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름다운 시와 추한 산문 그리고 소설

        최행준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2 No.-

        본 논문의 목적은 헤겔 예술철학의 문학 부분을 미와 추의 관계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문학에 관한 헤겔의 서술은 다층적이고 난해한데 그 이유는 그의 관심이 문학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술 전체와 세계 상태를 넘나들기 때문이다. 그의 관심이 방대함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지만 그 방대함 속에서 길을 잃어서도 안 된다. 필자는 헤겔의 광범위한 관심과 연관 속에서 문학에 관한 서술들을 가르고 이를 미와 추의 관계로 재구성하기 위해 아름다운 시와 추한 산문 그리고 소설에 주목한다. 아름다운 시는 예술이 지향해야할 것이지만, 예술에 의해 지양되어야할 것이고, 추한 산문은 예술이 지양해야할 것이지만, 자양분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소설은 지양되어야할 산문을 자양분으로 삼는 새로운 화해의 예술형식이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첫째, 표상을 실재성으로 삼는 문학이 아름다운 시가 되거나 추한 산문이 된다면 양자의 차이는 무엇인가를 헤겔의 서술 속에서 밝히고(2장), 둘째, 헤겔 예술철학 전체에서 미와 추가 갖는 위상과 그것이 문학에서 의미하는 바를 논증한 다음(3장), 셋째, 아름다운 시가 추한 산문으로 와해된 다음 소설이라는 새로운 화해 형식이 등장한다는 점을 밝힌다(4장). 이를 통해 추한 예술 또는 낭만적 예술 형식이 종말에 앞선 와해라는 해석에 맞서 헤겔이 추한 예술 또는 추한 산문을 새로운 예술의 자양분으로도 보았다는 점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nstruct the literature part of Hegel's art philosoph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ugliness. The reason why Hegel's description is multi-layered and difficult to understand is that his interests move in and out of the whole art and the condition of world. We have to keep his huge interests in mind, but should not get lost in his interests. The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beautiful poetry, ugly proses and novels to reconstruct Hegel's philosoph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ugliness by dividing his huge interests into literature and non-literal thing which are connected each other. In art, beautiful poetry is what should be aimed at, but what should be sublated. Ugly prose is what should be sublated, but what can be a nutritive element for a new art form. A novel is a new art form of reconciliation that makes sublated prose a nutritive element. To demonstrate this, first, the researcher suggested differences between poetry and prose, assuming both literatures that have presentation as reality(2) can either beautiful poetry or ugly prose. Second, the researcher proves status and signification of beauty and ugliness in hegel's art philosophy(3). Third, the researcher asserts that after beautiful poetry is collapsed, a new art form of reconciliation emerges. Through demonstration, the researcher asserts that Hegel thought an ugly art or ugly prose as nutritive element against the interpretation that he was thought to believe an ugly art or a romantic art form as collapsed before the end.

      • KCI등재

        실레와 마르쿠제 : 고통과 만족을 기억하는 감각

        최행준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본 논문의 목적은 E. 실레의 회화에 나타난 성과 에로티시즘을 고통과 만족을 기억하는 감각 으로 재해석 하는 것이다. 예술에서 에로티시즘은 성과 성행위 그리고 성적 흥분을 불러일으키 는 작품을 해석하는 틀이다. 성과 성행위 그리고 에로티시즘을 공식적으로 찬양하는 문명은 없 지만 성적 욕구가 가진 힘에 기반 하지 않는 문명도 없다. S. 프로이트 이후 문명의 억압 속에 서 살아야 하는 인간의 항구적 불만이 정식화되었고 해방된 인간의 꿈을 표현하는 예술의 에로 티시즘은 성방종을 종용하는 외설과 달리 가치가 인정되었다. 그런데 인간이 느끼는 성적 흥분 또는 그것을 불러일으키는 에로티시즘의 강도는 꼭 노출의 강도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다. 동서 고금의 다양한 에로티시즘 회화를 살펴보면 에로티시즘은 성기의 노출보다 성기와 몸의 적절한 감춤을 전략으로 삼는다. 그림 속 인물이 성적 욕구를 불러일으키려면 욕구를 실현하려는 적극 적 주체이기 보다는 저항과 부끄러움 그리고 은근한 바람이 중첩된 소극적 대상이어야 한다. 실레의 작품을 해석하는 틀은 에로티시즘뿐인가? 이것이 이 논문의 질문이다. 에로티시즘을 노출의 강도에 비례한 것으로 본다면 실레는 에로티시즘이다. 그러나 노출의 강도가 에로티시 즘의 유일한 기준이 아니라면, 더구나 성기의 노출이 에로티시즘을 해친다면 실레의 작품은 두 갈래 길에 놓인다. 수준 낮은 에로티시즘, 즉 외설이거나 에로티시즘이라는 틀로 충분히 파악할 수 없는 예술이라는 갈림길이다. 본 논문은 에곤 실레의 작품에 나타난 성기, 유두, 입술 등을 자연성을 상실하지 않은, 만족을 기억하는 예민한 감각으로 재해석하려 한다. 나는 재해석의 틀 로 프로이트를 철학적으로 확장한 H. 마르쿠제의 에로스와 문명 을 제시하려 한다. 이러한 해 석은 에로티시즘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에로티시즘으로 파악되지 않는 지점을 드러낸다. 이를 위해 첫째, 실레가 노이렝바흐 사건 때 자신을 변론하는 일기 속에서 그가 자신의 작품 에 부여한 가치를 추적한다.(Ⅱ) 이를 통해서 실레는 일상에서의 성과 예술에서의 성을 구별하 는 변론을 하였으며, 그가 예술에서 성적 표현을 어떤 방식으로 정당화하고 있는지 밝혀진다. 둘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비판이론가 마르쿠제의 에로스와 문명 을 실레 작품 재해석의 이론적 틀로 제시한다.(Ⅲ) 이 과정에서 문명의 억압과 자연성의 상실 그리고 이에 저항하는 에로스, 즉 고통과 만족을 기억하는 감각의 함의가 밝혀진다. 셋째, 고통 과 만족을 기억하는 감각의 틀로 실레의 성기 노출 작품을 분석한다.(Ⅳ) 이 과정에서 실레는 문명의 억압이 극대화된 19세기 말, 인간의 감각 상실과 감각 보존 사이에서 감각을 감각으로 기록한 작가라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the sex and eroticism in the paintings of Egon Schiele as a sense of memories of pain and satisfaction. In art, eroticism is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works that evoke sexuality and sexual excitement. There is no civilization that officially praises sexuality and eroticism, but there is no civilization based on the power of sexual desire. Since S. Freud, the persistent discontent of human beings who have to live in the oppression of civilization has been formulated, and the eroticism of art expressing the liberated human dreams has been recognized as worthy of the obscenity which implies the indulgence. However, the sexual excitement felt by humans, or the intensity of eroticism that evokes it, is not necessarily proportional to the intensity of exposure. If you look at the various erotic paintings of East and West, eroticism is a strategy that focuses more on hiding genital and body than on the exposure of them. The person in the picture should be a passive subject that overlaps with resistance, shame, and a soulful wind rather than an active subject to realize desire in order to bring out sexual desire. Is eroticism the only framework for interpreting Schiele s work? This is the question of this paper. If you think of eroticism as proportional to the intensity of exposure, it is eroticism. But if the intensity of exposure is not the only criterion of eroticism, and if the impression of the genital hurts eroticism, the work of Schiele is on two roads. It is a crossroad of low-level eroticism, that is, art that can not be fully grasped by the framework of obscenity or eroticism. This paper attempts to reinterpret the genitalia, nipples, and lips that appear in the work of Schiele with a keen sense of satisfaction, which does not lose its naturalnes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Eros and Civilization of H. Marcuse who philosophically extended Freud as a framework of reinterpretation.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deny eroticism, but reveals a point that is not recognized as eroticism. To this end, I keep track of the value that he gave to his work in a diary arguing himself during the Noelungbach incident.(Ⅱ) Through this, Schiele made an argument to distinguish sex from life and art , It is revealed how he justifies sexual expression in art. Second, I presen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reinterpretation of Schiele s artwork Eros and Civilization of Marcuse, the critic theorist who accepted Freud s psychoanalysis.(Ⅲ) This process reveals the suppression of civilization, the loss of naturalness, and the implication of a sense of memory that resists eros, that is, pain and satisfaction. Third, I analyze the genital impression works of Schiele by the framework of the senses that remember pain and satisfaction.(Ⅳ) In this process, it will be revealed that he is a painter who records senses by the sense between senses loss and senses preserv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where the oppression of civilization was maximized.

      • KCI등재

        인문학 교육에서 예술표현과 합리적 의사소통

        최행준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heoretically justify that art should mediate the field of humanities education in which dialogue has disappeared. Dialogue is disappearing in humanities education due to the inequality of discourse resources. As the lecturer knows but the student does no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natural thing. However, in the humanities education where dialogue disappears, humanities disappear because students are free to think and speak at their level. The inequality of discourse resources is true but exaggerated. There may be cases where questions are briefly answered. It is a step forward rather than a one-sided lecture, but it is insufficient. The lecturer makes alternative or short-answer questions to the students who lack the resources of the discourse. The reason why the lecturer is asking is to help answer the learner, but it is also because the lecturer's lecture is not distracted. The learner is afraid that the learner will be wrong even with simple questions, and the lecturer is anxious that the lecture will not be able to catch up. How can we make the lecturer's speech opinion and give the student a wing? The alternative presented by this paper is to change the lecture/learner into participant/participant in the field of humanities education. Not all humanities education needs to accept art expressions and speech, but they should not produce silent students who lack resources of discourse. F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 I will first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dgment of taste and recognition and practice in Kant's critique of judgment. (II) In this process, I will find that judgment of taste does not acquire any knowledge or norms of behavior, but it has the best sensitivity to normative and knowledge capacity. Second, I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sensationalization which is made by art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at works of art and transformations of experience using imagination in Kant's critique of judgment. (III) Although Kant does not discuss the art creation of the public in earnest, the creation of the expert (geniu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xperience of the public are on the same l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ill be revealed. Third, I will analyze the contribution of the literary public sphere in Habermas' description of the public sphere formation process. (Ⅳ) It will reveal the unique process of the new public emerging from the private sphere into the publicity that restrained the existing public power, especially the literary public sphere, a place of art presentation and criticism. Finally, instead of conclusions, I will present a model of art expression-speech lecture and give examples of possible areas of art. (Ⅴ) In this course, a model of art expression-speech lecture that general and non-arts lecturers can easily approach will be given.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가 사라진 인문학 교육 현장을 예술이 매개 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이다. 인문학 교육에서 대화가 사라지고 있다. 담론자원의 불평등 때문이다. 강의자는 알고 수강생은 모르니 당연한 일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러나 대화가 사라진 인문학 교육에서 인문은 사라진다. 수강생이 자신의 수준에서 나름대로 생각하고 말해볼 자유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담론자원의 불평등은 사실이지만 과장되어 있다. 간략하게 묻고 대답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 일방적인 강의보다는 진일보 했지만 부족하다. 강의자는 담론자원이 부족한 수강생에게 양자택일이나 단답형 질문을 한다. 강의자가 이렇게 묻는 이유는 수강생의 답변을 돕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강의자의 강의가 산만해지지 않기 위함이기도 하다. 간단한 질문에도 수강생은 틀리지 않을까 두려워하고 강의자는 강의가 갈피를 잡지 못할까봐 불안해한다. 어떻게 하면 강의자의 말이 하나의 의견이 되게 하고, 수강생의 말에 날개를 달 수 있을까? 이 논문이 제시하는 대안은 예술표현과 말이 인문학 교육현장에서 강의자/수강생을 참여자/참여자로 바꾸는 것이다. 모든 인문학 교육이 예술표현 및 말을 수용할 필요는 없지만, 담론자원이 부족한 수강생을 침묵시켜서도 안 된다. 그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정당화를 위해 첫째,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취미판단이 인식 및 실천과 갖는 관계를 고찰한다.(Ⅱ장) 이 과정에서 취미판단은 어떤 지식이나 행위규범을 얻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상의 지식 수용력과 규범에 대한 최상의 감수성의 형식에 관한 판단이라는 점을 밝힌다. 둘째,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전문가의 예술창작과 일반인의 상상력에 의한 경험의 변형이 심미적 이념을 감각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한다.(Ⅲ장) 칸트가 일반인의 예술창작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천재)의 창작과 일반인의 경험 변형은 같은 연장선에 놓인다. 그 교육적 함의가 밝혀질 것이다. 셋째, 하버마스의 공론장 형성과정 서술에서 문예적 공론장의 기여를 분석한다.(Ⅳ장) 사적 영역으로부터 등장하는 새로운 공중이 기존의 공권력을 견제하는 공공성으로 변화하는 과정, 특히 예술 발표 및 비평의 장인 문예적 공론장이 기여한 독특한 지점을 밝힌다. 끝으로, 결론을 대신하여 예술표현-말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가능한 예술 영역 사례를 제시한다.(Ⅴ장) 이 과정에서 일반 수강생 및 비예술 전공 강의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예술표현과 작품에 관한 말 강의 모형이 제시된다.

      • 헤겔 예술철학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주관성의 형식주의’의 정당성

        최행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3 No.1

        This study inquires into justification of ’Fonnalism of Subjectivity' in fonn of romantic art in Hegel’s Aesthetic. Romantic art has its distinguishing circles, which are religious, secular and fonnalism of subject. But for the characters of each circle are inconsistent, the inconsistency needs a clar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fonn of romantic art. This study would show that the principle of the fonn of romantic art is ’form of 따t based on the reality of 'Spirit" in tenns of the spiritual content and sensual fonn. So, Hegel's mentions would be considered here 'Stuff doesn’t express intemality.' 'But intemality has to be arisen from stuff.' 'Stuff expresses dissatisfaction with outwardness for intemality.' These are saying reality, in the art grounded on the reality of 'Spirit’ is not something expressed by stuff or sensual fonn but shows their inadequacy. And the spiritual intemality appears fonn by inadequate stuff and sensual fonn. Also this study would take attention to concepts like ’religious community’, ’audience’, 'direct relationship within peoples', 'base of mankind'. It is for giving an explanation of where 'Spirit’ retum to in fonn of romantic art if 'Spirit’ is based on its reality and retums to itself. This would clarify that spiritual reality is not in stuff and fonn of work of art, but in relationship within people in existence. So the inquiry of the status of ’fonnalism of subjectivity' in fonn of romantic art would be helpful for consideration of the beginning of modem art which says ’anything goes in Hegel’s aesthetic.

      • KCI등재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과 개인방송

        최행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형식적 주관성에 관한 개념을 통해 개인방송의 문화적 의미를 포착하는 것이다. 개인방송이 공중파는 물론 케이블 방송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콘텐츠 구성 능력에서 월등한 공중파와 케이블 방송을 개인방송이 잠식하는 것은기현상이다. 급기야는 공중파와 케이블 방송이 개인방송의 콘텐츠를 모방하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개인방송의 약진은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콘텐츠 구성 능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헤겔은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형식적 주관성을 서술한다. 그는 예술표현에서 형식적 주관성을 한편으로는 더 이상 아름답지 않은 예술, 지리멸렬해진 예술로 비하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종적인것의 연쇄가 경이로운 예술, 생명성과 시간성이 응축된 예술, 정신이 감각성과 화해한 예술로 평가한다. 모든 예술에 대한 헤겔의 평가는 양가적이고 모순적이니 이행하는 예술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예술 진리가 일면적임을 염두에 두며 전체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필자는 개인방송의 콘텐츠가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과 상응한다고 생각한다. 개인방송은 당위, 중심, 노정이 아니라 현실, 주변, 연쇄를강조하는 시대정신의 산물이다.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이 갖는 위상을 헤겔의 예술철학과 낭만적 예술형식의 관계 속에 고찰한다(2장). 이 과정에서 절대적 내면성과 정신적 주관성이 낭만적 예술형식, 특히 형식적 주관성에 드러나는 방식이 밝혀진다. 둘째, 주관적 우연성과 있는 그대로의 대상성이 개인방송의 어떤 부분과 상응하는지 논의한다(3장). 이 과정에서 개인방송은 전문가를 지향하는 것과 평균 이하의 일반인을 지향하는 콘텐츠로 나뉘고, 일반인을 지향하는 콘텐트가 우연성 및대상성과 갖는 관계가 밝혀진다. 셋째, 예술가의 기술과 감각성의 심화 관점에서 개인방송을 검토한다(4장). 이 과정에서 헤겔이 진단한바, 기술과 감각성의 심화가 개인방송 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주요한 정신과 세계 상태임이 밝혀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pture the cultural meaning of personal broadcast through the concept of formal subjectivity in Hegel 's romantic art form. Personal broadcast is encroaching the cable broadcasting market as well as the ground waves. It is a great honor for personal broadcasters to overcome ground waves and cable broadcasts that are superior in terms of technology, capital, and content composition. Suddenly, ground waves and cable broadcasting are taking place to mimic the contents of personal broadcasting. Personal broadcasting is not explained by technological power, capital, or content composition ability. Hegel describes formal subjectivity in the form of romantic art. On the one hand, he underestimates formal subjectivity in artistic expression as art that is no longer beautiful or that which has been eroded. But on the other hand, he valued the formal subjectivity as a marvelous art of a chain of heterogeneous, a condensed art of vitality and time, and a reconciliation art of mentality and sentience. Hegel's assessment of all arts is both ambivalent and contradictory, so keep in mind that the art truth revealed in the art form is limited. I think that the content of personal broadcasting corresponds to the formal subjectivity of Hegel. Personal broadcasting is not duty, center, or road, but is a product of the spirit of the era that emphasizes actuality, periphery, and chai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aper, first, I consider Hegel's formal subjectivity in the relation of Hegel's philosophy of art and romantic art form (Chapter 2). In this process, how absolute inwardness and spiritual subjectivity are exposed in the romantic art form, especially in formal subjectivity, are revealed. Second, I argue that subjective contingency and objectivity as it corresponds to personal broadcasting (Chapter 3). In this process, personal broadcasting is divided into contents aiming at professionals and below average, and contents aiming at below-average are foun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contingency and objectivity. Third, I review personal broadcasting in terms of an artist 's skill and sensibility of deepening(Chapter 4). In this process, as Hegel diagnoses, it is revealed that the technology and the deepening of sensibility is the spirit and the world state of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creation and consumption.

      • KCI등재

        세잔의 정물화와 불일치

        최행준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세잔의 정물화를 불일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논증에 성공한다면 세잔의 정물화는 첫째, 그림을 그리는 절대적 주체가 조작한 일치를 해체하고 둘째, 불일치를 통해 실체를 그리려는 시도라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세잔의 수많은 작품, 말들 그리고 일화들은 인상주의 그리고 입체파와의 관계 속에서 선택적으로 선별되고 강조된다. 인상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세잔은 변화하는 표면이 아니라 변치 않는 구조를 그리려 한 작가였고, 입체파와의 관계 속에서 세잔은 모든 대상을 구, 원기둥, 육면체, 원뿔로 환원하고 해체한 작가로 이해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세잔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말도 아니다. 나는 기존의 연구가 인상주의 또는 입체파와의 관계 속에서 세잔을 선택적으로 강조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세잔의 정물화를 불일치의 회화로 논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첫째, 몇 가지 간단한 시각 실험을 통해서 감각들의 차이를 살펴보고 세잔의 정물화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시각 방식의 해체를 합리적으로 서술할 것이다(Ⅱ장). 이를 통해 세잔이 왜 우에서 좌로 계단식으로 내려오는 테이블을 그릴 수밖에 없었는지, 왜 병이 수직이 아니라 기울어 서 있는지 설명될 것이다. 둘째 세잔이 사과 그림에서 발견한 색채와 명암 간의 불일치와 이 불일치를 무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실체를 그리려는 시도를 서술할 것이다(Ⅲ장). 이를 통해 왜 세잔의 사과는 구가 아니라 원인지, 색채와 명암의 불일치 속에서 세잔이 얻은 것은 무엇인지 논증할 것이다. 셋째, 일치의 패러다임과 불일치의 패러다임의 대비 속에서 세잔의 시도가 갖는 함의를 논증할 것이다(Ⅳ장). 감각으로 매개되는 주체와 객체 관계에서 객체의 존재권리는 주체에 의해 강압적으로 통일된다. 그러나 세잔의 시도는 감각의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감각 자체와 존재 자체에 접근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감각 측면에서 감각 자료와 감각 기관의 상호작용 그리고 존재 측면에서 대상 존재와 화가 존재의 상호작용이 모두 존중된다. 이러한 존중의 결과는 불일치인데, 세잔은 이 불일치를 통해 실체에 접근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세잔의 정물화에서 객체의 다층적인 권리주장은 주체에 의해 강압적으로 통일되지 않고, 주체도 하나의 존재로서 권리를 상실하지 않는다. 나는 세잔의 정물화가 개별자의 권리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인류 정신사의 흐름 속에서 이를 시각적 화면으로 그려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Cézanne’s still life as a concept of inconsistency. If I succeed in the argument, Cezanne still life will be revealed as follows: First, deconstruction of consistency which absolute subject who draws picture manipulates. Second, attempting to draw reality through discrepancies. Cézanne's numerous works, speeches and anecdotes are selectively screened and emphasized in relation to Impressionism and Cubism. In relation to Impressionism, Cézanne was an artist who paints not an altered surface but an unchanging structure. In relation to Cubism, Cézanne is understood as a artist who reduced and dismantled all objects into spheres, cylinders, cubes and cones. It is not wrong, but it is not enough to explain Cezanne. I think that existing research is the result of selectively emphasizing Cézanne in relation to impressionism or cubism. In order to argue Cezanne's still life as a inconsistent painting,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difference of sensations through several simple visual experiments and rationally describes the dismantling of the traditional visual form seen in Cezanne still life. (Chapter Ⅱ) This will explain why Cézanne was forced to draw a cascading table from left to right and why the bottle is tilted rather than vertical. second, Cezanne will describe the inconsistency between color and shading found in apple paintings and attempts to draw reality in a way that does not ignore the discrepancy (Chapter III). This will explain why Cézanne's apples are not spheres but circles, and what Cézanne has gained in discrepancies in color and shading. Third, I will demonstrate the implications of Cézanne's attempts in paradigm of consistency and paradigm of inconsistency (Chapter Ⅳ).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at are mediated by sense, the existence right of object is forcibly unified by subject. However, Cézanne 's attempt seems to have approached the sense itself and the existence itself by revealing the difference of sensation. In terms of sense, both the interaction of sensory data and sensory organs, and in terms of being, both the interaction of being as object and being as artist are respected. The result of this respect is inconsistency. Cézanne seems to have attempted to approach reality through this inconsistency. In Cezanne's still life, the multi-layered claim of the object is not coerced by the subject, and the subject does not lose the right as a being. I think that Cezanne 's still life depicted this in a visual screen in the flow of human spirituality in which the individual' s rights are specifically revealed.

      • KCI등재

        『추의 미학』에서 미 이념의 통일성과 자유

        최행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comic and caricature in terms of the unity of beauty and freedom in Aesthetic of Ugliness written by K. Rosenkrantz. Rosenkrantz's discussion about the ugliness is regarded as a theory that does not grasp the unique value of the ugliness because it assumes the ugliness as a negation of beauty and justifies the comic as a return to the beauty. But I think Rosenkrantz has an internal connection with Hegel's discussion of beauty idea and Adorno's ugliness. To elucidate this inner connection, I focus on the concept of the unity of beauty idea, comparison request, and freedom. Through this process, first,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beauty idea, unlike the beauty phenomenon, is dynamism without substantial content, rather the beauty phenomenon and ugliness phenomenon constitute the beauty idea as divisions of it. Second, The extreme of ugliness is the caricature, which is also contrary to the concept and requires a comparison of what the shape should be. Opposition and distinction of the beauty idea developed into a difficult state of unification, and the comic, the most extreme ugliness, that appeared in the era is merely an example of being returned to beauty. The ugliness, accusations of non-free reality, reminds Adorno of ugliness in that the ugliness can be an art of criticism that reminds of concealed freedom. Third, the part of Rosenkrantz's ugliness that is still nowness is the part of having the imagery freedom that freely denies one's freedom and the part of describing that comic is the only way for the ugliness to have the image of the freedom. We can point out Ronsenkranzt's limitations which assumes the ugliness as a negation of beauty and justifies the comic as a return to the beauty. But, the nowness of his contributions should also be justified. 본 연구의 목적은 K.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에서 코믹과 캐리커처 개념을 미 이념의 통일성과 비교 요구 그리고 자유라는 관점에서 해명하는 것이다. 로젠크란츠의 추에 관한 논의는 추를 미의 부정으로 상정하고, 미로복귀한 코믹으로 정당화하기 때문에 추의 독자적 가치를 파악하지 못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필자는 로젠크란츠가 헤겔의 미 이념에 관한 논의, 그리고 아도르노의 추에 관한 논의와 내적 연관 관계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 내적 연관 관계를 해명하기 위해 미 이념의 통일성과 비교요구 그리고 자유 개념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첫째, 로젠크란츠의 미 이념은 미의 현상과 달리 실체적 내용이 없는 역동성이며 오히려 추의 현상과미의 현상이 미 이념의 구분을 구성한다는 점이 밝혀진다. 둘째, 추의 극단화는 캐리커처인데, 캐리커처는 개념에 반하는 형상으로, 형상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비교 요구라는 점이 밝혀진다. 미 이념의 대립과 구분은점차 통일이 어려운 상태로 현상하는데, 당대에 나타난 코믹은 가장 극단적 추가 미로 환원된 예시에 불과하다. 부자유한 현실을 고발하는 추는 미가 가장한 개념의 형상을 비판하는 예술일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도르노의 추를 상기시킨다. 셋째, 추가 자유와 갖는 관계를 통해 로젠크란츠 추 이론의 현재성이 밝혀진다. 자유롭게 자신의 자유를 부정한 부자유가 오히려 자유의 가상을 띠는 부분과 추가 자유의 가상을 띨 수 있는 방식이 코믹만은 아니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추를 미의 부정이나, 코믹을 미로 복귀한 추로 파악하는 로젠크란츠의 한계를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공헌이 갖는 현재성도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 문화사업 의 자율성 과 다양성

        최행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6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sidering the examples of cultural project reflectively based on the concepts of autonomy and diversity. The power and capital are suspects which damage the autonomy and diversity in Korean cultural project which is leaded by the govemment and businesses. The situation of BIFF which happened recently shows that power can bring down successful culture project in a moment. Culture project would be admitted when it has political achievements. Also, capital would reproduce custoαme밍r싱 coded taste with expansion to realize the purpose getting capital through culture and art. Although expanded cultural products in the logic of capitalism could be diverse, they would be standardization as the purpose accumulating capital. The cultural industry would be welcomed when it makes profit. It is required of thought about autonomy and diversity to overcome limited cultural project and become cultural art with own voice. It is necessary to know which concept autonomy accepts and denies for handling crisis about autonomy of cultural project. Also, it can protect and foster diversity of cultural industry which will be renewed from standardization. For this project, 1 am going to define Kant’s and Habermas’ concepts for autonomy and review the example of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 II ) Then, 1 am going to compare difference between concepts of autonomy of art from Kant and Hegel, and support Hegel’s view. (IIl) In the end, 1 am going to explain the reason for protective fosterage of diversity and good relation with cultural project through the example of the protective policy of artfilms in France. (N) Culture and arts industry have to deviate from structure of granter and recipient. The logic from people who intervene the culture and 따ts project using power is “how dare do the business run by govemment expenditure criticize govemment?" The owner of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is supposed to be citizen not govemment or capital. The culture and art project is supposed to be the way to realize right of individual expression. We have to dream the cultural and art industry which is run by expanding autonomy and diversity as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1 asseπ that the business run by citizen’s taxes have to include citizen’s voice.

      • 천재를 부여 받은 자와 천재를 부여 받지 못한 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최행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2 No.1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n of genius and the common in Kant’s Kritik der Urteilskrqft. We usually call someone genius in history. That means he has genius, a talent of something. So strictly spe따cing, in terms of genius as a talent, he can not be identified with genius because genius is what he has. In Kritik der Urteilskrl빼 S46 Kant defmes genius as a talent for gi꺼ng rules in technic of Arts. But in S47. He seems to consider genius as a 야:rson. In addition, Kant says that because geniu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what is science, genius does not belong to the domain of science. Thus it cannot be learned though it is an universal capacity, understanding and ímagìnation. Here, we can find a discrepancy in the definitions of genius. How do we understand the two different definitions in consistency.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 capacity not to be leamed. Noting the discrepancy, this study will show that Kant ’ s genius is a universal capacity, not a special talent someone has. It also shows that talent ’gemus’ comes from the proportion of capacity of mind. That m않ns a person ’gemus’ is who follow the proportion of mind.

      • KCI등재

        푸코의 마네론과 규율체계

        최행준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19 사회와 철학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Foucault’s Manet painting theory in relation to discipline system. In 1971, Foucault lectured on Manet’s paintings at the University of Tunis, focusing on space, lighting, and spectator positions. Foucault argued that Manet was fundamentally destroying the grammar of traditional paintings rules by resetting closed and cut-off space, frontal light, and spectator locations. The traditional paintings show opened and the completed space, the side light inside the screen to reveal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the position of the viewer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Foucault’s value to Manet’s paintings was not the pioneer of impressionism, but the destruction of the grammar of painting that had persisted since the Renaissance. The short Foucault lecture transcript threw a big wave on the interpretation of Manet. Manet was not only a pioneer of Impressionism, but also a drafter of modernity in painting. I agree with this interpretations, but I think there are even more interesting points. The emphasis that Foucault emphasized in Manet’s paintings could be in response to the Panopticon or discipline system. Of course, in Foucault’s book, the explicit emergence of the Panopticon is in the 1975 edition of Discipline and Punish. However, the idea of ​​a discipline system was already addressed in Madness and Civilization(1961), and the lesson Foucault did at Clermont University between 1960 and 1966 was about the penal system. Foucault had already had ideas about the detention system and the surveillance system when he conceived of Manet’s painting theory.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reinterpreting Foucault’s Manet painting theory in relation to the discipline system. First, I would trace whether Foucault already had ideas about the discipline system when he thought about Manet’ paintings (Chapter 2). The writings, lecture records, and biography before Foucault lectures on Manet's paintings would be reviewed. In this process, the idea of Discipline and Punish was found to be a basic idea in Madness and Civiliza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lecture of the Clermont university has already dealt with the punishment system. Second, I would examine the similarity of Manet’s painting theory with the discipline system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Chapter 3). In this process, I would argue the possibility that Foucault was interested in Manete's closed and cut-off spatial composition because the discipline system corresponded to the process of micro-life compartmentalization. Third, I try to connect the gaze of the monitor with the frontal light that appears in Manet’s painting.(Chapter 4). In this process, Foucault’s interest in associating frontal gaze with eye gaze may correspond to a transparent surveillance system that reveals everything Demonst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