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 기혼여성의 성역할 인식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김새봄 ( Saebom Kim ),최송식 ( Songsik Choi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중년 기혼여성의 성역할 인식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40∼59세 중년 기혼여성 1,884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년 기혼여성의 성역할 인식과 자아존중감은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년 기혼여성의 자아존중감은 성역할 인식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천적으로 중년 기혼여성의 가족관계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성평등적이고 개방적인 성역할 인식 제고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1,884 middle-aged married women, aged from 40 to 59, by using the data from the twelfth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ed that gender role attitudes and self-esteem in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ir self-esteem moderated the effects that gender role attitudes have on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esteem, gender egalitarian and open gender role attitudes as a practical way to increase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 KCI등재

        재난취약계층 노인의 재난 후 사회적응 영향 요인

        송영지 ( Youngji Song ),최송식 ( Songsi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재난취약계층인 노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난복지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PTSD, 삶의 질이 재난 후 노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사회적 불만 정도는 재난 이후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재난 후 재난취약계층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적응 수준이 낮고, 우울, PTSD, 사회불만 정도가 심각할수록 사회적응 수준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재난 이후 노인들의 사회적응을 지원함에 있어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바탕으로 재난복지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the disaster vulnerable group, an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to support the elderl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panel data constr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elderly’s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PTSD, an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elderly’s social adjustment after a disaster. Also, the degree of post disaster social disaffection of the elderly was verified to have an effect on social adjustment after a disaster.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wors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disasters after a disaster,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the lower the social adjustment level, and the more severe depression, PTSD, and social disaffection, the lower the social adjustment level.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social work intervention plan was suggested based on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tensively in supporting social adjustment of the elderly after a disaster.

      • KCI등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상 위험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조숙영 ( Sukyeong Jo ),최송식 ( Songsi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직무상 위험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11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상 위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상 위험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상 위험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상 위험을 경험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망과 연계망을 강화하고, 제도적 안전장치 의무화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이루어져야 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occupational risk experienced by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how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regulates the effect.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16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orking in Busan,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questionnaires related to job risk, PTSD,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ccupational risk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TS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risk and PTSD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This suggested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various support measures, such as reinforcing the social support network and connection network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occupational risks, and mandatory institutional safety device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사회적 배제 변화가 노인의 건강변화와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김새봄(Saebom Kim),최송식(Songsik Choi)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건강상태및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서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 간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수 있도록 하는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노년기 건강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복지패널7차(2012년)에서 14차(2019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3,03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크게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의 두 종단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경제적배제, 주거 배제, 사회활동 배제는 점차 감소하고, 사회적 관계 배제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점차 악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 주거, 사회활동, 사회적 관계 배제가 큰 폭으로 감소할수록 주관적 건강의감소폭이 줄어들고, 우울의 증가폭 역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 초기의 사회활동 배제 수준이 노년기 삶에 지속해서영향을 미쳐 노인집단 내 주관적 건강 및 우울 수준의 격차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집단 간 주관적건강의 격차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우울 수준의 격차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고착화되는 경향을보였다. 다섯째, 사회적 관계 배제 변화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 간 다른 양상을보였고, 특히 이러한 관계는 빈곤 노인집단에서 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배제 완화를위한 사회복지적 차원에서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al exclusion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s well a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change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between poor and non-poor elderlies. Through this,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s to help the elderly spend a healthy life in their old age and to suggest the ways to alleviate elderlies’ health disparit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3,033 elderlies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12(7th) to 2019(14th). The analyses were mainly based on two longitudinal methods, multi-variate and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longitudinal change of elderlies’ social exclusion, exclusion of economy, housing and social activities gradually decreased, while exclusion of social relationships remained at a certain level. Also, change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ies progressively deteriorated. Second, as the exclusion of economy, housing, social activity and social relationship decreases significantly,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duction in depression were shown. Third, exclusive level of social activities during the early years of old age continuously affected the entire life of an elderly which caused disparities in bo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level. Fourth, subjective health status disparities between poor and non-poor elderly groups steadily narrowed down as time passed. However, in the case of depression, disparity between the two groups tend to remain at constant intervals. Fifth, the impact of exclusion of social relationship change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was different between the poor and the non-poor, especially these association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poor elderly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dimensional methods to alleviate social exclus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경제수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재난 후 노인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미치는 영향

        송영지 ( Youngji Song ),박로사 ( Rosa Park ),최송식 ( Songsi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본 연구는 경제수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재난 후 노인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재난복지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수집한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재난 피해를 입은 노인 666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2.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 중 재난 후 노인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PTSD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재난 후 노인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PTSD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재난 후 노인의 PTSD에 정적 영향이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경우 경제적 차원의 개입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economic leve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TSD in elderly after disaster and to seek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saster welfare. For this study, panel data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666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d disaster damage were finally studied.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22.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of the elderly after a disaster, the lower the PTSD. Second, the higher the resilience of the elderly after a disaster, the lower the PTSD. Thir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TSD of the elderly after the disaster, but i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at economic interventions should be above all for the elderly and that programs and intervenes should be conducted to enhance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