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재건된 영국 왕립거래소의 건축적 정체성

        진혜윤(Chin, Hyeyun)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7 No.-

        영국 왕립거래소는 1569년 당시 엘리자베스 여왕의 재정고문이었던 토마스 그레샴이 런던시 정중앙에 설립한 영국 최초의 거래소이다. 왕립거래소는 본래 그레샴의 의도에 따라 유럽 최초의 거래소인 앤드워프 거래소를 그대로 본떠 만들어진 탓에 영국 고유의 건축적 정체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디자인이었다. 그러나 1666년 런던 대화재를 겪으며 런던 출신으로 시가 주관하는 주요 의전행사 디자인으로 이름을 알린 에드워드 저먼에 의해 새로운 디자인으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저먼이 디자인한 거래소는 해당 건물을 넘어서 런던시와 영국 전체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널리 활용되었다. 17세기 후반부터 1838년 다시 화재를 겪으며 소실되기 전까지 저먼의 거래소는 “대영제국의 영광” 또는 “런던의 눈”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국가발전의 핵심동력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국 건축사에서 저먼이 디자인한 거래소는 이니고 존스와 크리스토퍼 렌과 같은 왕실 전속 감독관들이 사용한 고전주의 건축언어를 어설프게 모방한 조악한 숙련공의 솜씨로 평가절하 되어왔다. 본고는 영국 건축사를 지배하는 고전주의 중심의 역사서술을 재고하며 저먼의 왕립거래소 디자인을 17세기, 특히 대화재 이후, 런던의 건축적 특징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당시 영국 사회가 공간을 사유하는 방식인 테아트룸 문디 개념을 근거로 거래소의 건축적 정체성을 당대의 시선에서 재해석하였고, 저먼이 사용한 건축언어의 원근을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왕립거래소가 재현된 방식에서 연극성이라는 개념을 도출하고 이와 함께 왕립거래소의 공간특수성이 구축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Founded as a bourse at the instigation of Sir Thomas Gresham in 1569 and gaining its present name by royal proclamation in 1571, the Royal Exchange was the first stock exchange in England.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Exchange was modeled after the Antwerp Bourse according to Gresham’s intention whereas the second structure reconstructed after the Great Fire of 1666 was designed by the city’s homegrown artisan, Edward Jerman. Although the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of the Royal Exchang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England. Jerman’s use of architectural vocabularies in the Exchange has been often dismissed as representing the coarse hands of an artisan. This study gives a new light on Jerman’s design for the Royal Exchange by addressing the notion of theatricality found in the representations of the Royal Exchange. This is an alternative way to reconsider current scholarship on the architectural identity of early modern London. It is my hope that this study of a building developed as the center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production of early modern London can expand our perspective of the architectural identity of early modern London and also of England as a whole.

      • KCI등재

        《역대 왕들의 조각상》: 왕정복고기 런던 왕립거래소의 조각프로그램

        진혜윤(Chin, Hyeyun) 서양미술사학회 201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9 No.-

        본 논문은 왕정복고기 런던 왕립거래소에 세워진 《역대 왕들의 조각상》에 대한 연구이다. 공식적으로 1571년 개장한 왕립거래소는 런던 상인뿐만 아니라 국제 무역 상인들의 집결지로 상거래 정보네트워크가 모이고 확산하는 철저히 세속적인 공간이었다. 이렇게 경제활동을 목적으로 세워진 공간에 들어선 역대 영국 군주의 조각상은 건물 내 중정 벽면을 따라 마치 띠를 두르듯 길게 늘여 세워져《역대 왕들의 조각상》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역대 왕들의 조각상》은 같은 유형의 조각프로그램이 교회와 왕실에 집중되었던 중세의 전통에서 벗어나는 첫 번째 사례에 해당한다. 거래소의 설립자였던 토마스 그레샴의 계획에 따라 건립되기 시작한 《역대 왕들의 조각상》은 왕립거래소가 영국 왕실의 보호와 지원 아래 놓여 있다는 공간적 배경을 상징적으로 강조하는 역할을 하였다. 군주의 조각상을 건립하는 일은 왕실에 대한 충성과 존경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설립자의 권위와 사회적 기여도를 웅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조각가들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역대 왕들의 조각상》이 설립되는 과정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것과 달랐다. 첫 번째 《역대 왕들의 조각상》은 런던 길드 조합원들이 조합원으로서의 직무를 방기했을 경우 부과되는 과징금을 대신하는 방안으로 만들어졌으며,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재건된 《역대 왕들의 조각상》은 찰스 2세 정권 말기 런던시와 왕실 간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에 리버리 회사들이 왕실의 지지를 되돌리기 위해 활용한 타협의 첫걸음이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culptural program of the Royal Exchange in Restoration London. Officially opened in 1571, the Royal Exchange was a place for merchants not only domestic but also international where their trading network was created and extended. This commercial building housed a collection of royal statuary set in niches in the upper floor level of the interior courtyard, which was so-called The Line of Kings. A collective form of royal statues was usually placed in sacred places in early modern England, such as churches and royal palaces, following medieval tradition. The Line of Kings of the Royal Exchange is the first to break this tradition. Initially created according to Thomas Gresham’s will, The Line of Kings serv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iconic image of the building throughout the seventeenth century, showing that the Royal Exchange was under the grants of privileges from generations of English monarchs. However,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econd The Line of Kings, reconstructed by the financial support of livery companies in Charles II’s late days, shows they were produced to serve as the token of negotiation between the City of London and the cr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