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아동용 대중문화의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의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하성호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4 일본연구 Vol.41 No.-

        본고는 전후 일본의 아동 문화 속에서 인기를 끌었던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된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의 유래와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는 전전의 아동용 읽을거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전후 아동 문화 속에서 발견되는 이 표현 양식의 직접적인 기원은 전시하의 아동용 전쟁 프로파간다 회화라고 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이 끝난 직후 월간 소년 잡지 시대에는 SF 에모노가타리로, 1960년대 이후의 주간 만화 잡지 시대에는 권두의 전기 이야기의 삽화나 밀리터리 프라모델의 패키지 일러스트로 활용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점차 아동용 TV 정보지에서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 데 쓰였다. 특촬 드라마라는 실사 미디어와 같은 지면에 실림으로써, 매끈하고 평면적인 애니메이션의 셀화가 지니지 못한 사실적인 질감이나 입체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가 애니메이션 로봇의 표현에 이용된 것이다. <기동전사 건담>이 인기를 끈 1980년대 이후로는, 애니메이션의 셀화 자체에 대한 팬들의 선호가 높아졌으나 그럼에도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는 아동용 TV 정보지나 로봇 애니메이션의 프라모델의 패키지 일러스트로 활용되었다. 특촬 드라마 등 실사 매체에 비해 평면적이고 추상성이 큰 셀 애니메이션의 한계로 표현되지 못했던, 아동용 대중문화 속에서 꾸준히 지향되어 왔던 실사적인 ’리얼‘함을 보충하기 위해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가 활용된 것이다. 실재의 역사뿐 아니라 허구의 세계를 아동에게 리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 왔던 이러한 표현의 역사와 양상은, 1970년대 정치의 계절이 끝난 이후 소비 사회에 접어들며 허구적인 것에 리얼리티를 느끼게 되었다는 전후 일본 사회의 도정의 일면을 보여 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realist machine descriptions used in giant robot animation, which was popular in postwar Japanese children's culture.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s can also be found in children's literature before the war, but the direct origin of this expression style found in postwar children's culture can be said to be propaganda paintings for children during wartime. It was used as an SF ‘emongatari’ in the monthly boy magazine era right after the Pacific War, and as an illustration of war stories in magazines and a package illustration of military plastic models in the weekly comics magazine era after the 1960s, but after the 1970s, it was gradually used to express giant robot animations in children's TV information magazines. By being published on the same page as the live-action media of a SFX(‘Tokusatsu’) drama, a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 was used in the expression of an animation robot to express the realistic texture or three-dimensionality that the celluloid painting of smooth and flat animation did not have. Since the 1980s, when “Mobile Suit Gundam” became popular, fans' preference for animation celluloid painting itself has increased, but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s have nevertheless been used as package illustrations for children's TV information magazines or plastic models of robot animation.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s were used to supplement the “real”ness that had been steadily pursued in children's popular culture, which was not expressed as a limitation of traditional animation, which is flat and abstract compared to live-action media such as SFX dramas. The history and aspects of these expressions, which have been trying to make children feel not only real history but also the fictional world realistically, show one aspect of Japan's postwar society that it has felt reality in the fictional world as it entered the consumer society since the end of the political season in the 1970s.

      • KCI등재
      • KCI등재

        How Did the War of 1812 Contribute to Expansion of Slavery in Post-War of 1812?

        하성호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2 동국사학 Vol.74 No.-

        The ‘War of 1812’ has an ironic nickname for a ‘Forgotten War.’ In contrast to the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the Civil War, or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the War of 1812 is not as glamorous in terms of its size or the number of battles won, except being notable for the victory at the Battle of New Orleans. Therefore, American college textbooks mention the War of 1812 very briefly only as a prelude to a more extensive discussion of the changes that occurred post-War of 1812 to the politics, economy, and racial relations in the United States. I argue that the War of 1812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expansion of slavery post-War of 1812. First, the US government and military acquired huge territories from various indigenous tribes by force during the war, and the land became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emerging Cotton Kingdom. Second, more importantly, by breaking the resistance of various native tribes during the war, the US government preempted potential alliances between native tribes and African slaves against white farmers and masters, enhancing the security of the Southern slave system. In this sense, the War of 1812 resulted in a significant political, social, and political boost to Southern slavery after having posed a serious threat to its safety.

      • KCI우수등재

        앨버트 갤러틴과 제퍼슨 민주주의

        하성호 한국서양사학회 2018 西洋史論 Vol.0 No.136

        Over the past two centuries, scholars have invoked Jeffersonian Democracy to explain westward expansion, free market economy, progressivism, and American foreign policy in both World Wars. In doing so, scholars have focused on the issues of the federal-state political relationship and the economic policies of President Thomas Jefferson (1801-1809) and the Republican-Democratic Party that he led. However, scholars still cannot agree on the real nature of Jeffersonian Democracy with regard to how his ideas and policies bear upon their research because Jefferson is rather contradictory on many issues. This paper reexamines the meaning of the Jeffersonian Democracy by analyzing the ideas and policies of Albert Gallatin, Jefferson’s Treasury Secretary. Gallatin was very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economic policies of the Jefferson administration. This paper also challenges the so-called “republican interpretation”, which is currently hegemonic when interpreting Jeffersonian political economy. This interpretation posits that Jeffersonian political economy was based on republican ideas, wherein public virtue was deemed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farming considered the paragon industry that best cultivated public virtue. Thus, the Jeffersonians emphasized territorial expansion westward to accommodate farmers and planters, and freedom of international trade for the export of agricultural crops. In the mode of Gallatin, who supported westward expansion and emphasized free international trade, the Jefferson administration adopted these priorities in order to achieve its major goal: speedy reduction and eventual retirement of public debt. For the same reason, Gallatin also opposed high tariffs, arguing that they would hurt the revenue receipts from import duties. In addition, he argued that high protective tariffs would force the flow of economic resources to the sectors that did not represent the best interests of the American people and state. In this sense, he was a laissez faire economic liberalist. When Gallatin proposed and executed these economic policies, Jefferson supported them most of the time, even when he did not agree with them. Thus, the real nature of the Jeffersonian Democracy is a combination of Gallatin’s liberal and practical economic policies and Jefferson’s political courage to support Gallatin’s policies. 이 논문은 소위 제퍼슨 민주주의를 재해석하였다. 그간 역사학계는 제퍼슨 민주주의를 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 사이의 상대적 권력 관계 그리고 경제 정책 문제라는 두 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문제에 관하여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다. 우선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관계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제퍼슨 민주주의는 약한 연방정부를 지향하였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해석은 제퍼슨은 실제로는 강한 연방권력을 추구하였다는 것이다. 경제 문제에 대해서 대부분 학자들은 제퍼슨이 농업을 중시하였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제퍼슨이 어떤 농업을 지지하였고 왜 그러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있다. 그런데 이제까지 제퍼슨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제퍼슨의 글과 정책을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런데 실제 제퍼슨 민주주의에서 경제 분야를 주도한 사람은 제퍼슨과 이후 제임스 메디슨 대통령 밑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앨버트 갤러틴(Albert Gallatin)이다. 갤러틴은 이 기간 경제 분야에서 거의 전권을 행사하였고, 행정부를 대표하여 다양한 경제정책을 연방의회와 협의한 후 법안으로 통과시킬정도로 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래서 역사가 헨리 애덤스는 제퍼슨대통령, 메디슨 국무장관, 그리고 갤러틴 재무장관의 협력 체제를 ‘삼두체제’라고 불렀다. 따라서 제퍼슨 민주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앨버트 갤러틴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앨버트 갤러틴의 정책과 사상 연구를 통해 제퍼슨 민주주의의 정체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갤러틴은 국가의 균형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주장하고 펼쳤는데, 그 주된 내용은 미국 국채 규모의 축소, 국립은행 체제의 확대, 연방정부 주도의 도로와 운하 건설, 그리고 연방정부 소유 토지의 조속한 측량과 판매를 통한 서부와 남부의정착 등이다. 또한 그는 미국의 경체 체제가 국제무역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현실을 이해하면서 자유 무역체제의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다. 갤러틴은 이러한 경제정책을 통하여 연방의 정치적 통합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갤러틴 정책의 근간에는 자유주의적인 경제관이 자리하고 있었다. 제퍼슨은 자기의 생각과 다른 경우에도 갤러틴의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제퍼슨의 정치적 유연성과 갤러틴의 자유주의적 정책이 합쳐진 것이 진정한 제퍼슨 민주주의의 본질이다.

      • KCI등재

        Habermas's Critique of Foucault's Theory of Power : A Political Interpretation

        하성호 한국중앙사학회 2007 중앙사론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인 푸코의 권력과 지식 관계론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을 검토하는 것이다. 동시에 하버마스의 비판이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갖는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될 것이다. 하버마스는『현대에 대한 철학적 논의』(1985)에서 의사소통의 합리성에 근거하여 푸코의 이론에 많은 문제점들이 내재해 있음을 지적하면서, 하이데거, 푸코, 데리다 같은 일군의 탈근대 철학자들을 모두 니체의 후계자로 지목했다. 그는 이들을 ‘젊은 보수주의자들’로 비판하면서, 이들이 니체의 영향을 받아 근대의 기획으로부터 벗어나려 했다고 보았다. 특히 하버마스는 푸코가 상호주관적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간과했으며, 근대 합리성의 강제적 요소를 과장하면서 사람들이 권력에 대해 수동적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다고 비난한다. 그러나 필자의 관점에서 볼 때, 푸코의 권력이론은 이러한 비판들을 견디어 내기에 충분히 견실하다. 그가 주목한 사람들은 정신질환자, 감옥의 재소자, 동성애자와 같은 사회적 주변인들로서, 바로 이들에 대한 근대사회의 이성적 폭력을 푸코는 경계했던 것이다. 또한 하버마스의 비판적 도구인 상호주관적 합리성이 역사적으로 완벽하게 실현된 사례가 없으며, 오히려 이는 근대사회에서 그 유효성이 의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버마스와 푸코의 정치적 차이점은 하버마스가 의사소통 행위에 근거한 새로운 사회질서의 확립에 대한 희망을 갖고서 권력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 반면, 푸코는 새로운 사회질서에 대한 희망뿐 아니라 지배 권력의 철학적 근거도 부정하는 것이다. 하버마스와 푸코 양자 모두 이론과 현실에 있어서 사회과학의 비판적 전통에 근거한 사상가들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