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North Korea as a revisionist state : leaders' political psychology of nuclear provocations

        조평세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김정은의 북한은 강도높은 핵/미사일 도발로 또다시 전 세계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는데 성공했다. 2012년 김정은의 정권 세습 이후 6년동안 북한은, 김정일 시기 2회 핵실험의 두 배인 4회를 감행했고, 미사일 도발은 김일성과 김정일 통치시대 전체의 도발보다 세 배 가까이 증폭했다. 그리고2018년 1월부터 김정은의 북한은 국가 핵무력 완성을 이제 성취했음을 공표하며 미국과 대한민국에 대한 전면적인 평화공세를 전개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통해 김정은 정권은 미국의 선제공격 위협과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을 초래하는 등, 그 체제를 안전하게 하기보다 더 불안하게 만드는데도 불구하고 왜 지속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도발을 증가하는가이다. 본 논문은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t) 접근을 채택하여 북한을 현상타파국가(revisionist state)로 이해한다. 북한의 지정학적 환경과 동북아시아에서의 힘의 분배가 핵개발 등 북한의 외교정책 행위를 설명하는데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함과 동시에, 본 논문은 북한 지도자의 심리와 국가정체성 인식 등을 매개설명변수로 설정하여 그들이 외부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여 핵 도발로 연결시키는지 더 깊이 탐구한다. 지금까지 북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체제적(systemic) 접근방식, 혹은 국제적 분석수준(international level of analysis)에 치중되어 왔다. 이 때문에 북한의 외교정책행위를 분석하는데 있어 “현상유지 편견”(status-quo bias)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이는 북한이 모든 여타 합리적 국가 행위자(rational state actor)와 같이 지정학적 위치와 상대적 힘의 분배에 단순히 반응하여 현상을 유지하려고만 한다는 제한된 진단과 이에 따른 불완전한 처방을 내리게 했다. 하지만 최근 발달된 지도자의 발언 컨텐츠를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과 도구들을 통해 북한의 외교정책결정과정에 대해 보다 깊고 새로운 연구들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특히 지도자의 공개연설 등에서 “운영코드”(Operational Code)를 추출하는 verbs-in-context-systems (VICS) 방법을 통해 국가지도자의 외교정책결정의 성향적(dispositional) 변수들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쟈크 하이만스 (Jacques Hymans)의 “외부행위자 계수법”(external-actor counting method)은 국가지도자의 “국가정체성인식”(National Identity Conception, NIC)을 파악하여 핵무기 개발 경향의 정도를 분석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이런 유용한 연설 컨텐츠 분석도구들은 매우 소수의 논문에서만 북한 행태연구에 적용되었고, 특히 이 도구들을 이용한 북한의 3대 세습 지도자 김정은의 공개연설 분석과 핵 도발 증가 설명변수 분석은 아직까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인지심리학적 컨텐츠 분석 방법들을 활용하여 북한의 김정은 시기 핵 도발 증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북한 핵개발의 지정학적 그리고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여 북한의 현상타파적 국가정체성을 파악하고 북한 대내외정책의 지도 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사상의 발전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 주체사상이 어떻게 수령 개인숭배와 결합되어 더 공고화되었는지 그 배경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북한의 핵무력 추구가 그 현상타파적 국가정체성과 통일혁명전략의 당연하고 타협 불가능한 결과일 뿐임을 설명한다. 그 다음, 이 설명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치/인지심리학적 분석도구들을 이용하여 북한지도자의 “국가정체성인식”과 “운영코드”를 도출한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김정은의 “적대적 민족주의”(oppositional nationalism)와 “현상타파적”(revisionist) 성향이 지난 두 지도자들보다 현저히 더 강해진 것을 밝히고 그의 집권 이후 핵 도발 증가를 설명한다. 이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는 다양하다. 먼저 기존 학계의 북한 핵개발 원인에 대한 이해, 즉 북한의 핵개발은 단순히 체제의 생존을 위한 것이라는 것과 북한의 지도자는 단순히 “합리적 행위자” 라는 보편적 견해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는 미국과 대한민국의 대북전략에 상당한 변화를 주문한다. 또한 학술적으로는 기존 국제정치 학계에서 만연한 “현상유지 편견”을 탈피하여 신고전현실주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행위자 특정”(actor-specific) 중심 외교정책연구의 가능성에 따른 추가 연구과제들을 제시한다. Kim Jong-un’s North Korea has successfully gotten the world on its nerves once again with its brazen nuclear provocations. Nuclear explosive tests since Kim Jong-un’s assumption of power in 2012 doubled that of his father Kim Jong-il, and his missile tests in his first six years have almost tripled that of the entire period of reign under his father and grandfather combined. Since January 2018, Kim Jong-un’s North Korea is embarking on a full-scale peace offensive toward the US and South Korea, proclaiming to have finally achieved the completion of its nuclear weaponization. The puzzle is why the North Korean leader would accelerate his development of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hen doing so would make his regime less secure, rather than more secure, by inviting a preemptive military attack and further sanctions and isol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research assumes a neo-classical realist approach to tackle this puzzle and in turn observe North Korea as a revisionist state. While acknowledging the determining importance of North Korea’s geopolitical environment and relative power distribution in Northeast Asia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its foreign policy behavior, this research further explores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leader psychology and national identity perceptions to see how the external operating environment has been perceived and translated into nuclear provocations. Researches on the regime’s foreign policy making have suffered heavy tendencies to adopt a systematic approach, or an international level of analysis, that generate a “status-quo bias” when trying to understand and predict its behavior. In other words, taking for granted that North Korea behaves like all rational state actors do simply in response to geostrategic international position to preserve the status-quo, studies on its foreign policy behaviors have offered limited diagnoses and prescriptions. Despite the common obstacles of the lack of data in North Korea studies, however, recent advancements in analytical methodologies on state leader’s public speeches have opened fresh research possibilities on the inner workings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making. Most notably, verbs-in-context-systems (VICS) method to extrapolate the leaders’ “operational code” has been widely utilized to analyze state leaders’ dispositional factors in foreign policymaking. Also, Jacques Hymans’ method of “external-actor counting” has offered helpful quantitative content analyses of state leaders’ public statements to measure “national identity conceptions” that explain their proclivity to develop nuclear weapons. These analytical tools have been applied in only a handful of researches on North Korea, and there are none that analyzes the speeches of Kim Jong-un using these methodologies to explain the recent rise in nuclear provocations since his assumption of power. In this research, these cognitive-psychological methods of content analysis are utilized to explain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s. Before employing these tools however, the research thoroughly examines the geo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 of North Korea’s revisionist national identity to determine the operational environment where the regime is positioned and from which its juche nationalist outlook is developed and further reinforced by its suryong cult. From this, it is demonstrated that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armed statehood is only a natural and non-negotiable manifestation of its national identity and revolutionary reunification strategy. To support this argument further, the cognitive-psychological methodologies are used to determine North Korean leaders’ “national identity conceptions” and “operational codes”. The analysis finds that North Korean leaders’ “oppositional nationalism” and “revisionism” have increased along the two successions of power, and that the current leader Kim Jong-un displays the highest revisionist orientations and proclivities to develop nuclear weapons for his juche unification revolution.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research are manifold. Conventional understanding on the North Korean regime that it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re for mere security and survival, and that its leader is merely a unitary rational actor, is challenged. In turn, several aspects of strategy and policy of the US and the Republic of Korea are called for change. This research also calls for a break from the “status-quo bias” in IR scholarship to suggest further research in “actor-specific” foreign policy analysis under the neoclassical realist frame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