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존 웨슬리 구원론의 재해석을 통한 감리교적 생태구원론 연구

        진하경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ill begin by pointing out the ecological problems seen in today’s society. Today’s ecological issues have not yet been resolved. If we consider the balance of the ecological world to be the order of God’s creation, we can conclude that such an order has already collapsed. Mankind has always understood ecology, not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creation as put in place by God, but as an instrument for mankind. Because the human mind naturally seeks after its own profit and selfish gain, ecology has degenerated into a target for exploitation and oppression, in desperate need of liberation. In the midst of such a situatio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cannot help but to seek advice as to what “salvation” it has been proclaiming. Currently, the Korean Methodist Church does not have a thorough, comprehensive theological solution to these issues. It speaks of mankind as steward by alternative doctrines of the Methodist church, but it also connotes man as the one to dominate ecology, not as one to be in relationship with it. Thus, in order to co-exist with ecology today, it becomes appropriate to establish grounds for eco-soteriology. Upon examining how John Wesley understood it, it cannot be said that our relationship to ecology should be one of complete indifference. In fact, his revolutionary understanding becomes the very basis for today’s eco-soteriology. In expanding his opinion regarding the objects of ecumenism and pluralism to all of creation, it can be seen all the more that that becomes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oday’s issues in ecology. It is subject to the providence of creation upon each individual. Because he was limited in scope by the times in which he lived, John Wesley was not able to think outside the box of either the ecological rationale of his era or the thinking that man governs ecolog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alternative within Korean Methodist theology to respond to the ecological needs of the present times. This is precisely why it is necessary for us to suggest a revised Methodist theology that would be capabl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times from a theological vantage point. In addition, today’s theology must not only be contained within the bounds of the field of theology. It is becoming more required of our world of theology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attitude in a world where diverse fields of academia already co-exist with one another. Theology cannot any longer remain exclusively closed off to all others. Rather, it must be able to communicate across other disciplines, a form of networking that has recently been on the rise. To continue, as an alternative to the issues presented by the soteriology of the Methodist theology of John Wesley, this study will proce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theolog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undamentals of process theology and the soteriology of John Wesley will present an opportunity to compensate for Wesleyan soteriology. Then, combining Wesleyan soteriology with an apologetic research into process theology, a new foundation for eco-soteriology will be established. As this study seeks to reconstruct a foundation of Wesleyan soteriology and process theology, it will research and crystallize its findings in the form of new Methodist eco-soteriology. Methodist eco-soteriology can be said to have three major interests: the image of God, sanctification, and eco-liberation. Through what are established to be the positions taken by John Wesley and the complementary, apologetic positions of process theology, I will present ecological interests and soteriology relevant to modern-day Methodists. By researching new Methodist eco-soteriology, this study will shed new light on the Christian perfection that should be the goal of modern-day Christians and especially Methodists, furthermore proposing theology to restore the corrupted order of God’s creation. 본 논문은 인간 사회 속에서 나타난 생태 문제에 대한 지적에서 출발한다. 오늘날의 생태적 이슈는 지속되고 있다. 생태계의 균형을 하나님의 창조 질서라고 치환한다면 하나님의 창조 질서는 이미 무너진 상태이다. 인간들은 생태를 하나님의 창조 질서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그저 인간을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고 있다. 인간의 이기심과 이익의 실현을 위해 생태는 그저 착취당하고 억압당하는, 해방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전락해버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금의 한국 감리교의 구원은 무엇을 구원이라며 외치고 있는지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의 한국 감리교는 이러한 현실에 대해 신학적으로 구체적인 해결책을 갖고 있지는 않다. 청지기로서의 인간을 감리교의 대안적 교리로 말하지만 이 또한 생태와 관계를 맺는 인간이 아닌 생태 위에 군림하는 인간으로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렇기에 지금의 현실 속에서 생태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구원론은 필요성을 갖게 된다. 먼저 존 웨슬리의 사상을 살펴보면 생태와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그의 변혁적 사상들은 오늘날 생태구원론의 기초가 된다. 특히 그가 주장한 에큐메니즘과 다원주의의 대상을 모든 창조된 피조물로 확장시킬 때, 오늘날 생태에 대한 신학적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각자의 창조 섭리에 따라 살아가는 생태 또한 구원의 대상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존 웨슬리가 가진 시대적 한계로 인해 그는 그가 생존한 당시의 생태에 대한 관점, 즉 인간은 생태 위에 군림한다는 사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렇기에 현재 감리교 신학에서는 시대의 요청에 응답하는 생태에 대한 새로운 제안이 필요하다. 현재의 사조와 신학적 흐름에서 이해 가능한, 수정된 감리교 신학이 우리에게 제시되어야 하는 까닭이다. 또한 오늘날의 신학은 신학이라는 테두리 안에 갇혀 있기만 할 수 없다. 다양한 학문들이 공존하는 시대 속에서 간학문적인 태도는 우리 신학계에 요구되어진다. 즉 더 이상 신학은 신학만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되며 시대의 요청에 따라 간학문적인 태도를 가지고 다른 학문들과 소통해야 하며, 연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따라서 존 웨슬리의 감리교 신학의 구원론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제안으로, 본 논문은 과정신학적 입장과의 만남을 제안한다. 과정신학의 원리들과 존 웨슬리의 구원론의 유사성은 존 웨슬리의 구원론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한다. 따라서 존 웨슬리의 구원론과 과정신학의 변증법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생태구원론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존 웨슬리의 구원론과 과정신학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토대로 본 논문은 새로운 감리교적 생태구원론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며 이를 구체화한다. 감리교적 생태구원론은 세 가지의 기초적 관심을 갖는데, 이는 하나님의 형상과 성화, 생태해방을 기초로 한다. 기존의 존 웨슬리의 입장과 과정신학적 입장의 변증적인 상호 보완을 통해 현재의 감리교인들에게 필요한 생태적 관심과 새로운 구원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새로운 감리교적 생태구원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과 감리교인들이 추구해야 할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새로 제시하며, 이를 파괴되어진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신학으로 제시한다.

      • 중등교원임용시험 실패 후 극복과정에서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진하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등교원임용시험 실패 후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실패 관련 고민을 하는 사람을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등교원임용시험에서 1번 이상의 실패를 경험하고 현재는 합격 후 신규교사로 재직 중이며 본 연구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참여자 8명이었다.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은 2018년 8월 한달 간 진행되었고 자료의 수집은 반구조화된 심층면담 질문지에 따라 실시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완전 축어록으로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0개의 범주와 30개의 하위범주, 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용시험 실패 후 내적 경험 안에는 단순히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기보다 간절하게 원하던 것을 잃어버린 ‘상실에 대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 학업실패 뿐만 아니라 구직실패도 해당되어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것’, 사회적 지지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주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됨’이 포함된다. 임용시험 실패 후 극복과정에서의 경험 안에는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게 됨’, 원인분석 자체의 중요성과 내부로 귀인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떨어진 원인에 대한 자기분석’, 재도전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 형성’, 기대감을 통해 주체성이 회복되고, 내재적 동기가 높아져 공부에 집중하는 과정이 나타난 ‘임용준비에 대한 주체성을 회복하고 공부에 몰입함’, 극복과정 중에도 다시 슬럼프에 빠져 ‘심신의 힘듦을 경험함’,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경험들이 드러난 ‘행동의 동기를 축적시켜 나감’, 수행목표보다 숙달목표로 조정할 때 실패에 더 건설적으로 반응하고 학업을 계속 해 나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초점을 옮김’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한 개인 안에서 실패 후 극복까지 나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교원임용시험에서의 실패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심리적 준비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실패할 확률이 높고 잦은 중등교원임용시험에서 실패를 통한 학습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