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어머니 양육 아동과 타인 양육 아동의 사회성에 대한 연구

        현금옥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양육자의 양육특성에 따라서와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이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애착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접근하며 타인 양육 아동을 함께 접근하여 본 것은 보기 드물므로 어머니 양육 아동과 타인 양육 아동을 함께 분석하면서 비교해 보는 시도를 포함하고 있다. 1.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 사회성의 일반적 수준은 어떠한가? 2.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특성 차이는 어떠한가? 3. 양육자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간의 관계는? 4.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이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10개소에서 현재 재원하고 있는 아동 600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아동의 연령은 만2세~만4세의 범위에 속하였고 성별은 남아 238명(54.8%), 여아196(45.6%)였다. 어머니는 취업지위에 따라 전업주부 300명과 취업주부 30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조사 기간은 2003년 2월 3일~20일 까지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척도 두 가지였다. 양육자의 양육특성 척도는 부모 효능감은 신숙재(1997) 척도를 부모-자녀관계, 부모 역할 만족도, 배우자 지지는 현온강(1993)의 척도들을 응답 및 채점 방식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사회성 척도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사회성 관련 내용들에 기초한 협동성, 사교성, 책임성 등의 세 유형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총600부(300X2)의 설문지가 배부되어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성실치 못한 자료를 제외시켰고, 총 434(217X2)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에는 SAS(version 8.0)를 이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Cronbach의 a값, 평균, 표준 편차, ANOVA,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 회기분석 등의 통계 기법들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자의 양육특성의 일반적 수준은 부모 역할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모-자녀관계, 배우자 지지 등에서는 부모 양육태도 중에서 중간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고, 자료의 분포를 볼 때 표준편차에 의해 보면 배우자 지지에서 넓은 분포를 보인 반면 부모 효능감에서는 분포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아동 사회성의 협동성, 사교성, 책임성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고, 표준편차를 보면 아동의 사회성에 넓은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양육자의 양육특성 중 부모 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부모-자녀관계에서는 월평균 소득이 높고(300만원 이상), 주거형태에서 아파트가 동거가족 중 친가가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모 역할 만족도에서는 부모의 월평균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 지지에서는 부모들의 학력이 높고 주거형태 중 아파트가 동거가족에서는 외가보다 친가가 더 많은 점수를 보였다.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아동의 사회성 에서는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책임성에 높은 점수가 나타나고, 부모의 직업과 학력이 아동의 사회성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월평균 소득에서 협동성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주거 형태에서는 아파트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동거 가족은 아동의 사회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어머니 양육의 부모 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에서 아동의 사회성, 협동성, 책임성에 높은 상관을 보였다. 타인 양육은 아동 사회성과의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효능감과 부모 역할 만족도에 어머니 양육의 경우가 타인 양육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를 직접 키우는 경우가 부모 효능감, 부모 역할 만족도, 배우자지지 등이 더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러므로써 어머니 양육 아동이 아동의 사회성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사회성에 있어서는 타인 양육 아동이 어머니 양육 아동보다 협동성과 책임성은 높게 나왔고 사교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양육 아동의 사회성이 타인 양육 아동의 경우보다는 높다는 것으로 기대했던 것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이야기 할 수 있다고 하겠다. 그 하나는 어머니 양육 아동의 사회성과 양육자 양육 특성과의 상관 관계가 어머니 양육에서 더 높게 나온 것은 상관관계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지 타인 양육 아동보다 어머니 양육 아동의 사회성이 자동적으로 더 높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두 가지 결과가 상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타인 양육 아동이 어머니 양육 아동에 비해 협동성과 책임성만 높게 나온 것은 사회성 가운데서도 사교성은 책임성이나 협동성에 비해 타인의 요구, 지시 또는 교육에 의해 나타나기가 어려운 행동이고 본인의 내면적 동기나 성격 또 자발적 행동에 더 많이 의존하는 행동인데다 가르치거나 요구되는 행동이 아닌데 비해 책임성 있는 행동이나 책임성과 협동적인 행동은 어디서든 유아에게 보다 빈번히 요구되는 행동으로 타인 양육에서 높게 나타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어머니 양육 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많은 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항이 연결되어 아동의 사회성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나 타인 양육 아동에서는 사회성과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아동 사회성의 어머니 양육 아동에 있어서 어머니가 아동을 양육할 때 합리적으로 일관성있게 긍정적으로 양육하여야 되겠다고 이야기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ren and we used to research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but we focus on what are the difference social relationship of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ren o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s follow : 1. Parental affection related with occupation and education. 2.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elated with income and living environment. 3.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related with income. 4. Spouse's support level related with education and income. 5. Children's social character related with parents are working or n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 choose 600 children from 10 kindergartens in Dae-Jeon city, KOREA and parental and non-parental parents 300 respectively were selected by interviewing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 were between ages 2 and 4 and survey period was from 3rd of Feb to 20th of Feb 2003. We used parental knowledge of parental and non-parental and children's social character development. Parental knowledge of parental and non-parental used parental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and spouse's support level(Hyun, Ok Kang : 1993)(Shin, Sook Jae : 1997) and soci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used cooperation, respectability and social intercourse. We research 600 people and get rid of interviewee's dishonest answer, totally 432(217×2) used for final analyses and we used SAS(Version 8.0)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Parental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Spouse's support level, Children's social character show us the same result to make good social character of children. Here is the answer, like parent's occupation is professional job show the highest scores, living environment is preferred apartment than multi- or single-family house. Family style is preferred the father's former home than the mother's former home and income is preferred professional job than service job. According to this result economy is very important to effect on family. Parental children's parental affection and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are better than non-parental. But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better than parental. However generally speaking many things of parental children are better than non-parental children on this study. According to this research, parent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income, and with professional occupations and a good family environment are very important to effect on to make children's social character. It means, non-parental study is for how effect on non-parental children and that parents. Parental children situation will make stable family environment and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en parents play their roles well. It must be good effect on children for when they grow up. Nowadays fathers take care of their own children with wife, this research show us society is changing, also good job, salary and family environment are very important to effect on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ren. Now we look at the limited point and suggest on this research. First, if a teacher could not understand every children's behavior, we may see a different answer, because only the teacher considered social character of children on this research. And we used the picture or resume on this report, otherwise parents consider social character of children together, we will reduce errors from teachers' judgement. (we should use measurement tools of children's social character to teachers, children and parents). Second, this research show us parental limited points by only parental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spouse's support level. We will find more correct the result and the answer, when we add some special things on this research. Third, we have to research "How to get rid of interviewee's dishonest answer" first and when we use it, we will get the best solution and result ab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th, we support to think, it is very difficult to research and make an true answer, because the target was children, that we have to consider and study those problems, after that we hope to keep researching about this study then we can find the best answer for the future research. Finally, From this result we can look at the two different points, first parental is better than non-parental children's social characters, but we do not have to definition about this result, because this means, only show us relation between parental and non-parental. second, children's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are better than parental, specially social intercourse, because special intercourse is hard affected from other's demand, order or education, it is really made by their own mind, character and spontaneous behavior. so we can not see parental children's all social character are not higher than non-parental children. Although children had non-parental situation, the period, and carer's mind are very important effects on children That is why, Non-parental children's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are better than parental Also, parental children will make stable family environment and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en parents play their roles well and when parents take care their own children, care them by rationally and positively. It must be good effects on children when they grow up. Father take care of their own children with wife, this research show us that. It is depend on the period, the term and carer's mind and experience when children had non-parental situation.

      • 칸트 미학에서의 감정과 취미

        현금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칸트 취미론은 쾌의 감정과 미의 판단 사이에서 성립한다. 쾌의 감정은 경험적·주관적인 감각이요, 미의 판단은 선천적·보편적인 판단이다. 이렇듯 칸트 취미론은 각기 성격이 다른 쾌의 감정과 미의 판단 사이에서 성립한다. 미의 판단과 쾌의 감정은 어떻게 관련되며, 또한 어떻게 쾌의 감정의 보편타당성을 주장하는가. 쾌의 감정은 결코 객체의 개념이 될 수 없는 감각이며 단지 주관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감정과 관련한 판단은 전혀 객체에 있어서의 어떤 것을 지시하지 않는다. 표상들의 모든 관계 심지어 감각들의 관계조차도 객관적일 수가 있으나, 표상과 쾌/불쾌의 감정과의 관계만은 객관적일 수가 없다. 쾌의 감정과 관련한 판단은 필연적 보편타당성에 대한, 그렇기에 객관과의 관계에 대한 근거를 도무지 포함하지 않는 판단이다. 따라서 취미판단은 쾌의 감정을 근거로 보편타당성을 주장할 수 없다. 그런데 취미판단은 보편타당성을 주장한다. 취미판단은 구상력과 오성의 조화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취미판단의 보편타당성은 경험적이고 주관적인 쾌의 감정에 있어서 주장되는 것이 아니라, 구상력과 오성이라고 하는 선천적인 인식능력들의 조화에 있어서 주장된다. 취미판단은 모든 인식 주관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타당한 표상방식을 갖기에 보편타당한 판단이다. 대상에 대한 이러한 판정은 쾌의 감정에 우선하며 쾌의 감정을 규정한다. 따라서 아름다운 대상의 판정에 따른 쾌의 감정은 필연적인 미적 감정이다. 취미판단에 있어서 주장되는 쾌의 감정의 보편타당성은 단지 경험적이고 주관적인 쾌의 감정에 있어서 주장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대상의 판정에 따른 필연적인 미적 감정에 있어서 주장된다. 한편, 취미판단은 자연과 자유를 매개하며, 자연철학과 실천철학 사이의 심연을 메운다. 그런데 상술한 취미론에서는 이러한 매개적 역할을 발견할 수 없다. 칸트는 이에 대해 변증론을 통해 논의한다. 취미판단의 근저에 초감성적 기체를 놓음으로써 취미론은 도덕성과 관계를 맺으며, 미는 도덕성의 상징이 된다. 결국 취미는 도덕적 이념이 감성화된 것을 판정하는 능력이라고 정의된다. Kant's theory of taste is founded between the feeling of pleasure and the judgement of beauty. The feeling of pleasure is an empirical, subjective sensation and the judgement of beauty is a priori, universal judgement. So kant's theory of taste consists of the feeling of pleasure and the judgement of beauty which are different. How they are connected and how the University of the feeling of pleasure claimed. The feeling of pleasure is 'bloß subjectiv' and never becomes a concept of the object. So the judgement which is connected with the feeling of pleasure denotes nothing in the object. Every reference of the representations is capable of being objective, even that of the sensation. The one exception to this is the feeling of pleasure or displeasure. As with all empirical judgements, it is, consequently, unable to announce the objective necessity or lay claim to a priori validity. Therefore the judgement of taste is unable to claim the universal validity on the grounds of the feeling of pleasure. But the judgement of taste claims the universal validity. Because the judgement of taste is ground on the harmony of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Hence the universal validity of taste is claimed not on the ground of the feeling of pleasure but the harmony of a priori cognitive faculties. This estimating of the object is antecedent to the pleasure in it, and determine the feeling of pleasure. Therefore the feeling of pleasure in the estimating of a beautiful object is a necessary aesthetic feeling. The universal validity of the feeling of pleasure in the judgement of taste is claimed not mere in an empirical subjective feeling of pleasure, but in the necessary aesthetic feeling in the estimating of a beautiful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judgement of taste mediates between nature and freedom and fills up the gulf between the philosophy of nature and the philosophy of morals. But this mediative role is not founded in the theory of taste stated above. Kant discusses about this role in the dialectic. In the dialectic, kant lays the supersensible at the basis of the judgement of taste, and so the judgement of taste is connected with morality, and so the beautiful is becomes the symbol of the morally good. Consequently, taste is, in the ultimate analysis, a critical faculty that judges of the rendering of moral ideas in terms of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