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피니스의 자연법이론과 셰익스피어: <<끝이 좋으면 다 좋아>>를 중심으로

        하재홍,박미경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시민인문학 Vol.46 No.-

        John Finnis is well-known as a natural law theorist who reconstructs Thomas Aquinas’s natural law theory of morality. Moreover, Finnis applies Aquinas’s discourses on personal identity to the interpretation of All’s Well That Ends Well, one of William Shakespeare’s problem plays. Modern lawyers, who analyze the concepts of the provision of laws, claim that natural law exists in a form like the provisions of laws. However, modern natural law depends less on the form of provisions of laws than on a theory that examines the moral principles of human actions. Hence, following a tradition that regards the law as an external principle on human actions, natural law is grounded on the same criteria for assessing the legality and legitimacy of law as the principle of morality on human actions. Finnis demonstrates All’s Well That Ends Well as an example of Aquinas’s theory of personal identity and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comedy. More precisely, Finnis’s concept of the Four Orders (nature, thought, choice, and culture) that determine the uniqueness of personal identity helps us to tackle th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last scene of the play. This paper not only introduces Finnis’s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w theory but also evaluates his application of the natural law theory to Shakespeare’s play. In light of the legal difference between England and France, it is the gap between the French court and the English audience that renders All’s Well That Ends Well comical and hilarious.

      • KCI등재

        존 포테스큐의 자유주의 법사상

        하재홍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Until recently, scholarly discussions on English liberalism have generally tended to see the Glorious Revolution(1689) or John Locke as the origin of modern liberalism in England. However, this perspective overlooks the simple fact that the traditional English constitutionalism, that is Ancient Constitutionalism, worked as main cause for the road to the English Revolution. In fact, it was the deep belief in the traditional constitutional dedication to freedom and liberty represented by ancient constitutionalism which drove the parliamentarians and common lawyers to lead sacred fights against the monarch and the royalists in hard times of civil war. It's well-known fact that the ancient constitutionalism was founded by Sir John Fortescue, Chief Justice of Henry Ⅵ. Firstly,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ow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are closely related in English society, and introduce some topics such as Dominion, mixed-monarchy of England, body politics, and the rule of law, constitution of liberty, focusing on Fortescue's writings. Secondly, this article examines main features of political debates during the English Revolution in the perspective of Fortescue’s legacy. Finally, This article discusses some misunderstandings in researches on Locke, especially that theory of divine rights of king was a prevailing paradigm during English Revolution. 그동안 잉글랜드 자유주의에 관한 논의들은 명예혁명이나 로크를 근대 자유주의의 기원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는 잉글랜드의 전통적인 헌정관이 명예혁명을 만들어낸 원인이 되었다는 점을 간과한다. 스튜어트 왕조에서 시작된 정치적 긴장이 오랜 내전을 거치면서 결국 명예혁명으로 귀결된 과정에서 의회파와 보통법 법률가들이 군주와 왕당파에 맞서 투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은 고래 헌정주의로 대표되는 잉글랜드 헌정과 자유의 전통에 대한 믿음이었다. 15세기 잉글랜드 법률가인 존 포테스큐는 바로 이 헌정주의의 기초를 놓았다. 본 연구에서는 잉글랜드의 자유주의에 국한해 개인주의와 자유주의가 어떻게 긴밀하게 연관된 것인지 설명하고, 존 포테스큐의 저술을 중심으로 도미니언, 잉글랜드의 혼합 군주정, 몸의 정치, 법의 지배와 자유 등의 주제를 소개했다. 아울러 그의 법사상이 남긴 유산이라는 차원에서 영국 혁명기에 존 포테스큐가 어떤 영향을 남겼는지를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영국 자유주의의 대표로 거론되는 로크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특히 명예혁명으로 성취한 자유의 헌정이 존 포테스큐의 계승이라는 사실이 간과된 결과 나타난 몇 가지 오해들(대표적으로 영국 혁명기에 왕권신수설이 지배적 패러다임이었다는 견해나 로크가 인민주권론자였다는 견해)에 대해 검토했다.

      • KCI등재

        법적 의제론 재고(再考)

        하재홍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대학교 法學 Vol.64 No.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ontents of legal fiction and its fitness in our legal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ubject under discussion. The subject matter of this paper is legal techniques developed in English common law. So, the proposition like the world of law is fiction is beyond consideration, nor presumptive of law or fact. Legal fictions, rooted in ancient roman law, are a legal technique that treats an assertion as a fact even though it is fiction, and does not allow objections or proofs of opposition. The benefit of clergies and bastards of villein are good examples. The justices of the court favored the legal fiction to expand the relief while complying with the strictness of rules of litigation under the maxim that legal fiction does not deceive or harm anyone, and passed it down through the oral education of Inns of Court. However, the legal reform in Englan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harsh critics of Bentham on common law made legal fiction disappear since the late 19th century. However, legal fiction still leaves marks in the realm of the substantive law of common law countries, and lawyers do not completely discard their dependence on legal fiction in legal reasoning. But they seldom explain in detail how legal fiction works, and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logic they operate. In recent years, J.H. Baker's efforts have made it possible to appreciate legal fiction in detail.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no room for legal fiction in our legal system because the law and lawyers of this land favor orientations toward facts and truth. 본 논문의 목적은 법적 의제의 성격과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우리 법제에 적실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에 있다. 먼저 논의의 대상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대상은 잉글랜드 보통법에서 발전해 온 법적 기교로서의 의제(협의의 법적 의제)이며, ‘전체로서의 법 또는 법세계는 허구(의제)이다’라는 명제나 사실의 입증책임과 관련한 추정 또는 간주와 같은 법리는 검토대상이 아니다. 잉글랜드에서 협의의 법적 의제는 멀리 로마법에 기원을 두고 발전해 왔는데, 사실이 아닌 허구임에도 사실로 취급하며 이의제기나 반대입증을 허용하지 않는 법적 기술이다. 대표적인 유형으로 사제의 특권이나 농노의 사생자 제도 등이 있다. 협의의 법적 의제는 소송방식의 엄격성을 준수하는 한편 권리구제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며, 특히 누구를 속이거나 누구에게도 해악을 끼치지 않는다는 규칙에 따라 법률가들이 애용하는 기술로 크게 발전했고, 법학원의 교육을 통해 구술로 전수되어 왔다. 그러나 19세기 초반 잉글랜드에서 법제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또 벤담에 의한 보통법 비판의 영향으로 소송 법제에 만연했던 법적 의제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많이 사라졌다. 하지만 법적 의제는 현재에도 영미의 실체법 영역에 흔적을 남기고 있고 또 법률가들도 법적 사고에서 법적 의제에 대한 의존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고 있다. 다만 영미에서도 법적 의제의 작동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일은 드물고, 그 결과 무엇이 법적 의제라는 언급은 있어도 그것이 어떤 논리에 따라 작동하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힘들게 되었다. 협의의 법적 의제를 외부인이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 전수 방식의 특성 때문인데, 근래에 법제사가인 베이커의 노력으로 상당 부분 그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법적 의제에 관한 그동안의 소개를 검토하고 보통법상 법적 의제의 정확한 특징을 밝힘으로써 사실과 실질을 존중하는 우리 법제에서 협의의 법적 의제와 같은 법기술은 활용될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 KCI등재

        법적 논증의 기초 ―대법원 판결과 페렐만의 신수사학

        하재홍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2

        As issues and problems of civil societie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mocratic solutions with the help of debates and argumentations are emphasized. Surely there are great needs to develop various argumentation skills in modern societies, and this lays big burdens on legal education, and it's a matter of grave concern that legal education ought to fulfill obligations to meet such demands. However, it is a general opinion that korean judicial officers, including judges and lawyers lack on understandings of legal argumentations. But this study shows a quite different understanding. In the history of rhetoric, there has been a good many skills of argumentations, but this article reviewed major argumentation skills introduced by Chaїm Perelman, representative one who revivified rhetoric in 1950s, and collated corresponding Cases. This study proves there are abundant Cases to demonstrat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al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korean legal practice, and asserts Cases simply has not been given proper analysis in basis of legal argumentation theory in rethorical tradition until now. In conclusion, rethoric is a valuable subject in the legal education because it has useful, profound contents for improving argumentation skills not to mention of legal reasoning. As issues and problems of civil societie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mocratic solutions with the help of debates and argumentations are emphasized. Surely there are great needs to develop various argumentation skills in modern societies, and this lays big burdens on legal education, and it's a matter of grave concern that legal education ought to fulfill obligations to meet such demands. However, it is a general opinion that korean judicial officers, including judges and lawyers lack on understandings of legal argumentations. But this study shows a quite different understanding. In the history of rhetoric, there has been a good many skills of argumentations, but this article reviewed major argumentation skills introduced by Chaїm Perelman, representative one who revivified rhetoric in 1950s, and collated corresponding Cases. This study proves there are abundant Cases to demonstrat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al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korean legal practice, and asserts Cases simply has not been given proper analysis in basis of legal argumentation theory in rethorical tradition until now. In conclusion, rethoric is a valuable subject in the legal education because it has useful, profound contents for improving argumentation skills not to mention of legal reasoning.

      • KCI등재

        수사학이 유용한 이유들에 대한 검토 - 아리스토텔레스『수사학』, 1355a20-1355b7을 중심으로 -

        하재홍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4

        Four reasons for which Aristotle claims the usefulness of rhetoric in his Rhetoric are so implicitly explicated that they require a comprehensive re-examination of their meaning. This paper is a further study beginning from critiquing Seok Hwan Han’s explanation, which heavily relies on Christof Rapp’s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Rhetoric. This paper attempts to supplement Han’s limits with William Grimaldi’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Aristotle's own position on the usefulness of rhetoric is shaped from the context of the debate that begins in Parmenides and goes through Gorgias, Protagoras, and Plato. As to rhetoric and truth, Plato argues that if there is a necessity to constitute the political world, we should resort to philosophy, not rhetoric, as the means. However, Aristotle points out that rhetoric does not deal with truth or justice itself, but entails a necessary means to politics insofar as the world of politics is that of opinions and beliefs. Second, Aristotle’s position is to express his introspection and stance on the aspect of practices centering on the logos in his day. In this precise regard, discussion on the usefulness of rhetoric for us today should not simply be restricted to an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Rhetoric, but extended to the practice of language and the very way in which the meaningful and useful practice of language is named. 이 글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에서 수사학이 유용하다고 든 네 이유들에 관해 살펴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든 이유들은 대단히 함축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한석환의 연구가 상세한데, 랍(Christof Rapp)의 견해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석환의 연구에서 출발하여 그리말디(William Grimaldi)의 해석을 통해 보완을 시도했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이 진리에 대해 갖는 관계는 오랫동안 철학과 수사학의 영역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주제라 할 수 있는데, 수사학의 유용성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은 파르메니데스에서 시작되어 고르기아스, 프로타고라스를 거쳐 플라톤에까지 이어지는 논쟁을 배경으로 하면서 동시에 아리스토텔레스 나름의 입장으로 귀결된 점과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수사학과 진리에 관해서는, 플라톤의 입장은 정치세계가 구성되어야 한다면 그 수단은 수사학이 아닌 철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은 진리나 정의 자체를 다루지 않지만, 정치세계는 의견의 세계라 이해했으며, 따라서 수사학은 정치세계에 필수불가결한 수단이 된다. 둘째 수사학의 유용성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은 그의 시대에 말을 중심으로 한 실천양상에 대한 성찰과 입장의 표명이었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에게 수사학의 유용성에 관한 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한 단락에 대한 해석 차원에서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 사회에 말의 실천양상이 어떠하며 또 의미 있고 유용한 말의 실천이 있다면 그것을 무엇으로 불러야 하는가와 관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연법사상

        하재홍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集 Vol.27 No.2

        아우구스티누스는 키케로의 자연법에 신학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자연법 이론을 혁신했다. 그는 신학상 교리를 확립할 필요에서 자연법 이론을 재구성했는데, 이 과정에서 키케로의 자연법을 하나님의 영원법과 그것이 인간의 내면에 새겨진 자연의 법으로 구분했고, 또 영원법에서 이성적 요소 외에 의지적 요소가 독자적인 중요성을 가짐을 밝혔다. 이렇게 자연법에 신학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가톨릭교회의 교리 형성에 크게 이바지했지만, 재해석과 혁신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그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문제를 새로 만들어내는 것이기도 했다. 그의 『신국론』 해석을 둘러싸고 중세 이후로 현재까지 신학과 정치학, 그리고 양자가 중첩되는 정치신학의 영역에서 뜨겁게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 사실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다. 자연법과 관련된 부분을 요약하면, 이전의 스토아 자연법 전통에서 인간과 신의 정의가 이성적 연합을 이루며 세속법에서 그 실현을 이루는 것이었다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에 이를 계승했다가 펠라기우스 논쟁을 거치면서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확고부동해야 할 정의와 법의 연결고리를 끊고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라는 비밀로 대체했다.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에는 모순이 없다. 하지만 이제 세속국가나 세속법은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을 완전하게 재연하는 수단이 되지 못하며, 세상의 사라질 것을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의 공통된 이해관계의 산물일 뿐이다. 그의 자연법론은 한편으로 세속법에서 이성과 의지의 요소 사이의 분리를 의도하지 않았어도 그 가능성을 예고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 신앙인이 세속의 영역에서 정의에 관해 이방인과 대화할 수 있는 통로였다.

      • KCI등재

        겨울 이야기에 나타난 보통법 전통과 절대주의의 대결

        하재홍,박미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1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flict between the common law tradition and absolutism through William Shakespeare’s play, The Winter’s Tale. When James I, King James VI of Scotland who believed in the divine right of kings, ascended to the throne of England after Queen Elizabeth I died in 1603, the English saw their first Stuart king with a look of anticipation and concern. While James I at first showed respect for the religion of England as well as for the common law and Parliament, his support of the theory of divine right of kings at his court posed a danger of clashing with the constitutional tradition of England. In this precise regard, the ruling of the Bate’s Case (1606) enabled James I to enforce the absolute royal prerogative that the previous kings had never experienced. This absolute royal prerogative provided James I and his supporters with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the king's authority as much as the absolute monarchs of the European continent exercised. The Winter’s Tale not only showcases the tens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common law and absolutism that developed after James I's ascension, but also critiques the cruel realities of court politics dominated by absolutism through divine retribution against Leontes. Later,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has proved Shakespeare right in his dramatic representation of the absolute royal prerogative as something to be denied thoroughly and absolutely, considering that England's tradition of respecting the common law and Parliament was restored through the Glorious Revolution of 1688. Therefore, we claim for The Winter’s Tale as a satire and criticism of absolutism whose tyrannical attempt to contest England’s indigenous constitutional tradition is a failure.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왕권신수설에 관한 논문 저자이기도 한 제임스 1세가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즉위했을 때 잉글랜드인들은 새 국왕을 기대와 우려의 시선으로 보았다. 그는 즉위 초에 잉글랜드의 종교, 그리고 보통법과 의회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왕권신수설을 신봉하는 그의 궁정 정치는 잉글랜드의 헌정 전통과 충돌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런데 1606년의 베이트 판결을 계기로 이전에 없던 절대적 군주 대권이 공식화되었다. 이 절대적 군주 대권은 제임스 1세와 그의 지지자들에게 국왕의 권한을 유럽 대륙의 절대군주가 행사하는 것만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공했다. 셰익스피어의 겨울 이야기는 제임스 1세 즉위 후에 본격적으로 전개된 보통법과 절대주의의 긴장과 충돌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절대적 군주 대권을 실천하고자 하는 궁정 정치의 실상과 이에 대한 신적 응징을 보여준다. 이후의 역사는 내전의 투쟁 끝에 명예혁명을 통해 보통법과 의회를 존중하는 잉글랜드의 헌정 전통이 다시 회복되었음을 보여주는데, 셰익스피어는 그런 투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이 작품에서 절대적 군주 대권을 거부되어야만 할 것으로 묘사했다. 이런 점에서 겨울 이야기는 잉글랜드의 보통법 전통에서 벗어나고자 한 전제정의 시도를 비판하고 풍자한 것으로 읽을 수 있다.

      • KCI등재

        법률가의 길

        하재홍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7 No.2

        This article aims to criticize some problem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of lawyers in Korea nowadays. First, some lawyers are mistaken about the nature of lawyers’ ethics on the basis of the dichotomy of law-morality, while others are wrong in judging lawyers’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value relativism or nihilism. In the case of the former, a lawyer’s violation of the ethical code of conduct is not considered as a violation of law but as the object of condemnation; what’s more, the lawyer is indulged in moral hazard to the extent that he enjoys a legal profession free from norms and accordingly he behaves as he wishes. In fact, however, there are certain duties that lawyers should understand fully and practice particularly in their professional capacity. In the case of the latter, a lawyer denies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consensus that is constantly sought after through discussions, however different perceptions of legal ethics are from each other. The reason and need for discussing ethical issues are not because we have already achieved a solid knowledge of ethics, but because we are willing to promote and listen to various opinions. The very process of debate helps us to cultivate ethical sensitivity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building a moral community. Next, we elaborate on the way in which the professional codes of conduct of lawyers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In both American and British cases, lawyers’ ethics regulations become concrete as a result of reflecting lawyers’ experiences including failures. In our case, there have been general statements on the professional ethics of lawyers in accordance with each and different responsibility and yet lacking are specifically detailed rules of professional ethics. Hence, this article proposes such specific ethical duties as professionalism, loyalty, impartiality, and integrity. Above of all, it is necessary to raise ethical sensitivity in legal education as well as in legal practice. 이 글에서는 법률가윤리와 관련한 인식상 오류들을 검토하고, 미국과 영국에서 법률가윤리규정들이 현재의 모습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살펴본 다음, 전문가윤리에서 제안되는 몇 가지 원리적 덕성들을 중심으로 법률가윤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묘사해 보았다. 먼저 법률가윤리의 성격에 관해 법-도덕의 이원론으로 접근하는 시각과 도덕과 윤리문제를 가치상대주의에서 접근하는 시각을 검토했다. 전자는 윤리위반 행위라도 법적 처벌이 없으면 도덕적 비난을 받는 정도에 불과하다는 관념을 말하는데, 법률가가 자신의 직무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 윤리적 문제가 있다는 점을 부인하고 규범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이 있다고 이해하는 점에서 오류이다. 후자는 사람마다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이 서로 상이할 수밖에 없다 하더라도 논의를 통해 일정하게 합의가 수렴될 수 있다는 것과 그런 합의점을 토대로 사회가 도덕 공동체로 존립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다. 윤리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이유는 윤리문제에 대해 항상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다양한 의견들을 촉진하고 또 듣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논의과정에서 윤리문제에 대한 감수성이 길러지고 도덕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신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미국과 영국에서 법률가윤리규정들이 성립하고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들 사회에서도 오랜 경험과 때로 뼈아픈 실패를 겪으며 법률가윤리 문제를 바라보는 입장이 구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의 경우 현재 각 직역별로 법률가윤리의 대강이 선언되어 있으나 세부적인 규정으로 구체화되지는 못한 단계에 있는데, 이 글에서는 전문성, 충직성, 공평무사성, 통일성 등 전문가윤리의 기본적인 덕성들을 중심으로 법률가윤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해 보았다. 앞으로도 법학교육의 현장에서나 법조의 관행에서나 윤리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더 함양되고 활발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