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탐색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수용하여 포스트휴먼 감응교육(posthuman affect education)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낯선 질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대두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교육학적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필요성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의 의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으로의 변화를 탐색하고,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한 조건을 논의하였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이 만나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Deleuze의 사유에 기초한 ‘감응’(affect)개념을 결합하여 구성한 개념이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먼 조건이 야기한 차이와 다양성, 이질성과 상호교차성 등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교육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첫째, 지속적 되기와 상호관계성 교육으로 고립된 실체로서 개인의 번영을 강조한 발달주의 교육 너머의 교육을 보여준다. 둘째, 사물(장치)의 능동적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학습 활동의 의미를 확장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사물(기술)의 능동성을 고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의 변화와 사물(장치)의 행위성이 가져올,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결과에 대해서도 감응케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관계’에서 다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한다. 넷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비의도적 우연성 교육의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이론에 포착되지 않는, 교육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제한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 대신, 교육이 변용 과정에서 낯설고 이질적인 다양성을 만나 새로움을 창안해갈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열린 휴머니즘과 규범의 지향, 상호관계성 안의 생명과 지속가능성 추구, 지속적 되기 과정에서 관계항에 대한 책임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to expl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s posthuman conditions and the emergence of posthumanism by raising unfamiliar questions; Chapter III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Based on this, Chapter Ⅳ discusses the necessity of posthuman sensitivity, the meaning of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ing made in education toward posthuman affec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ditions necessary to realize a posthuman affect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triggered by posthuman conditions. The concept of ‘affect’ based on Gilles Deleuze's thoughts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onnections with unfamiliar beings and variations in the continuing process of becoming. Posthuman affect education, first of all, reveals becoming and interrelated education, overcoming developmentalism that emphasizes the prosperity of an individual subject as an isolated entity. Second, by 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objects(devices), meanings of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o be extended. Third, whil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eness of things(technology), it also allows us to affect to potential consequences that are yet to be realized. Theref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calls again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ationships.’ Fourth, by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accidental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presents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and diversity in education, which can hardly be captured by universal and standardized theories. Finally, posthuman affect education, instead of presenting the confidence that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a causal relationship with limited variables, suggests that education be dedicated in creating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becoming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diversities.

      • KCI등재

        “자유학기제”의 개혁적 의미와 과제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4

        자유학기제는 과도한 경쟁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행복교육을 목적으로 도입한 제도다. 본고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개혁적 의미와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이론적 모델이 된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TY)와 덴마크의 애프터스콜레(ES)의 생성 배경과 교육목적 및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볼 것이다. Ⅲ장에서는 자유학기제 도입의 개혁적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고, Ⅳ장에서는 자유학기제가 제도 도입을 넘어 교육문화 정착으로 이어지기 위한 과제를 논의할 것이다. 자유학기제는 행복한 교육을 목적으로 학문적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한계를 비판하고 삶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며, 멈춰서 자신이 어디를 향해가고 있으며, 어디로 가고 싶은지 자신의 진로 전반에 대해 느끼고 생각할 여유를 허용하는 점에서 개혁적인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것은 오늘날 교육개혁의 주된 기조인 표준화 운동이 성과중심 경쟁교육을 보여주는 것과 다른 방향의 개혁을 시사한다. 하지만 자유학기제 실현의 한계와 우려도 많이 제기된다. 자유학기제의 특성이 교육문화로 정착해갈 때 그 개혁적 의미를 완성해갈 수 있을 것이다. Free learning semester(FLS) was introduced for happiness education, of which the main purpose was to get out of excessive competition-oriente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formative meanings and challenges that FLS provides to us.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 examines in chapter II the historical backgrounds, the goals, and the contents of TY in Ireland and ES in Denmark, and the theoretical models of FLS as well a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Korea. Reformativ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introduction of FLS are discussed in chapter Ⅲ, and the tasks for jumping over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 and settling an educational culture are discussed in chapter IV. FLS has reformative features in that, for the purpose of happiness education, it criticizes academic curriculum, emphasizes the relation with life, and allows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whole career, i.e., where they are heading for and where they want to go. Furthermore, FLS suggestes the innovative direction against achievement-based competitive education that standardization movement has resulted in, which is the basic and main stream of education reformation toda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and worries on the issues of how FLS should be realized. The author proposes that, for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he reformative meanings of FLS, the essence of FLS settle down as an educational culture and ethos.

      • KCI등재

        교대생들의 학교생활 문화에 관한 사례연구 : J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윤경(Yunkyoung Chung),서유진(You-jin Se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4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J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문화를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총 7명의 J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및 학과 선택, 수업 활동, 학교 내 활동, 학교 외 활동 영역으로 분류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면담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Merriam(2009)의 순차적, 순환적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4개의 주제, 8개의 범주, 6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는 1) 편안한 현재 그리고 안정적인 미래를 꿈꾸며, 2) 수업은 No, 임용은 Yes, 3) 우물안 개구리, 교대생, 4) 이렇게 살아도 되나?: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제, 범주, 의미단위를 토대로 교대생들이 올바른 인성과 교직에 대한 신념과 사명감을 갖춘 초등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초등교원 양성체제의 변화의 필요성과 개선방향, 정책적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As a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school-life culture of students in J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er interviewed a total of 7 students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bout choice of university and major, clas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rculational and sequential method by Merriam(2009) and then identified 4 themes, 8 categories, and 60 meaningful units. The identified 4 themes are 1) hoping for comfortable present and a stable future, 2) no to class but yes to teacher-qualification test, 3) a student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being a big frog in a small pond, 4) am I doing alright? ?: changes to be a good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on the changes and directions for appropriate teacher education systems to nurture ‘a good teacher.’

      • KCI등재

        비대면 ‘교육철학’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내러티브 : 관계적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의미 성찰을 중심으로

        정윤경 ( Chung Yunkyou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한 교사교육자의 첫 비대면 원격 ‘교육철학’ 수업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다. 연구 목적은 ‘만남으로서 교육’과 ‘관계적 실천으로서 가르침’을 강조해온 교사교육자이자 교육철학자의 첫 비대면 ‘교육철학’ 교수 경험을 성찰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개인의 특정 주제에 대한 경험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셀프 내러티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4단계의 교수 경험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①우격다짐 단계: 비대면 교육 상황을 부정하면서 교육에서 대면 만남의 중요성만 주장하기, ②자기모순 단계: 교사-학생 간 관계를 강조하지만, 역설적으로 가르침이 관계적이고 상호적이기 때문에 생긴 수업의 변화에 불안하고 피로감을 드러내기, ③자기 변화 단계: ‘비대면’이라는 달라진 조건에서 가능한 것을 시도하기, ④공감과 학습자 되기 단계: 학생의 비대면 일상에 공감하고, 교수법 특강을 듣는 학습자 경험을 통해 학생 입장에서 교육철학 수업의 어려움을 다시 보기.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만남의 중요성 재확인 및 다양한 소통의 가능성 발견, 둘째, 내용 전달의 가르침을 넘어선 가르침과 교육의 중요성 강조, 셋째, 관계적 실천으로서 가르침을 상대(학생)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넷째, 관계적 실천을 위한 교사교육자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 self-narrative about experiences on the first non-face-to-face teaching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the first experience of teaching ‘Philosophy of education’ of a teacher educator and philosopher of education who has emphasized ‘education as an encounter’ and ‘teaching as a relational practice.’ The research method used a self-narrative that could well reveal an individual's experience on a specific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four-step process of change. ①Self-assertion stage: denying the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and asserting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encounters in education ②Self-contradiction stage: emphasizing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ut paradoxically, revealing anxiety and fatigue in the changes in class due to the relational and reciprocal teaching ③Self-changing stage: trying to do what is possible under the changed conditions of 'non-face-to-face' ④To empathize and become a learner stage: sympathizing with the student’s daily life in the covid19 and seeing the students’ difficulties on ‘philosophy of education’ class through the learner's experience of taking a special lecture on pedagogy.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irst, reaffirming the importance of encounters and communication in education and discovering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in education, second, emphasizing the dimension of teaching and education beyond the knowledge transmission, third, recognizing teaching as a relational practice as fulfilling responsibility for the other(students), fourth, the role of teacher educators for relational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탈학교담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의 의미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4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일상화를 경험했다. 비대면 교육의 일상화가 교육격차 확대, 돌봄 공백, 사회적ㆍ정서적 관계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면서, 우리는 다시 ‘학교’와 ‘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성찰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것은 90년대 후반 ‘학교붕괴’ 라는 논쟁의 대두 속에서 학교교육의 위기를 고민했던 것과는 또 다른 상황에서 학교교육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미래 학교교육 방향 탐색의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제도 비판과 대안적 교육을 모색해 온 탈학교(대안교육)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학교교육 비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개관하며, Ⅲ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탈학교담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고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탈학교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학교담론은 공교육제도의 모순을 비판하고 교육의 본질 회복을 촉구한다. 둘째, 탈학교담론은 노작의 교육적 가치를 포함한 전인교육, 생태적 교육과 공동체 교육의 가치를 역설한다. 셋째, 탈학교담론의 전개과정은 의무교육을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권리로 간주해야 함을 강조하며, 교육의 공공성의 의미를 제고한다. 넷째, 탈학교담론은 국가의 교육독점을 비판하고 학교밖 다양한 배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탈학교담론은 학교가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따라서 교육이 시대변화에 따라 혁신해갈 것을 촉구한다. We have experienced the new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As the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has widened educational gaps, gaps in care, and difficulties in social and emotional relations, we ne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and "education" again. This presented the need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a different situation from through criticism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nd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that has sought alternative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d the meaning of deschooling discourseo and outlined the history of criticism of school education, and Chapter II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apter IV reflected on the meaning of school education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hooling discours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urged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econd,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e values of whole educ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labor, ec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at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for all people and enhanced the meaning of the publicity of education. Fourth,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criticized the nation's monopoly 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learning outside of school. Finally,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presupposed that schools are historical products, and therefore urged education to innovate as the times change.

      • KCI등재

        한국 발도르프학교 졸업생의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정윤경(Chung, Yunk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교육이란 단기적 성과나 결과로 평가하기 어렵다. 하지만, 교육의 성과는 장‧단기적인 면뿐만 아니라 그 연결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대안학교 졸업생들이 학교에서 어떤 경험을 해왔고, 졸업 후 진로탐색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안학교 중 특히 ‘발도르프’학교를 선택한 것은 발도르프 교육의 대안 적 가능성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졸업생들은 첫째, 대학 진학 연부가 아닌 ‘나의 길 찾기’라는 진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둘째, 대학진학에 대한 대안적 입장과 태도를 보여준다. 셋째, 졸업생들은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나의 길 찾기를 하면서 대학진학에 대한 강박증이나 조급증을 극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많은 한계점도 갖는다. 강산학교의 향후 성장에 보탬이 되기를 바라면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강산학교 교육과정이 발도르프 교육목적을 구현하는 데 충분한가?’ 재고해 봐야 할것이다. 둘째, 졸업생들이 보여준 대안적 가능성이 소극적 자유를 넘어 보다 적극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철학이 지향하는 바를 구체화해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교육이란 단기적 성과나 결과로 평가하기 어렵다. 하지만, 교육의 성과는 장‧단기적인 면뿐만 아니라 그 연결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대안학교 졸업생들이 학교에서 어떤 경험을 해왔고, 졸업 후 진로탐색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안학교 중 특히 ‘발도르프’학교를 선택한 것은 발도르프 교육의 대안적 가능성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졸업생들은 첫째, 대학 진학 연부가 아닌 ‘나의 길 찾기’라는 진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둘째, 대학진학에 대한 대안적 입장과 태도를 보여준다. 셋째, 졸업생들은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나의 길 찾기를 하면서 대학진학에 대한 강박증이나 조급증을 극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많은 한계점도 갖는다. 강산학교의 향후 성장에 보탬이 되기를 바라면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강산학교 교육과정이 발도르프 교육목적을 구현하는 데 충분한가?’ 재고해 봐야 할것이다. 둘째, 졸업생들이 보여준 대안적 가능성이 소극적 자유를 넘어 보다 적극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철학이 지향하는 바를 구체화해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t is hard to evaluate education based only on the short-term achievements or resul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long and short term aspect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the connection process. Based on such needs,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narrative inquiry o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the Waldorf School graduates including their experiences at the alternative school and the path they followed after graduation. The study selected ‘Waldorf School’ among the alternative schools because it focused on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Waldorf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to show the most of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Narrative of graduates shows alternative educational meaning and possibilities. First, it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meaning of career and career education. Second, it shows the alternative positions and attitudes to entering university. Third, the graduates overcome oppression and impatience to entering a university as looking for their ways slow and steady. However, it still has many limi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Gangsan School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the educational process of Gangsan School is enough to realize the purpose of Waldorf education. Second,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the graduates should actively specify the directions pursued by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Waldorf beyond the passive freedom.

      • KCI등재

        교육의 학습화 시대, 가르침의 의미와 교사 역할 재고

        정윤경(Yunkyoung Chu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학습과 학습자에 초점을 두고, ‘교육’ 대신 ‘학습’이 사용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것을 ‘교육의 학습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연구목적은 학습화 시대, ‘학습’이라는 의미로 전부 환원되지 않는 교육(가르침)의 의미를 탐색하고, 교사 역할을 재고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화의 의미, 학습화의 등장 배경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구성주의에서 본 학습과 학습자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대안적인 주체(학습자) 의미와 자아-세계 관계 방식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둘째, 학습으로 전부 환원되지 않는 가르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존의 교사 주도의 일방적 교육으로 회귀하지 않을 수 있는 가르침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Levinas의 타자 철학에서 본 가르침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가르침을 실천하는 교사 역할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르침은 학습으로 전부 환원되지 않으며, 가르침의 의미는 주체를 넘어선 ‘초월’의 차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교사 역할은 학습환경의 조성자나 학습 코디네이터 역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보여줄 수 있도록 책임과 권위를 갖고 가르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on (teaching) that is not entirely reduced to the meaning of “learning” in the era of learnification and to reconsider the teacher's role.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learnification,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and its issues are examined. Additionally, the meaning of learning and learners as seen in constructivism is critiqued, and the meaning of alternative subjects (learners) and the possibility of a self-world relationship method are explored. Seco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at is not completely reduced to learning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eaching that cannot revert to the existing teacher-led unilateral education, the meaning of teaching as seen in Levinas’ philosophy of the alterity is examined. Moreover, the role of teachers who practice these teachings is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eaching is not entirely reduced to learning, and the meaning of teaching is to include the dimension of “transcendence” beyond the subject. The role of a teacher is not limited to the role of a creator of a learning environment or a learning coordinator, but includes teaching with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to show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