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기녀 트레머리 고찰과 재현에 관한 연구

        조성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고전머리의 풍속은 단군 시대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수많은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머리모양에 관한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인 유교사상에 따른 조선후기 여성들의 지위와 생활을 고찰해 본 후 이에 반하여 사회참여가 많았던 기녀들의 사회적 지휘와 생활을 통해 화려해질 수밖에 없었던 기녀들의 머리 형태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는 유교라고 하는 개념이 사회전반에 바탕이 되었으며 이러한 욕구 중의 하나가 머리모양이 사회현상으로 나타났다. 크고 높은 가체를 사용한 머리모양은 조선시대 여성들 내면의 국기와 수양을 통한 정숙과 엄격의 특성을 지닌 유교적 사상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긴 하였으나 그 이면에 권위와 위엄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었으므로 사회적으로 크게 유행하는 동기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과 풍속화 사진에 의존하여 조선시대 머리모양을 연구 분석하여 체계화시키고 작품제현을 제시 하였다. 또한 머리모양을 제작하는 사람에 따라 머리모양이 약간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어느 것이 정통법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기생은 춤. 노래. 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예기의 총칭으로, 조선시대 후기 기생은 유교를 국시로 삼고 여성들의 활동을 금기시 했었던 사회적 분위기에서 낮은 신분이면서도 다른 천민에 비해 화려한 생활을 하며 장식문화를 리드했다. 이렇게 여성사, 젠더, 계급 등의 문제들이 한 덩어리로 어우러져 있는 “기생”을 주제로 다양한 프로젝트와 역사극이 큰 관심사로 떠오른 이 시점에 기생 머리모양을 연구하는 것은 충분히 가치가 있다. 특히 그동안 연구한 자료들을 수집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연구 보안해야 된 문제점들이 많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우리 고유의 전통 머리모양 중 기본구조를 제시한 시기인 조선전기부터 조선후기까지 기생 머리모양의 미적특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생머리모양의 미적 본질을 재조명 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 公務員年金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조성옥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form measures for the pension system for national public service personnel, by examining its reality, operating system and problems. For the purpose, descriptive and empirical approaches were employed together. The expenditure of the public official pension system doubled or more what it did before, going into the red to the extent of two or three trillion every year. The reserve for payment by which the pension system had meanwhile propped up itself is now nearly being exhausted. The expenditure is on the increase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pension beneficiary, while the legal regulation of share makes income remain unchanged. Moreover, the calculation of pension to be paid is benefit-based, and it's difficult to secure enough fund because of insufficient income for special account. A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the public official pension system in view of oper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might be given as a solution: First, the structure of the pens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additional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procured urgently to correct the problem caused by insufficient fund. Second, the public official pension system should be placed under private management to keep the principle of equity by sufficient reserving, raise earnings yield by competition, and ultimately ensure financial security. Third, the principle of equity should be realized more perfectly by getting rid of inequality related to the length of service and of the gap in a lump-sum allowance. Furthermore, institutional measures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pay system, such as introduction of the yearly salary or contract system, should be prepared. Fourth, the current practice to start payment after retirement, regardless of age, should be avoided in the future. Instead, payment should begin at a fixed age, like in the advanced nations or our country's national pension system. Fifth, the pension benefit needs to preserve its own substantial value based on a rise in price, not current pay. Sixth, the operating earning rate for welfare project should be improved, and more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the welfare project for the elderly to make preparation for the aging socity. As discussed above, it's inevitable to adjust benefit and share to an optimum level in order to stabilize the finance of the public official pension system on a long-term basis.

      • 주니어 골프 선수들의 골프웨어 착용실태 및 선호도

        조성옥 건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골프는 사회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점점 대중화되어가고 골프를 즐기는 연령 또한 확대되고 어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 골프웨어 시장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골프웨어 착용 실태를 조사하여 다변화 하고있는 골프웨어 시장에서 완벽하게 흡수 되고있지 않는 주니어 골프선수들을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전문적인 골프웨어 디자인개발에 도움이 되고, 불만족사항과 선호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발전적인 디자인방향을 제시하며 기업의 니치마켓에 대한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고자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니어 골프대회에 참여한 주니어 골프선수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2002년 4월 16일부터 4월 26일 동안에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웨어의 계절별 착용실태를 보면, 봄·가을과 겨울의 상의 티셔츠의 경우에는 기본 폴로형 스타일의 긴 팔 티셔츠를 주로 착용하였고, 하의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대부분이 전문적인 골프웨어가 아닌 면 소재의 캐주얼 바지를 주로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의 상의로는 반소매 티셔츠를 입는 학생들이 90.0%정도를 차지하며, 하의로는 반바지를 착용하는 학생이 63.6 %를 차지하였다. 성인 골프웨어의 착용과 비교해 볼 때 특이점은 큐롯이나, 치마를 전혀 입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조합방식에 있어서는 계절적 특성상 봄·가을의 경우가 가장 다양한 조합방법을 보였고, 여름과 겨울에는 비교적 단조로운 조합방법을 나타냈다. 둘째, 주니어 골프 선수들의 의복에 대한 불만족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현재 착용하는 골프웨어에 대한 불만족 요인으로는 가격적인 면이 가장 큰 불 만족 요인이고, 소재에서는 여러 요인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불만족 사항에서는 남성은 디자인을 여성은 기능성에 불만족을 나타냈고, 경력과 필드횟수가 많을수록 기능성에 대한 불만족이 높았다. 셋째, 선호하는 골프웨어의 상의는 셔츠소매의 셔츠칼라 티셔츠에 색상은 무채색, 중간톤의 색, 밝고 화려한색 순으로 나타났고, 무늬의 경우에는 단색과 가로줄무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바지는 헐렁하게 입고 대부분 벨트를 하며, 선호하는 착용 방법은 상의를 안으로 집어넣어 단정하게 입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골프웨어 선택시 가격의 중요도가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게 대두되었고, 골프웨어의 인체보호에 관한 질문에도 77.4%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골프웨어 선택 기준으로는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디자인 과 색상으로, 두 번째 요인으로는 실용성과 기능성으로 나타났다. 착용 시 원하는 이미지로는 단정하고 심플하며 스포티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넷째, 전문적인 주니어 골프웨어의 구매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73%가 구매의사를 나타냈고, 구매장소로는 백화점, 스포츠 상설 할인매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 결정자로는 본인과 부모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고가의 의복에 대한 부모의존도가 높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가족 대부분이 골프를 즐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주니어 골프선수들은 현재의 골프웨어에 대해 높은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주니어 골프선수들이라는 특성상 기능성이 강조된 주니어 선수들을 위한 전문적인 골프웨어에 대한 구매의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골프웨어 시장은 고가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구매의도는 있으나 경제적 측면에서 부모에게 의존도가 높은 주니어층을 공략하기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특성상 계절적으로 불리한 조건에서 연습하는 주니어 골프 선수들을 위해 운동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골프웨어의 기능성이 강조된 디자인의 개발 과 소재의 특수화가 시급하다고 보아진다.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체형에 맞는 골프웨어를 개발하고 보급하여 골프웨어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고 좋은 품질과 디자인으로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 계획과 개발이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golf outfit among junior golf players who are on the rapid rise, in an effort to help develop better, more specialized golf outfit design for junior players. And it's additionally meant to find out their preference for and dissatisfaction level with golf outfi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golf outfit desig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0 junior golf players who entered for the junior golf contest.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6 through 26, 200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allow First, regarding the seasonal use of golf outfit, the young golf players investigated chiefly wore long-armed T-shirts of basic Polo style in winter, spring and fall. And most of the boy and girl students used casual cotton trousers in these seasons, not trousers for golf. In summer, 71.3 percent wore short-sleeve T-shirts, and 56.7 percent wore short pants. On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adult golf players was that they never wore divided skirt or skirt. The coordination was most diverse in spring and fall, thanks to the seasonal features, and relatively simple in summer and winter. Second, the young golf players were not so discontented with golf outfit. The price was the biggest dissatisfaction factor about golf outfit currently used by them, and materials were not a frequent cause to displease them, but several factors made even contribution to their dissatisfaction. The boys were more discontented with design than the girls, and the latter group was more displeased with clothing management. Third, their favorite upper garment was T-shirt of basic Polo style. An achromatic color was mainly preferred, and most of them favored single color or horizontal stripes. Loose trousers were preferred, and most of them used belts. And their favorite way of wearing golf outfit was that the upper garment was neatly inserted in trousers. Fourth, when they selected golf outfit, price was considered crucial since as many as 90 percent found it important. And 77 percent wer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 protection of the body. The design and color were viewed as the most vital criteria of selecting golf outfit, and the second most crucial one was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And they preferred a simple, neat, sporty and casual image. Fourth, 73 percent were willing to buy golf outfit for junior players. The favored purchase place was department store or bargain stores. The students themselves or their parents were the major decision maker to buy golf outfit, and they were highly dependent on their parents in case buying high-priced ones. And most of their families enjoyed playing golf. In conclusion, the junior golf players didn't express a strong dis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golf outfit. But as they were players, they had a strong intention to buy more functional golf outfit for young players. This fact seems to have big implications when it's taken into account that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clothing is not the only factor to stimulate new purchase. However, golf outfit is generally expensive, and it's not easy to attract young players who have to depend on their parents even though they are willing to buy new, high-priced one. It'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more functional design and special material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young golf players who must be trained in an unfavorable situation due to the seasonal features of our nation. Golf outfit makers could have a competitive edge by developing golf outfit that suits the body type of young golf players, and they should try to enhance design and quality to address their needs.

      • 실리카 졸-겔법을 이용한 발포시멘트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

        조성옥 江原大學校 産業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 여러 종류의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분류하면 유기단열재와 무기단열재로 구분할 수 있다. 스티로폼, 발포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유기 단열재는 고온에 매우 취약하고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단점이 있다. 퍼라이트, 경량시멘트 등의 무기단열재는 제조 시에 장시간 고온, 고압의 양생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생산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고, 설비비용이 과다하게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어서 기존 단열재의 물리적 특성을 충족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적은 공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실리카 졸․겔 반응을 이용하여 상온, 상압의 조건에서 생성된 기포가 소포되지 않은 채 짧은 시간 안에 견고한 다공성 형상의 경량 발포 시멘트를 제공하여 기존의 유․무기 단열재의 단점을 극복 하면서 경제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경량의 발포시멘트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기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중이 낮아져서 우수한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부착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가장 적합한 기포제의 농도는 2.5 %으로 판단된다. 또한 파이버(Fiber)를 첨가하여 단열재로서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파이버(Fiber)의 함량에 따라 전단강도와 인장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이버를 적당량 첨가함으로 무기단열재의 최고의 취약점인 깨짐이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기단열재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플라이에쉬(Fly ash) 또는 고로슬래그를 첨가하였다. 그 결과 비중과 겔타임(Gel time)은 커다란 변화가 없었으며, 전단강도 및 부착강도, 특히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Nowadays, various kinds of heat insulator material are used for decreasing the energy reduction of building. Heat insulator materials can be classified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Organic insulators such as Styrofoam, foaming poly-urethane are very weak at high temperature, and they can make toxic gas when they are burned. Inorganic insulator materials such as Perlite,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 etc., are not toxic and safe. But inorganic insulator requires large-scale manufacturing system and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manufacturing process. So, Unit cost is very high. In this work, we made foaming cement have low unit cost and excellent properties for using sol-gel method. The pore volume and distribution in the foaming cement is very important for their insulating properties. We studied the proper condition of forming agent addition has excellent insulating and physical properties. Increasing the quantity of forming agent reduced gravity of product, by forming more pore in bulk structure, and also improve insulating property. But, high gravity caused low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bond strength. And, we also studied the effect of fiber and additive, such as fly-ashes or blast furnace slag. Addition of fiber increased Shear strength, tensile strength of the product, and fly-ashes or blast furnace slag addition also increased compressive, tensile strength and bond strength.

      • Social campaign poster의 표현방법 연구 :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10회-25회) 전시작을 중심으로

        조성옥 淑明女子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18C 말 석판화의 보급으로 포스터가 시각광고물로서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강력한 소구력에 관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에 걸쳐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는데 환경·자원보존으로 부터 복지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국민의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Social Campaign Poster는 각종 사회적인 계몽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며 목적에 따라서는 행위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이 포스터는 관념적으로나 구체적으로나 시대감각을 구비하여야 하며 인간에게 경종을 울릴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이다. 이 포스터는 우리가 잊기쉬운 그러나 늘 중요시 하지 않으면 안될 일들을 일깨워 대중에게 하나의 캠페인 형식으로서 유발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즉 인간과 인간이 조화되어 살기좋은 사회를 만드는데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Social Campaign Poster는 뜻과 목적은 훌륭하나 발상과 표현면에서 뒤떨어지면 소구력이 없어지는데 무엇보다도 여기서 중요시 되는 것은 아이디어 즉 독창적으로 제작되어 보는 사람에게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표현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는데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 제 10∼25회 전시작에서 총 포스터 중 Social Campaign Poster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고, 소재별 현황과 함께 소재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표현방법별로 구분하여 가장 많이 쓰인 표현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고, 가장 효과적으로 쓰인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 지 알아보았다. 제10회∼25회 총 포스터 916점 중 Social Campaign Poster 수는 206점으로 22.5%에 달하고 있으며 총 포스터수가 제10회부터 거의 지금까지 비슷한 숫자를 유지하는 반면 Social Campaign Poster수는 점차적으로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제20회 때는 35.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런 점들을 감안할 때 사회가 세분화되고 복잡해짐으로해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디자이너들에 의해 이런 문제점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하겠다. 소재별로 구분하여보면 가족계획, 환경보호, 경제건설, 자원절약, 음주·흡연, 우리문화찾기, 순수의지, 거리질서, 국민복지, 아동보호, 평화통일, 사회질서, 등으로 구분하여 보았는데 환경보호가 21.8%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질서, 자원절약, 평화통일 순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사회질서는 '80년대 부터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그 소재 또한 다양하다. 소재들은 그때 그때 나타난 이슈, 국가시책 등에 의하여 그 범위는 매우 다양한 반면 어느 소재에 치우친 성향을 보이고 있다. 어떤 문제든 여론이 알고 사회관심으로 형성되어야 만 디자이너의 감각을 거쳐 작품으로 나타나는, 그리고 곧 잊어버리는 우리 의식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고 함께 올바른 사회형성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어떤 문제 해결에 있어서 인간이 사고하고 상상하는 것을 전달하려 할때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이 아이디어라 보고 아이디어에 따라 포스터도 다양하게 표현되어 질 수 있는데, 이때 인간 감정에 깊이 스며들어 심리적으로 쉽게 잊혀지지 않는 작품이 제작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지카로(Jerzy Karo)분류법을 기준으로 하여 직접적인 방법, 비유적인 방법, 감정적인 방법, 극적인 방법, 설명적인 방법, 충격적인 방법, 암시적인 방법, 상징적인 방법, 타이포그래피컬한 방법, 비일상적인 방법, 설명이 없는 방법으로 구분하였는데 Social Campaign Poster 206점 중 직접적인 방법이 88점으로 42.7%에 달하고 있으며 횟수를 거듭할 수록 직접적인 표현방법의 선택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것을 볼때 포스터 디자인에 있어서 암시성도 깊이 추구되어 왔으나 현대사회에서는 Simple한 직접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던 반면에 비일상적인 방법, 타이포 그래피티컬한 방법, 감정적인 방법은 한두 작품씩 밖에는 안보이고 있어 Social Campaign Poster에 표현방법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어느 부분으로 치중되어 있다고 하겠다. Social Campaign Poster의 표현방법 중 제일 많이 쓰인 것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단순하면서도 강한 효과의 폭을 넓혔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디자인하는 것에만 자신의 역할을 제한할 것이 아니다. 자신이 디자인한 작품에 사회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염두에 두고 책임있는 자세로 작품제작에 임하여야 할 것이다. Since the poster was used as a visual advertisement by a supply of lithograph in late 18th century, it has been has an ability to appeal infinitely. Our nation come to many troubles with rapid economic growth late '60 and '70, but our conscious for making welfare state with preservation of environment and resource is built up. Social campaign poster has a role of social enlightmental media and it induces behavior according to a purpose. It must possess our day's sensation weather traditionally or concretely. It is one of the most common visual communication that give an awareness to human being. The poster awakes us for one thing that we must not forgot and we must think very importantly, so it has an important to induce campaign in human being. Thus it can be said that it needed for making a welfare society in a harmony between human and human. Social campaign poster has an excellent meaning and aim, but it can loss it's power of appeal if conception and expression is lack.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se is that it must has a persuasive power and creative one, another word idea'. This article is about the method of expression, the percentage of social campaign poster to all posters in korean industrial design exhibitions between 10th and 25th, the change of material with present condition of each materials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are reported here. The number of social campaign poster is 206(22.5%) in 916 posters and in contrast that all poster maintains its number since 10th, social campaign poster is increasing more and more. In 20th, it's percentage was the highest for 35.6%, and it means that the designers try to solve the problem which was appeared due to social subdivision and complication. To classify according to materials, they are about family planning, environment preservation, economic construction, resource saving, no drink, no smoking, finding our culture, pure will, street order, citizen welfare, child protection, peaceful unification, and social order. Among them, environment preservation is most for 21.8% and social order, resource saving, and peaceful unification follow next. Social order is specially increasing since 1980th and it varies in materials. The materials are varified widely by issue and national planning at that time but, they are tended to be biased one side. We've got to think that the designers only can create their piece of work through their sense in situation that public opinion and social concern are existed. We've also got to think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our consciousness to forget easily and we must try our best to construct well socie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idea' in solving and problems that transfer one's think and imagination. According to 'idea', the poster can be expressed varily but in here, the piece of work which has peere human being's feeling so not to be forgotten must be created. In this article, the methods of expression are classified as Jerzy Karo's one and they are direct, metaphorical, emotional, dramatical, descriptive, impactive, suggestive, symbolic, typographical, extraordinary and undescriptional methods. Among these, the number of direct method is 88 (42.7%) in 206 social campaign posters and it shows us that selection of direct method is increasing more and more. Finally, the suggestivity has been persuited in 'poster design', but the simple and direct method is used widely in modern day. However there are only one of two piece of work on extraordinary, typographical and emotional method. And it says us that the method of expression in social campaign is not distributed uniformly but biased one side. As described before, the direct method is used most widely in social campaign poster and it is very effective. The designers not only have a restricted role of designing, but also always have to concern that how their piece of work function in society and they must have responsibility for their work.

      • 한국 드라마 산업이 중국 드라마 산업 발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조성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 시대를 맞아 세계 각국에서 경제·문화 분야의 교류가 빈번해지고 있다. 한국의 문화 소프트파워는 국제사회에서 주요한 자산이 되었다. 특히 한국 드라마는 한국 문화산업 발전의 기관차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드라마 산업과 한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은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참고할 만 충분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문화산업의 관점에서 한국 드라마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한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정부의 정책 및 특징을 분석한다. 다음으로는 중국의 드라마 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를 연구한다. 그리고 한중 드라마 산업의 특징과 정부의 지원 정책에 대한 비교를 통해 중국 드라마의 발전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방법 및 필요성을 소개하고, 중국학자들의 한국 드라마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본문의 연구 목적·내용 및 기본 방향을 명확히 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 드라마가 발전한 정치 경제적 배경과 한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문화산업 정책을 소개하고, 한국 드라마의 콘텐츠의 문화적 특징과 한국 드라마의 산업화 운영을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현황을 소개한다, 각 정책 시행 당시의 역사와 관련 문서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문화산업 정책을 설명하고, 중국 드라마의 특징과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중국 드라마 산업이 대면한 과제를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주로 한중 드라마 산업을 비교하고, 각 특징과 문화산업 정책·문화 측면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국 드라마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 전체 논문을 정리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비교분석과 연구를 통해 한국 드라마 문화산업의 발전정책은 참고할 가치가 있으며, 중국 문화산업은 아직 많은 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며,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협력과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국정을 보면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한국에 비해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고, 수급이 불균형하며, 정책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드라마 산업 발전에 제약이 많이 있다. 또한 중국 드라마 산업 매출액은 상당하지만, 주로 국내 거대 소비 시장에 의존하고 있으며, 홍보와 영향력 등 ‘소프트 파워’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네임밸류가 형성되지 않았다, 주제 파급력, 리메이트 드라마 등으로 인해, 중국 드라마가 가지고 있는 대중 문화적 함의가 부족하다. 그래서, 입법 및 규정을 강화해야 하고 중국 드라마의 적합한 제작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은 시나리오 창작과 작가의 대우를 중시해야 하고, 중국의 전통문화와 결합하여, 새롭고 중국만의 창조적인 문화 만들어야 한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exchanges in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are becoming more frequent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Korea's cultural soft power has become a major asse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Korean dramas serve as a locomo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The Korean drama industry and the Korean government's cultural industry policy are worth referring to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This paper conducts specific analysis and research on Korean dram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industry. Fir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dramas and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Next, we study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drama industry in China.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rama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Chinese drama industr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1, the background, method, and necessity of research were introduced, and the research purpose, content, and basic direction of the text were clarified by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dramas by Chinese scholars. Chapter 2 introduc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Korean drama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dramas, and cultural industry policies, and analyz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and the industrialization operation of Korean dramas. Chapter 3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tus of Chinese dramas, explain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dramas and cultural industry policies based on the history of each policy implementation,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drama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es, and explains the tasks faced by the Chinese drama industry. Chapter 4 mainly compares the Korean-Chinese drama industry, analyzes each characteristic and cultural industry policy and cultural aspects in detail, and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ramas. Chapter 5 summarizes the entire paper as a conclusion part and presents future prospects. In conclus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policy of the Korean drama culture industry is worth referring to, the Chinese culture industry still needs many efforts, and national cooperation and reform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e industry. According to China's state affairs,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Compared to Korea, policy support is insufficient, supply and demand is imbalanced, and policy effects are not sufficiently exhibited, 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industry. In addition, although sales in the Chinese drama industry are significant, it relies mainly on the domestic consumer market, and world-famous name values such as "soft power" such as promotion and influence have not been formed, and Chinese dramas lack popular cultural implications. Therefore, legislation and regu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ppropriate production models for Chinese dramas should be sought, China should value screenplay creation and the treatment of writers, and should create a new and unique creative culture in combination with China's traditional culture.

      • 陶藝治療가 入院治療 中인 精神分裂病 患者의 불안 및 우울, 삶의 質에 미치는 影響

        조성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도예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 및 양성 증후군의 증상에 따른 불안과 우울 등의 정서적 변화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신경정신과병동에서 입원 중인 정신분열증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도예치료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정신분열병 캘거리우울척도, 삶의 질 척도, 상태 특성불안 척도,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를 이용하였다. 분석 척도 평가는 치료시작 전ㆍ후에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다. 도예치료는 치료사의 지도아래 주 1회, 90분씩, 14주간 시행되었다. 도예치료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삶의 질이 향상되었고(p<0.05), 불안이 감소하였으며(p<0.05), 특성불안 및 우울 등의 평가 항목에서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유의미한 호전이 나타났다(p<0.05). 그러나 정신분열병의 양성 및 음성 증상의 변화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도예치료가 입원치료 중인 정신분열병환자의 치료적 도구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체계화된 도예치료를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신사회적 치료프로그램의 하나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 of ceramic therapy on patient's emotional chang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negative and positive syndrom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or this purpose, 25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psychology unit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Schizophrenic Calgary Depression Scale, Quality of Life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positive & Negative Syndrome Scale were used for analyzing the effect of ceramic art therapy. The measuring of these scales was performed by a Psychiatrist before and after therapy. Ceramic Art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over 14 weeks under the instruction of a qualified therapist. After ceramic art therapy, measured scales showed statistical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 anxiety , and depression (p<0.05). However, before and after therapy, there appeared to be no meaningful changes in either the positive, negative symptoms or the total scores of general psychopathologic symptoms (p>0.05). Accordingly, we could conclude ceramic therapy has effective therapeutic value to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In the future, we hope these results will be instrumental in developing better structured schizophrenia rehabilit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