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消費者 不評處理過程에서 公正性次元의 知覺差異와 公正性이 再購買 意圖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韓亨奎 단국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산업에서 최근의 시장환경은 경쟁이 심화되고 성장은 둔화되는 성숙기에 해당함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도 기존고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서도 밝혀졌듯이 장기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고객이 신규고객보다 더 많이 더 자주 구매함으로써 기업에게 더 큰 수익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은 기존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전략의 하나로서 고객불평을 관리하게 되었다. 즉 기업은 소비자의 불평을 문제에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이어지는 고객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로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소비자의 불평행동을 하나의 문제해결과정으로 간주하고 그 과정에서 기업이나 점포의 반응을 평가하는 공정성차원의 지각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확인하고 그 차이가 불평처리 후 고객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 가치관, 개성, 문제특성, 과거경험 등의 특성이 달라짐에 따라 소비자의 공정성차원 지각에 차이가 있었고, 그리고 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의미는 문제해결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자체도 중요하지만 문제를 해결하기까지 관련되는 절차와 상호작용, 특히 기업이나 점포의 담당자와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인적 커뮤니케이션이 불평처리 후의 고객의 반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의 불평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활동의 기초로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더 나아가 이를 장기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마케팅과 연계해야 할 것이다. Many companies and retailers recognized that complaints represent an opportunity to remedy product or service related problems and to positively influence subsequent customer behavior.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hat dealing effectively with complaints can have a dramatic impact on customers' evaluations of retail experiences as well as enhance their likelihood of repurchase and limit the spread of damaging negative word-of -m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justice dimensions and its influences on postcomplaint behaviors. Justice concept is actually a broad, multifaceted construct, encompassing three dimension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In a consumer complaint context, distributive justice refers to the perceived fairness of the remedy offered by the seller. Procedural justice encompasses the perceived fairness of the policies and procedures used by the seller in processing a complaint, while interactional justice focuses on the manner in which the complainant was treated. The empirical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327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a problem-resolution process during the month of October,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justice dimensions is influenced by demographics, personal value, personality, problem characteristics, and past experience. Also the repurchase intention is influenced by justice dimension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manner in which a marketer responds to a consumer's complaint, not only in the tangible outcome, but i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 well, can have an impact on the consumer's subsequent behavior.

      •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법으로 제조된 나노복합구조의 Si/Silicides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한형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paration of different kinds of nanocomposite materials is a promising approach to alleviate the severe volume changes of Silicon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In the present study, a novel nanocomposite Si80Fe16Cr4 was synthesized by high energy mechanical milling without noticeable contamination. The nano- indent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elastic recoverable energy range of the synthesized nanocomposite is 3.43 times higher than that of Si. The proposed nanocomposite milled for 8 and 10 h recorded a noteworthy reversible capacity of 841 and 812 mAh g-1 even after 100 cycles, respectively, with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The crystal separation of the less active silicide phases was determined after the extended cycling, which is advantageous for accommodating the stress produced by the volume changes of the active Si. The primary factors attributed to the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ere the size reduction of Si particles to nanometer scale, the formation of the highly elastic matrix, and separation of silicide phases after extended cycling.

      •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교사 ·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형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 주체인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가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그들 인식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초등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별 특성에 따른 초등교사 전문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의 배경별 특성에 따른 초등교사 전문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와 학부모의 초등교사 전문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0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20명과 동일한 10개 초등학교에서 각각 3학급씩을 선정하여 학부모 32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10개 학교별로 무선 표집으로 세 학급을 선정하여 학부모에게 27부씩 배포하였고, 교사는 전 교직원을 상대로 32부씩 배포하였다. 교사 311부, 학부모 809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교사 309부, 학부모 799부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보다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에 비하여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에서 준비한 설문응답에 높은 점수를 얻은 교사가 반드시 뛰어난 교사라고 할 수 없으며, 학교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맥락과 상황을 고려해서 유연성 있게 해결하는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학부모가 자녀의 교육상황과 환경 등에 대해 접할 수 있게 교육정보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자질 및 태도, 학급경영 및 생활태도에서 남교사보다 여교사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교사의 응답수가 적은 점을 감안해야 하겠지만 남교사 스스로 교육활동의 주체로서 갖게 되는 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저학년에 해당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교사 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자녀가 학교에 입학을 하면 교실 앞까지 와서 수시로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는 학부모가 있을 정도로 관심이 많다. 그리고 교사는 이에 대응하여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학급을 운영하며 학부모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저학년 담임교사가 어떻게 다른 전문성을 보이는지, 왜 그런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만큼 후속 연구에서는 저학년 담임교사의 전문성 또는 학급운영 행태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의 교직 경력은 전문성에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경력 교사는 자기 연찬과 연수를 통해 교사 전문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저경력 교사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훈련을 받고 현장에 투입된다는 뜻이다. 다만, 경력에 따라 쌓이는 지혜와 노하우를 다른 방식의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한다.

      • 반복과 집적에 의한 인간 이미지의 재구성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형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사회 속에서 성장하면서 육체적인 변화와 정신적인 성숙과정을 함께 겪는 동시에 가치체계를 내재화하면서 성장하게 된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외적인 성장을 통해 겉모습이 변하기도 하고, 개인의 갈등과 욕구 등에 따라 내면의 심리적인 모습이 바뀌기도 한다.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은 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좀 더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사고를 가지며 그 모습이 분화되고 있다. 개인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요인들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사람이 속해 있는 집단의 규범, 관습이나 다른 이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다양성은 더욱 잘 나타난다. 이미지 표현은 미술의 형식보다는 작가의 감정과 작품의 내용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작가의 의도를 작품 속에 나타나게 한다. 본 연구는 본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소외된 인간 정서에 감성을 자극하여 작품을 통해 관람자와 소통하고자 반복과 집적의 방법을 적용하여 이미지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다양한 재구성 과정에서 이미지가 새롭게 나타나고, 이미지끼리 함께 어우러져 감성적 공간을 이끌어내는 효과를 주기 위해서이다. 본 논문은 2009년 “휴먼, 관점의 다양성”을 주제로 전시된 본인의 작품과 그 이후의 작품들에 대한 설명과 분석을 통해 ‘반복과 집적에 의한 인간 이미지의 재구성’에 관하여 접근하였다. 본인의 작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방법적, 조형적, 문맥적 탐구를 통해 독립적 주체성을 잃고 물질사회와 허위적 의식이 지배하는 사회에 따라가며 비주체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는 인간의 이미지를 그려 보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인간의 본질적인 모습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Human Image Reconstruction due to Repetition and value based on Personal Work Human grows while inheriting value in conjunction with going through a period of physical and mental maturation in society. It can have its appearance changed with time and possibly accompanied by changes in personal desires, wants and other internal psychological aspects. Reconstruction of the Human Image due to Repetition and value Humans are having more pluralistic and complex mentality to adjust to changing society, which in turn gives rise to a diversity of appearance. Going through a natural transitioning process can offer a person a diversity of human relations, customs or rules of an organization that he or she belongs to. Expression of image is primarily involved with the emotions and work contents of an artist rather than the formality of art. This study which based on the author's subjective views and personal experience makes attempts to reconstruct image by employing the repetitive and accumulative methods with the view of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by instilling sensitivity to their sense of alienation. This is to produce the effects elicited by sensual space in harmony with image and to create novel images 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With such a background, incorporating the so-called repetition and accumulation technique into one’s work in terms of modern sculpture will assist in finding a specific connection. This study especially attached importance to the issues with human image reconstruction due to repetition and accumulation through conducting an analysis and discussion of my pieces of work on exhibition and other pieces subsequent to that with the topic "Human, diversified perspectives" in 2009. The objective are to explore my work from the perspectives of method, modeling and context to depict the human image which is passively changing in many ways to keep track of deceptive and physical society devoid of independence and searching for the essential features of human, which does not change even with the passage of time.

      • 이산화 타이타늄 일차원 나노구조체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

        한형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산화 타이타늄은 낮은 가격, 재료의 풍부함, 무독함과 리튬이온의 삽입/탈삽입 시 구조적 안정감으로 인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더욱이 1.8V의 높은 작동 전압은 전해액 분해 반응으로부터 자유로워 높은 수명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이산화 타이타늄 고유의 낮은 이온과 전자 전도도에 의한 낮은 율특성은 이의 상용화에 큰 제약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차원 나노 구조를 갖는 이산화 타이타늄 소재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차원 나노구조체는 리튬이온의 이동통로 길이를 줄여주고 일차원 전자 경로를 제공하여 빠른 이온/전자 전도를 가능케 하며, 큰 비표면적은 전해액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리튬이온의 삽입/탈삽입을 원활하게 해준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이산화 타이타늄 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일차원 구조를 갖는 중공 나노섬유, 집전체 위에 수직 배열된 나노튜브, 탄소 나노섬유와 복합화 된 나뭇가지 형태의 구조를 합성한 후 전기화학적 거동에 관하여 이론적 그리고 실험적으로 고찰 하였다. 이산화 타이타늄 중공 나노섬유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합성 하였으며 비슷한 구조를 갖는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 섬유에 비해 비표면적이 25% 증가하고 리튬이온 확산 길이가 60% 감소하여 우수한 수명 특성 및 율 특성을 보여 주었다. 더욱이 질화 처리된 이산화 타이타늄 중공 나노섬유는 전도성 면인 질화 타이타늄의 도입으로 인하여 이산화 타이타늄 중공 나노섬유에 비해 우수한 수명 특성 및 율 특성을 보여 주었다. 질화 처리된 이산화 타이타늄 중공 나노섬유는 우수한 율특성을 보여 주었지만 일반적인 전극 제작 시 사용되는 바인더와 전극과 활물질 사이의 저항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었다. 이에 형판-보조 방법을 이용하여 집전체 위에 직접 수직 배열된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를 합성한 후 반응성 이온 식각을 이용하여 끝을 열어 준 음극을 적용하여 기존의 이산화 타이타늄, 바인더, 도전재 (80:10:10) 전극에 비하여 10 C에서 6.2배 향상된 율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집전체에 직접 성장된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의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낮은 저항 때문임을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성장된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가 우수한 율특성을 보여 주었지만 짧은 길이의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는 낮은 면 용량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의 길이를 늘려주면 면 용량이 증가하는 반면 율특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에 이산화 타이타늄과 탄소 나노섬유가 복합화 된 나뭇가지 형태의 구조를 음극에 적용 하였으며 우수한 율특성과 면 용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 탄소 나노섬유와 집전체 사이의 직접 연결로 인한 낮은 저항과 탄소재료의 높은 전도도에 기인한 것이며 이를 실험과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확인 하였다. TiO2 has receiv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node for high powe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due to abundance, low cost, structural stability during lithium insertion/extraction, and high working voltage enables high rate operation. However, the poor rate capability of TiO2 electrodes, which results from their intrinsic physicochemical properties, limits their practical use.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a variety of titanium dioxide based nanostructures and composites to solve the problem of poor rate capability. In this thesis, we synthesized nitridated TiO2 hollow nanofibers, directly grown TiO2 nanotubes array on current collector, and TiO2 nanotubes branched tree on carbon nanofiber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 by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analysis. Nitridated TiO2 hollow nanofibers showed more improved cyclability and rate capability due to hollow morphology and highly conducting TiN layers compared to TiO2 nanofibers. However there is still problem of the high resistance between active material and current collector. To improve this problem, directly grown TiO2 unsealed nanotubes on current collector without insulating binder were proposed. The structure shows 6.2 times higher rate capability at 10C compared to typical composite film of TiO2 hollow nanofibers active material/conducting agent/binder (80:10:10,weight ratio) result from high electronic resistance at the interface acting as a huge barrier for electron injection from the current collector to the electrode. Especially, the use of electrically insulating binder and the physical contact between active material and current collector leads to significant degradation of the electronic conductivity of the overall electrode system by theoretical analysis. But low areal capacity of the anode still prohibits its practical use. The energy density per unit area (areal capacity ; mAhcm-2) is a critical for practical application. The increase in the areal capacity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TiO2 thickness. However, there exists a trade-off between the electrode thickness and the electronic resistivity, which leads to significant degradation of the rate capability. Finally we suggest an architecture based on TiO2 nanotubes branched on carbon nanofibers (CNF). The CNF backbone, with direct electric contact of the TiO2 nanotube branched on carbon nanofibers nanostructure electrode to the current collector, provides both an efficient electron transport pathway and a large space for dense TiO2 active material loading, which enable significant improvement in rate capability as well as the achievement of high area energy density. The strategy presented here offers a design guideline to prepare TiO2 based anode materials for next generation LIBs.

      • 고용노동부의 직업적 노출기준(90/5 dB rule)과 ACGIH노출기준(85/3 dB rule)을 적용한 소음노출량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형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직업적 노출 소음기준은 8시간 기준으로 90 dB이며, 노출시간이 반으로 감소하면 소음기준은 5 dB 증가한다. 한편 미국 ACGIH 및 ISO 기준은 8시간 기준은 85 dB, 시간이 반으로 감소하면 소음기준은 3 dB 증가한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직업적 노출기준을 85/3 dB로 강화하면 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이 얼마나 되는지 그 여파가 어떻게 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업장에서 소음노출량계로 측정된 소음노출 원자료를 90/5 dB Rule과 85/3 dB Rule을 적용하여 소음노출량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충청권 47개 사업장에서 90/5 dB rule을 적용하여 소음노출량계로 측정된 209개의 개인소음노출 측정자료이며, 매1분마다 음압수준이 기록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음노출량계에 의해 측정된 매1분당 음압수준을 90/5 dB rule을 적용하여 8시간 시간가중평균 소음수준과 8시간 소음노출량을 계산한 결과는 90/5 dB rule을 적용하여 산출한 측정치와 거의 동일하게 산출되었으나 85/3 dB rule 적용시에는 매1분 마다 기록된 음압수준을 음강도로 환산하여 노출량을 산출하고 이를 누적하여 누적소음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8시간 동안 시간가중평균 음압수준을 소음노출량으로 환산한 값보다 산포도가 크게 나타났다. 즉, OSHA의 90/5dB Rule은 매1분 마다 기록된 음압수준의 변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ACGIH의 85/3dB Rule의 경우는 매1분마다 기록된 음압수준의 평균과 시간별 변이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8시간 평균소음이 70 dB 이하인 경우에는 두 기준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70 dB 이상인 범위에서는 OSHA 기준(90/5 dB rule)을 적용할 때보다 ACGIH기준(85/3 dB rule)을 적용할 때 소음노출량이 크게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특히 85 dB이상에서는 그 차이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전체 209개 분석 자료 중 90/5 dB rule 적용시에는 24개(11.5%)가 8 시간기준능로 환산했을 때, 소음노출량 기준인 100%를 초과하였으며, 85/3 dB rule을 적용하면 102개(48.8%)가 기준인 10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현재 90/5 dB 기준을 85/3 dB 기준으로 전환하면 노출기준 초과 사업장이 4.2배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음 수준별 ACGIH/OSHA 소음노출량 비율을 산출한 결과, 소음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는 0.9555 수준이었다. 특히, 평균소음이 90dB 이상인 경우에는 ACGIH 기준을 적용할 때 소음노출량이 OSHA 기준을 적용할 때보다 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OHSA rule과 ACGIH rule을 적용한 결과를 업종별로 보면 ACGIH rule을 적용할 때, 제조업은 평균 4.1배 높게 나타났다. 세부업종별로는 플라스틱 제품 제조 > 산업용 기계 제조 > 콘크리트/시멘트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