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염상섭의 인물 유형과 인물묘사방법론 - 『백구』를 중심으로 -
조미숙 ( Jo Mi-so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소설에서 서사에 비해 묘사는 덜 중요하게 여겨져 왔고 그 연구도 비교적 적다. 그러나 인물묘사방법은 서구에서는 15세기부터 관심을 가져온, 소설의 `진실성`에 더없이 중요한 개념이다. 인물묘사방법은 주제의식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 글은 에니어그램에 의한 소설 등장인물 분석의 시론으로서 인물을 유형화하고 그 각각의 인물묘사방법 양상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에니어그램의 여러 유형으로 염상섭 『백구』의 인물들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장인물은 비교적 적으나 머리형, 가슴형, 장형 인물이 고르게 분포한다. 머리형에는 박영식, 조혜숙 등 사색가형 인물들을 들 수 있고 가슴형에는 원랑, 조종호 등을, 장형에는 유경호, 원랑 모친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염상섭 인물들은 반복되면서도 변화가 보인다. 1유형의 김병화 유형, 5유형의 조덕기 유형, 이필순 유형에서 그 반복을 볼 수 있고 사색가형 인물의 예처럼 큰 변화도 나타난다. 셋째, 남성 주인공상이 크게 변화하고 서사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조덕기 유형 인물들이 우유부단하고 자조적이며 모든 것에 무관심한 박영식으로 변화되는 것은 강점기 안정된 삶이 힘들다는 작가의 인식이 반영된다. 넷째, 인물묘사방법상 특징은 머리형 인물은 설명이나 내면묘사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묘사되고 가슴형 인물은 작가의 편들기가 많으며 본능형 인물들은 생략이 많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다. 삼부작 속 신여성들은 이전의 신여성상에 비해 긍정적으로 그려지는 바, 『백구』에서 더욱 뚜렷해졌다. 다섯째, 염상섭 작품에서 에니어그램의 모든 인물이 고루 발달하지는 못하고 특정 유형으로 치우친다. 모든 일을 낙관적으로 보려 하며 밝고 명랑한 7유형 팔방미인형이나 혼란을 수습하고 좋은 환경을 만들어 가는, 평화주의자 9유형이 없다. 이것은 작가가 강점 하 시대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characters by focusing on the personality types based on enneagram, and examines the characterization methods of each person. In novels, depiction is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narrative, and the research is relatively small. However, the method of portraying character(characteriz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truthfulness` of the novel,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15th century in the West. Direct definition or indirect presentation of person description methods are all related to the artist `s speech. Objective and realistic portrayal of characters can also be related to them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various types of enneagram, First, the characters of Bekgu are evenly distributed in hair, chest, and long form. There are figures in the head type such as Park Young Sik and Jo Hye Sook. The chest type includes Wonrang and Jo, Jongho. There are Yoo Kyung-ho, mother-in-law and so on. Second, the characters appear repeatedly. 1 type of Kim Byung-hwa series, and 5 types of Jo deok-ki series. Third, the characters change in each type. Joe deok-ki → Lee Won-young → Park Young-sik, for example, is a specially-trained person. Fourth,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e person description method. Hair figures are describ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descriptions and inner descriptions. The chest type person has many sideways of the artist. The instinctive characters have many omissions or little descriptions. Fifth, all the characters of the enneagram were not developed well in Yeon Sang-Sup. There are four types of motivational types: seven types, eight types, and nine types of pacifists.
자유주제 : 『사랑과 죄』의 여성 인물 주체 형성 과정과 인물묘사방법 -『광분』의 인물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미숙 ( Mi Sook J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7
이 글은 염상섭 소설 『사랑과 죄』에 나타난 인물묘사방법을 통해 여성인물들의 타자화를 통한 주체 구성 양상을 『광분』과의 연속성 안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사랑과 죄』의 지순영은 환경의 객관화, 무자각, 신념의 포기, 무지, 소극성, 이기적 자기애 등을 극복하며 바람직한 주체를 구성해 나갔다. 반면 정마리아와 『광분』의 숙정, 경옥 등은 허영과 자기만이 옳다는 독선을 비체화하지 못하고 이기적 자기애 안에 머물렀다. 여성 인물들 모두가 비슷한 불우환경에서 자랐으나 말로가 판이하게 달라진다는 것에서 비체화 양상에 따라 매우 다른 방식의 주체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작가의 인물묘사방법을 통하여 잘 드러나게 된다. 바라보는 주체는 작가의 동일시가 겹쳐져 종종작가의 이야기하기, 직접묘사방식을 통하여 묘사하고 있고 보여지는 존재로서의 인물들, 작가가 동일시하기 어려운 인물들은 간접묘사와 작가의 비아냥거리기 방식으로 그려짐을 알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쓰인 『사랑과 죄』, 『광분』의 등장인물들의 주체 형성 과정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다. 우선 주체 비중이 약화된다. 염상섭은 『사랑과 죄』에서 선명한 주동인물을 설정하고 반동인물과의 갈등을 해결하여 나가는 구조를 사용했다. 『광분』에는 『진주는 주었으나』 이후 여러 작품에서 반복하여 보이는 이른바 ‘모색하는 지식인’의 면모를 보이는, 작가의 분신 같은 남성 인물이 없다. 다음으로, 타자가 강화된다. 결국 『사랑과 죄』에서 『광분』에 이르는 과정은 염상섭 인물의 주체 의식 변화, 특히 여성 주체 형성 모색 과정으로 요약된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Othernization and Subjectivity Inherent Women character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which are shown in Love and Sin, Gwangbun of Yeom Sang-seop’s novels. JiSoonYoung went to Othernization and configure the desired subject the objec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no self-awareness, the abandonment of faith, ignorance, passivity, selfish and narcissistic. Whereas Jung Mary, Sook-Jung, Kyung-Ok etc. vanity and self-correct, but does not Othernization and stayed in a selfish narcissistic. Every female figures grew up in similar difficult circumstances. But their conclusion is very different.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subject of a very different manner formed according to Othernization aspect. These are good through portraiture reveals how the artist. Subject seeing things is a character that identifies by the artist. Therefore, the artist depicted them to telling, through the direct characterization. This figure is shown as present, whereas they did not identify the author. Writers have portrayed them as indirect characterization and sarcastic.
조미숙(Jo Mi-Sook),차웅석(Cha Wung Seok),김남일(Kim Nam il) 한국의사학회 2002 한국의사학회지 Vol.15 No.2
『Gup Yu Bang 』is the first Korean book that specialized in pediatrics. It was written by Jo Jeong-jun on the 25th year of King Young Jo in the Choson dynasty. He quoted a lot of information from 『Yi-Hak-Yip-Mun』 by Yi-cheon in the Myung dynasty and 『Xiao Er Yao Zheag Zhi Jue』 by Qian Yi in the Song dynasty, but he added his own opinions and clinical experiences to the book. In addition to that, the book explains not only symptoms and prescriptions but also the etiology and pathology of children’s diseases. In particular, he showed a great deal of creativity in his book called 「Dong Bang Six Fu’s Qi Principle」 After studying 『Gup Yu Bang』, I hav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1. Prevention is more important than treatment in pediatrics. 2. When we make a diagnosis, facial inspection has priority. 3. In terms of treatmemt, Wu zang is a general rule.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Wu zang and Pi Wei. 4. The following terms definition symptom cause prescription clinical example prevention are to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nature or symptoms of the disease. 5. We can see that smallpox was more widspread than the measles in the period of King Young Jo. 6. Even though he was influenced by 『Yi-Hak-Yip-Mun』, 『Xiao Er Yao Zheag Zhi Jue』, and 『Dong eui bo gam』, his own explanation is clearer in his book called 『Gup Yu Bang』 which is based on his own clinical experiences. 7.『Gup Yu Bang』 is a practical and experiential book.
조미숙(Mi-Sook J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7 No.-
This thesis focuses on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Socialist writer, An-mak The men of proletarian could not become the subject of the study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a while. The proletarian literature is to have more important meaning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Most Korean adapted themselves or were submiting that time to the oppression of the imperialism. The pro literature was the expression of the spirit and the national pride which stands against the o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mak was a critic who emphasized the literature around parties, worked positively. The importance of the Anmak is very small among the men of the proletarian. An-mak's important theories are to repeat or to confirm the theory of the marxism. He is distant and at the verification of the theory through the creation. A content - format controversy finished already because he appeared. Then most Korean proletarian strengthened a marxism literature theory and contributed at the Bolshevism. The criticism about that time literary work succeeded. We did not do but such thing to An-mak. The actual work criticism was realized after the Im-hoa. It was the time when we did not do a criticism activity already when we did not do. Anmak is publishing Japanese imperialism period most criticism at the newspaper. Different publication media which An-mak can write the text did not exist. He might suffer the difficulty of the place which An-mak spreads free opinion in such situation. The theory of An-mak to be new could not help not existing for the reason why are such. And for that reason An-mak's criticism were devaluated then. An-mak did not write the novel or poem. He is different from a contemporary critics- Im-hoa, Kim-namchun, Kim-kijin etc.- to differ in such point. An-mak announced two poems. He does not creat any more. The different writers as Im-hoa, Kim-namchun, did the creation activity and the literature criticism. This is different point An-mak from them. He could get the attention from people if he 병행하다 the creation activity. Really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literary style. The novelist, Kim nam-chun and Imhoa soft to write something to persuade. On the other hand An-mak wrote strong and 고집스러운 texts. He emphasized his opinions. So An-mak was undervalued because of such literary style. An-mak pointed out a pro critic problem which has a partiality to the translation. He reflected KAPF literature whole for 10 years. He began the secession because of the violence of Japanese imperialism. An-mak chose a different way from different proletarian writers. 월북 문인 가운데에서도 안막의 비중은 매우 작다. 그것은 안막의 이론이 마르크시즘의 원론적인 데 그치는 것이 많으며 본격적 문예잡지를 통해 문단의 주목을 받지도 못했고 창작을 통한 이론의 검증에 소홀했던 사실과 연관이 있으리라 본다. 안막의 주요 이론들은 당시 마르크스주의적 문학관의 정리나 재확인에 그치는 것이 많다. 그도 그럴 것이 그가 등장한 것은 내용-형식 논쟁의 급물살이 지나간 30년대였으며 당시 새로운 의견 개진은 별 의미가 없었다. 마르크스주의 문학관이라는 대전제에서 벗어나지 않는 가운데 실제 작품을 향한 비평이 가능했었는데 안막은 실제 작품 비평은 별로 하지 않았다. 실제 작품을 위주로 한 비평은 임화에 의하여 작품과 비평이 대화할 것이 강조된 이후 본격화되었는데 이때 이미 안막은 비평 활동의 잠정적 휴업을 보이고 있던 때였다. 안막은 일제 강점기 대부분의 평론을 신문에만 싣고 있다. 비교적 다른 지면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안막이 자유로운 의견 개진에 어려움을 겪은 것은 아닌가 의심된다. 좁은 지면, 마르크스 문학관의 재확인 수준에서 안막의 이론의 새로움이 찾아지기 어려웠고 이것이 안막에 대한 평가절하를 가져온 것이 아닌가 한다. 안막이 임화, 김남천, 김기진 등 동시대 다른 비평가들과의 차이를 보이는 또 다른 현상은 작품 발표를 병행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안막은 일제강점기 두 편의 시를 발표하는 외에 창작을 하지 못하여서 이론과 실제 작품을 병행한 다른 작가들과 달리 주목 받지 못한 것 같다. 이것은 문체상의 문제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소설을 쓰면서 다른 사람에게 완곡하게 설명하는 방법을 체득할 수 있었을 다른 작가들과 달리 안막은 뚜렷한 목적 하에 강경하고 고집스러운 문체로 비평을 하고 있다. 때로 그는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반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체상의 문제도 안막이 비평가로서 다른 이들에 비해 덜 평가되는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판단된다. 안막은 번역에 치우친 프로비평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십여 년에 이르는 카프 문학 전반을 반성하면서 이탈을 시작했다. 안막이 날카롭게 지적한 바와 같이 당시 검열제도에 대한 순응의 방식은 많은 작가들이 걸어갔던 길이었다. 총체적 진단을 통해 검열제도에 순응하는 식의 전향을 비판적으로 바라봤던 안막은 다른 프로문인들과 다른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차후 계속된 논의를 요한다.
조미숙(Jo, Mi Soo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5 No.-
근대 도시 경성의 문학적 재현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염상섭의 『무화과』를 통해 강점기 도시 경성의 장소성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방법으로는 에드워드 렐프가 제시한 장소성 3요소-물리적 환경, 인물의 활동, 장소의 의미-와 함께 장소감의 항목을 점검하였다. 이를 위해 배경을 가정집, 일터, 규율공간 - 착시의 공간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무화과』에는 여러 인물의 집이 나오고 유치장과 병원, 백화점과 극장으로 장소의 대조도 이뤄진다. 인물들은 집에서 행복한 ‘가정’의 감을 갖지도, 일터에서 자아실현감이나 성취감을 갖지도 못한다. 일터인 신문사에서 인물들은 일을 하기보다 눈치보고 돈에 골몰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일탈의 장소를 탐닉한다. 경성은 극단적으로 구획된 대조의 장소감을 보인다. 유치장과 극장을 오가다 보니 인물들은 경성이라는 현실의 장소를 떠나기에 급급하다. 염상섭이 『무화과』를 통해 표현한 소외감과 부당함을 비롯한 장소에 대한 감정은 조선에 대한 일제 강점의 부당함을 드러내는 작업이었다. 그는 비판적으로 도시를 바라보고 있다. 식민지인의 소외의식을 망국의 고도, 식민지적 근대화의 표본인 서울을 통해 느꼈던 작가는 서울 곳곳을 둘러보며 그 감정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city, Kyeongsung has an important mean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laceness of Kyeongsung, the city in Japan colonial period by Yeom Sang-seop"s novel, the fig tree. It"s space was a number of people"s house, and achieved to contrasts of places, detention centers and hospitals, department stores and theaters in the fig tree. People do not even have a sense of "home" at home, self-realization and fulfillment in the workplace. People are not work but noticed and preoccupied with money. in newspaper. They indulged in the place of departing. Kyeongsung showed a sense of place of contrasts extremely compartmentalized. Yeom Sang-seop"s writing a sense of place, including alienation and injustice represented by the fig tree was revealing the injustice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Korean. The arthor felt alienated consciousness of the colonists through the altitude, the capital of colonial modernization and expressed his feelings and explore the places in Seoul.
『효풍』에 나타난 염상섭 서사전략 연구 : 일제 강점기 작품과 비교를 중심으로
조미숙(Jo, Mi Soo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이 글의 목적은 염상섭의 광복 후 첫 장편소설 『효풍』이 일제 강점기에 썼던 작품들과 서사전략상 어떠한 변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일제 말 조선을 떠났다가 광복 후 돌아와 다시 소설 쓰기에 돌입한 염상섭의 경우, 서사전략은 작가가 견지하는 소설관의 표현이자 급변하는 정세에 대한 인식 표현의 장이 될 수 있다. 『효풍』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인 면에서 염상섭은 광복 이전의 장별 구획과 시공간의 특성을 견지한다. 가장 긴 장에서 당세의 풍경을 담고 있는가 하면 주인공의 월북 시도 장면은 가장 짧은 장으로 담았다. 당대 서울이라는 시공간적 사용은 이전과 같다. 다만 명동으로의 이동, 흑석동 일대까지의 확대라는 변화를 보인다. 둘째, 이전부터 주로 그려내던 인물형을 그려 냄으로써 이전 서사전략을 일정 부분 계승하면서도 뚜렷한 반동인물이 없다는 차이를 보인다. 갈등구도는 급변하는 당대 사회, 조심스러운 서술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서사를 주도하는 지식인이 여성으로 설정된다. 김혜란은 당당히 직업을 가지고 있고 사회적 능력도 갖추었으며 이데올로기의 면에서도 뚜렷한 소관을 가지고 있다. 넷째, 염상섭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뚜렷한 삼각관계 설정이 특징적이다. 염상섭의 서사전략 변화양상은 시대적 고민을 공유하는 장치였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riations in the narrative strategy in Hyo-pung compared to Yeom Sang-seop"s previous works. Formally, Yeom Sang-seop maintains the division by chapter and time and space as before. The longest chapter contains the scene of the current period, while the protagonist"s attempts to escape from North Korea are captured in a short chapter. Although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oul at the time remain, it shows a change in moving to Myeong-dong and expanding to Heukseok-dong. Second, it shows the difference that there are no distinct antagonists, unlike the previous one, although it inherits some of the previous narrative strategy. The structure of social conflict seems to be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 careful description. Third, the intellectuals who led the narrative were women. Kim Hye-ran has a job, social skills, and an ideology. Fourth, it is characterized by a distinct triangle,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e artist"s triangular relationship strategy seems to be a device that contains the spirit of the times.
조미숙(Jo Mi Sook)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이글은 우리나라 독서 교육 연구 흐름과 방향성, 효과적 독서 교육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 모든 대학에서 기존의 ‘교양국어’ 과목을 ‘글쓰기’로 전환하는 개혁이 이뤄졌다. ‘글쓰기’에는 수업을 듣는 이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수업활동은 강화되었지만 ‘교양국어’가 가졌던 독해, 특히 좋은 글 읽기의 비중이 적어졌다. 전범이 될 만한 좋은 글 읽기는 정서 함양, 사고력 배양에 도움을 주고 아울러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기초 작업이므로 강화되어야 한다.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도 독서 관련 교과목의 수반이 요청된다. 사회문화적 독서가 전제되지 않은 글쓰기는 지식 재생산 역할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대학 독서 교육의 방안으로 도서관과의 연계, 독서 교과목의 실질적 운영, 비교과로서의 학생 자치 프로그램, 인성교육과의 연계 등의 항목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대학 독서 교육을 위해 대학의 심장부인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을 대학도서관으로 유도하여야 하고 동시에 독서 인증제 등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둘째, 교과목으로서 <독서>의 정착이다. 짜임새 있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만들어 교양필수로 설강하여야 하며 나아가 모든 전공 교과목에 독서를 연계시켜야 한다. 교과목별 독서 전문 교수를 배치하거나 계획된 독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 자발적 독서 프로그램과 아울러 인성교육 연계가 필요하다. 자발적 독서클럽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학생튜터를 두고 교수가 관리하면서 학점이나 장학금 지원을 하게 되면 자치 독서클럽의 정착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인성 영역 상담프로그램들과의 연계도 가능하다. 실효성 있는 독서 교육으로 평생 책 읽기가 지속 가능하도록 콘텐츠 등 실제 교육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effective ways of teaching reading of Korea University. Most universities in Korea changed the ‘liberal national language’ subject to ‘writing’ in the early 2000s. The ‘Writing’ courses was reinforced active subjects of students. However, ‘writing’ course has been less reading, particular literacy reading that ‘liberal national language’ have had. The reading of all good writing is important. It is this basic task that can write good articles to help cultivate the emotions, thinking culture. It is urgently requested from the liberal arts of the writing that reading courses related to reading. Reading courses shall be established on an ongoing basis. It is important to reading deeply associated with social and cultural. If the students wrote without such a reading it does not serve to re-produce knowledge. It is important that the constant research for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three-dimensional plan of the University of Reading Education. First, the relation to the university library. We must strengthen the role of the heart of the university library of the University of Reading for education. The university library is easily accessible. We must induce students in various programs in the university library. And we should be provided with a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such institutions. Secondly, reading must be settled curriculum. We must provide students with liberal arts curriculum that required to configure the texture. And we should be associated with the reading of all major subject areas. It is necessary to take the reading professional professor, or puts a particular reading program in every courses.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 reading program that students is participate voluntary, and can training as good mind person. And we need to create a system that supports these voluntary reading club. We must strive to make reading effectiv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to the students can have a lifelong habit of reading a book through them.
조미숙 ( Jo¸ Mi-so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이 글은 4·19를 다룬 박태순의 세 작품-「무너진 극장」, 「환상에 대해서」, 「벌거숭이산의 하룻밤」-에 나타난 혁명성과 공간성을 주목하였다. 세 작품은 창작 시기에 따라 4·19를 달리 다루고 있다. 「무너진 극장」과 「환상에 대해서」는 혁명 서사의 전면화라는 공통점을 보이고 두 작품은 서로 서사 보충의 관계를 갖는다. 이에 비해 「벌거숭이산의 하룻밤」은 후일담 형식으로 혁명 서사를 회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혁명 관련 서사인 이 작품들의 공간적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의 두 작품의 경우이다. 첫째, 4·19의 공간인 서울에 대한 장소감이 ‘낯섦’, ‘답답함’이라는 부정적 성격으로 표현된다. 둘째, 실제 지명을 거론하며 구체적 현장성을 보이는 특성을 보인다. 주로 이동 경로를 표현할 때 나타난다. 셋째, 극장이나 하숙방 같은 정착 공간을 통하여 혁명 의미 사유를 담는다. 「벌거숭이산의 하룻밤」은 서울의 장소감이 시골과 대조적으로 나타나고 구체적 현장성은 생략된다. 작품의 정착 공간, 산은 현실도피 공간이자 도피자-계승자 사이의 연결고리 공간으로 설정된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olution and space in Park Tae-soon's novels The Fallen Theater, About the Fantasy, and A Night on Naked mountain. The three works deal with 4·19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 of creation. The Fallen Theater and About the Fantasy show the commonality of the totalization of the revolutionary narrative and have a relationship of supplementary narrative. On the other hand, A Night on Naked mountain avoids the revolutionary narrative in the form of a later stor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place for Seoul, the space of 4·19, is negatively expressed. Second, show concrete practicality. It appears mainly when expressing the path of movement. Third, we think about the meaning of revolution through settlement spaces such as theaters and boarding rooms. The A Night on Naked mountain expresses the sense of Seoul's place, but the concrete reality is omitted. However, in the state of settlement, we see the meaning of the revolution ref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