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임도 개설이 산림 내 생물 군집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민주지산 임도를 대상으로

        한승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orest road construction on bird, mammal, and plant communities by monitoring a newly-built forest road in Minjujisan, Micheon-ri, Seolcheon-myeon, Muju-gun, Jeollabuk-do from 2012 to 2015 year until the monitoring was interrupted by logging operations. I hypothesized that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affected biological community, and found the following.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from June of 2012 to December of 2015, 42 species of birds and 13 species of mammals were found in the study area, which were not different to what wa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only 209 species of vascular plants were found, which was fewer than previous studies due to small study area size. From the monitoring, the number of bird species decreased from 34 species to 24 species after the construction, but the number of bird individuals slightly increased. It is believed that this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resident, dominant bird species. Forest roads were usually constructed in summer when the affected summer migratory birds bred.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major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evennes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but species diversity and richness decreased, indicating that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affected the inhabited bird community. I could not confirm that the effects of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on the breeding bird community of nesting and foraging guilds. The bird community in canopy layer was observed frequently, because large tree canopies were well-connected after the construc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area and the seasonal bird community showed that the bird populations such as summer migratory and resident birds were affected by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They will move back to the forest road area after a long transitional period of stabilization and decrease in anthropogenic factors which disturb bird community. The analysis on home range of main dominant species showed that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affected the bird community during the construction at all sections. The MCP and KDE analyses on home range at 90%, 70%, and 50% level showed that birds were affected by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They scattered during the construction, and returned and redistributed themselves after the construction. Mammals used the forest road more frequently than the control area inside forest according to sensor camera analysis.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mammals’ forest road use by daily time showed that mid-to-large mammals such as wild boar, Korea water deer, and roe deer mainly used it as a passage at night (from 18:00 to 08:00). Therefore, the road construction in daytime had no major effects on the movement of the nocturnal mammals. The analysis of changes in vascular flora and vegetation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growth rate of vegetation in the shrub and herb layers increased after the construction. It is believed that it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light intensity due to the opening of the upper canopy layer and the influx of annual herbaceous and native plants around the forest roa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pecies in forest ecosystem due to forest road construction in terms of birds, mammals, and plants.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can have a major impact on the inhabited bird community during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birds affected by the road construction will return to forest road area when the disturbances, such as noise from the construction, were stabilized.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might have positive impacts on mammal movement and plant species growth.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es for the effe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for the biodiversity in forest ecosystem when a forest road is constructed. ● Design measures to minimize the disconnecting forest road width and size during road design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all trees near forest road that can increase the connectivity of the canopy layer ● Establishment of shrubs as a wildlife habitat ● Efforts to reduce the anthropogenic disturbances such as noise from vehicle passing, logging, and road maintenance activity These efforts will have positive impacts on wildlife and plant communities in forests, lead to increase in environmental index species, and minimize negative impacts of forest road construction on forest ecosystem.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전라북도 무주군에 위치한 민주지산 임도 개설 구간을 대상으로 산림 내 서식하는 생물을 조사하여 임도 개설 과정이 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정한 가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12년 6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민주지산 임도 개설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류는 42종 879개체(최대개체수 합계), 포유류는 5목 8과 13종, 관속식물상은 20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류와 포유류는 기존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식물은 조사 범위에 따른 차이로 기존 연구보다 적은 분류군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2. 임도 개설 과정에 따른 서식 조류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조류의 종수는 개설 전 시기에 34종에서 준공 후 24종으로 감소하였으나, 개체수는 소폭 증가하였다. 이는 우점종 중 텃새 개체군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며, 여름철 집중된 공사는 번식기 여름철새에 영향을 주었다. 3. 군집 분석결과 주요 우점종 및 종균등도는 개설과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다양도와 풍부도는 감소하여 임도 개설이 서식하는 조류 군집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번식기 조류 군집의 영소 길드와 채이 길드 분석결과 임도 개설에 의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고 수관층(canopy)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이는 임도의 개설로 상층 임관이 개방되었으나, 대경목이 우점하는 환경적 특성 때문에 수관층의 연결 정도가 양호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5. 대조군 지역과 시기별 조류 군집을 비교한 결과 임도 개설 과정에서 영향을 받은 여름철새와 텃새 등 조류 개체군은 임도 준공 후 장시간 지나 천이과정의 안정화, 인위적 방해요인의 감소하게 되면 임도 지역으로 다시 유입 될 것으로 사료된다. 6. 주요 우점종의 행동권 분석 결과 모든 구간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시기에 조류 군집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MCP와 KDE 90%, 70%, 50% 수준의 행동권 분석 결과를 통해 임도 개설에 영향을 받은 조류가 준공 후 재분산 되어 임도를 폭 넓게 이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7. 관속식물상과 식생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분류군의 종수와 관목층, 초본층의 식피율이 개설 과정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는 상층 임관의 개방에 따른 광량의 증가와 1년생 초본류와 귀화식물이 임도 주변으로 유입된 결과로 판단된다. 8. 포유류는 무인센서카메라 분석 결과 개설 과정에 따라 임도의 이용률이 숲 안쪽인 대조군 지역보다 높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포유류가 대조군 지역보다 임도를 이동통로로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9. 시간대별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중대형 포유류인 멧돼지, 노루, 고라니가 야간 시간대인 18시~08시까지 주로 임도를 이동통로로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주간에 집중되는 임도의 개설은 주로 야행성인 포유류의 이동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류, 포유류, 식물 및 식생의 측면에서 임도 개설에 의한 산림 생태계 내 서식하는 생물 종 변화에 관한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임도의 개설은 산림 내 서식하는 조류 군집에 단시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임도 개설로 영향을 받았던 조류가 천이과정의 안정화되고 준공 후 공사에 의한 소음이 줄어들게 되면 임도로 다시 유입될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임도는 식물 종의 증가 및 포유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임도 개설 시 산림 내 서식하는 생물 개체군의 효과적인 보호 및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① 임도의 노선 및 공법을 설정할 때 단절 되는 임도의 폭 및 임도 규모를 최소화하여 설계하여 환경 변화를 최소화 하는 방안, ② 임도 개설로 개방되는 상층 임관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는 임도변 교목의 유지 및 관리, ③ 임도 주변 관목을 서식 자원으로 이용하는 야생동물을 위한 관목층 조성, ④ 준공 후 무분별한 차량 통행 및 벌채, 임도 유지 보수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같은 인위적 방해요인 저감 방안 마련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임도 주변에 서식하는 생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이는 곧 환경지표종의 증가로 이어져, 임도 개설이 산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휠 베어링 액티브 센서 엔코더 고장유형분석을 통한 신뢰성 향상의 연구

        한승우 계명대학교 융합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Encoders for active sensors of wheel bearings apply to automotive systems including ABS and TPMS. Encoders are composed of magnetized rubber, metal (STS430) plates assembled into and providing support to a wheel bearing, and adhesives in between the rubber and metal plates. When magnetized with a permanent magnet, encoders do not fail in sensing wheel speed due to loss of magnet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 failure modes occur from error in wheel speed sensor due to the damage on the surface of magnetized rubber and interfacial separation between STS430 and rubber layer, both of which being caused by the usage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interfacial separation between magnetized rubber and metal plates of encoders, to search for methods to improve reliability, to design and perform acceleration mode tests using corrosion rate obtained from repetition tests, and finally to present test results that can achieve 10-year life duration. 휠베어링 액티브 센서용 엔코더는 자동차 ABS, TPMS 시스템등에서 적용되고 있다. 엔코더는 착자 된 자화고무와 휠 베어링에 조립되어 지지하는 금속환(STS430)의 경계면에 자화고무와 금속을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영구자석으로 자화 된 엔코더의 자기 특성의 손실에 의한 휠 스피드 감지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대다수의 고장 유형은 사용환경에 의한 자화 고무 표면의 손상, STS430과 고무 이종재간 계면 박리에 의해 휠 스피드 센서 신호 오류로 인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엔코더 자화고무와 금속환의 계면 박리 원인은 규명하고, 신뢰성 향상 방안을 도출하고, 재현시험으로부터 산출 된 부식속도를 대입하여, 가속시험 모드 설계하여 10년 수명을 만족할 수 있는 사양의 시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1972년 소위 ‘8·3조치’에 관한 연구

        한승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erms of economic aspect, ‘the 8·3 Measure’ destroyed the principle of free market economy. President Park jeonghee announced ‘the 8·3 Measure’ name of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Korean economy. Korean goverment gave an exceptional level of support with the company by using the national authority, but no restriction on the company's bad management. And except for Park Jeonghee and a few aides, it was advanced without knowing anyone. So ‘the 8·3 Measure’ was buried in the interests of Park and specific group that was supported by him. In relation to th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8.3 measure was implemented periodically with Yusin, announced two months later. It was a time to specially subscribe the business world in order to justify the political dictatorship as Park Jeonghee. ‘the 8·3 Measure’ was advanced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Korean economy and to improve the financial 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8·3 measure, it is necessary to explain how it helped to overcome the face crisis and improve the financial structure. At that time, the Korean economy was experiencing a crisis due to the international recession, and side effects by Park jeonghee’s forcible growth promotion policy. The problem of the fragile financial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required emergency coordination. ‘the 8·3 Measure’ was aimed at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and improving the financial structure. As a result, ‘the 8·3 Measure’ had brought about the effect of breathing in the crisis phase in the short term, but fundamentally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economy. In addition, ‘the 8·3 Measure’ gave an indulgence to corporate bad management. The funds that the government supports for companies eventually come out of taxes of the people, but the enterprises were able to receive government special fund support without any price. When time passed, the limits of ‘the 8·3 Measure’ became more clearly apparent. Problems of poverty and fragile financial structure, corporate enthusiasm and inefficient management seized the legs of the Korean economy as before. Eventually ‘the 8·3 Measure’ was failed economic policies that did not give special suppor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long run. ‘8·3조치’는 정부의 공권력을 사용해 민간의 사적인 계약을 강제로 파기하고 이해집단 일방에게 유리한 새로운 계약 관계로 대체한 파격적인 정책이었다. 또한 유신 체제의 출범과 비슷한 시점에 시행된 중요한 경제 정책으로서, 이후 1970년대 한국 경제의 진로 설정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렇듯 조치의 파격성과 중요성, 그리고 이후 70년대 한국 경제 구조의 형성 과정에 미친 영향을 고려해 볼 때, ‘8·3조치’가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8·3조치’는 경제, 특히 금융 측면의 문제를 시정하기 위한 정책이었던 만큼,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한국 경제가 처해 있던 상황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당시 한국 경제는 대외적으로는 국제적인 불황, 대내적으로는 박정희 정권의 무리한 성장위주 정책이 낳은 부작용들로 인해 위기를 겪고 있었다. 정부의 물가 억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이 이루어지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격차가 커져 갔으며, 자기자본이 부족한 기업들의 자금난과 부실화가 심화되어 갔다. 또한 한국 경제가 가진 허약한 금융 구조의 문제는 시급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은행을 제외한 다른 공적 자금 조달 통로가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었으며, 그나마도 은행은 낮은 저축률로 인해 은행의 자금 여력은 늘 충분치 않았다. 이렇듯 금융 제도 차원에서 자금 공급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는데도 정부의 개발로 인한 신규 사업 투자, 부동산 투기 등으로 인해 자금 수요는 급증하고 있었다. 부족한 자금 공급과 급증하는 자금 수요 사이의 격차를 공적 금융을 메워주지 못했고, 이 틈을 타서 급성장한 것이 사채 시장이었다. 사채는 비록 합법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공적 금융이 제공해주지 못하는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8·3조치’는 경제 위기의 극복과 금융 구조의 개선을 목표로 삼아 추진되었다. ‘8·3조치’의 주요 내용은 국가의 공권력을 이용해 기업에게 파격적인 수준의 지원을 해주는 대신, 기업의 부실경영에 대해서는 면죄부를 주는 것이었다. 기업인의 방만한 경영이 기업들의 부실에 상당 부문 책임이 있었음이 분명한데도, 정부는 기업인에게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은 채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고 채권자의 이해관계를 일방적으로 희생시켜 기업을 지원하는 조치를 실행한 것이다. 또한, ‘8·3조치’는 박정희와 소수의 측근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모르게 진행되었다. 조치의 결정과 시행은 오로지 박정희의 개인적인 결단에 의한 것이었다. 국가의 중요 정책이 단지 소수의 인원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점에서 ‘8·3조치’는 박정희와 그가 지원하는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에 매몰될 가능성이 농후했다. 이와 관련하여 ‘8·3조치’가 시기적으로 10월 유신을 두 달여 남기고 시행된 정책이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72년 8월은 박정희로서는 두 달 뒤에 있을 유신 발표 전에 정치적인 독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재계를 특별히 포섭해 둘 필요가 있었던 시기였다. 이는 한국 경제 전체적으로 볼 때 ‘8·3조치’의 효과가 의심되는 상황에서도 박정희가 이를 강행하는 배경이 되었다. ‘8·3조치’는 한국 경제의 위기를 극복하고, 금융 구조를 개선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진행되었다. 따라서 ‘8·3조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8·3조치’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 구조를 개선하는 데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8·3조치’에 따른 정책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기적으로는 기업을 위기 국면에서 한숨 돌리게 하였으며, 증권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여 금융 구조를 보강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다. 그러나 문제가 되었던 한국 경제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자금 수요를 증가시켰던 기업의 과다 차입 경영과 부동산 투기 문제는 근절되지 않았고, 자금 공급 부족을 야기했던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 지속, 가계 경제의 빈곤, 은행 예금의 부족 현상은 뚜렷하게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8·3조치’는 기업의 부실 경영에 대해서도 면죄부를 주어 기업인의 모럴 해저드를 심화시켰다. 부실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에는 당연히 기업을 부실한 상태로 만든 경영자의 책임을 묻는 절차도 포함되어야 하건만, ‘8·3조치’는 기업인들에게 어떠한 불이익도 가하지 않았다. 정부가 기업에게 지원하는 자금은 결국 국민의 세금에서 나오는 것인데도 기업은 대가 없이 정부의 특별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시간이 지나자 ‘8·3조치’가 가진 한계가 더욱 분명히 드러났다. 70년대 중후반이 되자 사채시장이 ‘8·3조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가계의 빈곤과 허약한 금융 구조의 문제, 기업들의 방만하고 비효율적인 경영이 예전과 다름없이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은 것이다. 그러나 ‘8·3조치’는 박정희 개인과 그 추종세력에게는 상당한 이득을 안겨 주었다. 재계는 유신이라는 박정희 독재 체제를 지지했으며, 이로 인해 민주주의가 훼손되는 것에도 별다른 불만을 표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70년대 정부 주도로 시행된 중화학 공업화 정책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이는 경제 성장을 통해서만 자신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박정희에게 큰 힘이 되는 것이었다. 결국 ‘8·3조치’는 박정희와 재벌을 비롯한 소수에게 이득이 돌아갔을 뿐,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 전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던 정책이었다.

      • 고출력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Li4Ti5O12의 제조 및 특성 연구

        한승우 嶺南大學校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n though carbonaceous material has been used as the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this battery shows low charge/discharge rate because of its layered-structure. On the other hand, Li4Ti5O12 can be a promising anode material for high rate battery owing to its 3-dimensional spinel structure along with the little volumetric change during lithium ion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processes. However, Li4Ti5O12 shows barriers for commercial application, such as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oretical capac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the solid-state synthesis of Li4Ti5O12 and, if possible, to mitigate these barriers, Li4Ti5O12 was synthesized by a solid-state reaction between Li2CO3 and anatase TiO2 as starting materials. Starting materials were milled by high energy milling and heat treated at 800°C for 3h in air with a heating rate of 5°C/min. Synthesized Li4Ti5O12 was evaluated by SEM, XRD and TEM. Assembled-cell after screen printing was evaluated by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measurements. In this study, 2 main questions were tried to be answered: 1) wheth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ould be enhanced by the incorporation of MWCNT and 2) whether the volumetric capacity could be increased by the spray drying for the starting materials. To elucidate the first question, MWCNT was added as a conductive material with the starting materials followed by the solid-state synthesis of Li4Ti5O12. Even though CNT is well-known for its high conductivity, the Li4Ti5O12 synthesized with MWC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y. For the second question, to improve the capacity and rate capability of lithium ion battery, high energy milling and spray drying for the starting materials were performed before heat treatment. It was found that these treatments were very effective to get a fine pure Li4Ti5O12 due to the decreased solid-state diffusion path and enhanced contact area among the starting materials. Moreover, the spray drying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fabricating the fine spherical Li4Ti5O12 which shows high specific capacity and fast charging rate.

      • 한국형 직업 선호도 검사 개발

        한승우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3차원 직업 흥미 구조를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직업 선호도 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기존 직업 흥미 검사들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Holland 이론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Holland 이론이 비교문화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연구가 보고 되어왔다. 둘째, 기존 직업 흥미검사들은 직업 명성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연구자들은 직업 흥미 구조의 3차원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Ⅰ에서 369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이용하여 182개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응답 받았다. 회전을 시키지 않은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발견되었다. 4개의 요인은 일반적 흥미 요인, 사람/사물 요인, 자료/사고 요인, 직업 명성 요인이었다. 56개의 활동 선호 문항을 주성분 요인 분석한 결과 4개의 요인이 나타났다. 4개의 요인은 사물요인, 자료요인, 사고요인, 사람 요인이었다. 직업 명성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해 10문항을 주성분 요인분석한 결과 1개의 요인이 나타났다. 확증적 요인분석결과 직업 흥미의 3차원 모델이 적합하다고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대학생들의 직업 선호와 활동 선호 영역을 3차원 모델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직업 차별의 존재를 직업 선호도 자료에서 검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 of three dimensional model of vocational interests and develop of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Holland's theory as based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 had some problems. The first, it has reported that Holland's theory did not fit cross-culture. The second, the existing vocational interest inventories did not consider occupational prestige. For solve this problems, researchers suggested three dimensional model of vocational interests. A sample of 3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preference to a sample of 182 occupational titles in Study I. The unrot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ducted 4 factors. The four factors were general interest, people/things. data/ideas, and occupational prestige factor. 56 items of activity preference was preform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was revealed four factors which things, data, ideas, and people factor. 10 items for estimated occupational prestige importance was perform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one factor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n't yielded for the fit of a three dimensional model of vocational interests. But occupational and activity prefer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could be represented in three dimensional model. In addition, the presence of occupational prestige could be verified in occupational preference data.

      • 초국경 세계유산의 특성

        한승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국경 세계유산(Transnational World Heritage)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중에서 국경에 걸쳐있거나 구성요소가 여러 국가에 분포한 유산이다. 초국경 세계유산은 국가 간 등재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2008년부터 우선적으로 등재되기 때문에 여러 국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2018년 기준 한국의 세계유산과 잠정목록 유산에서는 초국경 세계유산이 한건도 없다. 이 논문은 2018년 기준 37건이 있는 초국경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이하 OUV)와 특성을 유산의 등재기준, 진정성, 완전성 그리고 보존과 관리계획과 관련한 등재경향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초국경 세계유산의 등재기준은 다른 세계유산에 비해 자연유산 등재기준(ⅸ)의 적용이 두드러졌으며, 진정성과 관련해서는 ‘재료와 물질’, ‘형태와 디자인’의 요소들을 충족하는 사례가 많았다. 완전성 측면에서는 적절하지 못한 ‘관리계획’이 유산의 완전성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문기구 권고문을 살펴본 결과, 초국경 세계유산의 보존과 관리 측면에서 가장 많이 권고된 사항은 분산된 유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유산경계와 완충구역이 넓어야 한다는 ‘경계선 변경’에 대한 내용이었으며, 이외에도 ‘통합관리계획’, ‘당사국 간 협력’, ‘관리자원 확보’, ‘통합적인 연구’에 대한 권고사항들이 있었다. 등재경향에서 초국경 세계유산은 2018년 기준 전체 1,092건의 세계유산에서 3%의 등재비율은 보였다. 시기적으로 2005년부터 초국경 세계유산은 등재과정에서 유리한 지위로 인해 그 수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세계유산목록에서 문화와 자연유산 간 등재 격차를 완화하고 있었다. 자연유산은 전체 37건의 초국경 세계유산에서 47%의 구성 비율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유럽과 북미, 아프리카 지역이 초국경 세계유산의 등재가 두드러진 지역이었다. 아프리카의 높은 초국경 세계유산 비율은 식민지시대 만들어진 인위적인 국경을 자연유산이 걸쳐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등재방식에서는 유산의 경계선을 변경하는 확장등재의 적용 사례가 전체 37건의 초국경 세계유산 중 17건에서 실시되어 두드러졌다. 등재유형과 OUV 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초국경 세계유산의 특징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유산의 경계설정이 까다롭다는 점이다. 초국경 세계유산은 유산요소 결정에 국가제한을 받지 않고 국경과 관련한 입지 조건으로 광범위한 유산구역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은 유산 경계 설정을 까다롭게 만들었다. 둘째,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초국경 세계유산은 다수 국가에 유산이 분포한 경우가 많고, 국가 간 유산관리 환경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통합적인 유산관리가 필수적이다. 셋째, 초국경 세계유산은 세계유산목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초국경 세계유산은 다른 세계유산에 비해 문화‧자연유산의 등재 건수가 비슷하고, 아프리카에 많이 분포하여, 현재 유럽과 북미 위주의 세계유산이 많은 불균형을 완화해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초국경 세계유산에 대한 일관된 통합 관리와 보호를 위해 여러 국가에 걸쳐 효과적으로 구현된 유산경계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특정 지역과 유형에 치우친 세계유산목록의 불균형을 완화하는데 있어 초국경 세계유산의 역할을 주목한다. The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is defined as a heritage spanning national borders or distributing its components into more than two State Parties.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because of its advantageous status on the World Heritage nomination process since 2008, in such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As of 2018, Korea has neither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nor even on the tentative list. This paper examined the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list which accounted for 37 by 2018 both in terms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their characteristics on the nomination process in analysis of criteria, authenticity, integrity,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The result showed criteria (ix) that is applying to natural heritage was frequently applied prominent one than the others. The category to prove authenticity commonly contains 'materials and substance' and 'form and design'. The most considerable factor to fulfill integrity was mentioned as inappropriate 'management plans', which were furthermore related to advisory body's recommendation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commendations were including "border modification" in which property boundary and buffer zones should be wide enough to cover dispersed components as well as 'integrated management plan', 'cooperation between State Parties', 'securing management resources', and 'integrated Research' in association with management of the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The nomination process showed increasing rate of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from the World Heritage list, which took 3% out of 1092 in 2018. From the year of 2008, thanks to advantageous status of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for nomination process, the number has been growing to fill the gap between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and to make more balanced list. Natural heritage took 43% out of total 37 transnational ones. By region, Europe, North America and Africa stood out on the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List. Africa's high portion would be thanks to intrinsic nature of natural heritage cross the national boundaries which were artificially-draw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extension of property boundaries from the original was so notable that 17 extension cases out of 37 nominations were carried out.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operty boundaries effectively implemented cross several countries to ensure consist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protection for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Also, transnational World Heritage can play a crucial role to alleviate imbalance of World Heritage List both by regions and natural and cultural categories.

      • 1950년대 한국 농촌 지역사회의 역동성 : 이강운의 『삼계일기』를 중심으로

        한승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state power and peasant society during the Syngman Rhee administration through a diary. Rural research during the existing Syngman Rhee administration was mainly approach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Recent studies in the 1950s have shown a remarkable tendency to pay attention to the subjective responses of peasant society that are not captured in government policies. This study is in line with the tendency to examine the active role of peasant society that was influencing policy behind policy. This article uses the diary of Lee Kang-woon (1931-2015), who has long worked as a head of the Myeon in Samgye-myeon, Imsil-gun, Jeollabuk-do, when he was a soldier-related public official at the Myeon office. He kept a diary for about three years and four months from May 1, 1954 to September 9, 1957. From June 1951, when he was appointed as a public official, to June 1961, when he submitted his resignation letter for enlistment, Lee Kang-woon worked in the Samgye-myeon office for 10 years. As a result, many of the diaries are related to handling conscription work for residents of Samgye-myeon. However, the Myeon office was in charge of overall public affairs due to the nature of the lowest administrative agency, and Lee Kang-woon's diary also contains stories of not only military affairs but also various fields of work. In this article, three of the situations Lee Kang-woon faced in "Samgye Diary" were selected to track the dynamics of the community in Samgye-myeon, Imsil-gun, Jeollabuk-do in the 1950s. Lee Kang-woon, a civil servant of the myeon office, a low-leve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as between the state and the community. He performed various duties as a public official, but at the same time, as a resident and citizen living in a rural community, he questioned the unreasonable instructions of his superiors and expressed his feelings in a diary. In relation to the Land Incom Tax Law, not only Lee Kang-woon but also other public officials in the Myeon office were opposed to the policy, and eventually, the head of the Myeon office worked to collect the income tax less than the set tax rate. Lee Kang-woon wrote down his work, what happened around him, and his impressions on them in "Samgye Diary," showing that he was a mere public official, but he judged himself in it and resisted it in his own way if it conflicted with the instructions of his superiors. Lee Kang-woon was not alone in this way, but others in Samgye-myeon also had it. Lee Kang-woon may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outside society of Samgye-myeon and acquired less democratic mindset in the 1956 election, but he continued to maintain the subjectivity of the right to vote in his diary. Since elections are the most basic and core of democracy, Lee Kang-woon's efforts to continue to remember and maintain the people's right to vote have kept his faith in democracy despite the limitations formed by the times. From the state's point of view, local residents and low-level civil servant Lee Kang-woon were controlled, but they did not necessarily live in compliance with the state's rule. That didn't mean they were free to choose everything. The part dealing with elections in "Samgye Diary" shows the subjectivity of self-judging and acting within a given environment. From 1954 to 1957, when "Samgye Diary" was written, local residents were people who experienced direct war. For them, conscription was like being thrown before the threat of war. In addition, the recruitment of healthy young people in rural communities meant that the loss of labor would disrupt agriculture and reduce incom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poverty. The conscription system itself was not welcome, but in addition, complaints were spreading as the fairness of the conscription system was questioned due to the postponement of the recruitment of students. As a result, local residents responded to the state's conscription in various ways, and this response was evident by interacting with the officials of the Myeon office, the state's terminal administrative agency that meets local residents. Lee Kang-woon was in charge of delivering the enlistment warrant directly to the subject, so he was able to leave a more vivid picture of residents coping with the country's conscription in various ways in his diary. The case of "Samgye Diary" shows that the community in Samgye-myeon in the 1950s was not just lethargic and groaning at the n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war. Samgye-myeon, and even rural communities in Korea, had the dynamism to overcome the given environment and develop further. The dynamism was expressed by the residents' independent actual actions, resistance, and autonomy. 이 연구의 목적은 이승만 정부 시기 국가 권력과 농민사회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일기를 통해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기존의 이승만 정부 시기 농촌 연구는 정부의 정책을 중심으로 해서 접근한 것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최근의 1950년대 연구에서는 정부 정책에서 포착되지 않는 농민사회의 주체적 대응을 주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 연구는 정책 이면에서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농민사회의 능동적 역할을 살펴보려는 경향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이 글은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에서 오랫동안 면장으로 일한 이강운(李康惲, 1931~2015)의 면사무소 병사계 공무원 시절 일기를 사료로 삼고 있다. 그는 1954년 5월 1일부터 1957년 9월 9일까지 약 3년 4개월 동안 일기를 작성했다. 이강운은 공무원으로 임용된 1951년 6월부터 입대를 위해 사직서를 제출한 1961년 6월까지 10년 동안 삼계면사무소 병사계에서 근무했다. 그로 인해 일기의 많은 부분이 삼계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징집업무를 처리하는 일에 관련된 내용이다. 그러나 면사무소는 최하위 행정기관 특성상 전반적인 대민 업무를 도맡아 처리했고, 이강운의 일기에도 병사업무뿐 아니라 다양한 업무 분야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글에서는 『삼계일기』에서 이강운이 대면한 상황 중 세 가지를 꼽아 1950년대 전북 임실군 삼계면 지역사회의 역동성을 추적했다. 말단 행정조직인 면사무소의 공무원 이강운은 국가와 지역사회 사이에 있었다. 공무원으로서 자신이 해야 하는 여러 가지 직무를 수행했지만, 동시에 농촌 지역사회에 사는 주민이자 국민으로서 상부의 불합리한 지시에 의문을 품었고 그 감정을 일기에 술회했다. 임지토지수득세와 관련해서 이강운뿐만 아니라 면사무소 내의 다른 공무원들은 정책에 반감을 품고 있었고, 급기야 면장을 필두로 수득세를 정해진 세율보다 적게 거두는 일을 하게 된다. 이강운은 『삼계일기』에 자기 일과 주변에서 일어난 일,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감상을 적음으로써 그가 한낱 말단 공무원일지언정 직무를 수행하면서도 그 안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그것이 상부의 지시와 상충한다면 나름대로 저항하기도 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사고방식은 이강운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삼계면의 다른 사람들도 가지고 있었다. 이강운은 1956년 선거에 맞닥뜨려 삼계면 외부 사회에 관심을 덜 주고 민주주의적 사고방식을 덜 체득했을지언정 선거권에 관한 주관은 일기에서 계속해서 유지했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가장 기초이자 핵심이기 때문에, 국민이 가진 선거권을 계속 기억하고 유지하려 하는 이강운의 노력은 시대가 형성한 한계 속에서도 나름대로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을 지켰다고 할 수 있다. 국가의 입장에서 지역사회 주민들과 말단 공무원 이강운은 지배당하는 존재였지만 그들이 무조건 국가의 지배에 순응하며 살아간 것은 아니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모든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삼계일기』에서 선거를 다룬 부분은 주어진 환경 내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행위주체성을 잘 보여준다. 『삼계일기』가 쓰인 1954년~1957년은 시기상 지역주민들은 직접 전쟁을 겪은 사람들이었다. 이들에게 있어 징집은 전쟁의 위협 앞에 내던져지는 것과 같았다. 또한 농촌사회에서 건장한 청년이 징집되는 것은 노동력을 상실함으로써 농업에 차질이 생기고 수입이 줄어 빈곤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했다. 징병제 자체가 환영받지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여기에 더해 재학생 징집 연기제도 등으로 인해 징병제의 형평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불만이 확산하고 있었다. 그 결과 지역주민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국가의 징집에 대응했고, 이러한 대응은 지역주민을 만나는 국가의 말단행정기관인 면사무소 공무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강운은 입영 영장을 대상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업무를 맡았기에 주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국가의 징병에 대처하는 모습을 일기에 더욱 생생하게 남길 수 있었다. 『삼계일기』의 사례는 1950년대 삼계면 지역사회가 전쟁의 여파로 무기력하고 국가행정에 신음하기만 했던 게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삼계면, 나아가 한국의 농촌 지역사회는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역동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 역동성은 주민들의 주체적인 실제 행위, 저항성 그리고 자율성 등으로 표출되었다.

      • 만화를 활용한 미술수업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승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the nation's art education curriculum is aimed at fostering 'creative talent'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ccordingly, the core competence of the art subject is self-directed ability to learn art, understand art and culture, integrate creativity, aesthetics, and communicate visual skills.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roblems of each school. Art courses have become less important than college entrance exams, and students are perceived to be subject that is burdensome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tasks they have to take. Furthermore, adolescent students experience a crisis of losing confidence in their art expression and losing their motivation for voluntary art activities. In order for art classes to be more effective in learning, which are suffering from these problems, class research is neede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Cartoons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se problems. In addition to the print media, cartoons have achieved various contents such as TV animation, movies, dramas, and webtoon. It is a friendly medium that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books, TVs, computers, and smartphones, so it is enough to act as a window to approach and view art more easily. Cartoons, a culture that is familiar to students, show the full potential for interesting development and a diocese of artistic and educational value. In April 2018, we conducted an art class using cartoons at S Middle School in Gwangju. Prior to the class, the students were questioned in advance and 91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exposed to comics through various channels more than once a week, confirming to them that comics were a very friendly medium. As a result, the cartoon-related classes were conduc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students would be interested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classes, and their effects could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activity using cartoons, a medium that students are familiar with and prefer, is effective in generating interest and can aim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mprove concentration. Second, the high accessibility of comics means that they are easy to collect data and also have an advantage in repetitive learning. Students can easily access cartoons through various media, including TV animation,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s well as through books, which show the potential for classes and connections at school. Third, comic books do not require high craftsmanship unlike traditional paintings, so they have low entry barriers and a high level of art education. Fourth, it can help develop creativity and enhance technical description and form ability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producing characters, backgrounds, stories, and production that are components of comics. Today, cartoons are becoming more positive than negative harm or subculture in the past. The comic book market has become huge, with fast-evolving media technology as well as the silk printing media as well as the movie, game and drama media. Cartoons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culture for young students whose peers' cultures are important, and many have set their own career path. With the re-discovery of the educational aspects of comics and its role as a parish at various educational sites, art classes using cartoons have created interest and interest in art textbooks for students, I have high expectations that it will be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rt lessons by helping to avoid the blame for creative activities and demanding classes. 현재 한국의 미술교육과정은 15 개정교육과정으로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맞춰 미술과목의 핵심역량으로 자기주도적 미술학습능력, 미술문화 이해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적감수성, 시각적 소통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현장에서는 각 학교의 특성이나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미술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술교과는 입시교과에 밀려 중요성이 결여되었으며 학생들은 수행해야 할 과제가 늘어나 부담되는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더욱이 청소년기의 학생들은 자신의 미술표현에 자신감을 잃어 자발적인 미술활동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는 위기를 맞이하는 의사실기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겪고 있는 미술수업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는 수업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만화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볼 수 있다. 만화는 출판 인쇄매체뿐 아니라 TV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웹툰 등의 다양한 컨텐츠화를 이룩했으며 도서,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여러 경로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친근한 매체이기 때문에 미술에 좀 더 쉽게 다가가고 바라볼 수 있는 창구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충분하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문화인 만화는 흥미유발과 미술 교육적 가치가 있는 교구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자는 2018년 4월 광주 S중학교에서 만화를 활용한 미술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학생들에게 사전조사를 하였고 91%의 학생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만화를 접하고 있어 학생들에게 만화는 상당히 친근한 매체임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만화를 접목한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진행을 하였고 그 효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선호되는 매체인 만화를 활용한 창작활동은 흥미유발에 효과적이며 적극적인 참여와 집중력 향상을 노릴 수 있다. 둘째, 만화가 접근성이 높다는 것은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반복학습 또한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만화를 책뿐만 아니라 TV애니메이션, 인터넷,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학교에서의 수업과 연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만화는 전통적 일반 회화와는 다르게 높은 조형능력을 요구하지 않아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미술교육을 시행하는데 높은 접근성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만화의 구성요소인 캐릭터, 배경, 스토리, 연출 등을 이해하고 직접 제작하는 과정에서 창의성 발달 및 기술적 묘사와 형태력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오늘날 만화는 과거의 부정적인 유해매체나 하위문화가 아닌 긍정적인 매체로 다시금 발돋움하고 있다. 비단 인쇄매체뿐만 아니라 영화, 게임, 드라마 등 각종 영상 미디어 매체로 그 영향력을 펼치고 있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미디어 기술과 함께 만화시장은 거대해졌고 만화는 또래문화가 중요한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문화로 자리 잡혔으며 많은 학생들이 만화와 관련된 진로로 설정하고 있다. 만화의 교육적 측면의 재발견으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교구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이런 상황에서 만화를 활용한 미술 수업은 학생들의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창작활동에 대한 의지를 잃지 않고 과제 많고 귀찮은 수업이라는 누명을 벗어 던지는데 일조하여 미술교과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는 큰 기대를 품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