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봉룡 만주학회 2005 만주연구 Vol.- No.2
본 논문에서 필자는 근대 한민족의 디아스포라(離散) 형태로 나타난 재만 조선인(조선족)의 이주와 만주 관계에서 역사적 맥락을 더듬어 그들의 고토관념을 살펴보았다. 비록 재만 조선인들의 초기 이주는 경제적 원인에서 기인되었지만 그들의 민족적인 심성 속에서 만주에 대한 애착은 타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달리 깊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제식민지 시대에 정립되기 시작한 민족사학의 선구자들의 '만주 담론'은 일반적으로 '민족고토론'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재만 조선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일제는 '以韓制夷'의 목적에서 또한 회유정책의 일환으로 재만 조선인들에게 '고토의식'을 주입시켰던 점을 지적했다. 만주에 대한 역사와 기억에서 '만주국'은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에게 특수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만주국의 건립과 그 '신국가'의 체제 속에서 활동한 재만 조선인들의 사회적 법적인 위치-'제2의 국민'-를 밝힘으로써 일제가 새로운 형태의 식민지국가-'만주국'에 대한 지배에서 재만 조선인을 통제·이용하는 이중적인 정책을 고찰했다. 특히 만주국에 대한 재만 조선인들의 기억은 분노와 반항-'抗日像'뿐만 아니라, 유혹과 향수-'親日像'으로 그려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만주국은 재만 조선인들에게 두개 같지 않은 거울에 비추어지는 대상으로 인식되었는데, 즉 '抗日像'은 만주국을 '타도'와 '반동'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면, '親日像'은 만주국을 '충성'과 '효성'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만주국은 14년 단명으로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무너졌지만 그 역사는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에게 서로 다른 의미로서 기억되고 있다. 물론 오늘날 중국 내에 거주하는 공민권을 취득하고 한개 소수민족으로 정착하고 있는 조선족의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특히 만주국시기 항일투쟁사-'抗日像'의 조각에만 부심하고 있을 뿐, '親日像'은 소외시키고 있다. 그 원인은 그런 기억들은 민족 단결에 불리하다는 정치적 판단이 앞서고 있는 이유 이외도 그들-'친일파'가 이미 '역사적 청산'을 받았다는 이유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만주국은 조선인들에게 있어서 반항과 분노의 대상-'抗日像'으로 씌어진 역사로 기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유혹과 향수의 젖은 추억-'親日像'으로 얼룩진 오욕의 역사로 기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개의 서로 다른 모습은 결코 오늘날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족'들의 역사로만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만주국과 조선인의 정체성을 조명하는데 일조가 되리라고 믿는다.
최봉룡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9
This paper discussed the responses of Chinese people on An Jung-guen’s patriotic deed through researching the reports of Chinese medias. Chinese people’s responses on Ito Hirobumi’s “travels in China” contain of expectations, alert, and criticism. Most newspapers in China criticized Ito Hirobumi’s “travels in China” for being as “general supervisor of China” at that time. Previous studies took little attention on the position of the Qing government. The Qing government had mourned the death of Ito Hirobumi because they worried about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They feared that Japan would pass the buck to the Qing due to the incident had been took place in China. This paper examined various opinions from revolutionaries, constitutionalists and reactionaries about the political significance, assassination methods and strategic effects of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according to the political tendency of Chinese medias. The revolutionaries and constitutionalists identified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as a “political event” that a political assassin assassinated a politician. The opinion became a leap for the Chinese people in understanding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However, revolutionaries, constitutionalists and reactionaries hold divergent views about the assassination methods. This paper reviewed Chinese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the times and historical evaluation from An Jung-guen, two books with the same title which written by Park Eun-sik and Zheng Yuan. Park Eun-sik’s An Jung-guen had included several articles about “An Jung-guen, the Korean patriot” by famous Chinese intellectuals. Besides, Zheng Yuan’s An Jung-guen spoke highly of An Jung-guen, famous Chinese intellectuals rated An Jung-guen as a swordman. Not only that, the book also emphasized that to get rid of the hidden traitor is more important than remove outside forces if the country does not want to be destroyed. And, it argued that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had accelerated the death of the nation. The book also highlighted that China and Korea had been tied together. The opinion became the second leap for the Chinese people in understanding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Chines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times and historical evaluation reflected the change of the time. Therefore, I think An Jung-guen’s image had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nationalism, especially based on the emotional change such as exclusion of Japan, against Japan, and anti Japan. 본고에서 필자는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의 반향을 주요하게 중국의 신문보도를 통해 이토의 ‘만주 여행’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응은 기대와 경계 및 비판의 목소리가 다양하게 표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일본인들이 발행하는 『순천시보(順天時報)』와 『성경시보(盛京時報)』는 이토의 ‘만주 여행’이 중국의 유신개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시신문들은 이토의 ‘만주 여행’은 곧 공무 시찰이고 만주를 분할하고 청나라 재정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그가 ‘만주 통감’ 내지 ‘중국 통감’의 꿈을 품고 있었다고 비판하였다.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의 반향에서 기존 연구는 청나라 정부의 태도에 기본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안중근 의거는 한·중·일·러 등 4국간의 외교 문제와 직결되는 동아시아 국제적 정치사건이므로 청나라 정부의 태도를 고찰할 필요성이 있다. 청나라 정부는 고도로 긴장한 분위기 속에서 이토 죽음에 국가적 예의를 표시하였는데 청나라 군기처는 이토의 죽음에 선통 황제의 이름으로 애도의 뜻을 조전으로 표시하였고 또한 일본 주재 청나라 흠사(欽事)에게 일본 정부의 동향을 살펴서 보고하도록 하였다. 중국 땅에서 발생한 안중근 의거는 일본이 중국에 그 책임을 전가시킬 우려기 있었기 때문이었다. 청나라 정부의 이러한 외교적 의례에서 이토는 ‘영웅’으로, 한인 자객은 ‘원흉’으로 각인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역사적 현상은 시비가 전도된 것이고 또한 동아시 역사에서 전대미문의 역사적 기억의 혼돈이었다. 또한 한인 자객의 이름에 대한 오보를 통해 이 사건 진상이 중국인들에게 어떻게 알려지고 있었는가를 검토하였다. 본고에서는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향을 당시 중국 신문들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혁명파의 『민우일보(民旴日報)와 『신주일보(新州日報)』, 입헌파의 『대공보(大公報)』·『시보(時報)』·『신보(申報)』 및 보수파의 『공성회순보(孔聖會旬報)』를 통해 그들이 안중근 의거의 정치적 성격, 암살 수단 및 전략적 효과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혁명파와 입헌파는 안중근 의거의 성격에 대하여 대체로 ‘정치자객’이 정치가를 암살한 ‘정치사건’으로 규정함과 동시에 그 원인은 일본이 조선에 대한 침탈과 조선인에 대한 탄압에서 초래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암살 수단에 대하여 혁명파와 입헌파 및 보수파는 서로 다른 시각 차이를 드러냈다. 즉 혁명파는 암살 수단이 혁명운동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그 정당성을 찬성하였지만, 입헌파는 한 개인에 대한 암살은 실질적인 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이유에서 암살주의 풍조가 성행되는 것을 우려하고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더욱이 보수파(신해혁명 이후 보황당으로 전락한 입헌파)는 안중근 의거에 대하여 부정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그의 열렬한 애국심과 충성심 및 고매한 인격을 인정하면서도 암살 수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드러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박은식과 정원이 각각 지은 『안중근』이란 동명이서에 수록된 중국 지성인들의 그 시대적 인식과 역사적 평가를 재조명하였다. 안중근 의거 후, 중국 신문에는 이토를 추모하는 글들이 많았지만 안중근 순국 직후 그를 추모하는 글을 기본상에서 찾아 볼 수 없었다. 박은식의 『영웅루』 와 『안중근』은 상하이 ...
만주보민회의 활동과 그 성격 -만주에서의 제우교를 중심으로-
최봉룡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3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diffusion of Jeu-kyo(濟愚敎) as well as the process of organization and disorganization, including its activities, of Manchuria Bomin Association(MBA) in Manchuria. We can't confirm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Jeu-kyo up to now. There is only 'Jeu-kyo's prospectus' which we can confirm. So, I analyzed it's contents to understand the whole of Jeu-kyo. Especially, after the dispatch of troops to Kando, anti-national activities of Jeu-kyo which was constructed of the remnants of Iljinhoe(一進會) in Manchuria were watched by this article. Manchuria Bomin Association was the pro-Japanese group set in Jeu-kyo. Japan which was the political backing of MBA manipulated activities of MBA through Japan consulate. But, there was no other way but to liquidate it because of the offense of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anti-Japanese movements of the local official in China, the internal troubles of MBA, and so on. Jeu-kyo and MBA was dissolved in the 1920's. Through above analyses, I elucidated how Jeu-kyo and MBA established, proliferated, and dissolved in connection with imperialism of Japan. And I explicated the peculiar character of two.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최봉룡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ow the communist members in Manchuria had realized religions in the 1920~30s. I confirmed the reasons between socialism and religion, analyzing the causes of anti-religious movements of the early Korean socialists. And I clarified that anti-religious movements was just a temporary measure to have public support and to improve public culture. For the most part, Korean socialist in Manchuria criticized and attacked sharply religion from 1920s to early 1930s(Manchuria provincial committee). As a result, believers formed anti-communism and refuted theory of anti-religious movements logically. Anti-communistic logics of new religions was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nationalism, and religious faith. But, they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for anti-communism. Of course, worshipping the same religious gods, they do not share all of the same anti-communism. Manchuria provincial committee viewed religion in different dimension in the middle of 1930s. The center of the fatherland restoration association(Joguk Kwangbok association), established in orders of the East of Manchuria special committee, admitted advantages of religion as a national coalition party under Japanese rule, June 1936. But from the late 1930s, times of crisis in Manchukuo, most religions adapted themselves to Japanese rule. they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even though some had an irreverent, iconoclastic attitude toward Japanese rule. 본 논문은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의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사회주의자들의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재만 한인들의 초기 사회주의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반종교운동’의 원인과 이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ㆍ공산주의라는 정치적 이념과 종교라는 정신적 신앙의 대립과 충돌이 불가피하였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반종교운동은 초기 한인사회주의운동에 있어서 대중들을 획득하는 수단과 방법으로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대중들의 지식수준과 문화의식을 제고시키는 신문화운동의 한 구성부분이기도 했음을 밝혔다. 대체적으로 1920년대로부터 1930년대 중공 만주성위의 초기 단계에 이르기까지 재만 한인사회주의운동에서 종교에 대한 비판과 공격은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주의자들의 반종교운동에 대한 종교주의자들의 반응은 곧 ‘방공 담론’으로 이어졌고 또한 점차 논리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나타내기도 했음을 지적했다. 본문에서는 주로 비교적 전형적인 신종교의 반공주의 논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신종교 단체들은 정교분리원칙에 따라, 혹은 민족주의적 논리에 따라, 혹은 순수한 종교주의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반공주의적 태도를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반공을 위한 친일적인 행각을 남기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같은 종단 내에서도 종교인들의 사회주의운동에 대한 서로 다른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중공 만주성위의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는 1936년 6월 동만특위의 ‘지령’에 따라 창립된 조국광복회의 「선언」ㆍ「강령」ㆍ「규약」 등에서 확인해볼 수 있었다. 즉 조국광복회의 종교에 대한 입장과 태도는 곧 재만 한인사회주의운동의 지도적 위치에 있던 중공 만주성위의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말해준다. 중공 만주성위의 종교에 대한 이러한 인식변화는 항일민족통일전선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의 변화 형태를 의미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0년대 말부터 만주국 속에서의 반공 이데올로기의 팽창, 일만 당국의 ‘3년치안숙정계획’에 따른 동북항일연군에 대한 대토벌작전, 그리고 ‘황민화운동’과 함께 군국주의적 전시종교정책으로 말미암아 일부 신종교-반공ㆍ반일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던 신종교-를 제외한 대부분 종교단체가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에 순응하고 복종하면서 반공ㆍ친일적인 태도로 일관했음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