommended that the new textbook should be for the examination preparation by including future‐oriented descriptive and essay type questions beyond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checking memory and information performing the reference book guiding students in learning including preview, review, supplementary study, further study, homework and information provision. Finally, to produce and distribute this new concept textbook, there shall be extended period for writing and editing, new writing guidelines, supplement by digital textbook, time-serial division of textbook to reduce the thickness of a volume and consideration of price increase.

      • KCI등재
      • KCI등재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임유나 ( Yoo Na Lim ),장소영 ( So Young Jang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2

        자유학기제는 박근혜정부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을 위한 첫 번째 주요 정책과제이다. 자유학기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까지 전면 도입될 계획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운영 방안이나 대안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도입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 연구자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해 다각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자유학기제 도입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찬성의 의견이 많았으나, 실시 대상과 시기, 운영 주체에 대해서는 집단마다 서로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시기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안에 대해서는 숙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 실시와 관계되는 각 집단은 실시 준비나 여건이 매우 미흡하다고 보았으며, 기초 연구, 이해 및 인프라 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실시 목적, 교육 내용, 대상, 시기, 운영 주체, 운영 방법, 기타 지원 사항의 측면에서 대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자유학기제가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계적·점진적으로 시행해나가는 종합계획이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자유학기제 실시 이후 진로가 어느 정도 분명해지는 학생들에게 진로를 개척할 진로별 학습기회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is the first major policy of Park, Geun-hye government for “the propulsion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dream and talent”. Loose or slacken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is scheduled to be adopted after 2016 for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concrete measures or operational plan thereof have not been prepared yet. This research sympathizes with the necessity of adopting slacken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and has diversely investigated analyzed the opinions of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about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through a survey. A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re were lots of consenting opinions about adopting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on the whole, however the opinions regarding the target for the implementation, timing, and operating body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refore the policy plan to apply it to all students at the same time is considered to need deliberation. Also, each group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considered the preparation or condition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to be very insufficient, and the worry about the lack of basic research, understanding and infrastructure was expressed high. Here, this research suggested alternatives variously in the aspect of the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target group, timing, operating body,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other support points of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comprehensive plan of phased gradual implementation for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to make educational effect on more students, especially, it also sugges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learning opportunity for career for those students whose hoped career becomes somewhat clear after the experience of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in order to keep developing their care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