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경량골재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최적배합비 결정

        최영준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Concrete is the most common and widely used material of modern structure. Despite it is considered as a high value material, concrete has several weaknesses. For example, the unit weight is lower tha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elf-load is increasing because of too massive cross section. Next, it also make the size of section gets bigger, so Reducing Weight of concrete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solve for the manhattanization of structur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find out the Optimum Mix ratio with basic propertie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concrete used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To identify the compressive strength follows replacement of Silicafume of the concrete using Lightweight, I used ratio of the water-binder and replacement of Sillicarume as a variables and analyze compressive strength. The study represented that compressive strength of plain concrete was stronger than lightweight concrete, without reference to ratio of water-binder. But distinction of strength became smaller when the ratio of water - binder has reduced. It is considered the lower ratio of water-binder, makes the more improve of strength by absorption of lightweight aggregate. Second,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followed by substitution of silicafume, strength of lightweight concrete ratio water-binder-30%, Silicafum-10% was equality or higher than plain concrete. Therefore, Optimum Mix of lightweight concrete to show similar strength with plain concrete is 30% of water binding material and 10% of replacement of Silicafume. 현대 구조물의 가장 보편화된 구조 재료로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콘크리트는 그 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단위 중량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낮고 단면이 커서 자중이 증가되고, 부재의 단면크기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어서, 구조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 에너지 절약이라는 측면에서도 콘크리트의 경량화는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에서는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및 압축강도 특성을 통한 최적배합비를 도출하고자 한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실리카흄 치환율에 따른 압축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물-결합재 비와 실리카흄 치환율을 변수로 하여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려 한다. 연구결과 일반콘크리트와 경량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물-결합재비에 상관없이 모두 일반콘크리트가 크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재령에 따른 강도차이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경량골재 사전흡수수에 의한 강도 증진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실리카흄을 치환에 따른 압축강도를 비교해보면 물-결합재비 30%이고 실리카흄 10%의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동등 이상의 강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한 정도의 고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경량콘크리트의 최적배합비는 물-결합재비 30%와 실리카흄 10% 치환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농촌형 재가복지센터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보건진료원의 의견 수렴을 중심으로

        최영준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resent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 model for rural type in home service centers at health sub centers, aiming at the development of a rural type in home service center model by analyzing data from a survey on the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health service and public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service for rural residen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by mail with the whole population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public social workers in JeollaNamdo.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20 recovered from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214 from public social worker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was made for 2 days on the 16th and 17th of April, 2007, the second preliminary survey for 2 days on the 23rd and 24th of April, 2007, and the main survey for 30 days from the 1st to 30th of May, 2007.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on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centers that will play the role of a day care facility based on health sub centers, the most necessary space was a physiotherapy room(69.5%), the primary subjects were vulnerable elders living alone(84.5%), the most necessary personnel was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82.3%), the major expense was the cost of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by municipal and county health centers(55.5%) and the most important service besides medical service was health management(75.5%).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public social workers on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s that will play the role of a home helper service facility based on senior centers and village community centers, the most necessary space was a health management center in both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public social workers(63.6% and 67.8%, respectively), the primary subjects were vulnerable elders living alone in both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public social workers(83.2% and 72.4%, respectively), the most necessary personnel was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49.1%) and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management teams in public social workers(50.9%), the major expense was the cost of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by municipal and county health centers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66.4%) and subsidies for welfare operation within the approved budget in public social workers(66.8%), the most important service was medical service in both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public social workers (67.7% and 71.5%, respectively), the institution in charge of general administration was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51.4%) and the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management team in public social workers(50.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suggest directions for rural type in home service centers based on health sub centers, senior centers, and village community centers. First, a shelter type (health sub center based) in home service center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most necessary space for a health sub center based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y is a physiotherapy room.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a physiotherapy room using the regulation that the size of a health sub center can be planned to be as large as 133.11㎡ with permissible deviation of 15% in order to prepare a space for a physiotherapy room. Thus,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facility through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permissible deviation for the size of a health sub center. Second, the primary subjects of a health sub center based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y are vulnerable elders living alone. Therefore, when the beneficiaries of a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center are selected, vulnerable elders living alone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addition, those who are recommended by public social worker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at a health sub center based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y, a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should assume the roles of the director and a physiotherapist or a nurse (assistant nurse). In addition, compulsory personnel such as care workers, drivers and cooks should be deployed. Driving work can be done by drivers for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s to optional personnel such as social workers and clerks, if social workers are employed and they do clerical works, health and medical service will be connected appropriately to social welfare service. Under this plan, it will be more efficient to run a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center using an existing health sub center by deploying essential personnel such as care workers, drivers and cooks and have it perform the functions of a social welfare facility than to establish a new day care facility as a social welfare facility. Fourth, as to the financing of a health sub center based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y, the cost for day care facilities, which are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added to the expense of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by municipal and county health centers and the expense of health services within the approved budget. This plan will reduce the operating expense considerably. Fifth, services provided by a health sub center based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y are medical service, health management, health counseling, snacks, meals, etc. Accordingly, a health sub center based rural type in home service center can be an efficient facility covering both health and welfare services. Sixth, the administrative works of a health sub center based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y should be carried out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Next, a visiting type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in home service center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most necessary space for a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is a health management center. Accordingly,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opening a health management center in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rural type in home service centers. Second, the primary subjects of a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are vulnerable elders living alone. Because they are also the subjects of shelter type in home service facilities, it will not be difficult to carry out the program. Third, it will be efficient for an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management team to perform key functions in a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The cost of service can be reduced by connecting health sub centers’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and home helper service. It will be a very desirable welfare program for in home elders if public health institutions promote health management for in home elders by connecting home helper service to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Fourth, if a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is financed primarily by the budget of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nd secondarily by the budget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 operating expense will be reduced considerably. Fifth, the finding that medical service is the most necessary service in a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between health and welfare. In addition, a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using a senior center or a village community center can provide medical services when it is run by an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management team. Sixth, the largest part of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 key administrative works of a senior center based or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d visiting type in home service center should be carried out by an individualized home visiting health management team, and this result is considered natural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major services and this can save personnel expenses. 본 연구는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농촌형 재가복지센터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농촌 보건의료의 주체인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서비스의 주체인 사 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건의료사업과 재가복지사업의 연계에 대한 설문조사 내 용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농촌형 재가복지센터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 을 두고 전라남도에 근무하는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전체를 대상 으로 하였으며,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하는 주간보호시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쉼터형 재가복지센터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간, 대상, 인력, 재정, 서비스 그리고 행정적 업무의 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쉼터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보건진 료소에 가장 필요로 하는 공간에 대한 보건진료원 설문조사 결과 물리치료실 이 69.5%, 찜질방이 19.1%, 쉼터방이 10.9%로 나타났다. 둘째,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 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일차적인 대상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설문조사 결과 건강요주의 독거노인이 84.5%, 65세 이상 의료수급자가 8.2%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 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가장 필요로 하는 인력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설 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이 82.3%, 맞춤형 방문보건관리팀이 16.8%로 나타났다. 넷째,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주된 재정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설문조사 결 과 시군보건소 맞춤형 방문보건사업비가 55.5%, 승인된 예산 범위 내의 보건 사업비가 43.6%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 사 결과 진료 이외의 건강관리가 75.5%, 건강상담과 식사제공이 13.2%로 나타 났다. 여섯째,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가장 필요로 하는 인력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설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이 82.3%로 나타났다.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경로당과 마을회관을 중심으 로 하는 가정봉사원파견시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에 대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간, 대상, 인력, 재정, 서비스 그리고 행정적 업무의 측 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방문보건사업을 실시하면서 방문하는 관내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경로당·마을회관에 가장 필요로 하는 공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둘 다 건 강관리실이 각각 63.6%와 67.8%, 쉼터방이 각각 19.5%와 16.8%, 찜질방이 각 각 16.4%와 12.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춤형 방문보건사업을 실시하면서 방문하는 관내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일차적인 대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둘 다 건강요주의 독거노인이 각각 83.2%와 72.4%, 65세 이상 의료수급자가 각각 8.6%와 17.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맞춤형 방문보건사업을 실시하면서 방문하는 관내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가장 필요로 하는 인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의 경우에는 보건진료원 49.1%, 맞춤형 방문보건관 리팀 22.7%,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4.1%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 원의 경우에는 맞춤형 방문보건관리팀 50.9%,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9.6%, 보건 진료원 15.0%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맞춤형 방문보건사업을 실시하면서 방문하는 관내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주된 재정에 대한 설문조사 결 과, 보건진료원의 경우에는 시군보건소 맞춤형 방문보건사업비 내에서의 보조 금 66.4%, 승인된 예산 범위 내의 보건 사업비 내에서의 보조금 3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승인된 예산 범위 내의 복지사업 비 내에서의 보조금 66.8%, 단체, 기업, 재력가 등의 지원금 15.4%, 시군 사회 복지사업비 내에서의 보조금 11.2%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맞춤형 방문보건사업을 실시하면서 방문하는 관내 경로당·마을회 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서비 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둘 다 의료서비 스가 각각 67.7%와 71.5%, 정서서비스가 각각 11.8%와 10.3%, 경제서비스가 각각 10.0%와 10.3%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맞춤형 방문보건사업을 실시하면서 방문하는 관내 경로당·마을회 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만들고자 할 때 행정상의 업무처리 등 전체적 인 관할 기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건진료원의 경우에는 보건진료원 51.4%, 맞춤형 방문보건관리팀 21.8%,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8.6% 순으로 나타 났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맞춤형 방문보건관리팀 50.5%, 사회복 지전담공무원 30.8%, 보건진료원 15.4%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 업무협조 의뢰율과 요청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업 무협조 의뢰와 요청에 대한 상대방과 본인의 태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조사대상자인 보건진료원과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연계에 대한 공감 대가 상당히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보여진다. 따라서 앞으로 보건진료소와 경로당·마을회관을 중심으로 하는 농촌형 재가복지센터를 실행 에 옮기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쉼터형(보건진료소 중심) 재가복지센터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 어야 할 것이다. 첫째, 보건진료소 중심 쉼터형 재가복지시설에 가장 필요한 공간은 물리치 료실이다. 물리치료실 공간 확보를 위해 보건진료소의 면적 허용편차를 15% 까지 두어 기준 면적이 최대 133.11㎡까지 계획될 수 있도록 한 점을 이용한 다면 물리치료실의 공간 확보가 가능하므로 보건진료소의 면적 허용편차를 최 대한 이용하여 시설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보건진료소 중심 쉼터형 재가복지시설의 일차적인 수용대상은 건강요 주의 독거노인이다. 따라서 쉼터형 재가복지센터의 대상을 선정할 때 우선적 으로 건강요주의 독거노인을 선정하여야 할 것이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의뢰 대상으로 선정된 대상 역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보건진료소 중심 쉼터형 재가복지시설은 보건진료원이 시설장과 물리 치료사 또는 간호사(간호조무사)를 겸임하고, 그 외의 법정인력인 생활지도원, 운전기사, 조리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 중 운전기사는 방문보건사업에 투입 된 운전기사를 이용하면 될 것이고, 선택인력인 사회복지사를 정책적인 측면 에서 필수인력으로 편입시켜 쉼터형 재가복지센터의 사례관리자(case manager: 통합서비스를 총괄하는 역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회복지서 비스와 보건의료서비스의 연계에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 안은 사회복지시설로서 주간보호시설을 신축하는 비용보다는 기존의 보건진료 소를 이용하여 주간보호시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쉼터형 재가복지센터에 법정인력인 생활지도원, 운전기사, 조리원을 투입하여 운영하면 비용적인 측면에서나 인력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 다. 넷째, 보건진료소 중심 쉼터형 재가복지시설의 재정은 사회복지시설인 주간 보호시설에 투입되는 비용을 시군보건소 맞춤형 방문보건사업비와 승인된 예 산 범위 내의 보건사업비에 추가로 계정하여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가복 지센터를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 방법은 사업비의 절감효과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다섯째, 보건진료소 중심 쉼터형 재가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진료 이외의 건강관리와 건강상담 및 간식과 식사제공 등이다. 따라서 보건진료소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에서는 보건과 복지의 양 서비스를 모두 받을 수 있 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여섯째, 보건진료소 중심 쉼터형 재가복지시설의 행정관련 업무의 주체는 보 건진료원이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방문형(경로당·마을회관 중심) 재가복지센터는 다음과 같은 점들 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에 가장 필요로 하는 공 간은 건강관리실이다. 따라서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농촌형 재가복지센터에 건강관리실을 신설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의 일차적인 수용 대상은 건강요주의 독거노인이다. 이는 서비스 대상 측면에서는 방문형이나 쉼터형이 나 동일한 대상이기에 사업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에 가장 필요로 하는 인 력은 맞춤형 방문보건관리팀이 담당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보 건진료소의 방문간호사업과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연계를 통하여 비용절감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공공보건기관에서는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을 도입하 여 시행하기보다는 이를 방문간호사업과 연계하여 재가노인의 건강관리를 도 모한다면 매우 바람직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틀이 될 것이다. 넷째,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에 가장 필요로 하는 주 된 재정은 맞춤형 방문보건사업비로 충당하고, 부수적인 재정은 사회복지 사 업비로 계정하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를 운영하면 사업비의 절감효과가 상당 히 크기에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다섯째,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에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의료서비스로 나타나 보건과 복지의 연계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 조되는 부분이다. 또한 경로당·마을회관을 이용한 방문형 재가복지센터는 맞 춤형 방문보건관리팀이 담당하여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경로당·마을회관 중심 방문형 재가복지센터에 가장 필요로 하는 행정상의 업무처리 등 전체적인 관할 기관은 맞춤형 방문보건관리팀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서비스의 담당자와 인력 측면에서의 담당자로서 당연한 결과로 판단되어진다.

      • 부동산 공시가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고찰

        최영준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행 공시지가제도는 과거 4원화되어 있던 공시지가 체계를 일원화된 공시지가 체계로 전환하여 공적지가에 대한 국민의 혼란을 해소하는 한편, 3대 토지공개념제도인 토지초과이득세, 개발부담금, 택지소유상한부담금의 부과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공시지가제도는 공적지가를 중심으로 토지공개념제도를 위시한 각종 공공행정에 필요한 부동산 가격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공시제도 운용의 효율성과 적정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지(표준주택)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읍·면·동 지가조사체계에서 시·군·구 조사체계로 전환되었고, 지가검증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또한 가격산정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컴퓨터에 의한 지가자동산정방법을 도입하였고, 지가산정 및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GIS를 이용한 지가도면 전산화 및 첨단정보화 등의 노력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행 공시가격제도가 제도 도입의 기본 취지와 다르게 부실해진 것은 표준가격이 졸속으로 정해진데다 표준가격(표준지공시지가, 표준주택가격) 등이 다양한 종류의 개별 필지 및 주택의 가격 기준으로 삼기에는 대표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또한 일선 지자체들은 개별 부동산의 다양한 가격 형성요인 등을 따져 개별가격을 산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인력으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한 부동산 가격형성 요인을 조사하여 가격을 결정하기 보다는 탁상에서 공시가격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부동산 공시가격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부동산가격공시제도가 과세형평을 위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오히려 과세의 불형평성을 조장할 가능성이 크며, 공익사업 등에서 토지 등의 보상 시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손실보상액이 산정되는 과정에서 보상액의 비논리적 산출로 인한 정부예산 낭비가 발생할 가능성이 비일비재하였다. 공시가격제도의 이러한 문제점들이 상존해 있음으로써 본 논문은 부동산공시가격 현실화의 필요성과 적정가격의 개념 및 문제점에 관하여 알아보고, 공익사업의 감정평가자료 등을 참고하여 공시가격과 손실보상액의 비교를 통해 공시가격의 적정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부동산공시가격의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공익사업 등 보상업무의 투명성 제고를 통한 사업추진 원활화와 더불어 공공재정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부동산공시가격의 현실화 방안을 찾아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및 유용한 부동산시장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주역과 사주명리의 운명관에 관한 비교연구

        최영준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운명(運命)을 하늘에서 내려 준 것으로 이해한 고대인은 자연(自然)의 운행원리(運行原理)와 인간의 운명전개(運命展開)를 동일원리로서 이해하였다. 천(天)의 의지(意志)가 천문(天文)의 재이(災異)현상을 통해 징조(徵兆)로서 나타난다고 믿었으며, 징조는 경험(經驗)과 결부되어 축적되고, 축적된 경험지식은 연역적(演繹的)으로 활용되었다. 『주역(周易)』은 이러한 개인 운명 및 재이현상, 전쟁과 정치행위의 길흉에 대한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었으나, 이후 덕치(德治)와 수신제가(修身齊家)의 덕목으로 해석되어 동양의 주요 철학사상(哲學思想)으로 발전해 왔다. 사주명리(四柱命理) 또한 『주역』의 상수역학(象數易學)을 주요 기원으로 하여,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과 육십갑자(六十甲子) 역법(曆法)을 이용하여 인간의 운명을 예측하기 위해 발생하였다. 이렇듯 『주역』의 서지(筮之) 결과와 사주명리의 예측 결과는 불안한 미래를 위해 활용하였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결코 소극적이거나 결정적인 태도로서 수용한 것은 아니었다. 『주역』은 「역전(易傳)」을 통해 군자(君子)의 인격(人格) 수양(修養)을 강조하여 정치리더십 배양을 주문하고 있으며, 일반백성에 대해서는 도덕적(道德的) 행위를 강조하여 안정적인 정치행위를 펼치고자 하였다. 이는 적극적(積極的) 운명관(運命觀)과 운명의 주체(主體)로서 군주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 또한 운명의 주체로 보았던 것이다. 또한 『주역』의 운명관은 어떠한 사건이나 행위에 따른 미지의 길흉조차도 끊임없는 수양과 노력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점서(占筮)는 보조적인 확인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즉, 점서 행위를 통한 신의 의지를 확인하는 수준의 운명관에서, 점서의 기록물인 『역경(易經)』과 철학적 해석서인「역전」을 통해 주체적(主體的)인 운명관을 확립하게 되었다. 사주명리는 음양오행 코드의 조합으로서 단순히 인간의 운명을 예측하는 것에 끝나지 않았다. 음양오행의 조합을 분석하여 부족하고 넘쳐 나는 기운을 중화(中和)에 이르도록 함으로써 결정적인 운명관이 아닌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운명관을 갖도록 발전시켜 왔다. 사주명리에서의 운명주체는 당대(唐代)의 국가(國家) 또는 가문(家門) 중심의 운명관에서 송대(宋代)의 개인(個人) 중심의 운명관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국가나 가문보다는 개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주역』과 사주명리에서의 운명주체와 운명관의 변천과정은 시대는 다르나, 천명(天命)의 수동적(受動的) 행위자에서 천명을 적극적(積極的)으로 해석하여 능동적(能動的)으로 운명을 개척하는 주체적인 인간이 될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는 개인의 외모에서 성격까지 획일화(劃一化)를 강요하는 문화적 강제성(强制性)이 녹아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현장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현상에 대해 『주역』과 사주명리의 적극적 운명관을 통해 해결의 길을 제시하고, 실생활과 인간경영(人間經營)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용학문(實用學文)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결과이며, 나아가 『주역』과 사주명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복근강화운동이 하지근력 및 파워에 미치는 영향

        최영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program specially focus on lower extremity on %body fat, blood lipids, power&strength of lower extremity i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program which was consist of aerobic exercise and anaerobic exercise which 50% of station was abdominal area were performed on 3 days a week during 10 weeks. The subjects who engaged in this experiment exercised 3times on week during 5 weeks at 60% of 1-RM, for strength after that 5 weeks at 40% of 1-RM for power This study was calculated on averages and deviations using SPSS 22.0. The data was analyzed by matching sample t-test at α=.0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le students was extensor increased significantly in peak torque, peak torque average, peak power, peak power average, total work. Peak torque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200.02±23.41Nm to 213.96±25.03Nm after the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Peak torque average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192.70±23.56Nm to 208.20±23.29Nm after the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Peak power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208.76±24.30W to 223.88±26.05W after the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Peak power average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200.09±24.01W to 217.89±24.21W after the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Total work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566.60±85.74J to 624.86±99.36J after the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Female stud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otal work, extensor, flexor. Total work extensor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222.50±64.00J to 291.38±68.81J after the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and Knee joint flexor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104.91±39.81J to 145.50±43.88J after the circuit weight training. This study revealed that core circuit weight training program can improve power strength of lower extremity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목적은 유산소성 트레이닝과 무산소성 트레이닝을 접목시킨 복근강화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을 주 3회 10주간 실시하는 남여대학생을 통해 수업 참여 전·후로 나타나는 신체조성, 하지근력 및 파워,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복근강화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을 10주간 주 3회, 75분을 1RM의 60% 강도로 1~5주차까지 실시하고, 6~10주차는 1RM의 40% 강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가설검정을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학생은 Peak Torque, Peak Torque Average, Peak Power, Peak Power Average, Total Work의 구심성 신전이 모두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eak Torque 신전근력은 200.02±23.41Nm에서 213.96±25.03Nm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eak Torque Average 신전근력은 192.70±23.56Nm에서 208.20±23.29Nm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eak Power 신전파워는 208.76±24.30W에서 223.88±26.05W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eak Power Average 신전파워는 200.09±24.01W에서 217.89±24.21W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otal Work의 구심성 신전은 566.60±85.74J에서 624.86±99.36J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학생은 Total Work 구력, 신전, 굴곡이 모두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otal Work 구심성 신전은 222.50±64.00J에서 291.38±68.81J로 증가하였으며, Total Work 무릎 관절 굴곡은 104.91±39.81J에서 145.50±43.88J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복근강화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하지근력 및 파워에 일부 영향을 미치고 향상 시킬 수 있다.

      • BCR모형을 적용한 공공기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최영준 단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companies began to feel the pressures of cost savings due to the global recession began in 2008, so they are interested in the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is one of using method of IT resources through the network. Users can borrow softwares or hardwares instead of buying them. Many people expect remarkable growth in Cloud Computing industry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But Cloud Computing industry is still at an early stage. Especially, people who in the public sector hesitate to adopt Cloud Computing Services due to security issues and their conservative views. Also, they just have limited understanding, so we need to investigate what they really know and understand. Researches about the Cloud Computing generally focus on technical or legal issues, so we can hardly find researches for reference of decision 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erception in public sectors about the Cloud Computing. For this purpose, BCR Model using ANP Methodology is applied. When the priority where it is perceived according to the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the cloud computing service present introduction condition of the research result public institution and members and favor and cost and each factor of the danger could be grasped. We can expect to provide the guideline to public institutions, government, and service providers through this result. 2008년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여파로 인하여 많은 기업들이 비용절감의 압박을 느끼게 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 또한 덩달아 증대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단말기에서 인터넷 즉,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중앙에 있는 메인 서버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의 이용 형태를 말한다. 사용자들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지에서 빌려서 사용하는 형식이 되며 데이터센터를 이용하는 이용료를 지불하는 형식이 된다. 비용절감 효과와 각종 효율성 증대로 인해 폭발적 성장세가 예측되지만, 실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은 아직도 걸음마 단계에 있다. 또한 국내 공공부문은 민감한 보안 문제나 보수적인 성향 등 여건의 문제로 인해 더욱 그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현실이며, 관계자들의 인식이나 이해 또한 아직도 기초적인 수준에만 머물러 있어 현황 파악과 대책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가운데에도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관한 학술연구는 대부분이 기술 연구에만 치중되는 등 현실적인 참고로 삼을 만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그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근무자들의 기본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파악하며, ANP의 BCR모형을 적용해 그들이 실제 중요하게 여기고 우려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현실에 맞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도입현황과 구성원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혜택과 비용, 위험의 각 요인에 따라 인식된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에 따른 전략적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도입을 하고자 하는 공공기관, 관련된 상위의 유관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입장에서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 향후 대응을 지속해나가야 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황금비의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최영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남지역 군 단위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중 각 학년마다 상․중․하위권에 있는 학생들을 2명씩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황금비를 어떤 학년에서 어떤 내용을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황금비와 관련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전․후의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리수가 나오는 부분은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지만 황금 나선의 작도 및 분석은 학년과 수학적 능력에 상관없이 지도 내용으로 적합하다. 둘째, 실생활과 관련된 황금비를 활용한 학습 지도는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selecting 2 pupils of each rank (low, medium, high rank) in each class of the 1, 2 and 3 grades at a middle school in the Chonnam area. In order to find out what kind of golden ratio contents should be taught and at which grade that would be more effective, we analyzed the results applying to pupils and explored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golden ratio. Moreover, we analyzed the change of pupils' mathematical disposition before and after clas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ly, the irrational number was expressed by pupils of grade 1 and 2 at middle school who were not suitable with these education contents. However,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golden spiral, regardless of grade level and math skills, makes the content appropriate. Secondly, the learning class using the golden ratio associated with real-life experiences made a positive impact on changes of pupils' mathematical disposition.

      • UCC 사용자의 내재적 보상이 집단지성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UCC 사용경험은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가?

        최영준 서강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참여자들의 내재적 특성과 행동이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지 그 경로를 규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 2.0 시대의 멀티미디어 수용자들은 콘텐츠의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며 개방과 참여, 공유라는 위키피디아 정신을 수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이미, 많은 학자들이 이를 두고 ‘집단지성’의 출현이라 일컬으며 예견을 해온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경로로 이것이 가능한지를 규명하고자 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UCC 사용경험은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가?’ 하는 문제는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나타난 광장 촛불 집회와 집단여론의 형성 원인을 해석할 수 있는 귀중한 단초가 될 것이라는 의미에 무게를 두었다. 이를 위해, UCC 사용자는 UCC를 제작함에 있어 어떤 보상적 태도에 더 끌리는지를 UCC 사용자의 심리학적 태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즉, UCC 사용자들의 제작 참여 동기와 선택요인, 이용심리를 살펴봄으로써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는 어떤 요인에 의해 제작으로 이어지는지 규명해 보는 작업과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이어지는지 경로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의를 풀어가는 데 있어 먼저 미디어 사용자들의 심리학적 기제를 알아보고자 2단계의 연구과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예비연구 단계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가장 대표적인 심리적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UCC 사용자가 UCC에 참여하는 가장 큰 내재적 보상 요인이자 동기강화 요인은 자기표현 욕구과 사회교류 욕구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단계에서는 FGI 예비연구를 통해 확인된 UCC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 강화 요인과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측정요인을 적용하여 설문 및 구조 모형을 만든 후 사전조사와 본 조사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예비설문을 실시한 것은 설문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함이었으며 이것은 본 조사에서 설문 실시와 통계처리를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사전작업이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선택한 통계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써 이는 심리적 기제와 행동 및 인지-태도-행동의 구조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잠재변수뿐 만 아니라 개별 항목으로 된 측정변수만으로도 분석을 할 수 있으므로 회귀분석과 같은 다 변량 분석기법에 비해 유연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UCC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 요인이나 질문 항목에서 자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이미지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측정해 내는 데 매우 유용한 탄력성을 지닌 통계기법이다. 이것은 본 연구를 통하여 UCC 사용자의 어떤 요인이 집단지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 설명하여 주는 예측력의 단초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에 사용된 구조모형을 검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재적 보상과 창의성의 관계를 검증해 보면 자기표현 욕구가 크면 기술 사용성이나 콘텐츠의 창의성 추구를 통한 개인 창의성이 커지는 반면, 사회교류 욕구는 기술 사용성을 통한 개인 창의성 향상에는 별 영향이 없어도 콘텐츠 창의성 향상을 통한 개인 창의성 향상에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교류를 통해 보다 전문화(분업화)가 가능하므로 이것이 개인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개인의 자기표현 욕구나 사회교류 욕구가 크면 그룹 창의성에 영향을 미쳐 집단의 창의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CC 사용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는 UCC 사용에 대한 사회적 동기를 강화시키는 요인인데, 이 사회적 역할에 대한 욕구가 크면 기술 사용성이나 콘텐츠 창의성 추구를 통한 개인의 창의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사회적 자기확인에 대한 기대는 굳이 기술 사용성에 의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콘텐츠 창의성 추구를 통한 개인 창의성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UCC 사용자들의 UCC 참여에 대한 사회적 자기확인 욕구는 기술적 사용보다 콘텐츠 자체의 창의성을 추구함으로써 스스로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UCC 사용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나 사회적 자기확인에 대한 기대가 크면 그룹창의성의 극대화를 통한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UCC 사용자의 내재적 요인과 사회적 이슈, 집단지성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먼저, 개인적 창의성의 요인인 기술 사용성이나 콘텐츠 창의성 추구는 사회문제를 소재화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의 기술 사용성이 매체뉴스를 소재화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특이한 것은 개인적으로 콘텐츠 창의성을 추구하는 개인은 매체뉴스 소재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집단 내에서의 그룹 창의성은 사회문제의 소재화나 매체뉴스의 소재화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이 아닌 집단의 경우, 다수의 의견을 반영하기에 소재의 다양성 측면에서 더 강한 유혹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확인하고자 한 것은 UCC 사용자들이 어떻게 여론(집단지성)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UCC 사용자들은 사회적 이슈를 소재로 채택하는 데 있어 강한 유혹을 받는 것으로 예비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그것은 그 만큼 여러 사람들의 이목을 받기 쉽고 자기표현, 사회적 역할, 사회교류 등 모든 측면에서 자신의 기대감이나 만족감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이 경향은 UCC가 오프라인 모임으로 확장될 수 있는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설문 결과, 우리에게 그동안 UCC가 오프라인 모임으로 이어지는 군중 모임의 경로를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확인해 본 결과, UCC 사용자의 사회문제에 대한 소재화나 매체뉴스에 대한 소재화 욕구는 여론 다양성(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할 만한 사실은 UCC 사용자가 선택한 UCC의 소재 중에 사회문제의 소재화는 공론장 확인(분산화, 통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매체뉴스를 소재화 한 경우, 공론장 확인(분산화, 통합)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UCC 사용자가 개인적 판단으로 선택한 사회적 이슈(사회적 문제)보다는 매체 뉴스를 통해 반향을 일으킨 소재가 여론의 분산화와 통합을 통한 공론화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한 일련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미디어 기술의 발달이 미디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생산·소비자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였고, 웹 2.0의 인터넷 기반은 개방과 참여라는 새로운 미디어 군중을 양산하였으며, 이들은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여론을 생산해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어쩌면 UCC를 통한 집단지성의 출현은 지극히 자연스럽기까지 하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사용자들의 심리와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 건전한 여론 형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방송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ay of revelation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User Created Contents (UCC) creating participants as collective intelligence. To the Web 2.0 generation, multimedia users are producers and consumers at the same time and leading public opinion both online and offline by accepting, so called "the spirit of Wikipedia":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Scholars have anticipated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study takes a psychological approach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bove all,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how UCC experience affects collective intelligence of society," which can be a valuable start to analyze the reason for the formation of shared voice and candlelight protest that appeared in our society. For that reason, how the rewards of creating UCC attract UCC users is examined in psychological perspectives. In other words, motives, choice factors and psychology of UCC users are evaluated to closely verify what factors encourage UCC users to begin their UCC production and how such production leads 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two-leveled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the psychology of UCC users. First, the most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factor is verified in preparatory research proces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focus group interview (FGI). The research found that desire for self expres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intrinsic reward of participating UCC creation for UCC users. In the next stage, survey and structural models are established by applying intrinsic motive-strengthening factors that have been verified by FGIs and by using measuring factors confirm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two-pronged surveys are carried out: preparatory survey and main survey. Preparatory survey is to secure validity and reliance of the survey itself through analyzing factors, and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 to perform a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enables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base, behavior, and cognition-attitude-behavior structure at once as well as flexible measurement than multiple variabl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is very useful to observe the intrinsic motive factors and images in the questionnaire, and thus comprehensively reflect and analyze such variables. In this study, the analyzing technique is a starting point to explain what factors of UCC users are led to collective intelligenc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structural model that is utilized in the study.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wards, creativity grows stronger with an increase of the desire for self expression,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and pursuit of professionalism, while desire for social communication improves creativity not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but through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This may be construed that social communication affects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since it enables specialization. Another finding is that strong desire of self expres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promotes collective imagination through interaction. Users' desire for social status strengthens social motives for UCC creation and thus improve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and pursuit of professionalism when the desire is strong enough. Expectations of social self identification, however, appear not to depend on the use of techniques but affect individual's creativity through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Namely, users' desire of self social identification through UCC creation is satisfied by pursuing professionalism rather than the use of techniques. Moreover, users' high expectation of social status and self identification affect creativity of collective groups through interaction. Then, how can the relationship among users' intrinsic factors, social issue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be defined? First of all, the technique use and pursuit of professionalism, which are individual creativity factors, appears to affect users' choice of social issues as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personal technique deems not to affect the choice of social issues as subjects. One unusual fact is that those individuals who pursuit professionalism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selection of media news.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the creativity factor in groups, is identified to be affected by both social issues and media news when selecting the subjects. It is construed that a group is more lured to find various subjects than individuals, reflecting wider perspectives of its members. The la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UCC users form public voices or collective intelligence. The fact that UCC users appear to have strong temptation to utilize social issues as a subject of their UCC is confirmed through preparatory research. The reason is that the social issues attract more attention from other people and maximize thei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in all aspects including self expression, social status, and social communication. Such tendency may render an initial explosive to expand the scope of UCC to offline gatherings. Therefore, the survey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a framework to study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UCC to offline gatherings in the past. The survey found that users' desire for the use of social issues and media news did ha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 noticeable fact is that the use of media news as a subject of UCC affects the verification of public opinion in both dispersion and unification, while the use of social issue as a subject fails to.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bject causing sensation through media news rather than social issue selected by UCC users' individual judgment is more favorable to establish public opinion through dispersion and unification.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has enabled media users to become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and the Web 2.0 based internet has produced new media crowd with openness and participation, then the crowd created public opinion through new form of media. In a sense,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UCC may be taken for granted. Thereupon, now is the time to develop contents and broadcasting strategy based o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and behavior of media users in order to form healthy public opi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