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혁신교수법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 개발

        조민진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이론적 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혁신교수법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학습효과 및 만족도 등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소수의 학습모형 개발 연구들은 의학 및 교육 분야에 집중되어있다. 건축공학교육 분야에서도 혁신교수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적용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의 강의 여건에 맞는 혁신교수법 프로그램을 제안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교수법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내 대학의 건축시공학 교육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과 규모의 국내 52개 대학으로부터 강의계획서(2017~2019년)를 수집하였다. 20개 대학의 공학인증보고서와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된 교육과정표 등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방법은 대학 홈페이지 검색, 건축시공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들에 대한 전화,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협조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2) 혁신교수법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과목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 52개 대학 중 5개 대학에서 혁신교수법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대학에서 팀기반학습, 2개 대학에서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강의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강의(이하 ‘팀기반학습강의’라 함)는 사전학습, 사전테스트, 문제중심학습, 토론 및 발표 등으로 강의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강의(이하 ‘플립러닝강의’라 함)는 사전학습, 퀴즈, 토론 및 발표 등으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전통적인 이론 강의를 중심의 건축시공학 강의(이하 ‘일반강의’라 함)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과 혁신교수법 적용한 건축시공학 강의(이하 ‘혁신교수법강의’라 함)의 주차별 강의 내용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혁신교수법강의는 일반강의보다 이론 강의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학습자의 참여가 필요한 발표, 퀴즈, 문제중심학습 등의 활동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강의와 혁신교수법강의 간의 성적평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시험의 성적 반영비율은 혁신교수법강의(평균 45%)가 일반강의(평균 60%)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퀴즈, 문제중심활동 등의 비율이 증가하고, 다양한 평가요소가 추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5)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학습절차 및 주차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방안, 학습단계별 운영방안 등을 개발하였다. 1) 학습절차는 준비단계, 학습준비도 평가단계, 응용단계를 기본단위로 하였다. 준비단계 및 학습준비도 평가단계는 한 학기에 5~7회 반복, 응용단계는 3~5회 반복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주차별 교육과정은 1개 학기 15주차, 주 1회 3시간 강의를 기준으로 시험 2회, 학습준비도 평가 6회, 응용문제 해결 학습 활동 4회, 동료 평가 2회 등으로 제시하였다. 2) 교육과정 운영방안은 성적평가 방법과 팀기반학습을 위한 팀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성적평가 방법은 시험 40%, 학습준비도 평가 45%, 응용문제 해결 학습 활동 5%, 출석 10%로 구성하여 제안였다. 또한, 학생들의 강의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가산점을 운영하는 방안은 제안하였다. 좋은 질문이나 적극적으로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가산점을 주어 성적에 반영하도록 제시하였다. 팀 구성방법은 팀별로 학습자들의 특성이 유사한 분포가 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팀원의 수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5~7명이 되도록 구성하도록 하였다. 3) 학습단계별 운영방안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단계에서는 학습자료, 1회 학습량, 읽기과제 공지시기 등을 제시하였다. 학습준비도 평가단계에서는 학습준비도 평가를 위한 문제 출제, 개인별 평가, 팀별 평가, 피드백으로 구분하였다. 응용단계에서는 응용문제 출제, 문제 해결, 팀별 평가, 피드백으로 나누었다. 팀활동에 대한 동료 평가의 세부적인 내용을 개발하였다. 평가대상, 방법, 횟수, 성적반영방법을 제시하였다. (6)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융합한 건축시공학 블렌디드러닝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세부적인 내용으로 주 단위 학습절차 개발, 교육과정 운영방안 개발, 성적평가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1) 블렌디드러닝 교육과정의 세부내용으로 주 단위 학습절차를 개발하였다. 주 단위 학습절차는 기초이론 교육(75~120분)은 온라인으로, 심화 교육(60~75분)은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개발하였다. 2) 교육과정 운영방안은 기초이론 교육과 심화 교육의 세부적인 운영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초이론 교육은 강의영상(VOD), 기본 학습자료, 추가 학습자료 등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심화 교육은 퀴즈, 질의응답, 문제중심학습과 현장조사의 세부적인 운영방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주차별 강의계획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성적평가 방법은 활용방안과 적용사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활용방안은 성적평가 요소별 반영비율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적용사례는 국내의 일반적인 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성적평가 요소 및 비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은 국내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교수자 및 학습자 특성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개발된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만족도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낯섦과 익숙함이 혼재된 풍경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조민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으로 실질적인 작품 표현과 설명에 앞서 본인 작품의 창작 동기 및 이론적 배경 그리고 표현방법에 대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미술사적 배경으로 볼 때 본인의 작품이 다른 작가들의 표현방법과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예술가에게 있어서 주어진 주변 환경과 처해진 상황은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 자연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가고 도시에는 고층 건물들이 즐비하고 있음에 본인은 우리의 삶이 덧없이 빠르게 흘러가고 있음을 느낀다. 이런 고층 빌딩 사이로 오고 가는 사람들의 익숙해져 버린 모습에 가끔 공허함을 느끼며 각박해진 현대인의 삶에서 우리는 일탈을 꿈꾼다. 본인의 작품은 여행에 대한 기억으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이 기억은 눈에 보이는 뚜렷한 형상이 아닌 경험에 의한 의식이다. 본인은 작품 속에서 기억의 공간을 묘사한다. 또한 본인에게 묘사된 기억의 공간은 여행의 순간을 떠올리게 하는 익숙한 풍경이며, 다른 누군가에게는 낯선 곳의 풍경이 될 수도 있다. 여행에서의 기억은 모두 다 제각각이라 본다. 그것은 우리가 설령 같은 공간에 있었다 하더라도 서로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본인은 낯섦과 익숙함의 풍경이 충돌하여 발생한 혼재된 풍경을 주제로 기억을 표현하였다. 본인의 작품 속에는 기억을 통한 낯설고도 익숙한 공간이 존재하며 본 연구자는 이 두 가지 요소에 상충되는 감정을 회화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첫째, 본인 작품에서 보이는 구상적 이미지는 사진을 참고로 하였으며, 다양한 붓질과 중첩의 표현방식은 그 안에서 경험한 감정을 이야기한다. 둘째, ‘중첩’은 기억 속 이미지들이 겹쳐 발생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본인은 이러한 중첩 연구를 통해 개인의 감정과 경험을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한다. 셋째, 이로 인해 생기는 이미지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보여 질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졌다. 넷째, 본인의 작품에서 ‘평면성’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평면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작가의 작품과 연관 지어 서술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의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어떠한 영향으로 인해 생겨났으며, 작품으로 발전되기까지의 구체적인 내용과 관련 작가들의 작품을 서술하여 분석한다. 주요어: 여행, 기억, 풍경, 재현, 낯섦, 익숙함 This study is based on my own works from 2016 to 2018, and analyzed creative motiv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ethods of expression before the actual artic expression and explan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y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y works and the expression methods of other artists. It is very importa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for the artist. Nowaday, the nature is disappearing without a trace, the city is filled with skyscrapers and our lives are flowing swiftly. Sometimes I feel emptiness from the familiar images of people coming and going between these skyscraper and it makes us to dream of deviation from the hard lives of modern people. My work begins with memories of travel. However, these memories are not obvious features that are visible, but an consciousness by experience. I described the space of memories in my work. Although the space of memories described to me is a familiar landscape that reminds me of moments of travel, it may be the landscape of a strange place to someone else. The memories in the travel are all different for everyone. That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viewpoint and perspective from each other even if we are in the same space. Through this, I expressed my memories of mixed landscapes created by the collision of unfamiliarity and familarity. In my works, there was an mixed space of unfamiliarity and familiarity created by my memories and I wanted to express the conflicting emotions with these two factors in a pictorial way. First, the conceptual image in my works was taken from pictures and various styles of brush strokes and overlay were represented the feelings experienced within. Second, 'overlay' was interpreted as a space created by overlapping images in memories. I intend to show an image of an individual's feelings and experiences through these overlapping studies. Third,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se images can be effectively viewed. Fourth, 'plane property' was an important part of my works, and I described the other works of artist closely related to this plane property. Through this study, I had come up with the effects of the images that were appeared in my works process and I analyzed the specific contents and the works of the related artists until it developed as a masterpiece. Key words: travel, memory, landscape, recreate, unfamiliarity, familiarity

      • 유한요소법과 다구치 방법을 이용한 L-벤딩 공정의 최적 공정설계 및 실험적 검증 : 다구치방법과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여

        조민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차단기 기구의 핵심 부품인 요크를 가공하기 위해 금속판을 굽힐 때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중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굽힘과정을 완료할 수 있는 정밀 L-굽힘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탄성소성 유한요소법과 다구치법을 사용하여 공정 설계를 최적화했습니다. 기존의 2단계 L-bend 프로세스는 1단계 굽힘과 필요한 기하학적 공차를 충족하기 위한 각도 및 길이의 2단계 미세 교정을 특징으로 합니다. 성형 공정의 새로운 다짐 제어 방법은 굽힘 각도 및 굽힘 길이에 대한 치수 공차 확보를 목표로 1단계 L-굽힘 공정입니다. 새로 개발된 1단계 정밀 L-굽힘 공정에는 최적화가 필요했습니다. 관건은 벤딩펀치와 벤딩다이에 의해 벤딩부(R부)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압력으로 인해 스프링백과 레그 길이를 동시에 미세하게 조절해야 한다는 점이다. 벤딩 다이는 벤딩 펀치 스트로크가 최종 값에 도달하면 제품의 벤딩 부분에 목표 누르는 하중을 집중시킵니다. 프레스 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프로세스 형상이 설계 매개변수로 사용되었습니다. 정의된 계단 높이, 계단 폭 및 테이퍼 릴리프 형상이 벤딩 다이에 적용되어 스프링백 및 다리 길이를 치수 및 공차에 일치시켰습니다. 이것은 스프링백 후 기울기 각도와 다리 길이를 모두 최적화합니다. 유한요소해석과 1, 2단계 최적화를 통해 도출한 최적의 조건으로 실제 굽힘금형을 제작한 후 다구치법의 메쉬특성 결과 예측을 통해 실험데이터와 매우 일치하였으며 제품의 품질과 성능에 문제는 없었다. In order to process the yoke, which is the core part of the circuit breaker mechanism, we developed a precision L-bending process that can complete the bending process at once while controlling the forming load using a press mold when bending a metal plate, a raw material. The elastoplastic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Taguchi method was used to optimize the process design. The traditional two-stage L-bend process features one-stage bending and two-stage fine calibration of angle and length to meet the required geometric tolerances. The new compaction control method of forming process is a one-step L-bending process, with the goal of securing dimensional tolerances for bending angle and bending length. The newly developed one-step precision L-bending process required optimization. The key point is that the springback and leg length must be finely controll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bending part (R part) by the bending punch and bending die. The bending die concentrates the target pressing load on the bending part of the product when the bending punch stroke reaches its final value. Key process geometries affecting press load were used as design parameters. A defined step height, step width and taper relief geometry were applied to the bending die to match the springback and leg lengths to dimensions and tolerances. This optimizes both the tilt angle and leg length after springback. After the actual bending mold was fabricated with optimal conditions deriv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and 1st and 2nd stage optimization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results of the mesh characteristics of the Taguchi method, it was very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the product.

      • 재무비율과 주가-이익비율을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에 관한 실증연구

        조민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ssess firm value using financial ratios instead of historical accounting earning information on profits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market-based accounting research. We used PER(price-earning ratio)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o evaluate firm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financial ratios and the PER. The weights of financial ratios were separately calculated and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financial ratios and PER analyzed. Firm valuation scores were then calculated based upon a new firm evaluation model through a new weighting scheme. 120 firms are leveled, sorted as 10 grades and they are scored. And the rank correlation between firm valuation score and PER were analyzed. The firm ranks correlationship between we calculated firm valuation score and PER. For empirical test, 120 firms in 7 industries were selected and 10 different financial ratios during 1992-1993 were us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inancial ratios information and PER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It was interpreted that financial ratios information is valuable for the porpose of firm evaluation. Especially, profitability ratio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the PER. We expect that the proposed firm valuation model from the financial ratios information could be used as a very effective indicator in the capital market analysis. But, there are also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remained such as a short time span of collected data, the possible impacts of unadopted financial ratios or industries in this study.

      •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의 구강건강실태와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에 관한 연구

        조민진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의 구강건강실태와 구강건강관리 요구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상태,구강건강행위,구강건강관리 요구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강원도 원주시와 경기도 화성시 5곳의 방문요양센터에 등록된 수급자를 대상으로 총 180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9.0을 이용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행위,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연령별로 70대가 그 외 연령보다 가장 평균이 낮았고, 학력에 따라 초등학교 졸업 미만을 제외하고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거주가족 형태에서는 사별의 경우가 구강건강상태 평균이 높았다. 월 평균소득은 80-100만원 사이에서 구강건강상태 평균이 가장 높았고 대체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양호한 구강건강상태를 나타냈다.- 구강건강행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연령은 60대 이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배우자와의 동거상태가 구강건강행위의 평균이 높았다.-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와의 차이는 연령은 70대, 학력은 중졸, 배우자와 동거하는 경우, 부부와 자녀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 의료보험의 형태가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의 평균이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2. 다음은 연구가설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입니다.- “구강건강행위는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가정했던 연구 모형은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가정했던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행위의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가정한 연구모형을 분석결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결과 구강건강행위는 구강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에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방문요양센터 구강건강관리자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구강건강행위 습득을 전달하고 수행 할 필요가 있으며,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의 구강건강상태와 행위 그리고 구강건강관리 요구도를 파악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신건강도 함께 향상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 대상자를 향한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련 개선책이 제기 되어야하며 고령화가 본격화되는 장래에는 요양수요를 안정적으로 흡수하고 맞춤형 방문구강위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자연모사기술의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 연구

        조민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Advanced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 is simplified and expedited. Especially in fashion design where new design is required, the technology can be a competitive design tool.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a method of design process which enables design and engineering to collaborate to develop ideas and technologies in a single fr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biomorphic knowledge-based engineering fashion system that can develop a new fashion design at web-based interface. The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content analysis, and interface process development. The study applies biomorphic characteristics to knowledge-based engineering to identify components of parameters which is necessary for the design process. Biomorphic characteristics define biomorphic inspiration images and biomorphic 3D fashion images through case study exploration. The process development of 3D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is conducted using parameters and algorithms to 3D fashion design produ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iomorphic characteristics on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developed by exploring studies dealing with expression of biomorphic design and technique of biomorphic structures. First characteristic is 'Organic formability''. Applying formative forms suitable for organism, rather than directly reveal the form of them, the features of the form are atypical. Second is 'Abstraction of Life'. Biological form is not specific. It is abstract and ambiguous form to show symbolic impression of life, or of the form itself. Third is 'Self-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 of self-organizati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system increases on its own without being related to the obvious pressure and control from outside. The individual grows to form a pattern, and these individuals become larger in shape, multiply, and affect other adjacent individuals. Fourth is 'Surreal mutation'. The changes in morphology are able to produce new bodies and species. As a result of renewing the objects, the imaginary combination of unrealistic image is expressed in distortion of form and visual deception. These four biomorphic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identify components of parameters for making design process in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Second, the use of digital tools and the concept of biomorphic design are closely linked so that digital tools are not limited to the visualization of design but are used as a tool for simulating and producing the concept of design. It means that biomorphic design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of a form of evolution, not a stylistic reference. Thir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on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applied to biomorphic characteristics as digital information and deliver the idea of developing user-friendly interface. The interface does not only improve its function and usability, but also focus on user's satisfaction of sensibility.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can develop a suitable process for professionals in fashion design.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fashion design interface can be one of design making methods reflecting the user's sensibility and can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패션산업의 변화를 가져왔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단순화, 신속화 시킨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 는 패션디자인에서 이러한 기술이 경쟁력 있는 창조적 표현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 는 창조적 디자인과 과학적 사고와의 결합을 이끈다. 과학적 사고가 반영된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법으로 지식기반 엔지니어링이 있으며 이는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의 협업을 통해 아이디어와 기술을 하나의 틀에 담아 개발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모사기술의 개념을 디자인의 지식기반 데이터로 설정하고 디 지털 정보로 구현된 알고리즘이 적용된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와 내용 분석, 인터페이스 개념도 개발 연구로 구성되었으 며 이론 연구는 자연모사기술과 지식기반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과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 3D 패션디자 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내용 분석은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분석항목을 자연모사기술 디자인 사례 탐구를 통해 정의된 자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의 형태 유형 분포도와 표현특징을 밝히 고, 2010년 이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자연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사례의 디자 인 구성요소 항목별 출현양상과 자연모사기술 특성 유형에 따른 엔지니어링 패션디 자인 구성요소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표현특성 논의와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 설계에 필요한 매개변수 도출에 활용되었다. 먼저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 자연모사기 술 활용 패션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항목을 자연모사기술 활용 영감이미지와 패션 디자인 사례의 출현빈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에 따른 출현빈도는 자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와 자연모시기술 활용 패션디 자인 사례에서 사실적 재현과 조직적 구조가 많이 나타났다.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은 패션디자인 사례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유사반복적 증식, 표면의 분 절과 분화,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 알고리즘적 진화의 특징이 고루 나타났다. 자연 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구성요소에서 형태 출현빈도는 수직적 확대, 수평적 확 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소재 출현빈도는 부드러운 입체감, 이질적 크로스오 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색채 출현빈도는 크롬색채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분석 항목별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 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는 유기적 조형성, 생명체 추상, 자 기조직화, 초현실적 변이로 구분되었다. 유기적 조형성은 자연물의 형태적 특징, 성질에 조형적 개념을 적용하는 방식으 로 비선형적 곡선과 유동성을 지닌 유기적 형태를 가진다. 패션디자인에서는 유연 한 외피의 자유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며 추상적이고 은유적인 유기체의 형상으로 표 현되었다. 유기적 조형성 표현특성 사례에서 표현기법은 알고리즘적 진화가 나타났 으며 형태는 부분적 확대나 수평적 확대, 색채는 크롬 색채와 블렌딩 색채가 사용 되었다. 소재 질감은 텍스처 블로킹, 이질적 크로스오버를 사용하여 인체를 부각시 키는 유기적 곡선의 형태로 외피를 표현하였다. 생명체 추상은 자연에서 도출되는 형상이나 구조의 친숙함을 사용한 생명체 형태 의 역동성을 추상적으로 나타낸다. 사실적 재현의 디자인 유형을 유사한 자연 형태 로 구사하며 표면의 분절과 분화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정형화된 표면이 자연적 개 체로 분할된 장식적인 미와 시각적 리듬감을 구현한 패션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수 직적, 수평적 확대의 형태표현이 두드러지며 색채는 에시드 색채, 블렌딩 색채, 블 러 색채, 크롬 색채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소재 질감은 풍부한 표면감이 많이 나타 났다. 자기조직화는 유기체의 상호작용, 상호연결성, 복잡성의 구조로 다루면서 이러한 상호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형태의 변형을 말한다. 패션디자인에서는 반복적 증식을 통해 진화한 형태가 패턴으로 나타났다.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적용되어 인 체와 의복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리드미컬하고 볼륨감있는 형태를 구현하였다. 자기조직화는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 표현기법을 활용하여 부분적 확대, 수평적 확 대의 형태와 풍부한 표면감이나 부드러운 입체감의 소재 질감을 표현하였고, 크롬 색채와 블렌딩 색채가 나타났다. 초현실적 변이는 생명체의 형상에 특성과 의미를 부여하고 이질적으로 표현한 비 현실적인 형태의 새로움을 보여주며 생명체의 유추를 통한 독창적 표현과 이미지를 패션디자인 사례에서 보여주었다. 초현실적 변이는 형태적 변이의 디자인 유형으로 나타나며 유사반복적 증식의 표현기법으로 구현되었다. 색채는 블러 색채, 크롬 색 채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풍부한 입체감이나 텍스처 블로킹을 통해 변이적인 표현을 효과적으로 보이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항목별 관련성을 적용한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 링 표현특성 논의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에 활용된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표현특 성은 각기 다른 표현기법으로 표현되었으며 구성요소의 형태, 색채는 표현특성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반면 소재는 표현기법에 의해 소재의 질감이 변하는 사 례가 많아 소재와 표현기법 중 표현기법만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였다. 인터페이스 개념도 개발 연구는 도출된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자연 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제품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졌다. 자 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에서 선택한 이미지에 사용자가 원하는 3D 패션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형태변형, 색채선택, 표현기법의 과정을 거 쳐 제품을 생산하는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특성에서 도출한 매개변수 항 목은 다양한 분야와 용도에 적합한 디자인을 구현해내며 매개변수 항목으로 구성된 선택툴의 클릭만으로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인터페이스 개념도는 창조적 디자인을 제시하는 디자이너에게 3D 모델링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제품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디자인에서 새로운 디자인 창출을 위한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의 도입은 3D모델링이라는 엔지니어링 분야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라는 디자인 제작방식의 개발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디자인 제작방식이 패션디자인의 전문 성에 적합한 프로세스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며, 특히 사용자의 감성을 디자인 프 로세스에 반영한 하나의 디자인 제작방식으로 인터페이스라는 도구의 접목 가능함 이 향후 연구에 중요한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공동주택 녹지공간의 생태적 기능 향상을 위한 나비다양성 증진방안 연구

        조민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도시 내 공동주택단지의 생태적 기능은 주변 생태계와의 단절로 인해 악화되고 있으며, 외부공간의 생태기능 회복력 향상은 도시민의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나비류에 대한 도시민의 선호도는 높은 편이어서 공동주택단지의 나비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조경 식물 식재 및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선호식물에 대한 분석과 정보가 요구된다. 공동주택 녹지공간에 유도 가능한 나비는 19개 대상지에서 출현한 115종 중 전문가 7인의 평가를 통해 4과 13속 21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유도 가능 나비는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흰줄표범나비(Argyronome), 홍점알락나비(Hestina assimilis), 네발나비(Polygonia c-aureum), 작은멋쟁이나비(Vanessa cardui), 큰멋쟁이나비(Vanessa indica), 푸른부전나비(Celastrina argiolus), 암먹부전나비(Cupido argiades), 뿔나비(Libythea), 먹부전나비(Tongeia fischeri), 사향제비나비(Byasa alcinous), 제비나비(Papilio bianor), 산제비나비(Papilio maackii), 산호랑나비(Papilio machaon), 긴꼬리제비나비(Papilio macilentus), 호랑나비(Papilio xuthus),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노랑나비(Colias erate), 대만흰나비(Pieris canidia), 큰줄흰나비(Artogeia melete), 배추흰나비(Pieris rapae)이다. 선정 된 21종의 나비종 선호식물은 선행연구를 통해 총 367종을 선정하여 기주식물 168종과 흡밀식물 231종으로 구분하였다. 공동주택 40개소 녹지공간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을 조사 분석하여 76과 321종류의 식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고, 1ha당 나비 선호식물 367종의 사용면적 비율은 공공부문에서 교목 식재 수량 중 나비 선호식물이 18.0±3.6%, 관목은 75.2±8.2%, 초화류 27.8±14.6%, 민간부문 교목 식재 수량 중 나비 선호식물이 15.9±4.4%, 관목은 64.4±11.7%, 초화류 19.2±11.0%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경소재로서 유통되고 있는 식물종 분석은 조달청과 거래정보를 분석하여 73과 165속 243종 27변종 14품종 3아종으로 287종류로 정리하였고, 나비 선호식물과 일치되는 종은 조달청 28과 57종류, 거래정보 32과 78종류로 나비 선호식물 367종류 중 80종을 제외한 69과 287종류가 유통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공동주택 녹지공간과 주변 지역의 나비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공동주택 녹지공간은 나비의 다양도가 많이 저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동주택 녹지공간의 나비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상관분석으로 평가한 결과 나비종 수는 인접한 토지이용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면적, 도시까지의 거리, 산림, 농경지까지의 거리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나비의 종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서식처 조성은 도시외곽 산림과 농경지가 인접한 곳일수록 유리할 수 있으며, 서식처의 면적이 크고 주변 토지이용 형태가 고립된 서식처가 아닌 연결성이 있는 형태로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문헌분석으로 367종의 나비 선호식물 중 우선순위로서 도입식물을 제안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39과 90속 98종 10변종 5품종 1아종으로 114종류의 식물을 선정하였다. 114종류 중 공동주택 녹지공간에서 사용 중인 식물은 17과 41종류이며, 조경소재 유통식물에 포함된 나비 선호식물은 16과 34종류로 나비의 종다양성을 위해 다양한 식물들은 조경소재 개발 및 증식 등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선정된 114종의 식물 중 귀화식물은 갓, 종지나물, 아까시나무, 토끼풀, 코스모스, 개망초 등 4과 6종으로 재배상자나 유인상자 등 자생종과 섞이지 않는 소재 개발을 제시하였다. 공동주택 녹지공간에 나비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나비가 선호하는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제 아파트식재 식물 중 나비 선호식물의 비율은 낮고 조경소재로 유통되는 종 또한 나비가 선호하는 식물은 상당수 제외되어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 평가 결과로 선정된 114종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이 중 조경소재로 유통되지 않고 있는 75종은 앞으로 조경소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증식 및 개발을 기대하였다. 공동주택 녹지공간의 주요 발생 병해충과 방제 농약이 나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의 한계와 후속 과제의 필요성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나비유도 방안에 대한 연구는 인간 생활과 생물 서식의 조화로운 환경조성, 생물 교육의 장소로 도시 공동주택 녹지공간을 활용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공원, 정원, 도시림 등 다양한 공간에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물식재 방안 계획 및 설계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 교육 방안 연구 : <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을 중심으로

        조민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매체 변용 활동’의 체계화를 위해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매체 변용 교육을 검토하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매체 변용으로 구현되어 있는 활동은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이 수록되어있다. <서편제>의 매체 변용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으나 <내 마음의 풍금>은 이에 비해 수가 굉장히 적고 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제재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매체 변용 활동에 대해 고찰한 연구가 없어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에서 매체 변용에 관한 교육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소설과 영화로의 매체 변용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변화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학습 활동 분석을 위해 2011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매체 변용에 대해 살펴보고 내용 성취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활동의 분석 기준을 제시하여 이후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 <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의 변용 양상을 분석하여 이야기와 인물의 확대, 내면심리의 외면화, 서술자와 카메라를 통한 서술 방식, 음악·정서의 형상화, 배경의 구체화로 총 5가지의 공통된 양상을 토대로 기본 구도를 도출해냄으로써 이후 교과서 속의 매체 변용 활동에서 학습 활동 고찰의 기본적인 원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Ⅲ장의 교과서 속의 매체 변용 활동에서 고찰한 문제점들을 토대로 매체 관련 지식 이론 활동의 위계화를 위해 소설과 영화의 매체 이론 학습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년 간 연계 학습의 체계화 측면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다매체 소통 향상을 위한 활동을 구현하기 위해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과 연계를 위한 활동의 추가와 매체 변용 생산 활동의 학습 방안으로 매체가 주는 표현 효과에 대해 학습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단일 양식에서 복합 양식으로 매체를 학습자 개인이 추가해보는 활동을 해보는 것과 소설의 한 장면을 영화로 직접 만들어보는 제작 활동 단계를 제시하는 대안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매체 변용에 따른 매체적 특성에 따른 표현 방식에 초점을 두어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학습의 재료가 되는 교과서 내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제시한 대안을 직접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여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 교육에 적용해보면 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매체 변용 활동은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도 지속될 것이라 보이며 매체 활동을 위한 학교의 환경도 점점 발전 될 것이므로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의 생산측면에서도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media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for systemizing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published in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 The current activities conducted as media transformation in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 are the works cinematizing original novels, including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Although the studies on media transformation of <Seopyeonje> have been relatively performed a lot, the studies on <An organ in my heart> are highly insufficient. The necessity of the study was confirmed because there were no studies to investigate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of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in spite of their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 in school curriculum. Above all, the chapter 2 analyzed how the education related to media transformation should be conducted in literature education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from novel to movie. Also, media transformation in ‘Literature’ section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explored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that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ndards for textbook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Content Standards to contribute to the detailed follow-up studies. In the chapter 3, the transformation aspects of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the themes of this paper, were analyzed to deduce basic framework based on total 5 common aspects, such as Story, Expansion Of Characters, Externalizing the Internal , Narrator and Narrative method through a camera, Figuration of Music/Emotion, Concretization of Backgrounds to be utilized as the basic principles for investigating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 Based on the contents above, the chapter 4 claimed that learning of connection among grade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systematization in order to make a variety of learning of Media Theory of novel and movie for the hierarchy of activities related to Media knowledge. Also, in order to conduct the activities for the enhancement of multimedia of communications of learners, the following alternative directions were suggested: the addition of the activities for the linkage between learners and aesthetic experience, the media-addition of individual learners from single-modal text to multi-modal texts for allowing learners to experience expressive effect as learning method of production activities of media transformation, the provision of producing activities for making learners produce a movie based on a scene from a novel. This study mainly analyzed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 which becomes the actual learning material in education field, focusing o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regarding media trans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applying the alternative direc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nto direct education field and using it in media transformation education from novel to movie can obtain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are predicted to be continued in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h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media activities is also predicted to gradually develop. Therefore, this study hopes that a variety of future studies can be conducted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media transformation from novel to movie.

      • 과학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실행과 과학교육에서의 적용 방안에 대한 의견

        조민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스마트교육의 실행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교육 요구,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의 적용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의 과학 교사 모임에서 스마트교육 관련 소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 7명이었다. 교사들이 수업에 사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한 후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실제 수업에 대해 1차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면담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 내용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교사들이 필요할 때 즉시적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하였으나, 질의응답이 일어나는 정도의 단순한 수준이었다. SNS, 위키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한 협력적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하는 경우는 적어서 스마트기기가 상호작용 지원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습자 수준에 따른 개별화 측면에서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수집하여 피드백을 하였으나, 학습자의 맥락, 상황 및 위치 인식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과학 교사들은 학습 기회의 확대 요소를 수업에서 주로 활용하였으나, 자기주도 학습 지원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현재 학생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으나, 향후 스마트교육이 학생들의 협력적 상호작용과 자기주도 학습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많이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을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차단기용 Bimetal Ass’y의 프레스 형내 리벳팅을 위한 복합 금형 개발

        조민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Despite the fact that the mold industry has been shifting from the existing multi-product mass production system to the multi-product small quantity produc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demands of the customers, it is a reality that it still insists on the traditional method. In other words, although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product is shortening, the design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ld and the production method are proceeding without change. In order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composite mold that can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a product having a quality in a short time. Recently, the demand for molds is high productivity plastic molds based on molding materials and processes, and contact riveting complex molds. Among them, a combined mold means a mold in which a mold is combined with a mold used in an injection and press mold field. When two or more raw materials are molded in one mold or two or more different parts are simultaneously produced in the same mold High productivity, high-quality, high-efficiency insert injection mold and press-contact riveting composite press die are the representative molds that drastically reduce manufacturing cost. Major advanced nations such as Japan, USA, Germany, etc., run the mold related research center to strengthen the roots industry base by the state, promote core mold technology R & D projects, actively develop next generation new technology,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infrastructure technology It is a situation that is pushing. Since the mold industry is a base industry in which the demand gradually grows as the 4th industry develops, the size of the world market is also steadi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omposite molds combined with the fourth industry, such as mold design technology, processing technology, and process design technology composite new press die material development and automation, are very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ain part of the circuit breaker product, Bimetal ass'y, is composed of bimetal and slot pin. We have found that different kinds of parts are largely separated by press and riveting process, which is the main factor of quality and productivity deterioration. By developing a compound mold using contact riveting die technology, we can fundamentally improve quality and productivity Focused 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