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지식경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록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채민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록관리는 1999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행정적 발전을 이룩해내었지만, 사기업, 공공기관의 직원 및 경영진은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부족하다. 하지만 전자적 환경에서 기록은 경영의 한 축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한 것이 ISO 30300시리즈 기록경영 표준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 표준은 기관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지 못했고, 여전히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지 않았다. 한편 기록관리의 영역과 경영학의 주요영역인 지식경영과의 상관성을 다룬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Yakel(2000), 김익한(2004), 노정란(2005)의 논문들이다. 이 논문들은 지식경영과 관련하여, 형식지들이 기록의 형태로 생산, 저장되고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는 상호 보완적임을 알 수 있다. 지식경영은 오랜 시간 동안 경영의 한 축으로 인식되어 왔고 기록관리는 업무의 한 단위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ISO 15489-1: 2016 표준은 기존의 평가, 보전, 폐기를 넘어서 기록관리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기록은 기관의 정보자산으로 관리해야함을 강조함으로써, 결국 전자 환경에서 기록은 단순히 조직에서 관리의 영역이 아닌 경영의 한 축으로 바라보아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에서 제시하는 형식지들이 기록의 형태로 생산, 저장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을 비교 분석하고, 기록경영과 지식경영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이 상호보완적인지, 경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운용이 가능한지, 기록이 기관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적용될 수 있을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3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1) 실질적인 형식지 관리와 보존은 기록관리 프로세스가 표준 및 법률 등을 통해서 더 발전되고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 방법을 제시한다고 보고, 기록관리프로세스에서 보완해 줄 수 있는 지식경영의 측면과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2) 지식경영은 경영 전략 측면에서 조직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암묵지와 형식지 포착 방법을 나누어 효율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기록관리는 업무의 한 영역에서 시행하는 방법론으로 제시되어 왔다. 기록관리도 경영에 있어 한 축의 전략으로 운용되어야 함을 제시한 것이 기록경영이다. 기록경영과 지식경영의 비교를 통해서 유사점과 보완점을 도출한다. (3) 기록관리, 기록경영, 지식경영의 장점을 통합하여 경영전략의 하나로 운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합모델을 제시하고, 이 통합모델이 경영측면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ISO 15489-1: 2016의 기록관리프로세스와 Dalkir(2011/2012), 최재화(2009), Nonaka(1995) 제시한 지식경영프로세스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ISO 30301의 경영시스템 모델의 기록경영 구성요소 7가지와 박용기(2016)가 제시한 지식경영 구성요소 8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의 프로세스 비교, 지식경영과 기록경영의 비교, 기록관리 및 지식경영 프로세스 통합모델 순으로 정리하였으며 이 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종합분석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종합분석을 바탕으로 두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 번째, 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기록을 단순한 업무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을 탈피해야 한다. 두 번째, 기록관리 직원들의 역량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록관리와 기록경영, 지식경영을 비교 분석 했다는 점에서 유의하며 지식관리부서와 기록관리부서를 가진 공공기관과 아직까지 기록관리부서 및 지식관리부서가 없는 기업들에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합모델 및 실행방안은 기록 및 지식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기업의 목표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 경영진에게 설득할만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Records management has achieved administrative develop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1999, however employees and management of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a significant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However, in an electronic environment, records should be recognized as an axis of management, and ISO 30300 series record administration standards reflect this need. However, in practice, this standard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in institutions, and the perception of records management has not been improved.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record management and the main areas of management, including those by Yakel (2000), Kim (2004), and Roh (2005). Regarding knowledge management, these papers suggested that explicit knowledge are produced and stored in the form of records, and based on this, knowledge management and record managem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recognized as an axis of management for a long time, and records manage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unit of work. However, the ISO 15489-1: 2016 standard specifies that the role of record management should extend beyond existing assessment, preservation and disposal, emphasizing that records should be managed as an institution's information assets, which in turn can be seen as an axis of management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based on the theory that explicit knowledge presented in knowledge management are produced and stored in the form of records, and analyzed the components of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Based on thi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whether they can be integrated in management, and how records can be efficiently managed and applied in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The actua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xplicit knowledge are considered to suggest more advanced and effici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ethods through standards and laws, and investigate the aspects and methods of knowledge management that can be supplemented by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2) Knowledge management presents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throughout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management strategy, especially by dividing methods of capturing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On the other hand, records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as a methodology implemented in one area of ​​work. Records management suggested that record administration should also be operated as a strategy for management. Similarities and complementary points are deriv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3) To integrate the advantages of record management,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into one of management strategies, an integrated model is presented and the integrated model is applied efficiently in terms of management. The research method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in ISO 15489-1: 2016, and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presented in Dalkir (2011/2012), Choi (2009), and Nonaka (1995). In addition, seven record administration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system model of ISO 30301 were compared with eight knowledge management components presented by Park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record management,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comparison, knowledge management and records management comparison,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ntegration model, and then comprehensive analysis centered on the research issues to derive implications. Two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First,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avoid recognizing records as a simple process of work. Second, the competencies of records management staff must b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and could be referenceable to public institutions with knowledge management departments and companies that do not yet have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departments. In addition, the integrated model and implementation method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persuasive material to corporate management as a way to achieve the company's goals and vision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records and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