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담목어(淡目漁),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의 미세분포(微細分布)에 관하여

        홍영표,최신석,최기철 한국어류학회 1990 韓國魚類學會誌 Vol.2 No.1

        韓國産 淡水魚이며 韓國 特産種인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微細分布, 分布樣相, 種 相關關係을 알아보기 위하여 休戰線 以南의 全 地域(特別市, 直轄市, 道, 市, 郡, 面)을 對象으로 1966년 5월부터 1989년 11월에 이르기까지 調査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調査地域 4909個 場所 중 같은 場所를 묶어 정리한 결과 3192개의 sites이었고 이 중 본 종이 分布하는 場所는 659개의 site로서 出現頻度는 20.65%이었다. 2. 본 종이 분포하는 河川은 임진강, 한강, 금강, 웅천천, 만경강, 동진강, 섬진강, 광양 동천, 사천천, 곤양천, 낙동강, 삼척 오십천, 남해도의 삼화천, 거제도의 구천천 등 14개의 獨立河川이었고 영산강, 안성천, 삽교천 수계 등에는 본 종이 분포하지 않았으며 이들의 未分布가 1차적인지 2차적인지는 알 수가 없다. 3. 본 종의 分布는 대부분이 구성비가 25%未滿으로 單獨의 분포는 稀少하고 優勢種으로 분포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4. 본 종은 하천의 本流와 支流의 傾度勾配가 增加되는 中上流지점에 주로 분포하며 하천의 下流部와 最上流部에는 分布하지 않았다. 5. 본 종이 분포하는 距離에 따른 高度의 平均勾配(기울기)는 2.6이고, 分布 最小勾配는 0.29, 分布 最大勾配는 5.65의 範圍의 河川 여울 地域에 주로 분포하였다. 6. 본 종이 分布하는 곳에 50% 이상의 출현빈도를 보이는 종은 10종으로서 그 순서는 Zacco platypus> Pungtungia herzi> Z. temmincki> Micriophsogobio yaluensis> Hemibarbus longirostris> Pseudogobio esocinus> Carassius auratus> Coreoperca herzi> Cobitis koreensis> Odontobutis platycephala의 순서이며 총 개체수에 있어서는 Z. platypus> C. auratus> Z. temmincki> H. yaluensis> P. herzi> P. esocinus> C. koreensis> O. platycephala> H. longirostieis> C. herzi의 순서이었다. 7. 水系別 種 相關分布에 따르면 함께 分布하는 種(P<0.05)은 Cyprinidae 20종, Cobitididae 5종, Salmonidae 1종, Bagridae 1종, Siluridae 1종, Amblycipitidae 2종, Serranidae 2종, Eleotridae 1종이었다. 8. 본 종과 水系別 分布를 달리 하면서 生態的 同位의 種 相關性을 갖는 種은 Cyprinidae에서는 A. signifer와 A. limbata, M. koreensis와 M. yaluensis이고, Cobitidae에서는 C. koreensis, C. longicorpus, C. rotundicaudata와 N. multifaciata이며, Amblycipitidae의 L. andersoni와 L. mediadiposalis이였다. Studies on the microdistribution, distributional aspect and affinity of Korean endemic species, SHIRI, Coreoleuciscus splendidus in th sou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arried out from May, 1966 to November, 1989. This species was found in 14 independent rivers and streamlets of the south Korea ; Yimjin R., Han R., Kum R., Ungchun S., Mangyung S., Dongjin R., Somjin R., Kwangyang East S., Sachun S., Gonyang S., Nakdong R., Samchukosip S., Samhwa S. of Namhae Island and Guchun S. of Geojae Islands, and were not found from Youngsan R., Ansung S. and Sabgyo S. This species was not common and independent comprising less than 25% of the total fish population in all habiting sites. Distributional zone was in the middle or upper streaches of main streams and tributaries. The average slope of distributional zone was 2.6, minimum slope was 0.29 and maximum slope was 5.56. Thirty-three species were found to occur along with this fish and 10 species of them occurred with more than 50% frequency. They were ; 20 sp. of Cyprinidae, 5 sp. of Cobitidae, 1 sp. of Salmonidae, 1 sp. of Bagfridae, 1 sp. of Siluridae, 2 sp. of Amblycipitidae, of Serranidae, and 1 sp. of Eleotridae. Some species of fish appeared to have the same ecological position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distributional zones. These species were as follows; Acheilognathus signifer and A. limbata, Micriophsogobio koreensis and M. yaluensis in Cyprinidae, Cobitis koreensis, C. longicorpus, C. rotundicaudata in Cobitidae, Liobagrus andersoni and L. mediadiposalis in Amblycipitidae.

      • KCI등재

        정신응급상황에서 119구급대원 대응사례와 법적쟁점

        홍영표 대한의료법학회 2024 의료법학 Vol.25 No.1

        우리나라는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많은 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에 노출이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게 되었고 다양한 사회문제로 나타나며, 응급입원의 빈도가 높아 지고 있다. 정신질환자의 경우 ‘비자의 입원’이 문제가 되며, 경찰, 119구급대원이 정신질환자의 신체억제를 시도하며,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는 정신건강복지법 상 응급입원의 조항의 구성요건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하나의 정신질환자를 두고 각 기관이 다른 입장을 내며, 응급입원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거나, 관계기관의 마찰로 이어지며 정신질환자의 안전이나, 타인의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응급입원은 주체가 ‘정신질환자로 추정되는 사람으로 자신의 건강 또는 안전이나 다 른 사람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큰 사람을 발견한 사람’으로 정하고 있으며, 그 상황이 매우 급박하여 스스로 입원을 결정하는 입원절차를 거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 의사와 경 찰관의 동의를 얻어 응급입원을 의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이 경우 119구급대원이 정 신의료기관까지의 호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응급입원의 조항은 정신의료기관까지 이송하는 과정에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실무를 담당하는 경찰관이나 119구급대원이 응급입원과정 중 ‘물리력’을 사용하 게 되면, 필연적으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업무상과실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구체 적으로는 물리력을 행사할 때 법령에 근거하고 비례원칙에 따른 필요최소한도의 신체억 제가 필요하게 되는데, 법령상 119구급대원이나 경찰관의 주의의무의 부재가 결국 다른 법령을 적용하여 해결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정신건강복지법 상 응급입원 조항의 주체를 경찰, 소방기관의 장점을 살려 주체 를 변경하고, 정신보건법의 시행규칙으로 신체보호대 사용을 정의하고, 규정함으로써 119구급대원과 경찰관의 주의의무를 설정하고 정신질환자가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 도록 이송에 대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자기 또는 타인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정신질 환자 또한 안전한 환경에서 정신의료기관으로 이송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 Korea, exposure to stress has been accompanied by mental pain in the process of achieving many growth along with rapid development, various social problems, and the frequency of emergency hospitalization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mentally ill patients, “unwanted hospitalization” is a problem, and police and 119 paramedics try to suppress the body of mentally ill patients, and many problems are exposed This is because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the provisions of emergency hospitalization under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do not reflect reality, and each institution has a different position on one mentally ill person, and emergency hospitalization does not proceed smoothly or leads to fric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safety of the mentally ill or others is not secured. Emergency hospitalization is defined as “a person who finds a person who is presumed to be mentally ill and is at high risk of harming his or her health or safety or others,” and if the situation is so urgent that he or she cannot afford time to go through the hospitalization procedure to decide on his or her own hospitalization, he or she can request emergency hospitalization with the consent of a doctor and a police officer. In this case, 119 paramedics are escorted to a psychiatric institution. This provision of emergency hospitalization poses many problem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psychiatric institutions. If a police officer or 119 paramedics in charge of practice use “physical force” during the emergency hospitalization process, side effects will inevitably occur, and professional negligence can be a problem. Specifically, when exercising physical force, the minimum necessary physical restraint based on laws and regulations and proportional principles is required, and the lack of the duty of care of 119 paramedics or police officers under the laws and regulations will eventually be resolved by applying other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ly, it will be an opportunity for mentally ill patients to be transferred to psychiatric institutions in a safe environment by changing the subject of emergency hospitalization provisions under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defining and prescribing the use of physical protection guards as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Mental Health Act, setting the duty of care for 119 paramedics and police officer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for transportation so that mentally ill patients can be treated saf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