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어린잎 적양무가루를 첨가한 우리밀 쿠키의 제조조건 최적화

        천춘진(Chun Jin Cheon),김영호(Young-Ho Kim),오종철(Jong Chul Oh),김진곤(Jin Kon Kim),유현희(Hyeon Hee Yu)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어린잎 적양무가루를 첨가한 과자류 개발을 위해 회전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어린잎 적양무가루, 버터, 설탕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우리밀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구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L값(명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고, a값(적색도), b값(황색도), 퍼짐성, 경도는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인 색, 외관, 조직감, 향, 맛, 전체적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외관은 어린잎 적양무가루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조직감은 버터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향, 맛, 전체적 기호도는 설탕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심점(40 g) 부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 외 다른 관능검사 항목에서는 어린잎 적양무가루, 버터, 설탕 첨가량에 의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관능적 기호도 중 맛은 버터 첨가량이 어린잎 적양무가루나 설탕 첨가량 보다 영향이 컸으며, 그 외, 색, 외관, 조직감, 향과 전체적 기호도는 어린잎 적양무가루의 영향이 버터나, 설탕에 대한 영향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중 유의성이 있었던 모든 항목의 최대값을 목표범위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량은 어린잎 적양무가루 5.15 g, 버터 64.84 g, 설탕 47.18 g으로 산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ptimization of the conditions for mixing different amount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powder, butter, and sugar when baking domestic wheat cookies prepared using red radish sprout powder.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a central composite design comprising 5 levels and 3 variables, was used to identify the best possible combination of amounts of red radish sprout powder (X₁), butter (X₂), and sugar (X₃).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ach of the 20 samples analyzed, including color L (p<0.001), color a (p<0.01), color b (p<0.001), spread ratio (p<0.001), and hardness (p<0.01), differed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s, including color (p<0.001), appearance (p<0.001), texture (p<0.001), flavor (p<0.01), taste (p<0.001), and overall quality (p<0.001) also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s. The optimal compositional ratios were 5.15 g for the red radish sprout powder, 64.84 g for the butter, and 47.18 g for the sugar.

      • KCI등재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김다혜(Da Hye Kim),김상준(Sang Jun Kim),정승일(Seung-Il Jeong),천춘진(Chun Jin Cheon),김선영(Seon-Young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1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α-amylase, α-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α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RR) sprout is a plant of the cruciferous family.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RR sprout (RRSE) against α-amylase,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enzyme activity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α-amylase, α- 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RRSE treatment. RSSE also abolish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and triglyceride accumulation without cytotoxicity in 3T3-L1 adipocytes. In addition, RRSE modulated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s related to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α. RRSE also suppressed expression of the proteins responsible for lipid synthesis, transport, and storage: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 (FABP4). This study showed that RRS treatment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obesity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genic proteins.

      • KCI등재

        들깨 새싹 추출물의 췌장 RINm5F 세포에서 NF-κB 경로를 통한 사이토카인에 의한 손상 예방 효과

        김다혜(Da Hye Kim),김상준(Sang Jun Kim),정승일(Seung-Il Jeong),유강열(Kang-Yeol Yu),천춘진(Chun Jin Cheon),김장호(Jang-Ho Kim),김선영(Seon-Young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5

        들깨(Perilla frutescents (L.) Britton var.) 새싹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들깨 새싹에탄올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췌장 베타 세포 손상에 대한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췌장 소도 주위에 염증 세포 침습으로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은 1형 당뇨병의 발병원인에 해당된다. 인터루킨-1β (IL-1β), 인터페론-γ (IFN-γ), 종양괴사인자-α (TNF-α) 등의 사이토카인은 활성산소 형성을 유도한다. 세포 내 활성산소 축적은 췌장 베타 세포 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을 이끈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증가 시켰으며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였다. 사이토카인은 세포생존율을 감소시켰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 생성을 유도하였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세포생존을 농도 의존적으로 예방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에 의한 산화질소 생성과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더 나아가 들깨 새싹 추출물은 췌장 베타 세포주(RIN-m5F)에서 IκBα 인산화 억제를 통해서 NF-κB의 활성화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 결과는 들깨 새싹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췌장 베타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들깨 새싹은 혈당 증가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베타 세포 손상을 완화하여 당뇨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sprouts (PFS) is a plant of the labiatae family.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preventive effects of PFS ethanolic extracts (PFSEs) on cytokine-induced β-cell damage. Cytokines, which are released by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round the pancreatic islet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The combination of interleukin-1β (IL-1), interferon-γ (IFN-γ),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duced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ROS led to β-cell dysfunction and apoptosis. PFSEs possess antioxidant activity and thus lead to downregulation of ROS generation. Cytokines decrease cell viability, stimulate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e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FSEs prevented cytokine-induc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cubation with PFSE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in cytokine-induced NO production that correlated with reduced levels of the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 Furthermore, PFS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κB (NF-κB) by inhibition of IκBα phosphorylation in RINm5F cells.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PFSE might serve to counteract cytokine-induced β-cell destruction. Findings indicate that consumption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sprouts alleviates hyperglycemia-mediated oxidative stres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induced β-cell damage and thus has beneficial anti-diabetic effects.

      • SCOPUSKCI등재

        들깨(Perilla frutescens)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정승일(Seung-Il Jeong),김현수(Hyeon Soo Kim),전인화(In Hwa Jeon),강현주(Hyun Ju Kang),목지예(Ji Ye Mok),천춘진(Chun Jin Cheon),유현희(Hyeon Hee Yu),정선일(Seon Il Jang)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들깨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부종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DPPH와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들깨 새싹 추출물은 활성화된 설치류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세포와 인간 유래 HMC-1 세포의 TNF-α와 IL-1β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더욱이 마우스의 귀와 발 부종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들깨 새싹 추출물은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증과 항부종에 효과적인 물질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었다. 이와 관련된 들깨 새싹 추출물의 기능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분자생화학적 수준에서 더 연구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from Perilla frutescens sprouts (PFSE) as an antioxidant, and its effects on edema and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and HMC-1 cel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of PFSE were similar to those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6-hydroxy-2,5,7,8- tetramethylchromane-2-carboxylic acid (Trolox). We also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FSE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HMC-1 cells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with the calcium ionophore A23187. TNF-α and IL-1β production, which had been increased by treatment with LPS or PMA plus A23187,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PFSE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PFSE significantly reduced the xylene-induced ear edema and the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of ICR mic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s of PFSE (200 mg/kg) in reducing ear and paw edema were similar to those of aspirin (50mg/kg).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SE can be potentially used as a medicine for treating oxidative stress, an edematous and inflammatory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