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SP로 제어되는 동기형 배터리 충방전기에 대한 연구

        지정우 우석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In this paper, a synchronous battery charger/discharger, which has high efficiency, was proposed, designed, implemented, and experimented. To minimize size and weight, the proposed battery charger/discharger has combined by only one power electronics circuit with two switch. The control mode of the battery charger/discharger was determined by DSP. Charging mode and discharging mode of the battery was automatically controled and determined by DSP.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battery charger/discharger was about 96% at charging mode and 94% at discharging mode. 국 문 초 록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충방전기에 적합한 고효율의 동기형 배터리 충방전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배터리 충방전기는 소형화를 위하여 배터리 충방전기의 전력회로를 한 개로 구성하였다. 또한, 배터리 충방전기의 제어는 DSP를 사용하여 배터리 충전모드와 배터리 방전모드를 스스로 판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배터리 충방전기는 설계, 제작,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배터리 충방전기는 기존의 하드 스위칭 방식의 컨버터에 비하여 높은 효율로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즉, 배터리 충방전기는 배터리 충전기로 동작될 경우 96% 정도의 효율로 동작되며, 배터리 방전기로 동작할 경우 94% 정도의 효율로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 犯罪 관련 感性反應이 眞僞 探知에 미치는 效果

        지정우 광운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범죄 관련 내용의 영상자극을 이용하여 피험자들이 경험하는 감성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감성반응이 진위 탐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뇌전도(EEG)와 사건관련전위(ERP) 측정 실험을 병행하여 유죄 및 무죄 조건과 성격 특성별로 피험자가 경험한 감성 내용을 평가하고, 실험 간 모의범죄 수행과 관련 있는 사건 관련 자극에 대한 진위 판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설계는 범죄와 관련된 개인의 윤리적 관념 또는 개인에게 정서적으로 위협이 되는 자극이 제시됨에 따라서 대뇌 우반구의 활성화와 관계있는 부정적 감성을 경험하게 되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대뇌 좌반구의 활성화와 관계있는 긍정적 감성을 경험하게 된다는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였다. 연구 결과, 사건 관련 감성 유발자극에 대해 유죄 및 무죄 조건의 피험자 간에 경험하는 감성반응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유의한 차이가 도출되었다. 첫째, EEG 측정 실험에서 사건 관련 영상자극에 대해 유죄집단이 무죄집단보다 부정적 감성을 더 높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감성 평가 척도 분석에서도 이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선행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둘째, 사건 관련 영상자극에 대해 유죄집단이 ‘수치심’, ‘두려움’, ‘슬픔’의 부정적 감성을 더 많이 경험하였으며, 무죄집단에서는 ‘화남’의 부정적 감성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피험자의 성격 특성에 따른 감성반응 결과 분석에서는 사건 관련 영상자극에 대해 모든 성격에서 유죄집단이 무죄집단보다 ‘수치심’의 부정적 감성을 더 높게 경험하였으며, 충동성, 비모험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격에서 ‘두려움’의 부정적 감성을 높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건 관련 감성반응 결과와 ERP 측정의 진위 판정 결과 사이에 상당히 높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거짓 판정을 받은 피험자 대부분이 부정적 감성을 경험하였으며, 반면에 진실 판정을 받은 피험자 대부분은 긍정적 감성을 경험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될 수 있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죄 및 무죄 조건에 따라서 특정 자극에 대해 경험하는 감성반응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대뇌 좌우반구 활성화와 관계가 있고 기존의 거짓말 탐지 관련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둘째, 영상자극을 이용한 EEG 측정 방법을 통해 폴리그라프 검사와 뇌파검사의 진위 탐지 결과에 대한 보완성 및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죄 및 무죄 조건과 성격 등 개인 특성에 따라서 진실 및 거짓 진술자 간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범죄 관련 감성반응을 통해 사건 관련 인지 및 기억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피조사자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기존의 검사 기법에 의한 진위 판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보완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emotional shift subjects experience by using crime-related images as stimulus, and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reaction on lie detection. For this end, the emotions subjects experienced were evaluated under two conditions - guilty and innocent - and per characteristical features by conducting in parallel the tests to measure the Electroencephalogram(EEG) and Event-related Potential(ERP). Also, emotions subjects felt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truth-or-lie evaluation regarding the crime-related stimuli which are related to the mock crime execution in between the tests. Such research design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theoretical backdrop that subjects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the brain’s right hemisphere when exposed to stimuli that are provocative to one’s emotions or sense of ethics regarding the crime, but positive emotion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the brain’s left hemisphere under the opposite circumstance. As a result, the following meaningful differences concerning subject’s emotional reaction to emotion-inducing stimuli related to crimes were found. First, the EEG measurement test indicated that the guilty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more strongly than the innocent. The subjective emotion evaluation standard analysis yielded identical result, strengthen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finding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guilty tend to feel ‘shame’, ‘fear’, and ‘sadness’ as negative emotions while the innocent are inclined to feel the negative emotion of ‘anger’. Third, the analysis on the evaluation of emotional reaction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al feature illustrated that the guilty experienced ‘shame’ more than the innocent in all of the characteristical features, and felt ‘fear’ more than the innocent in most of the characteristical features excepting impulsiveness and tendency to avoid risks. Fourth, there proved to be a conside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crime-related emotional reaction and that of truth verification from ERP measurement. In other words, the inclination was that most of the subjects who were judged to be lying turned out to have felt negative emotions, and, on the contrary, the majority of those judged to be telling the truth were found to have felt positive feelings. The main issues that could be suggest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motional reaction against certain stimuli according to whether one is guilty or not. This i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the brain’s right and left hemisphere and this finding supports the established theory concerning lie detection. Second, the completeness and usefulness of polygraph and brain wave test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EEG measure method using image stimulus. Third, it was found that characteristical features and whether one is really guilty or not could be useful in interpreting the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subjects who are testifying truthfully, and untruthfu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ffirm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rime-related emotional reaction as complimentary data that can increase reliability of the results yielded by the current examination methods, and in that it sought an efficient management of subjects by attaining data related to memories and recognition through crime-related emotional reaction.

      • 횡문근 융해증과 좌골신경 손상을 유발한 급성 구획증후군에 대한 고찰

        지정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Like any other diseases, rhabdomyolysis can be treated in a conservative way without any complications, on the other hand, it can bring about severe disablities with various complications or death. Rhabdomyolysis is an acute disorder resulting from skeletal muscle injury in which intracellular contents are released into extracellular space and plasma.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itics of rhabdomyolysis and sciatic nerve palsy resulting from gluteal compartment syndrome after rhabdomyolysis. Several clinical and laboratory datas of 31 patients with non-traumatic rhabdomyolysis from January 2009 to September 201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Patients are consisted of 19 males and 12 females. Etiologic factors of non-traumatic rhabdomyolysis were as follows : alcohol abuse (26%), seizure (25%), excessive labor or exercise (19%), CO intoxication (10%), Drug intoxication (6%) Metabolic derangement(10%) Among 31 patient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s acute renal failure (48%) and sciatic nerve palsy resulting from gluteal compartment syndrome (10%). One patients with sciatic nerve palsy resulting from gluteal compartment syndrome were received an immediate fasciotomy, and rehabilitation. Six month after initial treatment, patients could walk independently with their right lower limb function almost nearly recovered. Through examples of compartment syndrome and sciatic nerve injury caused by rhabdomyolysis, MRI exam has been shown to be very efficient for diagnosis of rhabdomyolysis. Various factors including alcohol abuse, seizure, excessive labor or exercise, CO intoxication can cause non-traumatic rhabdomyolysis, which can lead to severe complications like renal failure, pulmonary edema, and compartment syndrom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important, so that keen attention and full knowledge for non-traumatic causes and surgical treatment like immediate decompression are needed.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정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원활한 문제해결과 한국사회 적응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족의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사회복지현장에 투입되기 전인 예비사회복지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이 제일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결과 일반요인?교육요인?접촉요인이라는 3가지 범주로 요인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범주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을 측정?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표집된 설문지 304부에서 결측치와 미회수된 설문지를 제거한 후, 총 28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에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 측정결과,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일반기능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3.96점, 수업기능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3.91점, 인간관계 증진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4.32점,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3.93점, 마지막으로 다문화 효능감은 4.0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일반요인?교육요인?접촉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의 평균 차이를 보기 위해 실시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검정 결과, 일반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학년이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다문화 관련 연수경험이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관련 교과목 수강경험이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접촉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다문화 관련 대중매체 접촉경험이 일반기능, 수업기능 측면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요인?교육요인?접촉요인과 다문화 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회귀분석 결과, 일반요인에서는 학년이 높을수록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요인에서는 다문화 관련 연수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가족 배려측면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관련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을수록, 일반기능 측면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어 능력에서는 외국어를 잘할수록, 일반기능,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접촉요인에서 다문화 관련 대중매체 접촉경험이 있을수록, 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 접촉시간이 많을수록 인간관계 증진,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요인에서 다문화 관련 연수경험, 교과목 수강경험, 외국어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이 다문화 효능감 교육을 받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래의 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에게 제공될 사회복지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의 교육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주요어 : 다문화 효능감,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다문화, 일반요인, 교육요인, 접촉요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