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섀도잉 학습법이 재외동포(고려인)의 한국어 구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억양, 휴지, 속도를 중심으로

        진보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재외동포(고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섀도잉 학습법을 통한 구어능력 향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넓은 범위의 구어능력 중 억양, 속도, 휴지에 초점을 두고 재외동포(고려인)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구어능력 실현 양상을 섀도잉 학습법의 사전·사후로 나누어 실험, 그 결과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재외동포(고려인)의 구어능력 향상에 섀도잉 학습법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학습자들의 구어 능력에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섀도잉 학습법, 초분절음소,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재외동포(고려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구어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제시할 수 있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섀도잉 학습법이 재외동포(고려인)학습자의 구어능력, 억양, 휴지, 속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가져올 것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섀도잉 학습법, 초분절음소, 재외동포(고려인)과 관련하여 정의를 내리고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특징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고 논의의 중심이 되는 재외동포(고려인)학습자와 그에 따른 구어능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 연구 대상자의 선정 기준, 연구 절차, 자료 분석 방법에 관해 순차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섀도잉 학습법이 진행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이 두 집단들의 억양을 모어 화자인 한국인의 억양과 사전·사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섀도잉 학습법이 진행된 집단은 기존에 인식하고 있던 억양의 패턴에서 한국인의 억양과 동일한 유형으로 변화함을 나타내었으며, 그렇지 않은 집단은 기존에 인식하고 있던 억양 패턴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휴지와 속도의 변화 부분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섀도잉 학습법을 진행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모두 향상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구어능력에 있어 향상도를 가지고 왔으나, 섀도잉 학습법이 진행된 집단에서의 향상의 폭이 더 넓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고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영어교육에서 많이 다루었던 섀도잉 학습법을 한국어 교육에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한 구어능력 향상의 방안을 제공하였다. 둘째, 다양한 많은 학습자들의 연구 중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재외동포(고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동포 그 중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 교수, 학습의 한 면을 살펴보고 그들의 정체성,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접근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에 있어서 구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한 한국 거주 기간의 변수가 아닌 상호작용의 강도, 학습자의 한국어 노출 정도에 있어 충분히 밝히지 못한 부분이 있다. 또한 구어능력 중 억양, 휴지, 속도 부분에 대해 한정적이었으며, 고려인이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차이를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섀도잉 학습법을 통한 재외동포(고려인)의 구어능력 향상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주제로 이어지길 기대 해 본다. A study is for Overseas Korean koyoin learners and for increasing the speaking ability through shadowing instruction. In particular, among a variety of speaking ability, focusing on intonation, speed and pause, the study is in order to know which outcome the shadowing instruction brings and how much changes there are in learner's speaking ability by doing the experiment and analyzing before and after the shadowing instruction. A composition of a study is followed. In Ⅰchapter,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study's purpose and necessity and there is a confirmation of the study's necessity for increasing Overseas Korean koyoin learners' Korean speaking ability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study which is related with shadowing method, suprasegmental phoneme, Overseas Korean education. A subject of study is to analyze the affect of shadowing instruction to Overseas Korean koyoin learner's speaking ability, intonation, pause and speed. In Ⅱ chapter, it is about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re is a definition about shadowing instruction, suprasegmental phoneme and Overseas Korean koyoin and each characteristics. There is also specific content about Overseas Korean koyoin learners and following speaking ability which are main topics in discussion. In Ⅲ chapter, it is about study method. Criteria of study object, process of study and method of materials analyzation are described in series. In Ⅳ chapter, a study outcome was described.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between intonation of the two groups; a group which used shadowing instruction and the other group which didn't used the instruction and native speaker, Korean's intonation and before and after is that the group which used the instruction changed the intonation from previous intonation pattern to similar pattern with Koreans. In contrast, the other group didn't changed a lot. There are also meaningful result of pause and speed changed. Both the group which used the shadowing instruction and the other group which didn't used the instruction increased the ability. Although both groups' ability increased, there is a sharp increased in the group which used the shadowing instruction. A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a method to increase the speaking ability was provided by showing shadowing instruction to Korean education. Second, an aspect of Korean learning for koyoin was considered and their identity, method to decrease the alienation approach. However, a study didn't discover the interaction intensity and exposure to Korean, not variables of Korea living period that simply affect the speaking ability. In addition, it was limited in intonation, pause and speed among speaking ability and it did not consider the difference of words that koyoin used. Hence, following research about increasing the speaking ability of koyoin through shadowing instruction is expected to lead various topics in various field.

      •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광고의 주제별 표현요소 분석

        진보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이 주요 경영전략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중매체를 통한 CSR 홍보 활동도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SR광고의 현황을 알아보고, 광고유형에 따라 표현요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현황조사와 표현요소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현황조사에서는 최근 5년간의 광고를 수집한 뒤「CSR광고」분류체계와 업종분류체계에 맞추어 연도별, 업종별, 주제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표현요소 분석의 경우 2차 표집을 통해 총 117개 광고를 선정하였으며, 코딩작업을 통해 각 광고의 표현요소를 데이터화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량적 데이터를 교차분석()을 시행하여 광고주 업종과「CSR광고」유형,「CSR활동」주제, 광고소구유형에 따라 표현요소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학적으로 검증하였다.「CSR광고」유형과「CSR활동」주제에서는 실제 사례를 갖고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지나면서 CSR활동광고가 공익성광고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CSR활동」주제에서는 경제 주제가 많았다. 연도별 현황으로는 연도에 따라「CSR활동」주제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그 해 열린 국제적 행사나 사회적 이슈와 관련 있었다. 둘째, CSR광고의 광고주 업종(중공업군과 서비스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인 것은 내용, 전경, 인물 특성, 서체, 화려한 톤이었다. 셋째,「CSR광고」유형(공익성광고, CSR활동광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인 것은 내용, 광고소구, 제시방법, 전경, 인물 연령대, 슬로건 음악이었다. 넷째, 「CSR활동」주제(경제, 환경, 사회복지, 체육진흥, 기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인 것은 광고소구, 제시방법, 자막소구, 전경, 인물 특성, 어두운 톤, 나레이션 목소리였다. 다섯째, 광고소구유형(이성소구, 감성소구)에 따라 전경, 인물 특성, 인물 연령대, 타이포 움직임, 타이포 중량, 어두운 톤, 배경음악, 징글, 나레이션 존재, 목소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에 준한 시사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CSR광고」유형에 따라 표현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광고 제작 시 광고유형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CSR활동」주제에서 경제와 환경주제가 내용면에서 공통되게 이성소구와 직접소구 전략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는 CSR광고 제작 시 두 주제 간에 유사한 전략을 취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CSR광고」유형과「CSR활동」주제의 경우 유형 및 주제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요소의 차이가 없었다. 때문에, TV광고에서의 타이포그래피 활용에 있어 좀 더 적극적인 전략을 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CSR광고 연구들이 광고 내용요소만을 연구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시각요소와 청각요소까지를 포함하여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사례연구 대신에 지난 5년간의 CSR광고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일개 지역 대학생의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이행정도

        진보영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Knowledge on Cough Etiquette and Compliance of University Students Cough etiquette (CE) i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and a basic infection control precau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droplet infection such as tuberculosis, influenza, chicken pox, etc which recently have been the issue all around the world. WHO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E and continues to recommend the application of and compliance with CE maneuver yet, any relevant social marketing has been lacked in Korea. Droplet-spread epidemic-prone diseases are important to all and university students became a major target population due to their reluctance to practice healthy behavior and/or communal life style including dormitory living. Since CE is newly introduced maneuver and university students had been noticed as droplet-spread epidemic-prone group in Korea, survey to find actual condition to prevent any droplet-spread diseases in terms of CE knowledge and performance were required.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knowledge about and compliance with C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to prepare relevant efforts including health educa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nd subjects were recrutied from one University located in Changwon. Study subjects were 190 students in C university, and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10th, 2014 to June 20th, 2014. Knowledge about cough etiquette and compliance were measured using a measurement tool for knowledge on cough etiquette and compliance developed by Kim, etc. afte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Dennett T3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below. 1. Total scores in knowledge and complia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cough etiquette were 7.38 and 27.28 points, when considering the perfect scores were 12 and 48 points, respectively. 2. The average rate (percent, %) on answering correctly per each survey question related with knowledge about cough etiquette was 61.5. Among the correct answers, the highest one was “When coughing, it is better to cover the mouth with tissues or a handkerchief” scored as 86.7%, and the lowest was “When coughing, it would be okay (or acceptable) to cover the mouth with a hand” as 21%. 3. On compliance of cough etiquette, the highest and lowest one was “Coughing without covering the mouth” and “Wearing a mask as much as possible when coughing” scored as 3.55 (±0.80) and 1.40 (±0.76) points, respectively. 4. As a result of comparing knowledge about cough etiquett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tudents majoring arts were significantly more knowledgeable on cough etiquette than those majoring humanities (F=2.37, p<.05). Additionally, senior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knowledgeable on cough etiquette than others (freshma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F=3.83, p<.05). 5.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of the study subje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control,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on whether 1) carrying tissues (t=2.86, p<.01), 2) perceiving cough etiquette (F=5.70, p<.01), 3) receiving the education on cough etiquette (t=2.74, p<.01), and 4) the level of requesting the education on cough etiquette (t=3.67, p<.05). 6. The study has found that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n cough etiquette and compliance of university students (r=.05) although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518).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n cough etiquette and compliance of university students. To increase compliance of cough etiquette, the effective advertisement strategy for cough etiquette is needed, and the education using TV advertisement, news and pamphlets is also required. In addition, the systematic education on cough etiquette from childhood should be conducted for habituation of appropriate cough etiquette. Furthermore, health education for adults should be planned to change their habits by themselves by making them realize the importance of cough etiquette.

      • 한국의 경제성장, 전력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환경규제 간 인과관계 분석

        진보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rapid climate change is strengthening carbon emissions regulations internationally. Korea is strongly pressed to accept the oblig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es as one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is article analyzed the Granger causalities among environmental regulation, economic growth, electricit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in Korea, using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s the results, environmental regulation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economic growth, electricit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while not in the opposite direction. Economic growth has unidirectionally affected electricity consumption, CO2 emission. and environment regulation. Electricity consumption has been affected by economic growth, CO2 emission,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Only CO2 emission has shown the bidirectional causalities among economic growth, electricity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will be as follows: ① environmental regulation should induce sustainable growth through encouraging technological innovation relating to CO2 reduction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② 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CO2 reduction regulation, the synthetic policy initiatives will be considered to make synergy effect among policies relating to economic growth & electricity consumption.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 규제가 세계적으로 강화되면서 한국도 기후변화협약의 당사국으로서 강력한 이행을 권고 받고 있다. 특히 한국은 환경규제 강화에 대한 정부와 산업계, 국민의 이해관계가 복잡하므로 환경규제가 경제성장과 전력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에서 환경규제와 경제성장, 전력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87 ~ 2014년 동안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한 인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환경 규제를 중심으로 경제성장, 전력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간 인과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환경규제는 경제성장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으나, 전력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양방향의 인과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의 환경규제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나타나고, 이산화탄소 배출 비중이 높은 전력부문으로 환경오염방지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가 아직 경제성장의 동력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환경규제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유발하여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국제 탄소배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실행될 경우, 환경규제가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전력소비량에 따른 전원구성의 변화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감축 등에 관련된 정책 간에 충돌을 일으키지 않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도록 하는 세심한 정책구상는 점을 시사한다.

      • 현장교육연구의 발전과정

        진보영 단국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장교육연구의 의미와 성격을 제시하였고 지난 반세기동안 현장교육연구의 발전과정을 10년 단위로 시대를 구분하고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밝혔으며 현장교육연구의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역사적 방법, 기술적 방법이며 제시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장교육연구는 교원들이 주체가 되어 교육현장에서 추진되어야 하고, 교육문제의 해결방안을 개발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는 체계적 연구과정이라고 그 성격을 제시하였다. 현장교육연구의 발전과정에서 제시한 시대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940년대는 개인적 경험교환의 단계, 1950년대는 조직적 집단협의의 단계, 1960년대는 객관적 측정평가의 단계, 1970년대는 실험적 연구 도입의 단계, 1980년대는 실천연구 보급의 단계, 1990년대는 질적 연구 탐색의 단계였다. 이상과 같은 현장교육연구의 성격과 발전과정을 기초로 제시한 발전과제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교육연구의 연구목적은 교육문제의 해결방안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라고 규정하였으며, 이 연구목적이 연구실제에 바르게 정착됨으로써 연구의 방향이 명확히 설정되고 연구의 성과가 제고될 것이다. 둘째, 지난 반세기 동안 현장교육연구는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서 크게 변화·발전하였으며, 역사적 발전과정에서는 다양한 특징들이 나타났다. 그 특징들 중 실험적 연구에서 과학적 방법의 도입, 실천연구에서 일반화의 보급, 질적 연구에서 새로운 연구방법의 탐색 등은 앞으로 현장교육연구에서 더욱 발전시켜야 할 과제들이다. 셋째, 현장교육연구의 실제에 밀접히 연계하여 직접 적용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으로 가설의 설정, 이론적 배경의 제시, 사실의 발견과 분석, 타당한 연구도구의 활용, 타당한 통계적 방법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연구실제에 적용함으로써 연구의 성과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장교육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학교와 시범학교의 지정목적을 제시하였고 연구학교의 연구결과를 시범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실천하여 일반화를 확인하고 예언하는 연구시범학교협동체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시범학교협동체제를 교육현장에 정착시킴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달성하고 교육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현장교육연구에서 중시해온 양적 연구에 비교되는 질적 연구가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소개되어 연구실제에 탐색되고 있다. 질적 연구는 다양한 교육영역을 대상으로 관찰법과 기술적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특정한 연구주제에서 심층적인 교육문제의 해결방안을 개발할 수 있다. 현장교육연구에 양적 연구와 상호보완적 관계가 있는 질적 연구를 도입함으로써 연구의 성과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examines the trends of action research after divid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of the past five decades into 10-year units,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on research in terms of methodology, and suggests the developmental task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The methods that have been utilized for the present study are literature review, historical method, and descriptive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s characterized as a systematic process of developing solutions for the educational problems and verifying them scientifically, which must be promoted and execut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at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identified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are the following: the 1940s was the period of exchange of individual experience; the 1950s, the period of structural group discussion; the 1960s, the period of objective measurement and evaluation; the 1970s, the introduc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the 1980s, the period of extension of practical research; the 1990s, the period of the explor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e developmental task and conclusion drawn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define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s to develop solutions for educational problems and verify these derived solutions scientifically. Adhering to this purpose in manifesting the research into practice will provide clear direction and increase prolificacy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Secondly, educational action research has greatly transformed and evolved for the past five decades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ology, and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its historic developmental process. Among these, the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method in experimental research, dissemination of generalization in practical research and exploration of innovative methodology in qualitative research are items that must be further improved in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n the future. Thirdly, as scientific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e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hypothesis generation, present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s, discovery and analysis of the facts, use of valid research instrument and application of valid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identified. By applying these methods in practi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uld be enhanced. Fourthly, the purposes of nominating research schools and model schools that are practicing educational action research are specified and the cooperative system, in which the model schools practice the research results of the research schools and thus confirm and prophesy generalization, is also presented. By establishing this cooperative system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will be accomplished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will be realized. Fifthly,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compar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tha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ducational action research, has also been introduced as a new methodology and is being explored in practice. Qualitative research enables the application of observational method and descriptive method. It can also generate solutions to profound educational problems of specific research theme. By introduc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hich is complementary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educational action research, the opportunity to enhance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research can be provided.

      • 한국 정유산업의 시장경쟁형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진보영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석유산업자유화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1997년 이후,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와 경유를 대상으로 정유사들의 가격과 공급(판매)량 전략이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과점시장의 특성에 근거하여 정유산업의 시장집중률 변동요인을 분석한다. 정유사들의 가격과 공급량 전략이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ANOVA) 실시한 결과, 국내 정유산업은 가격보다는 물량경쟁을 통해 비협조적인 과점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정유산업의 시장집중률 변동요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가격, 생산량, 품질, 광고의 독립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유시장의 경우 가격과 광고가 증가 할 때 시장집중률이 강화된 반면, 생산량이 증가할 때 시장집중률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휘발유의 시장집중률의 경우 가격과 광고, 품질의 증가시 시장집중률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량의 경우 계수는 음의 부호로 시장집중률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유의성이 낮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과점시장인 정유산업을 중심으로 시장경쟁형태를 살펴본 결과 정유산업의 경우 정해진 생산량을 통한 생산계획의 결정이 가격경쟁보다 강력한 경쟁요인으로 나타났다. 정유사의 정해진 생산량은 고도화설비의 증설로 제품의 생산량변동으로 인해 시장집중률의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통망의 확보 전략을 통해 판매전략을 세울 수 있는 구조상 광고, 품질, 가격의 경우 한단위 증가시 경질유 제품시장의 시장집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정유산업의 시장집중률 완화는 유통구조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if oil refineries' strategies for the price and supply (sales) of gasoline and diesel have been made competitively since 1997, when the oil industry was fully liberalized. And this study, additionally, analyzes the factors causing the variation of the market concentration ratio of the oil refinery industry characterized by oligopoly market. This study makes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and gets the following result: The Korean oil refinery industry is found to form non-cooperative oligopolistic market structure through volume competition rather than price competition. And then this study makes the regression of the variation of the market concentration ratio of the oil refinery industry to price, the amount of production, quality, and advertisement. Resulting from this regression, the market concentration ratio of Korean diesel industry is positively related to price and advertisement, while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production. Qual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atio of marke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the gasoline industry, market concentration ratio is positively related to price, advertisement, and quality, while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podu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form of market competition in the oil refinery industry, which is a representatively oligopolistic market. Oil refineries' fixed production is found to relieve market concentration ratio by the variation of production through the extension of advanced facilities. However, because sales strategies are executed by expanding the distribution network, it is analyzed that the market concentration ratio of light oil products goes up with the increase of advertisement, quality, and price. Thus, in order to alleviate the market concentration of the oil refinery industry, effoets should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 이태준 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진보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method of Lee Tae joon 's novel creation. As more than 100 dissertations are in evidence, research on Lee Tae Joon has been done in various ways since the 1988 regulations were lifted. Many researchers have discovered the realities of Lee Tae jun as a writer through the theory of writer, and expanded the base of his work world through works. The discussion on the method of creation was also made at a certain level, but the study started from the point that it did not reach to the point of arguing the concrete creation method of the artist. There are many records of Lee Tae jun's literary theories and methods of creation in his essay book "Scarecrow" and "Writing Sentence Enhancement". This paper derived meaningful contents related to the creation of novel in the direct and indirect reference to the author 's literature and method of creation. Since Lee Tae jun had a self - consciousness as an artist, his fictional ideals are in creating unique works. Lee emphasized habitual training in daily life to express his novel ideals. Lee Tae joon's style, character, description, and point of view are important in the novel creation process. In this essay, Lee Tae Joon's novels and methods of creation for each item are summarized, and the aspects leading to actual creation are tracked. Lee emphasized sentence and style. He was deeply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established his own language viewpoint so that he could participate in the standard speech coordination committee held in 1935 in Onyang. In chapter 2, section 1, we derive Lee Tae Joon 's language view, and through this, we intend to identify the style that he intends in the novel. In addition, This paper will confirm the aspects of his novels and style orientations reflected in the novel. Chapter 2, Section 2 deals with how to create a character. Lee Tae Joon considered the characters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novel. As a writer he was devoted to creating a unique character. This paper deals with the sort of character types appearing in Lee 's novels. Lee Tae Joon said, "I chose the characters whose destiny was already decided" and wrote a novel. In this section, I try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haracter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characters.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reveal that Lee Tae joon selectively used direct characterization and indirect characterization according to narrative strategy. In Chapter 2, section 3, I discuss the description. Tae jun Lee described the description as a place of higher writing than the narrative, and emphasized the description to students who wanted to learn literature. Lee Tae jun directed the description of the artist 's personality. This is related to his artist consciousness, and for him, the attention of a writer who has acquired the material was also an important issue. What Lee Tae joon hopes to achieve through the description is the rapport with the reader. On the other hand, when describing the incident, he emphasized the artist 's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important and less important. Here, This paper summarize Lee 's thoughts on the description and confirm his writer' s direction. In addition, we want to distinguish the specific method of depict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 event and confirm the aspect reflected in the actual creation. Ch 2: 4 contains the point of view and distance. I will explain why Lee Tae joon mainly used the observer viewpoint and discuss the exceptional existence of Lee Tae joon 's novel, the first - person speaker. Through his writing, I wan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real life and the first person in the novel. In addition,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observer viewpoint and the aesthetics of Lee Tae Joon's novel. Artist's consciousness and craftsmanship are located at the base of Lee Tae joon's method of creation such as style, character, description, and viewpoint. Through the artist consciousness, a concrete method of cre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craftsmanship has functioned as a means of realizing their own artistic ideals. This paper intends to approach the artist 's consciousness toward a novelist as an artist by empirically approaching Lee' s concrete method of creation. 본고는 이태준의 소설 창작 방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100편이 넘는 학위논문이 방증하듯, 1988년 해금 이후 이태준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으로 이루어졌다. 다수의 연구자들이 작가론을 통해 작가로서의 이태준의 실체를 밝혀냈고, 작품론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의 저변을 확장했다. 창작방법에 대한 논의 또한 일정 수준으로 이루어졌으나, 작가의 구체적인 창작방법을 논증하는 데까지는 다가가지 못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수필집 『무서록』과 작법서 『문장강화』에는 이태준의 문학관과 창작 방법에 대한 기록이 다수 존재한다. 본고는 작가의 문학관과 창작방법에 대한 직·간접적인 언급에서 소설의 창작과 관련된 유의미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태준은 예술가로서의 공고한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기에 그의 소설적 이상은 개성적인 작품을 창조하는 데 놓여 있다. 이태준은 자신의 소설적 이상을 표현하기 위해 일상에서의 습관적인 수련을 강조했다. 이태준이 소설 창작 과정에서 중요시한 것은 문체와 인물, 묘사, 그리고 시점이다. 본론에서는 각 항목에 대한 이태준의 소설관과 창작방법을 정리하고, 실제 창작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추적한다. 이태준은 문장과 문체를 중시했다. 그는 1935년 온양에서 열린 표준어 조정위원회에 참가할 정도로 조선어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자신만의 언어관을 확립했다. 2장 1절에서는 이태준의 언어관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그가 소설에서 지향하는 문체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 그의 언어관과 문체 지향이 소설에 반영된 양상을 확인할 것이다. 2장 2절에서는 인물의 창조와 형상화 방법을 다룬다. 이태준은 소설에서 인물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겼다. 작가로서 그는 개성적인 인물을 창조하는 데 골몰했다. 본고는 이태준의 소설에 나타나는 인물 유형을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태준은 “이미 운명이 결정된 인물들”을 택해 소설을 쓴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절에서는 이태준이 인물을 선택하는 기준을 규명하고, 인물을 선택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논증하고자 한다. 또, 창작방법에 대한 저작과 소설 작품을 통해 이태준이 서사 전략에 따라 직접적 성격화와 간접적 성격화를 선별적으로 사용했음을 밝힐 것이다. 2장 3절에서는 묘사에 대해 논한다. 이태준은 묘사를 서술보다 높은 글쓰기의 경지로 꼽고, 문학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도 묘사를 강조했다. 이태준은 작가의 개성이 담긴 묘사를 지향했다. 이는 그의 예술가 의식과 관련되는 것으로, 그에게는 소재를 감득하는 작가만의 시선 또한 중요한 문제였다. 이태준이 묘사를 통해 이루고자한 것은 독자와의 교감이다. 한편, 사건을 묘사할 때 그는 작가의 주안점을 강조했다.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을 구분하여 묘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묘사에 대한 이태준의 생각을 정리하고, 그의 작가적 지향을 확인한다. 또, 구체적인 묘사 방법을 소재와 사건에 따라 구분하고 그것이 실제 창작에 반영된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2장 4절은 시점과 거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태준이 주로 관찰자 시점을 사용한 이유를 밝히고, 이태준 소설의 예외적 존재인 1인칭 주인공 화자에 대해 논한다. 그가 남긴 저작을 통해 그의 실제 삶과 소설 속 1인칭 화자의 연관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또, 관찰자 시점으로 확보된 거리가 이태준의 소설 미학에 복무하는 방식을 밝힐 것이다. 문체, 인물, 묘사, 시점 등 이태준의 창작방법의 기저에는 예술가 의식과 장인정신이 자리하고 있다. 예술가 의식을 통해 구체적인 창작방법이 확립되었고, 장인정신은 자신의 예술적 이상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했다. 본고는 이태준의 구체적인 창작방식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예술가로서의 소설가를 지향한 그의 작가의식에 근접하고자 한다.

      • Study of glucose regulatory effect of metformin in the brain

        진보영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배경: 메트포민은 전세계적으로 당뇨병에 많이 쓰이는 혈당강하제이다. 메트포민의 혈당 강하 작용은 간, 근육, 위장관 등 말초 장기에서는 그 기작이 잘 연구되어 있다. 메트포민이 뇌-혈관장벽을 통과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경구 제재인 메트포민이 뇌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으나, 뇌를 통한 작용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목표: 이 연구의 목적은 메트포민이 대사적인 작용을 할 동안 관여하는 뇌의 부위를 밝혀내고, 뇌를 통해 혈당 조절에 관여할 수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또한 뇌를 통한 당 조절에 관여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메트포민이 관여하는 뇌의 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뉴런 활성의 표지자인 c-fos 면역염색법이 사용되었다. 경구 메트포민 (300 mg/kg) 단일 투여 혹은 3일 투여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뇌의 뉴런 활성이 달라진 곳을 탐색하였다. 메트포민이 뇌를 통해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생쥐의 제3뇌실에 메트포민 용액을 투여한 후 당 대사를 측정하였다. 이 때 당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 인슐린 부하 검사(insulin tolerance test), 피루베이트 부하 검사(pyruvate tolerance test)가 시행되었다. 메트포민이 어떤 경로를 통해 혈당을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간 특이적 교감신경 신경차단술 및 전신적 교감신경 차단술이 시행되었다. 결과: 메트포민을 경구로 투여하였을 때, 3일 투여군에서 체중 및 식이 감소를 관찰하였다. c-fos 발현은 단일투여군, 3일 투여군에서 차이를 보였다. 단일 투여군에서는 paraventricular nucleus, area postrema, and central amygdala에서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3일 투여군에서는 ventromedial hypothalamic nucleus, nucleus tractus solitarius, dentate gyrus of hippocampus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메트포민 중추신경계 투여는 당 경구부하 테스트에서는 당 대사를 개선시켰지만, 복강내 경구부하 테스트에서는 당 대사를 악화시켰다. 메트포민 중추신경계 투여는 인슐린 반응성을 저하시키고, 간의 당 신생을 증가시켰다. 반면 메트포민 중추신경계 투여는 위 배출시간을 늘렸다. 추가로, 중추신경계 투여 메트포민이 간에 미치는 영향은 교감신경계를 통해 매개된다는 것을 밝혔다. 결론: 이 결과는 시상하부 및 시상하부 외 지역이 메트포민에 의한 대사 변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메트포민은 당 대사에 있어 상반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간-뇌 연결축과 장-뇌 연결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BACKGROUND: Metformin is one of the most widely prescribed anti-diabetic drugs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Many studies have proposed its mechanisms underlying the mode of action in the periphery. However, direct effects of metformin via the brain, in glucose metabolism, remains unclear, given its ability to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rain regions involved in metabolic actions of metformin, to determine whether metformin regulates glucose metabolism via the brain, an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central action of metformin on glucose regulation. METHODS: I investigated c-fos expression (FOS), a marker of neuronal activity, in the appetite-regulating brain region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metformin (PO, 300 mg/kg daily for 1 or 3 days) or vehicle. I investigated the role of metformin in peripheral glucose regulation by directly administering metformin into the third ventricle (central metformin) of mice. Glucose tolerance test, insulin tolerance test, and pyruvate tolerance were performed to evaluate central metformin-induced metabolic changes. To determine pathways underlying central action of metformin, hepatic or systemic sympathetic denervation was achieved by either 10% phenol painting on hepatic sympathetic plexus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6-hydroxydopamine. RESULTS: The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decreased in mice treated with metformin for 3 days (R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mice in pair-fed group had the same amount of food as the RM group (PF group). FOS expression levels in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area postrema, and central amygdala of mice administered an acute single dose of metformin (S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mice. In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 the FOS expression levels increased in both the SM and RM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OS expression levels also increased in the nucleus accumbens of the RM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FOS expression levels decreased in the ventromedial hypothalamic nucleus in the PF group, but not the R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entral metformin improved the glycemic response to oral glucose load in mice compared to that in control, and worsened the response to intraperitoneal glucose load, indicating its dual role in peripheral glucose regulation. Central metformin lowered the ability of insulin to decrease serum glucose levels and worsened the glycemic response to pyruvate load relative to control. Furthermore, systemic denervation of sympathetic nerves inhibited central metformin to increase hepatic gluconeogenesis was mediated by sympathetic nerv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hypothalamic and extra-hypothalamic regions are associated with metformin-induced metabolic changes, which is dependent on metformin treatment duration. I demonstrated the dual role of central metformin in peripheral glucose regulation through the concurrent brain-liver and brain-gut ax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