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산 용담과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한수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79

        한국산 용담과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한수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생명과학과 지도교수 원효식 용담과는 아열대 및 열대지역을 제외한 온대 및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전세계에 75속 1,000여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국내에는 용담과에 속한 6개 족(tribe) 중 용담족(Gentianeae)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담족내 2개의 아족인 용담아족 및 쓴풀아족에 속하는 7속 21분류군이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용담과 분류군 7속 21분류군 65개체를 대상으로 엽록체 rbcL, matK 유전자 구간 및 핵 rITS구간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이를 기존의 분류체계와 비교∙분석하였다. 상기 각 구간자료에 근거한 근린결합계통수 분석 결과, 국내 분포하는 용담과는 상기 3개 염기서열에 의해 아족 및 부분 속 수준에서 뚜렷이 구분되었으나, 대성쓴풀속과 닻꽃속은 쓴풀속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핵 rITS 구간에 의해 용담과 분류군들은 모두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용담속내 3개의 절, 쓴풀속내 3개의 절로 나뉜 바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분류체계에서 하나의 분류군으로 다루어 졌던 진퍼리용담은 용담의 이명으로 처리된 바 있고, 다른 속으로 나뉘었던 대성쓴풀속은 쓴풀속으로, 닻꽃속은 쓴풀속 내에 속하여 다계통군을 이루는 것과 일치하였다. 한편, 닻꽃에 있어서는 엽록체rbcL구간 및 핵 rITS구간에서 한국산 닻꽃과 중국산 닻꽃 사이에 염기변이가 나타나면서, 2개의 독립된 분계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닻꽃의 변이양상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국내 및 유라시아지역(중국, 일본, 몽골 및 러시아)에 분포하는 Halenia corniculata를 대상으로 외부형태 및 분자계통학적 연구 수행하였다. 형태 및 염기서열 분석 결과, 한국산 H. corniculata는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H. corniculata와 Halenia 속의 주요 식별형질인 거와 잎, 엽두의 형태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엽록체 rbcL 구간과 핵 rITS, XDH구간 모두에서 독립된 염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ITS 구간 염기서열 계통수 상에서 한반도에 분포하는 닻꽃은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H. corniculata의 자매군을 형성하면서 뚜렷이 구분되었고, Halenia속 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닻꽃속 1종을 신종으로 발표한다. Chapter 1. 한국산 용담과 식물의 바코드 염기서열 분석 한수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생명과학과 지도교수 원효식 용담과는 아열대 및 열대지역을 제외한 온대 및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전세계에 75속 1,000여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국내에는 용담과에 속한 6개 족 중 용담족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담족내 2개의 아족인 용담아족 및 쓴풀아족에 속하는 7속 21분류군이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용담과 분류군 7속 21분류군 65개체를 대상으로 엽록체 DNA rbcL, matK 및 핵 DNA ITS구간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이를 기존의 분류체계와 비교∙분석하였다. 상기 각 구간자료에 근거한 근린결합계통수 분석 결과, 국내 분포하는 용담과는 상기 3개 염기서열에 의해 아족 및 부분 속 수준에서 뚜렷이 구분되었으나, 대성쓴풀속과 닻꽃속은 쓴풀속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ITS 구간에 의해 용담과 분류군들은 모두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용담속내 3개의 절, 쓴풀속내 3개의 절로 나뉜 바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분류체계에서 하나의 분류군으로 다루어졌던 진퍼리용담은 용담의 이명으로 처리된 바 있고, 다른 속으로 나뉘었던 대성쓴풀속은 쓴풀속으로, 닻꽃속은 쓴풀속 내에 속하여 다계통군을 이루는 것과 일치하였다. 한편 엽록체rbcL구간과 핵 ITS구간의 계통수에서 한국산 닻꽃과 중국산 닻꽃에서 염기서열간 변이가 나타났으며, 두 개의 clade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닻꽃 내 두 종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를 통한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DNA barcoding analysis on Korean Gentianaceae Han, Su-Mi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Won, Hyosig (Abstract) The family Gentianaceae is a species-rich plant group which consists of approximately 1,000 species of 75 genera with worldwide distribution. In Korean peninsula, it comprises 21 species of 7 genera, in one tribe Gentianeae. There are many differed opinions about classification of Gentianaceae among the taxonomists as well as many taxonomic problems have occurr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ree regions (chloroplast regions - rbcL, matK, and nrITS) to distinguish taxa, and compared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s based on morphology in Korean Gentianaceae. As a result, the Korean Gentianaceae taxa were clearly separated within section level on nrITS region, partially suppor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by Paik, who classified genus Gentiana into three sections, and genus Swertia into three sections. In addition, our study supported Gentiana scabra f.stenophylla as a synonym of Gentiana scabra, and the genus Annagallidium transferred to the genus Swertia, as well as the genus Halenia was placed in the genus Swertia, recognized as a polyphyletic genus in Gentianaceae. However, Halenia corniculata were divided into two clades and this result showed possibility of two distinct species, it should be confirmed through further studies. Chapter 2. Halenia coreana (Gentianaceae), a new Halenia species from Korea: Evidence from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Han, Su-Mi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Won, Hyosig A new species of the genus Halenia (Gentianaceae) from Korea, H. coreana Han, Won & Lim, 2018 is recogniz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It’s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provided herein. Halenia coreana is differs from H. corniculata in having long, narrower and incurved spurs and attenuated leaf apex. Molecular sequence data of nuclear ribosomal ITS region, nuclear XDH gene, and chloroplast rbcL gene also strongly support the H. coreana as a distinct species from H. corniculata. Halenia coreana (Gentianaceae), 한국산 닻꽃속 신종: 형태학적 데이터와 분자 데이터의 증거 한수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생명과학과 지도교수 원효식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유라시아지역(중국, 일본, 몽골 및 러시아)에 분포하는 Halenia corniculata를 대상으로 외부형태를 비교분석하고, 엽록체 DNA rbcL, 핵 DNA ITS 구간, XDH 구간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형태 및 분자계통 분석 결과, 한국산 H. corniculata는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H. corniculata와 Halenia 속의 주요 식별형질인 거의 형태 및 잎과 엽두의 형태에서 뚜렷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자계통 분석을 위해 확보한 엽록체 DNA rbcL, 핵 DNA ITS구간, XDH구간 모두에서 독립된 염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TS 구간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에 분포하는 닻꽃은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H. corniculata 와는 자매군을 형성하면서 뚜렷이 구분되었고, 남미대륙에 분포하는 Halenia 속 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부형태 및 분자계통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닻꽃속 1종을 신종으로 발표하고자 한다.

      • 한수민의 졸업 작품, 「가면무도회」 해설

        한수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3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각 곡의 창작 배경과 형식, 선율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창작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졸업 공연의 전체 주제는 “가면무도회(Masquerade)” 이다.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며 저마다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가면이라는 익명성에 의존한 채 삶을 살아간다. 이에 가면 속에 숨겨진 내면의 순수한 모습과 감정을 가면에 숨기고 살아가는 모습, 가면을 벗지 못한 채 중독되어 버린 모습을 각3곡에 담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3곡은 모두 본인의 창작곡이며 Piano, Guitar, Bass, Drum 쿼텟(Quartet) 구성으로 편성하였다. 작품 전체의 흐름을 통일 하되, 각 곡의 이미지를 다양한 분위기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론을 통해 각 작품의 창작 배경과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 기업개성(Corporate Personality)에 관한 연구 : 기아자동차 사례를 중심으로

        한수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 Formbrun(1996)이 명성 연구소를 설립하여 ‘Corporate Reputation Review’를 발간한 이래 많은 학자들이 기업명성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해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업 명성에 관한 관심은 학계의 학자뿐만 아니라 각종 매채에까지 폭넓게 확장되었다. 기업명성에 관한 관심의 증가는 기업의 명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을 요구하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많은 학자들은 기업의 명성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지표인 명성지수를 개발해왔다(Fombrun,1996; Deephouse,2000; Davis,2003).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연구 초반부에는 기업명성(Corporate Reputation)이라는 개념과 기업명성과 오랜 시간 혼용되어 사용되어온 기업의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 기업이미지(Corporate Image)와의 비교를 통해 기업명성의 개념을 정의한 문헌들의 정리를 통해 기업명성의 정의를 확인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기업명성을 측정하는 도구들 중 기업(브랜드)개성의 개념을 활용한 학자들의 주장과 그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기업인성척도를 우리나라 자동차 생산 기업인 기아자동차에 적용해봄으로써 (1) 국내의 실정에서도 이 척도가 유의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확인하고 (2) 기아자동차의 전반적인 개성을 연구한 후 (3) 내부그룹과 고객그룹간 인식하고 있는 기업 개성의 차이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Gary Davies가 2003년 개발한 기업 개성 척도 (Coporate Personality Scale)를 기초로 작성된 설문지를 기아자동차의 내부, 외부그룹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이를 통한 확증적 요인분석의 결과, 기아자동차의 고객그룹과 내부그룹간 기업 개성에 대해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통합된 관측변수와 잠재변수들간의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능력(확신, 안전, 근면, 의욕적, 성취, 리더십, 전문성, 단결력), 호감도(활력, 상냥함, 개방적, 솔직, 타인, 든든함, 협력심, 유쾌함, 정직함, 성실함, 신뢰성, 책임감), 적극성(신선함, 유행, 젊음, 창조성, 현대적, 재미, 혁신성, 외향적, 용감함) 그리고 스타일(매력, 멋짐, 고급, 유명함, 고가, 세련됨, 고상함, 엘리트)이 두 그룹에서 기아 자동차 브랜드 개성을 이루는 중요요소로 확인되었다. 반면 남성다움(남성적, 강인함, 거칠음)과 비공식성(자유로움, 간결함, 수더분함)과 같은 요소들은 개인그룹과 내부그룹 모두에서 기아자동차 기업개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의 설명력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냉정함(거만함, 공격적, 자기중심적, 내향적, 권위적, 지배적)은 고객그룹에서는 기아자동차 개성요소의 다른 요소들과 반대의 성향을 나타냈으며 내부그룹에서는 기아자동차의 기업개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명성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가 시작된 지 10년 이상이 지났지만 아직도 기업명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일치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들어 기업명성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지만 실제 기업의 명성을 측정해내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명성과 기업개성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기업개성으로 기업명성을 관리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Since 1997, literature and research on the concept of ‘Corporate Reputation have been flourishing, and its specific scales have gone into widespread in academic circles. This study reviews different viewpoints in the marketing literature in an attempt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corporate reputation and identity its relationship with corporate imag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measure the KIA Motors Corporate Personality, using as a framework, the Corporate Personality Scale developed by Davies(2003).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groups in the internal part and the external part of KIA motors. Surveys of 1208 customers and 88 employees are used of provide data. According to this study, gaps both customers and employees think about KIA corporate personality have been noting. Between the two parts have been seen as strong competence, agreeableness, enterprise, chic and weak ruthlessness, machismo.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rporate personality scales and the items used to measure them are discussed, including as analysis of those aspects of KIA Motors’s corporate character that correlate with customers and employee satisfaction

      • 커피 전문점 모바일 앱 이용자의 지속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수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Mobile application services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changes in the field of dining out and ordering food and beverage are one of the mobile applications of innovative channels that can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to customers by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s.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mobile Internet has led to a significant change in customers' shopping and payment forms and a surge in adoption of various types of mobile application technologies. As more and more coffee shops aim for mobile shopping, consumers want to maintain a continuous mobile shopping experience, and understand what factors affect consumers' purchases. Among the franchises that use mobile apps in coffee shops, Starbucks is the most used by customers, and the use of mobile apps is increasing in other coffee shops. A growing number of brands are using mobile apps for coffee shops, but research on what factors or practices should be applied is insufficien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predict customer intentions by measuring the customer indirect experience and the customer direct experience as additional variables when using the expand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coffee shop mobile app users and studies which factors affect the continuous use of mobile apps. A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mobile applications at coffee shops from July 26 to July 31, 2022 and 344 data was gathered. SPSS 26.0 and SmartPLS 3.0 were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an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The research model set customer experience factors as additional variables, focusing on the expand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sub-factors were set as variables to represent customer direct and customer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e proposed hypotheses,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promotion conditions, and habitual use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user satisfaction, which is a parameter. In accepting the technology of the application, the promotion conditions showed the greatest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and then the habitual use showed the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Social impact and price value did not have a positive (+) effect on user satisfaction. Hedon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but the path coefficient was rejected as (-0.145). Customer indirect experience and customer direct exper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is difference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process that leads to search and order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 stable situation where it is not difficult to use mobile apps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devices and ICT technology. This is because price value can be accumulated despite continuous use, but price discount benefits are not achieved This study focused on applying the extend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e coffee shop mobile application, added customer experience to empirically verify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coffee mobile application, recognizing the positive value of the service use, and more satisfying the use of the mobile application. In conclusion, the mobile application of coffee shops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the enjoyment and pleasure of consum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and the more they use the mobile application in terms of price value, the more financial benefits they give to loyal customer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use it and create new customers. From an individual's point of view, various services such as price discounts for each member grade should be provided, and their shopping experience through the platform of the mobile app should be connected to a social network to give interest and attention to consumers based on customer trust,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The study focused on applying the expand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applied the IT acceptance model to the food and beverage field to integrate it with mobile applications to empirically verify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laid theoretical foundations and grounds. Second, based on the expand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role of online review, which is a sub-factor of customer direct experience, relationship experience, and customer indirect experience in online and offline, was studied together.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first, if the customer experience factors are further subdivided to study online and offline side effects by franchise, good results of the experience factors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franchise, so I feel the need for various detailed research on the customer experience factor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research models in the food and beverage sector by studying what alternative models of the UTAUT2 model are. Third, s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rol effect, research on various control effects is needed, and a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find out how customers can adjust their experien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ver time. 외식이나 식음료 주문 분야의 기술 변혁이 낳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여 고객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채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의 하나이다. 모바일 인터넷 등 이동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고객의 쇼핑과 결제 형태가 크게 바뀌고,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술과 채택이 급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모바일 쇼핑을 지향하는 커피 전문점이 많아지면서 지속적인 모바일 쇼핑을 유지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의지는 더 필요하며, 어떤 요소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커피전문점에서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프랜차이즈 중에는 스타벅스가 가장 많은 고객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커피 전문점에서도 모바일 앱의 사용이 점점 늘고 있다. 커피 전문점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브랜드가 늘고 있으나, 어떤 요소나 관행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논문은 커피 전문점 모바일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의 독립변수와 온라인에서와 오프라인상에서의 모바일 앱을 사용할 경우 고객 간접 체험과 고객 직접 체험을 추가 변수로 측정하여 고객의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주요 요소를 식별하고, 경험적으로 테스트한 것을 바탕으로 어느 요소가 모바일 앱의 지속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커피 전문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2년 7월 26일 ∼ 7월 31일까지 비대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44건의 데이터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 SPSS26.0와 SmartPLS 3.0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설문 내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경로 분석을 통하여 요인들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델은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의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쾌락적 동기, 가격 가치, 습관을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경험의 영향력을 나타내고자 고객 직접 체험과 고객 간접 체험을 추가 변수로 설정하고, 매개변수로는 사용자 만족을 종속변수로는 지속 사용의도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가설 중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촉진 조건, 습관적 이용은 매개변수인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모바일 앱의 기술을 수용함에 있어서는 촉진 조건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습관, 노력 기대가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사회적 영향, 가격 가치는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쾌락적 동기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경로계수가 (-0.145)로 기각되었다. 고객 간접 체험, 고객 직접 체험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기기 및 ICT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데 무리가 없을 만큼 안정된 상황에서 단시간에 걸쳐 검색과 주문, 결제로 이어지는 프로세스이기에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는 주변 지인의 영향을 받아서 사용하거나 모바일 앱을 사용하면서 즐거움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가격 가치에 대한 결과는 모바일 앱은 편리성으로 인해 모바일 앱을 지속해서 사용하여 적립이나 쿠폰 사용은 가능하나 실질적인 가격할인 혜택 등이 부족하기에 나온 결과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커피 전문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고객 체험을 추가하여 지속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적 검증을 하고 커피 모바일 앱의 구조적, 외형적, 편리성 등이 주는 다양한 인식이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에 긍정적인 가치를 인식하여 모바일 앱의 이용을 보다 더 만족하고, 이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어떠한 요소가 지속 사용하게끔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커피 전문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즐거움과 쾌락적인 요소를 증진해야 하며, 가격 가치 측면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수록 충성고객에는 경제적인 혜택을 주어 지속적 이용을 기대하게끔 하며 더불어 신규고객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기획, 디자인되어야 한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더욱 높은 이용성 증대를 위해 회원 등급별로 가격할인 등을 진행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고, 모바일 앱의 플랫폼을 통한 그들의 쇼핑 체험은 소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는 마케팅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여겨진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식음료 분야에 IT수용모형을 적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융합하여 사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적 검증을 하고 이론적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바탕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느끼는 고객 직접 체험의 감각, 감성, 행동, 관계적 체험과 고객 간접 체험의 하위요인인 온라인 리뷰의 역할을 검증하고 온라인 등급 및 온라인 추적의 고객 간접 경험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의 만족과 지속 사용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함께 연구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이 논문의 성격은 단면적이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객의 인식이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정확한 관점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고객 체험 요인을 좀 더 세분화하여 프랜차이즈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측변을 연구한다면 프랜차이즈에 따라 체험 요인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므로 향후 고객 체험 요인에 관한 세분화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둘째, UTAUT2 모델의 대체 모형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연구하여 식음료 부분의 다양한 연구모형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조절효과에 따라 연구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절 효과의 연구가 필요하며, 고객이 시간 경과에 따라 경험, 인식 및 만족도를 어떻게 조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종적 연구가 필요하다.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전략 사용 연구 :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수민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communicate effectively in Korean. Listening is important as a basic function of language.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trategies for better listening comprehension. This study's purposes were to identify ways to help Korean instructors teach listening comprehension more efficiently - and to elicit methods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improve their overall listening skills by looking for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level individuals’ listening strategies and understanding of listening. This study employed surveys and listening tests targeting intermediate level Chinese students studying Korean in universities. It also examined the various listening strategies utilized by these students. Finally, statistics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compil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common strategies used were Compensation and Affective Strategies, and the least common strategies that instructors need not teach or practice were Memory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Furthermore, a variety of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learner's listening strategies. Learners who we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utilized more strategies than those who were not. The former group especially utilized Cognitive, Memory and Social Strategies. Furthermore, learners who study only Korean listening utilized Cognitive and Social Strategies more. Students were placed into one of two categories based upon their level of listening proficiency: high and low-level. Generally,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utilized listening strategies more than those in the low-level group, especially Cognitive, Memory and Affective Strategies. Additionally, to discover which strategies were most effective for improving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the researcher examined those utilized by the learners. As a result,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more actively utilized a variety of strategies to solve listening problems than those applied in the low-level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t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strategies utiliz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econd, it contributes basic data to Korean education. Secondly, it is hoped that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will utilize this study to more effectively improve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가장 기본적인 언어 기능인 듣기 기능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전략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듣기전략의 전체적인 양상과 듣기 숙달도에 따른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일반적인 듣기전략 및 듣기문제 해결전략의 사용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듣기 교수 학습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계획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국내 대학에서 공부하는 한국어 중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듣기시험 및 설문지를 이용하여 듣기전략의 사용 양상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은 보상 전략과 정의적 전략이었으며, 학습자들이 가장 적게 사용하여 가르치고 연습할 필요가 있는 전략으로는 언어 학습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기억 전략과 인지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변인에 따른 듣기전략 사용 양상의 분석 결과, 한국어 및 한국어 듣기 학습에 대해 흥미가 있는 학습자일수록 전략의 활용이 많았으며, 특히 인지 전략, 기억 전략, 사회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듣기 학습을 따로 하고 있는 학습자들에게서 인지 전략과 사회적 전략의 활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숙달도에 따른 상·하위집단의 일반적인 듣기전략의 사용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전략을 더 많이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였고, 특히 인지 전략, 기억 전략, 정의적 전략의 사용이 많았다. 아울러 듣기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유용한 전략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하위 집단의 문제유형별 정답률과 듣기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았는데 듣기문제 해결 시에도 상위집단이 더 적극적으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문제유형에 따라 유용한 전략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듣기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보여주고 한국어 듣기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교육현장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이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전략 교수 설계와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 전국시대 말기 시마즈 가문 내부 권력 구도 고찰 : 시마즈 요시히사의 후계 상속을 중심으로

        한수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후계를 세우는 것은 지배 권력의 견고함을 나타내기 위한 가장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수단이다. 혈연에 근거한 권력의 세습 형태에서 후계 문제는 가문의 존속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사안이었다. 시마즈씨는 14대 당주의 가독 상속 문제에 유력 분가가 가담해 가독 상속 전쟁이 벌어진 예가 있었다. 연이은 당주의 급사로 당주의 지배 기반이 약화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는데, 이 가독 상속 전쟁에서 승리한 15대 당주 시마즈 다카히사(島津貴久)의 아들이 시마즈 16대 당주 시마즈 요시히사(島津義久)다. 본고에서는 시마즈 요시히사(島津義久)의 후계 상속을 중심으로 전국시대 말기 시마즈 가문 내부의 권력 구도를 살폈다. 요시히사는 아들이 없어 가독 계승자를 지정할 수 없었던 상황을 역이용해 손아래 동생인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를 내세워 본인의 지배 권력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 시마즈씨의 규슈 통일 전쟁을 더 효율적으로 진행하고자 했다. 요시히사는 1585년 요시히로를 묘다이(御名代)에 임명해 당주의 권한을 대리 행사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했다. ‘묘다이’란 그 형태가 확실히 제도화 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당시 시마즈씨가 임명한 ‘묘다이’의 개념은 가독 상속 의도를 내포한 지배 권한의 대행, 혹은 지배 권한의 대행자로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요시히로는 1585년 슈고다이라는 직책에 당주의 대리자로서 행사할 수 있는 ‘묘다이’라는 권한을 부여 받은 것이다. 요시히로는 시마즈씨 내부에서 일찍부터 군사적인 역할에 기대를 받았다. 당시 히고(肥後) 방면으로의 영토 확장이 진행 중이었는데, 요시히로의 묘다이 수행 업무 내용은 주로 히고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 이 점은 이 영토 확장 전쟁 중의 신속한 명령 체계 구축이 주목적이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요시히로는 묘다이로서 당주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당주의 고유 권한인 소령안도, 종교정책, 관직 임명 등에도 결정권을 가지게 된다. 시마즈씨는 노중(老中)이라고 하는 가신단 필두의 회의 기구인 담합(談合)을 거쳐 모든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했는데, 이 담합의 결정을 보고받는 인물은 항상 당주였다. 이를 ‘출사(出仕)’라고 한다. 동시대 사료에서는 요시히로가 출사의 대상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곧 요시히로가 당주에 준하는 지위에 있었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요시히로가 독단적으로 자유로운 결정권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요시히로의 묘다이 권한 행사는 요시히사의 부재(不在)중에만 유효한 것이었다. 요시히사의 후계를 상속한 것은 요시히로의 아들 시마즈 다다쓰네(島津忠恒)였다. 아들이 없었던 요시히사는 다다쓰네를 사위로 맞아 가독을 계승하게 했는데, 여기에는 도요토미(豊臣) 정권의 개입이 있었다. 도요토미 정권이 요시히로를 신뢰하고 우호적으로 대했던 반면, 당주인 요시히사는 그 신뢰 관계가 두텁지 못 했다. 다다쓰네가 가독 계승한 것은 1599년 2월이었는데, 이 가독 양도는 형식적인 것이었다. 가독 양도 후에도 요시히사는 시마즈씨의 실권 군주로서 절대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다다쓰네가 직접 정치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1611년 요시히사의 사망 이후였다. To designate a successor has always been the most basic and the most typical means of solidifying one’s power. However, succession by proximity of blood was not only a question of maintaining one’s family line. It was also an important political issue. A succession war over the 14th head of the Shimazu clan carried out by a powerful branch of the family is a good example. The war was caused by a consecutive series of sudden deaths of the family heads which weakened their power foundation. Shimazu Takahisa won the succession war and became the 15th head of the Shimazu clan. Shimazu Yoshihisa was his son and the 16th head of the clan. In this study the internal power structure of the Shimizu clan after Shimizu Yoshihisa in the late Sengoku period is examined. Yoshihisa did not have a son who could succeed him. However, he managed to use the unfavorable situation to nominate his younger brother as his successor and strengthen his power foundation as a result, and also fight the Kyushu conquest war more effectively. In 1585 he appointed Yoshihiro as a myodai which granted him a position to exert power instead of the head of the clan. The concept of ‘myodai’, although not firmly established at that time, was used by the Shimizu clan to mean an agency or an agent with authority to rule who was also eligible for succession. In 1585 Yoshihiro became a shugodai with the title of ‘myodai’ with authority to exercise power instead of the clan head. The Shimazu clan from the very beginning expected Yoshihiro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ilitary affairs. At that time the clan was fighting a territorial expansion war over the Higo region. Because of that Yoshihiro’s responsibility as myodai was mostly limited to that area. The primary goal was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of command that would help the clan win the war. Yoshihiro as a myodai was granted similar rights to those of the head of the clan. Among them were recognition and guarantee of ownership of the inherited estate, religious policy, and the granting of public positions. Rozyu of the Shimizu clan used to discuss and make all their decisions through a council called Dango. The council had to report all its decisions to the head of the clan. The process was called shutshi. Historical records of that time mention Yoshihiro as the one who received reports from the Rozyu. Thus, it can be said that Yoshihiro was treated like a head of the clan. However, Yoshihiro did not have ultimate freedom over the decision making process. He was allowed to make decisions as a myodai only when Yoshihisa was not present. The actual successor to Yoshihisa was Shimazu Tadatsune, the son of Yoshihiro. Yoshihisa had no sons. Thus, the Toyotomi government ordered Yoshihisa to appoint Tadatsune as the next head of the clan. The Toyotomi government had confidence in Yoshihiro but its relationship with Yoshihisa was harsh. Tadatsune formally became the head of the Shimazu clan in February 1599 but Yoshihisa remained the one who yielded the actual power. It was only after Yoshihisa’s death in 1611 that Tadatsune was finally able to exert a direct rule.

      • 청년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 일자리특성과 인적자본특성을 중심으로

        한수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focusing on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The study conducts by utilizing the raw-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nd Wave 1th) in 2016 and 684 young adult disabled wage workers aged 19 to 39 were surveyed. In research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precarious work that meets all criteria for wage instability, employment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job characteristics (type of occupation, size of enterprises, labor union) and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age, disability type, disability level). SPSS 18.0 was used as a tool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d test, t-test,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prec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23.2% of the total young adult disabled wage workers are in wage instability, 49.1% of those who are in employment instability, and 27.3 percent of those who are in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unstable and non-unstable group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stable and non-unstable group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age, disability type, disability level), job characteristics (type of occupation, size of enterprises, labor union),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Thir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showed that type of occupation, size of enterprises, certificat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sex, and disability types affected. Fourth,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in enterpris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and service and sales, elementary job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precarious work.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if they do not have a certificate,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in precarious work. Also,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carious work, and as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precarious work declined. Sixth,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men and the mentally disabled(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mental disorder)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precarious work.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for young disabled workers who work in small workplac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and services, sales, and elementary job which are shown to be vulnerable to precarious work. And also, job creation should be expanded to larger businesses. Second, rather than supporting the higher education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new jobs should be developed as a result of industrial change a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llowing industrial changes at public and private training institutions and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institutes. Also, It should seek ways to match jobs that can suit the aptitude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to maintain jobs, and to provide job security for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in services, sales and elementrary jobs, small-business. Third, individual support for young adult women and mentally disabled is needed. Women and the mentally disabled need to create jobs in the public sector and social enterprises for low employment rates and the high possibility of precarious work.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by conducting study on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in the face of lack of study on young adult disabled people. Second, unlike the existing studies on instability in the disabled labor market, that precarious work multi-dimensionally consisted of wage instability, job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is significant. Thi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further destabilize the disabled labor market, and the generation most vulnerable to this change will be the younger generation. Therefore, it is timely to study precarious work for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Fourth, it is meaningful that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and affecting factors can be analyzed empirically for improving precarious work.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youth and dis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m with youth without disabilities, the disabled middle aged, disabled elderly.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by comparing them with youth without disabilities, the disabled middle aged, disabled elderly. Second, this study analyzes precarious work by dividing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into unstable and non-unstable workers. however, the level of instability can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wage instability, job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e level of precarious work can not be varied. In addition, even workers classified as non-stable work groups can not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ir work is all stable. 본 연구는 청년 장애인의 불안정 노동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자리특성과 인적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청년 장애인의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2016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1차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만19세~만39세의 청년 장애인 임금 근로자 684명이다. 연구설계에서 종속변수는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의 기준에 모두 해당되는 불안정 노동이다. 독립변수는 일자리 특성(직종, 사업체 규모, 노동조합 유무)과 인적자본 특성(학력,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이며,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유형, 장애정도)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불안정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청년 장애인 임금근로자 중 임금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은 23.2%, 고용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은 49.1%, 사회보험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은 27.3%로 나타났고,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에 모두 해당하는 불안정 노동자의 비율은 13.2%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한 노동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유형, 장애정도), 일자리 특성(직종, 사업체 규모, 노동조합 유무), 인적자본 특성(학력,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 모두 불안정한 노동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종, 사업체 규모,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 성별, 장애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자리 특성 중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 5인 미만의 사업체의 청년 장애인 근로자가 불안정 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섯째, 인적자본 특성 중 자격증을 보유하지 않을 경우 청년 장애인 근로자가 불안정 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속기간은 불안정 노동과 부적관계를 형성하며, 근속기간이 증가할수록 불안정 노동에 속할 확률이 감소했다. 여섯째, 개인적 특성 중 여성과 정신적 장애인(지적장애, 자폐성(발달)장애, 정신장애)이 불안정 노동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노동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과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청년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일자리 창출이 대규모 사업체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청년장애인의 고등교육을 지원하기보다 산업변화에 따른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고 장애인 고용공단 산하의 공공, 민간훈련기관과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이에 맞춘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년 장애인 근로자가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성에 부합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매칭하고, 근속기간이 짧은 직종과 소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청년 여성, 정신적 장애인에 대한 개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여성과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 취업률도 낮고, 취업을 불안정 노동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공공부문과 사회적 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장애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청년 장애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청년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연구와 달리 불안정 노동을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으로 구성하였고, 이들 조합으로 구성된 불안정 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으로 장애인 노동시장은 더욱 불안정 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변화에 가장 취약한 세대는 청년 세대 일 것이다. 따라서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은 시의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과 이에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불안정 노동을 개선하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장애인 근로자는 청년의 특성과 장애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비장애 청년과 중장년층, 노년층의 장애인과의 비교가 필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청년 장애인 근로자만을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장애 및 비장애 청년, 중장년층 및 노년층 장애인과의 비교를 통해 청년 장애인의 특성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년 장애인 근로자를 불안정한 노동자와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자로 이분화하여 불안정 노동을 분석한다. 그러나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의 조합에 따라 불안정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불안정 노동의 수준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으로 분류된 근로자라도 이들의 노동이 모두 안정적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없다. 셋째, 연구결과에서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인적자본 특성보다 일자리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인적자본 특성인 학력,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의 편차가 크지 않아 인적자본 특성의 영향력이 일자리 특성보다 적게 나타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 가족생활교육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수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식기반사회로 불리는 현대사회에서 문제해결 및 문제 상황 개선, 그리고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지속가능한 지식으로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실천적 지식은 가정생활, 직업생활 등 개인이 위치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최선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지식으로서 매우 중요하지만 그동안 실천적 지식이 단편적인 행동 수행이나 성과 도출을 위한 지식으로 왜곡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에 대한 본질적 개념을 정립하고,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 실천적 지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실천적 지식의 개념, 요소, 구성 원리를 밝히고, 2)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도출하여, 3) 이를 중심으로 실천적 지식 구성을 돕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에 기반한 형성적 연구방법론이 사용되었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및 이론적 탐색을 통해 실천적 지식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개념 정립을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한 원리를 중심으로 모형의 설계 요소와 설계 전략을 구체화하여 원형 모형을 개발하고, 원형 모형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셋째,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보완된 원형 모형에 따라 수업사례 개발 및 적용을 한 후 결과 자료를 통해 원형 모형의 강점, 약점 및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원형 모형을 수정 및 보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모형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천적 지식에 대한 개념 정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지식이란 올바른 실천을 통한 문제해결 및 문제 상황 개선을 위한 지식으로서 구체적인 실천을 위한 ‘실천방법’과 함께 아크라시아에 빠지지 않는, 즉 욕구에 종속되지 않고 올바른 문제해결 및 문제 상황 개선을 위한 실천을 추구하는, 이성에 따른 ‘실천 가치’로 이루어지는 지식으로 정의된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요소는 ① 실천적 지식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실천 방법’, ‘실천 가치’이다. ② 실천적 지식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상황적 근원’, ‘개인적 근원’, ‘경험적 근원’, ‘이론적 근원’, ‘사회적 근원’이다. ③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요소로서 학습주제 및 실제 당면하는 문제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지식’, ‘가치’, ‘실천경험’, ‘구체적인 실천계획’, ‘실천 및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이다. 셋째, 실천적 지식의 구성 원리는 이론, 가치, 그리고 실천경험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문제 상황 및 맥락에서 이를 반영한 올바론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 그리고 이에 따른 실천 및 꾸준한 반성적 실천으로 이루어진다. 2)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는 ① ‘자발성의 원리’,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문제 인식,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실천가치 및 실천방법 도출을 위한 숙고,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꾸준한 성찰적 실천에 대한 노력, ② ‘실제적 경험의 원리’,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실제 문제해결 경험,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 경험, ③ ‘상황성의 원리’, 이와 관련하여 자신의 맥락 및 문제 상황의 맥락 인식, 자신의 맥락과 문제 상황의 맥락을 반영한 문제해결학습, ④ ‘가치지향의 원리’, 이와 관련하여 학습주제와 관련한 가치 규명, 반성과 숙고를 통해 최선의 문제해결방안 도출, ⑤ ‘통합성의 원리’, 이와 관련하여 학습주제와 관련한 자신의 이론적 기반, 신념 및 가치, 실천경험 성찰, 그리고 이론적 학습, 신념 및 가치 규명, 실천방법 도출의 과정을 포함하는 학습 경험이다. 3)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PKC 모형)은 ① 사전학습활동으로 수업소개, 학습주제와 관련한 이론적, 태도적, 실천경험적 측면의 선지식 활성화 및 동기유발(전체맥락 조망, 학습주제 조망), 팀구성, 가치규명 및 성찰, ② 본학습활동으로 학습자 분석 및 요구에 따른 실제 문제를 활용한 문제해결활동으로서 팀별 실천경험활동과 개별 실천계획수립활동, 그리고 학습정리, ③ 사후학습활동으로 실천계획수립에 따른 실천 및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통한 지식 재구성으로 이루어진다. PKC 모형은 이러한 구성과 세부단계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실천적 지식 구성방법 학습과 학습주제와 관련한 자신의 실제 문제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모형에 대한 평가 결과 PKC 모형은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PKC 모형은 실천적 지식에 대한 개념 정립을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이 효과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지식 구성 과정을 모형화한 것으로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러한 실천적 지식 구성을 돕는 효과적인 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PKC 모형을 통한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이 의미있는 삶을 위한 학습과정이 되고, 이를 통한 실천은 의미있는 삶의 과정이 된다는 점에서 더 큰 가치를 갖는다. 그러므로 PKC 모형이 본 연구에서 수업사례로 적용한 가족생활교육 뿐 아니라 실천적 지식 구성을 목적하는 영역에서 폭넓게 활용되어 의미있는 삶을 구성하는 방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KC Model(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need of practical knowledge is increasing as a sustainable knowledge for solving problems, improving its conditions, and effective accomplishment.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practical knowledge helps to exert one's competencies in all areas of life such as family life and vocational life. But it has been distorted the sense of knowledge for piecemeal action, and task performan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fine the Practical Knowledge, to extract the practical knowledge component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inciples, 2) to draw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inciples, and 3) to develop PKC model. Based on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took four steps shown as follows; First, A wide range of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the 'practical knowledge' was defined.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elements and construction principles were extracted. Second, Instructional principles for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were drew from the literature. And design elements and design strategies were identified and PKC model prototype was developed. To validate the PKC model prototype, reviews of expert were performed. Third, I applied instructional design designed by an amended PKC model prototype to the real setting in a college. Learners presented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ed after an all classes. Fourth, the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finally valida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practical knowledge. First, Practical Knowledge is defined integrated concept of 'practical method' for practice and 'practical value' by reason. Second, the component of practical knowledge. ① Practical knowledge component - 'practical method', 'practical value'. ② the elements affected Practical knowledge - 'situation source', 'personal source', 'social source', 'experiential source', 'theoretical source'. ③ the elements for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 'theoretical knowledge', 'value', 'practical experience', 'detailed practical plan', 'practice and reflection on the practice'. Third, the principle of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lans detailed practice based on 'theoretical knowledge', 'value', 'practical experience' and practice it in context, and continually reflect the practice. 2) Main principles are structured by the five design principles, and are detailed design principles. ① Voluntary principle - problem awareness, consideration for draw of 'practical method' and 'practical value', effort for constantly reflective practice. ② Real experiential principle - experiencing a real problem solving, experiencing a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③ Situational principle - cognition of self-context and situation context, learning to solve problems reflected context. ④ Value-oriented principle - value identification, draw of the best plan to solve problem. ⑤ Inclusive principle - self-reflec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value, behavior related to subject, learning experience contained theoretical learning, value identification, draw of practical method. 3) PKC Model ① Pre-learning activity - Introduction, Activity of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Zoom-out activity, Zoom-in activity), Team organization, Value identification and Reflection. ② Main-learning activity - Learning to solve problem based on Real problem(Team-based learning, Individual learning), Review. ③ Post-learning activity - practice by planning detailed practice in context,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in-action PKC Model aims to learn how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and aims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on real problem related to subject through the activity of the structure and the sub-steps. The evaluation of the PKC model is validated as a instructional 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KC Model structured efficient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practical knowledge concept, components, and construction principles. It is valuable in that these points help correct understanding on practical knowledge and efficient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In addition, process of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PKC model becomes learning process for meaningful life and this practice comes to be the process of significant life. Therefore, I wish that the PKC model would be used as a meaningful instructional model in areas for constructing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Family life education applied to this study case.

      • 복호화 위임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브로드캐스트 암호시스템

        한수민 高麗大學校 情報保護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Broadcast Encryption System, a sender sends an encrypted message to a large set of receivers at once over an insecure channel and it enables only users in a target set to decrypt the message with their private keys. In 2005, Boneh et al. proposed a fully collusion-resistant public key broadcast encryption system in which the ciphertext and the privatekey sizes are constant. In general, pairing-based broadcast encryption systems are more efficient in bandwidth and storing aspects than non-pairing based broadcast encryption systems, however, they require many computational costs that resource-constrained devices are not suitable to be appli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broadcast encryption scheme that user can decrypt a ciphertext more efficiently. The scheme is based on Boneh et al.’s scheme. More precisely, it reduces receiver’s computational costs by delegating pairing computations and other computation where O(n) size public key are used to. Furthermore, the scheme enables a user to check if the proxy server compute correctly. We show that our scheme is secure against selective IND-RCCA adversaries under the n-BDHE as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